가름 (노르드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름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개로, 그 이름의 어원은 불확실하다.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등장하며, 특히 〈그림니르의 비가〉에서는 "개 중에서는 가름이 제일"이라고 묘사된다. 〈무녀의 예언〉에서는 라그나로크의 징조로 묘사되며, 오딘이 저승에서 만나는 개로도 등장한다. 가름은 그리스 신화의 케르베로스와 유사한 지옥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라그나로크 때 튀르와 싸우다 서로 죽는 존재로 묘사된다. 현대 대중문화에서는 게임과 애니메이션 등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르베로스 - 오르토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머리 둘 달린 개 오르토스는 거인 게리온의 소 떼를 지키다 헤라클레스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케르베로스와 유사하고 스핑크스와 네메아의 사자의 아버지로도 알려져 있다. - 케르베로스 - 케르베로스 (위성)
케르베로스는 2011년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발견된 명왕성의 위성으로, 닉스와 히드라 궤도 사이를 약 32일 주기로 공전하며, 이중 엽 모양의 불규칙한 형태에 물 얼음이 존재하고, 2015년 뉴 호라이즌스 우주선에 의해 촬영되었다. - 신화의 개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신화의 개 - 헤카베
헤카베는 프리아모스의 아내이자 헥토르, 파리스, 카산드라 등 많은 자녀를 둔 트로이의 여왕으로, 트로이 전쟁과 관련된 신화와 문학 작품에서 비극적인 운명을 겪는 인물로 묘사된다.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요르문간드
요르문간드는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로키와 앙그르보다의 자식인 거대한 뱀으로, 오딘에 의해 바다에 던져졌지만 미드가르드를 둘러쌀 정도로 자라 꼬리를 물고 있으며, 토르와의 낚시 조우 및 라그나로크 전투, 꼬리를 문 모습으로 세상의 순환을 상징하는 모티프로 전해진다.
가름 (노르드 신화) | |
---|---|
개요 | |
유형 | 늑대 또는 개 |
성별 | 남성 |
소유자 | 헬 |
등장 작품 | 《고 에다》 《신 에다》 |
이름 | |
로마자 표기 | Garmr |
의미 | 넝마조각 |
신화 속 역할 | |
역할 | 헬의 문을 지키는 개 라그나로크에서 티르와 싸워 함께 죽음 |
특징 | |
외모 | 거대한 개 또는 늑대의 모습으로 묘사됨 |
울부짖음 | 라그나로크의 징조로 여겨짐 울부짖음 소리가 멀리까지 들린다고 함 |
관련 | |
관련 개념 | 펜리르: 또 다른 거대한 늑대 신화 속 개 |
2. 어원
'가름(Garmr)'이라는 이름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다. 브루스 링컨은 가름과 그리스 신화의 개 케르베로스를 연관시키며, 두 이름 모두 원시 인도유럽어 뿌리 "*ger-"("으르렁거리다", 아마도 접미사 "-*m/*b"와 "-*r" 포함)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그러나 다니엘 오그덴은 이 분석이 실제로는 '케르베로스'와 '가름'이 두 개의 서로 다른 인도유럽어 뿌리(*''ger-'' 와 *''gher-'' 각각)에서 파생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지적하며, 이 견해에 따르면 두 이름 사이의 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
가름은 북유럽 신화의 주요 문헌인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등장하는 중요한 존재이다. 고 에다의 여러 시에서 가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데, 〈그림니르의 비가〉에서는 '개 중 제일'로 언급되며[7][1], 〈무녀의 예언〉에서는 그의 울음소리가 세상의 종말인 라그나로크의 시작을 알리는 징조 중 하나로 묘사된다.[8][2] 〈발드르의 꿈〉에 등장하는, 헬로 가는 길목에서 오딘이 마주치는 이름 없는 개 역시 가름으로 추정되기도 한다.[9][3]
3. 북유럽 신화에서의 등장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쓴 《신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라그나로크 때 가름의 역할이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그니파헬리르 앞에 묶여 있던 가름은 이때 풀려나 전쟁 신 튀르와 싸우게 되며, 결국 서로가 서로를 죽이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다고 전해진다.[11][4] 일부 해석에서는 가름을 펜리르와 동일시하거나, 그리스 신화의 케르베로스와 비견되는 지옥견으로 보기도 한다.
3. 1. 고 에다
고 에다의 시 중 하나인 〈그림니르의 비가〉에는 가름이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
: 나무 중 제일은 이그드라실이요,
: 배 중 제일은 스키드블라드니르요,
: 모든 신들 가운데 가장 위대한 것은 오딘이고,
: 말 중 제일은 슬레이프니르요,
: 다리 중에선 비프로스트, 스칼드에는 브라기,
: 매 중에선 하브로크, 개 중에서는 가름이 제일이라.[7]
또한 〈무녀의 예언〉에서는 가름의 울부짖음이 라그나로크의 도래를 알리는 징조 중 하나로 묘사된다. 이 시의 후렴구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 이제 가름이 그니파헬리르 앞에서 크게 울부짖으니
: 족쇄가 터져나가고 늑대가 풀려날지라.
: 신들의 운명과 싸움의 장대함에 대하여
: 내 아는 것이 이렇게 많고, 볼 수 있는 것은 더욱 많아라.[8]
이 후렴구가 처음 등장한 뒤에는 혹독한 겨울인 핌불베트르가 언급되고, 두 번째 등장 후에는 거인족인 요툰이 신들의 세계를 침공하는 내용이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이 후렴구가 나온 뒤에는 새롭고 더 나은 세상이 나타나는 모습이 그려진다.
〈발드르의 꿈〉에서는 오딘이 헬로 여정을 떠나는 과정이 묘사되는데, 이때 오딘은 한 마리의 개와 마주친다.
: 그러자 늙은 마법사 오딘이 일어서
: 슬레이프니르의 등에 안장을 얹고
: 니플헬 깊숙히 말을 타고 내려가니,
: 저승에서 기어나온 사냥개를 만났더라.
: 개의 앞가슴은 피투성이로 물들었고,
: 마법의 아비를 향해 멀리서 울부짖었다.
: 높이 우뚝 선 헬의 집에 다다를 때까지
: 말달리는 오딘의 앞으로 땅이 울려퍼졌다.[9]
이 시에서 개의 이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이 개가 가름일 것으로 여겨진다.[10] 일부 해석에서는 가름을 펜리르와 동일한 존재로 보기도 한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고 에다에는 가름의 최후에 대한 내용이 없기 때문에, 라그나로크 때 가름과 튀르가 싸운다는 이야기는 후대의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추가한 내용으로 추정된다. 가름은 그리스 신화의 케르베로스처럼 저승의 문을 지키는 지옥견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3. 2. 신 에다
《신 에다》 중 〈길피의 속임수〉에는 라그나로크 때 가름이 맡을 역할이 서술되어 있다. 그니파헬리르 앞에 묶여 있던 개 가름은 이때 풀려나 튀르와 맞붙게 되고, 결국 서로가 서로를 죽이는 운명을 맞이하게 된다.[11][4]
4. 해석
''가름(Garmr)''이라는 이름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다. 브루스 링컨은 가름과 그리스 신화의 개 케르베로스를 연관 지으며, 두 이름 모두 원시 인도유럽어 뿌리인 "*ger-"("으르렁거리다")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아마도 접미사 "-*m/*b"와 "-*r"가 포함되었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다니엘 오그덴은 이러한 분석에 반박하며, ''가름''은 *gher-*에서, ''케르베로스''는 *ger-*에서 파생되어 실제로는 서로 다른 인도유럽어 뿌리를 가진다고 지적했다. 이 견해에 따르면 두 이름 사이의 연관성은 성립되지 않는다.
5.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비행 전투 시뮬레이션 게임 에이스 컴뱃 제로: 더 벨칸 워에서는 주인공이 속한 용병 부대 갈름 팀의 이름이자 상징으로 등장한다. '갈름'이라는 명칭은 일본어의 발음 특성상 '가름'을 영어식으로 잘못 표기한 것이다.
2017년 비디오 게임 헬블레이드: 세누아의 희생과 2022년 게임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에서는 보스 몬스터로 등장한다.[5]
애니메이션 최악의 토커가 세계 최고의 클랜을 이끈다 12화에서는 신생 그룹 '와일드 템페스트'가 상대하는 랭크 9의 몬스터로 등장한다. 이 작품 속 가름은 지능을 가지고 말을 할 수 있으며, 꼬리가 3개, 눈이 3쌍이고 가슴이 열려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참조
[1]
웹사이트
Bellows (1923.)
http://www.sacred-te[...]
[2]
웹사이트
Bellows (1923).
http://www.sacred-te[...]
[3]
웹사이트
Bellows (1923).
http://www.sacred-te[...]
[4]
웹사이트
Brodeur (1916).
http://www.sacred-te[...]
[5]
웹사이트
God of War Ragnarök - PS5 and PS4 Games
https://www.playstat[...]
2022-11-28
[6]
문서
Orchard (1997:52).
[7]
웹사이트
Bellows (1923.)
http://www.sacred-te[...]
[8]
웹사이트
Bellows (1923).
http://www.sacred-te[...]
[9]
웹사이트
Bellows (1923).
http://www.sacred-te[...]
[10]
서적
Lincoln (1991:97)
http://books.google.[...]
[11]
웹사이트
Brodeur (1916).
http://www.sacred-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