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각막염은 각막에 발생하는 염증을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에 따라 분류된다. 원인에 따라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뉘며, 감염성은 바이러스, 세균, 진균, 아칸토아메바, 기생충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비감염성 각막염은 노출, 자외선, 콘택트렌즈 사용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각막염은 급성, 만성, 질병 단계,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항균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등을 사용하며,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위생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시력 저하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막 및 각막 장애 - 광각막염
광각막염은 강한 자외선 노출로 각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통증, 눈물, 눈부심 등의 증상을 보이며, 선글라스 착용 등의 예방과 시원한 찜질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 - 공막 및 각막 장애 - 건성각결막염
건성각결막염은 눈물 부족이나 과다 증발로 눈 표면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눈의 건조함, 작열감, 이물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눈물막 이상, 자가면역질환, 콘택트렌즈, 디지털 기기 사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고, 인공 눈물, 눈물점 폐쇄술, 약물 치료 등으로 치료하며 생활 습관 개선과 환경 관리가 중요하다. - 염증 - 신장염
신장염은 콩팥에 발생한 염증으로, 자가면역질환, 요로감염, 루푸스, 격렬한 운동 등이 원인이 되어 혈뇨, 핍뇨, 요독증, 고혈압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혈액 검사, X레이, 초음파 등으로 진단하고 원인에 따라 치료한다. - 염증 -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신장의 신우와 신실질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급성(고열, 배뇨통, 옆구리 통증)과 만성(지속적인 옆구리 통증, 체중 감소)으로 나뉘며, 대장균과 장구균이 주요 원인균이고, 항생제로 치료하며, 요로의 구조적 이상, 당뇨병, 면역 저하 등이 위험 요인이다.
각막염 | |
---|---|
일반 정보 | |
분야 | 안과학 |
![]() |
2. 분류
각막염은 발생 원인, 병의 경과(급성, 만성), 질병 단계,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각 분류 기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원인에 따른 분류
각막염의 원인은 크게 감염에 의한 감염성 각막염과 그 외의 원인에 의한 비감염성 각막염으로 나눌 수 있다. 감염성 각막염은 바이러스, 세균, 진균, 기생충 등 다양한 미생물이 원인이 되며, 비감염성 각막염은 자외선 노출, 콘택트렌즈 관련 문제, 눈꺼풀의 불완전한 닫힘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한다.2. 1. 1. 감염성 각막염


감염성 각막염은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주요 원인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바이러스성 각막염
- 가장 흔한 원인은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HSV)와 수두 대상 포진 바이러스(VZV)이다. 이들은 각각 단순 헤르페스 각막염과 대상 포진 안병증을 일으킨다.[5]
- 단순 헤르페스 각막염은 눈 신경(삼차 신경의 V1 가지)에 잠복해 있던 HSV가 재활성화되면서 발생한다.[5] 특징적으로 각막 상피에 나뭇가지 모양(수지상)의 염증이 나타나며, 각막 혼탁을 유발할 수 있다.[5]
- 대상 포진 환자 중 약 8~20%는 대상 포진 안병증으로 눈에 영향을 받는다.[3][5] 대상 포진 안병증 환자의 13~76%에서 VZV 각막염이 발생하며, 보통 증상 발생 1개월 후에 나타난다.[5] 대상 포진 안병증 역시 삼차 신경의 V1 가지에 잠복해 있던 VZV의 재활성화와 관련 있다.[3]
- VZV 각막염 초기에도 수지상 상피 각막염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3] 각막 혼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환자의 50%는 각막 기질에 염증이 동반되고, 각막 반흔이 합병증으로 남을 수 있다.[5] 대상 포진 백신 접종은 대상 포진, 대상 포진 안병증, 대상 포진 각막염 예방에 효과적이다.[5]
세균성 각막염
- 각막의 세균성 감염은 주로 부상이나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흔한 원인균은 황색포도상구균이며, 특히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경우 녹농균 감염이 흔하다. 녹농균은 각막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성할 수 있다.[4]
- 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 발생하는 각막염의 90%는 세균 감염이며, 이 중 40%는 녹농균이 원인이다.[5] 황색포도상구균과 연쇄상구균 역시 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 각막염을 일으키는 흔한 세균이다.[5] 콘택트렌즈 보관 용기에 생물막이 형성되면 세균 증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부적절한 렌즈 위생 관리 시 문제가 된다.[5]
진균성 각막염
- 진균 각막염은 주로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나 칸디다 알비칸스 같은 곰팡이에 의해 발생한다.[6] 푸사리움 종도 원인이 될 수 있다. 2005-2006년에는 바슈롬사의 ReNu with MoistureLoc 콘택트 렌즈 용액이 매개체가 되어 각막염을 유발한 사례가 있었다.[6]
기생충성 각막염

- 아칸토아메바 각막염: 아칸토아메바라는 원생동물에 의한 감염이며, 심각한 각막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주로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 발생한다.[7][8] 2007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어드밴스드 메디컬 옵틱스(Advanced Medical Optics)사의 Complete Moisture Plus 다목적 용액 사용과 아칸토아메바 각막염 위험 증가의 연관성에 대해 경고한 바 있다.[9]
- 사상충성 각막염: Onchocerca volvulus라는 기생충에 감염된 먹파리(Simulium)에 물려 발생한다. 이 먹파리는 주로 아프리카의 강가에 서식하여 "강변 실명(River Blindness)"이라고도 불린다.[10]
기타 특징 및 위험 요인
- 세균, 진균, 기생충에 의한 각막염은 바이러스성 각막염보다 각막 궤양을 형성할 가능성이 더 높다.[5]
- 각막 궤양 형성의 다른 위험 요인에는 콘택트 렌즈 사용, 눈 외상, 기저 각막 질환, 심한 만성 안구건조증과 같은 안구 표면 질환 등이 있다.[5]
- 감염성 각막염은 때때로 각막 부종이나 전방 내부에 염증 세포가 쌓이는 저고름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5]
2. 1. 2. 비감염성 각막염
- 노출성 각막염 (노출성 각막병증): 토안과 같이 눈꺼풀이 불완전하거나 부적절하게 닫혀 각막이 건조해지면서 발생한다.
- 광각막염: 설맹이나 용접공의 아크 눈(arc eye)처럼 강렬한 자외선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각막염이다.
- 콘택트렌즈 급성 충혈 눈 (CLARE): 콘택트렌즈에 그람 음성균이 증식하면서 발생하는 비궤양성 무균 각막염이다.
2. 2. 경과에 따른 분류
각막염은 발병 기간이나 진행 속도 등 경과에 따라 크게 급성 각막염과 만성 각막염으로 나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2. 2. 1. 급성 각막염
- 급성 상피 각막염
- 주화상 각막염
- 간질성 각막염
- 원반상 각막염
2. 2. 2. 만성 각막염
- 신경영양각막염
- 점액 플라크 각막염
2. 3. 질병 단계에 따른 분류
- 표재성 점상 각막염
- 궤양성 각막염
2. 4. 환경적 요인에 따른 분류
- 노출성 각막염 (노출성 각막병증이라고도 함) — 불완전하거나 부적절한 눈꺼풀 폐쇄(토안)로 인한 각막 건조로 발생하는 각막염이다.
- 광각막염 — 강렬한 자외선 노출(예: 설맹 또는 용접공의 아크 눈)로 인한 각막염이다.
- 콘택트렌즈 급성 충혈 눈 (CLARE) — 그람 음성균이 콘택트렌즈에 집락을 이루면서 발생하는 비궤양성 무균 각막염이다.
3. 치료
치료는 각막염의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감염성 각막염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원인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신속한 항균, 항진균 또는 항바이러스 치료가 필요하다.
세균성 각막염의 치료에는 레보플록사신, 가티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 오플록사신과 같은 항균 용액이 사용된다. 스테로이드 안약의 유용성은 경우에 따라 다르며 명확하지 않다.[11]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HSV)로 인한 각막염에는 국소용 간시클로비르 또는 경구용 발라시클로비르, 팜시클로비르, 아시클로비르 등이 사용된다.[5] HSV에 의해 발생한 수지상 궤양의 경우,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면 궤양이 빠르게 악화되어 '아메바' 또는 '지리적' 궤양(궤양의 모양이 지도와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스테로이드 사용은 피해야 한다.[12]
콘택트 렌즈 착용자는 각막염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렌즈 착용을 즉시 중단하고, 오염된 콘택트 렌즈와 렌즈 케이스를 교체하도록 권장된다. 다만, 오염된 렌즈와 케이스는 원인균을 식별하기 위한 배양 검사를 위해 폐기하지 않고 보관할 수 있다.
4. 예방
콘택트 렌즈 착용자는 렌즈 위생과 보관 습관을 철저히 지킴으로써 각막염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감염성 각막염을 유발할 수 있는 잘못된 렌즈 관리 방법으로는 밤에 또는 샤워 중에 렌즈를 착용하는 것, 렌즈 케이스를 정기적으로 교체하지 않는 것, 렌즈를 콘택트 렌즈 용액 대신 수돗물에 보관하는 것, 렌즈 용액을 완전히 교체하지 않고 보충하여 사용하는 것 등이 있다.[5] 렌즈를 부적절하게 보관하면 콘택트렌즈 케이스 내부에 세균성 생물막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렌즈에 세균이 번식하는 원인이 된다.[5] 또한, 부적절한 보관이나 사용으로 인해 렌즈가 수돗물에 노출될 경우, 수돗물에서 흔히 발견되는 아칸토아메바에 감염될 위험이 있다.[5]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HSV)로 인한 안질환(구강 또는 안면 헤르페스 포함)의 재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아시클로버 예방 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요법은 특히 HSV 각막염 발생률을 50%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클로버 예방 요법을 중단하더라도 반동 효과나 HSV 관련 안질환 발생률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13]
대상 포진 백신 접종은 대상 포진, 대상 포진 안병증 및 수두 대상 포진 바이러스(VZV) 각막염 예방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5]
5. 합병증
세균성, 진균성 또는 기생충 병원체로 인한 미생물 각막염은 바이러스성 각막염과 달리 각막 궤양의 형성과 더 관련이 있다. 각막 궤양 형성에 대한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콘택트 렌즈 사용, 눈 외상 상황에서의 각막염, 기저 각막 질환 또는 안구 표면 질환(심한 만성 안구건조증 등)이 있다.[5] 감염성 각막염은 때때로 각막 부종 또는 전방 내 염증 세포의 축적인 저고름과 함께 나타난다.[5]
일부 감염은 각막에 흉터를 남겨 시력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감염은 각막 천공, 안내염 (눈 내부의 감염) 또는 심지어 눈을 잃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감염은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시력 손실 없이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아칸토아메바 각막염 및 진균 각막염은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다.[5]
6. 기타
고양이 호산성 각막염 — 고양이와 말에 영향을 미치며,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 1 또는 다른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4]
참조
[1]
간행물
Keratiti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1-11-02
[2]
뉴스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s
http://www.uic.edu/c[...]
2018-04-29
[3]
논문
A Review of Treatment for Herpes Zoster Keratitis
2021
[4]
논문
Properties of PASP: A Pseudomonas Protease Capable of Mediating Corneal Erosions
[5]
논문
Eye Infections
2023-12-21
[6]
논문
In the aftermath of the Fusarium keratitis outbreak: What have we learned?
2007-12
[7]
논문
An update on ''Acanthamoeba'' keratitis: diagnosis, pathogenesis and treatment
[8]
논문
The potential pathogenicity of chlorhexidine-sensitive Acanthamoeba strains isolated from contact lens cases from asymptomatic individuals in Tenerife, Canary Islands, Spain
2008-11
[9]
웹사이트
CDC Advisory
http://www2a.cdc.gov[...]
2007-05-31
[10]
웹사이트
What is onchocerciasis?
https://www.cdc.gov/[...]
CDC
2010-06-28
[11]
논문
Topical corticosteroids as adjunctive therapy for bacterial keratitis.
2014-10-16
[12]
서적
Kanski's clinical ophthalmology : a systematic approach
https://www.worldcat[...]
Elsevier
[13]
논문
Acyclovir for the Prevention of Recurrent Herpes Simplex Virus Eye Disease
1998-07-30
[14]
웹사이트
VET.uga.edu
http://www.vet.uga.e[...]
2009-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