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포 생명보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포 생명보험은 2007년 일본 우정 공사의 민영화와 함께 설립된 일본의 생명보험 회사이다. 일본 우체국을 통해 보험 상품을 판매하며, 2015년 도쿄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19년 고령 고객을 대상으로 한 불법 보험 판매 사건으로 인해 일본 우정 홀딩스 및 관련 임원들이 사임하고, 민영화 절차가 연기되는 등 큰 사회적 파장을 겪었다. 현재는 종신 의료 보장형, 세만기 양로 보험, 연금 보험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2020년 부정 계약 문제로 업무 정지 이후 재개하여 운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우정민영화 - 일본우정
    일본우정은 2006년 우정민영화에 따라 설립된 지주회사로, 우편, 은행, 생명보험 사업을 분할하여 운영하다가 2015년 주식을 상장하고 현재 일본우편, 유초 은행, 간포 생명보험, 톨 그룹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 일본의 우정민영화 - 우편국 (기업)
    우편국 주식회사는 일본의 우정 민영화에 따라 설립되어 우편, 저금,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주민의 편의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일본 우편 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
  • 일본우정 그룹 - 일본우편
    일본우편 주식회사는 일본의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기업으로, 우정민영화 후 분할되었다가 통합되었으며, 우편, 물류, 금융, 보험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면서 전국적인 우체국 네트워크를 운영하지만, 우편물 이용량 감소 등의 과제에 직면하여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다.
  • 일본우정 그룹 - KITTE
    KITTE는 일본 전국 JP타워 건물 내에 위치한 상업시설로, 도쿄, 후쿠오카, 나고야 등 주요 도시에 지점을 운영하며 다양한 상점과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2024년 오사카에도 개업 예정이다.
  • 오테마치 (도쿄도) - 미즈호 은행
    미즈호 은행은 2002년 3개의 은행 합병으로 설립되었으며, 2013년 합병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다양한 금융 서비스와 핀테크 기술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지만, 시스템 장애와 불상사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 오테마치 (도쿄도) - 오테마치역 (도쿄도)
    오테마치역은 도쿄도 지요다구에 위치한 도쿄 지하철의 환승역으로, 도쿄 메트로의 4개 노선과 도쿄 도 교통국 미타선이 지나며, 도쿄 지하철역 중 가장 많은 노선이 지나고 도쿄역과 지하로 연결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금융기관과 기업 본사, 고쿄가 위치한다.
간포 생명보험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일본우정 보험 로고
일본우정 보험 로고
본사 위치오테마치, 지요다, 도쿄도
설립2006년 (간이 보험 서비스 시작은 1916년)
창립자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정부
형태주식회사 자회사
산업보험
종업원 수5,400명
모회사일본우정 지주 (64.48%)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재무 정보 (2020년 3월 기준)
매출7조 2114억 500만 엔 (연결), 7조 2114억 300만 엔 (단독)
순이익1506억 8700만 엔 (연결), 1511억 3200만 엔 (단독)
자본금5000억 엔
총 자산71조 6647억 8100만 엔 (연결), 71조 6673억 9800만 엔 (단독)
순자산1조 9283억 8000만 엔 (연결), 1조 9264억 7400만 엔 (단독)
주식 정보
발행 주식 수5억 6260만 주 (2019년 6월 20일 기준)
주요 주주 (2022년 3월 31일 기준)일본우정 주식회사 (49.90%)
일본마스터트러스트신탁은행 주식회사 (신탁구) (7.06%)
주식회사 일본커스터디은행 (신탁구) (2.49%)
경영진
대표 이사다니가키 구니오 (이사회 의장 겸 대표 집행 임원 사장)
부사장오니시 도루 (이사회 의장 겸 대표 집행 임원 부사장), 시마 도시오미 (대표 집행 임원 부사장)
보험 정보 (2019년 3월 기준)
보험료 수입3조 9599억 2800만 엔
보유 계약 금액55조 3313억 5400만 엔
SM 비율1,189.8%
신용 등급 (2018년 10월 31일 기준)
R&IAA-
JCRAA
S&PA+

2. 역사

간포 생명보험의 역사는 크게 설립 배경과 민영화 이후로 나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간략하게 연혁만 요약한다.

자세한 설립 배경과 민영화 이후의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

2. 1. 설립 배경

2005년 10월 21일에 공포된 우정 민영화 관련 6법 중 우정 민영화법에 규정된 생명 보험업을 영위하게 하기 위해 동법 제127조의 규정에 따라 일본 우정 주식회사가 2006년 9월 1일에 준비 회사로 '''주식회사 간포'''를 설립했다.[10] 2007년 10월 1일에 상호를 변경하여 '''주식회사 간포 생명 보험'''으로 이행, 구 일본 우정 공사로부터 주로 생명 보험 사업 등을 계승하고 필요한 시설·직원 등을 승계한 위원회 설치 회사가 되었다.

회사명은 법으로 정해지지 않았고, 법문에서는 '''우편보험'''으로 표현하고 있다.

‘간포’는 ‘간이보험’(簡易保険/かんいほけん|간이호켄일본어)의 줄임말로, 일본의 우체국에서 영업직과 창구를 통해 판매하고, 일본우정공사가 운영하는 간이생명보험사업을 가리킨다. 로마자로 ‘Kampo’라고 쓰기도 한다.

2. 2. 민영화 이후

株式会社かんぽ일본어는 2006년 9월 1일 민영화 준비 회사로 설립되었다.[10] 2007년 10월 1일, 株式会社かんぽ生命保険일본어으로 상호를 변경하여 발족하면서, 구 일본 우정 공사로부터 생명 보험 사업 등을 계승하였다.

2019년 12월, 일본 우정 홀딩스와 일본 우정 보험이 고령 고객을 대상으로 대규모 불법 보험 판매를 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로 인해 일본 우정 홀딩스의 사장 겸 CEO였던 나가토 마사츠구(長門正貢)와 일본 우정 보험 사장 우에히라 미츠히코(植平光彦), 그리고 일본 우정 사장 요코야마 쿠니오(横山邦男)는 여론의 압력으로 사임해야 했다.[4] 주가는 폭락했고, 일본 정부는 민영화 절차를 5년 연기한다고 발표했다.[5]

이후 간포 생명보험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날짜내용
2008년 2월 22일일본생명보험과의 업무 제휴 발표
2008년 4월 2일부부 보험·부부 연금 보험 폐지
2008년 7월 2일간포생명 최초의 신상품인 신 입원 특약 "그날부터" 판매 개시, 기존 입원 특약 폐지. 보통 양로 보험(신 프리 플랜) 가입 상한 연령을 70세에서 75세로 인상
2010년 4월 1일상품 재검토를 통해 일부 보험 상품·특약 폐지
2014년 4월 2일구 간이 보험 시대부터 판매했던 학자금 보험을 폐지하고, 간포생명 개발의 신형 학자금 보험 "처음의 간포" 출시
2015년 4월 2일보통 양로 보험(신 프리 플랜) 가입 상한 연령을 75세에서 80세로 인상. 기타 보험 상품의 가입 상한 연령도 인상
2015년 10월 2일신 프리 플랜(단기 납입형) 신설과 기존 보험 상품의 가입 상한 연령 인상. 보통 종신 보험(신 나가이키군)은 85세까지 가입 가능
2015년 11월 4일도쿄 증권 거래소 시장 제1부에 주식 상장[7]
2016년 3월 29일제일생명보험과의 업무 제휴 발표
2016년 4월 1일가입 한도액 인상(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최고 1300만 엔에서 2000만 엔까지 계약 가능)
2016년 6월 2일마이너스 금리 정책의 영향으로 정기 연금 보험 폐지
2016년 6월 22일상장 후 첫 주주 총회 개최[17]
2016년 10월 1일간이 생명 보험 탄생 100주년, 신 캐릭터 탄생[18]
2017년 3월신 캐릭터 이름 결정[19]
2018년 10월기업 캐릭터 "간포군"에게 친구 "유메짱" 추가[20]
2019년 4월주식 매각 및 자기 주식 취득으로 일본우정 주식회사의 지분율이 89%에서 64.48%로 감소
2020년 1월 1일부정한 계약 문제로 3월 말까지 업무 정지 명령을 받아 계약 권유 중단[21], 2020년 10월 5일부터 업무 재개[22]
2021년 5월자기 주식 취득으로 일본우정 주식회사의 지분율이 64.48%에서 49.90%로 감소
2024년 5월 15일다이와 증권 그룹 본사와의 자본 업무 제휴 발표[23]


3. 기업 특징

‘간포’는 ‘간이보험’(簡易保険/かんいほけん|간이호켄일본어)의 줄임말로, 일본우정공사가 운영하고 일본의 우체국에서 영업직과 창구를 통해 판매하는 간이생명보험사업을 가리킨다. 로마자로는 ‘Kampo’라고 쓰기도 한다. 회사명은 법으로 정해지지 않았고, 법문에서는 '''우편보험'''으로 표현하고 있다.

2007년 10월 1일에 '''주식회사 간포 생명보험'''으로 전환하였으며, 일본우정공사에서 주로 생명보험사업 관련 업무를 이관받고, 필요한 시설과 직원 등을 승계하였다.

민영화 이전의 간이 생명 보험은 가입 시 의사 진찰을 불필요하게 한 것이 특징 중 하나였다. 민영화 직후 간포 생명의 상품 라인업은 전신인 간이 생명 보험의 라인업을 거의 그대로 따르고 있다. 회사 발족(민영화) 후에 모집된 보험 상품은 민간의 동종 업계와 같은 "생명 보험・개인 연금 보험"이다. 현재의 보험은 건강 상태에 대한 고지 의무가 있으며, 건강 상태에 따라서는 계약할 수 없다.[16]

현재 간포 생명보험에서 판매하고 있는 보험 상품은 과거 구 일본우정공사가 판매했던 간이보험과 거의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보험 계약은 간이생명보험법에 근거한 "간이보험" (우정민영화로 인해 신규 가입이 불가능)이 아닌, 생명보험이다.

계약 금액(사망 보험금 · 만기 보험금의 기준이 되는 금액)의 상한도 일본우정공사 시대 그대로 계승되고 있다. 상품명에 관해서는 간포 생명 개발의 학자금 보험 "처음의 간포"를 제외하고, 일본우정공사 시대의 간이 생명 보험의 상품명에 "신"을 붙인 것뿐이지만, 일본우정공사 시대부터 몇몇 상품의 신규 모집은 폐지되었다(성인 보험 등). 원래 간이 보험은 "정기 보험"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상품이 "생존 보험금(만기 보험금)"이라는 형식의 상품으로, 저축성이 있는 상품이다.[29][30]

우정 민영화 이후 간포 생명보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도 개선이 이루어졌다.


  • 보험료 납입 방법 다양화: 이전에는 유초 은행(민영화 전에는 우편 저금), 미즈호 은행, 미쓰이 스미토모 은행, 미쓰비시 UFJ 은행, 요코하마 은행 계좌를 통한 계좌 대체(계좌 납입)만 가능했으나, 민영화 이후 대행 수납 제도를 도입하여 대부분의 금융 기관 계좌에서 보험료를 인출할 수 있게 되었다.

  • 지정 대리 청구 제도 도입: 2008년 7월부터 피보험자가 질병 등으로 의사 표현이 어렵거나, 의사로부터 병명을 직접 듣지 못하고 가족만 알고 있는 경우, 원래 수령인을 대신하여 보험금, 보험료 납입 면제, 중도 장애 등을 청구할 수 있는 제도가 도입되었다.

  • 등록 가족 제도 도입: 2018년 3월 26일부터 각 보험 계약에 대해 "등록 가족"을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 등록 가족은 계약자에게만 공개되던 계약 정보를 문의할 수 있으며, 재해 발생 시 또는 간포 생명보험으로부터의 통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경우 보험 회사로부터 알림을 받을 수 있다.

3. 1. 주식 및 자산 현황

2022년 9월 30일 기준 도쿄 증권거래소 프라임 시장 상장 기업이다.[11]

2015년 11월 4일 (지주회사인 일본 우정과 함께) 도쿄 증권거래소 제1부에 상장되었으며, 발행 주식수의 11%가 시장에 매각되었다.[7][12] 2022년 9월 30일 기준 최대 주주는 일본 우정(49.05% 보유)이고, 일본 마스터 트러스트 신탁 은행(신탁구)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11]

2018년 3월/6월 기준 총자산 규모는 일본생명보험에 이어 두 번째이다.[14][15] 저금리 상황에서 저축성 상품의 신규 계약이 부진하여 총자산이 감소하는 추세가 지속되면서 1위에서 2위로 후퇴했다.[15]

2014년 6월 말 기준 간포 생명 단독 보유 계약 건수 및 총자산은 다음과 같다.

구분건수총자산
생명보험12,157,988건351.125조
연금보험1,233,371건35.226조



2014년 6월 말 시점의 지급여력비율은 1600%였다.

3. 2. 상품 특징

민영화 이전의 간이 생명 보험은 가입 시 의사 진찰을 불필요하게 한 것이 특징 중 하나였다. 민영화 직후 간포 생명의 상품 라인업은 전신인 간이 생명 보험의 라인업을 거의 그대로 따르고 있다. 회사 발족(민영화) 후에 모집된 보험 상품은 민간의 동종 업계와 같은 "생명 보험・개인 연금 보험"이다. 현재의 보험은 건강 상태에 대한 고지 의무가 있으며, 건강 상태에 따라서는 계약할 수 없다.[16]

현재 간포 생명보험에서 판매하고 있는 보험 상품은 과거 구 일본우정공사가 판매했던 간이보험과 거의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보험 계약은 간이생명보험법에 근거한 "간이보험" (우정민영화로 인해 신규 가입이 불가능)이 아닌, 생명보험이다.

계약 금액(사망 보험금 · 만기 보험금의 기준이 되는 금액)의 상한도 일본우정공사 시대 그대로 계승되고 있다. 상품명에 관해서는 간포 생명 개발의 학자금 보험 "처음의 간포"를 제외하고, 일본우정공사 시대의 간이 생명 보험의 상품명에 "신"을 붙인 것뿐이지만, 일본우정공사 시대부터 몇몇 상품의 신규 모집은 폐지되었다(성인 보험 등). 원래 간이 보험은 "정기 보험"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상품이 "생존 보험금(만기 보험금)"이라는 형식의 상품으로, 저축성이 있는 상품이다.[29][30]

상품명 뒤의 괄호는 정식 명칭이며, X배는 배액 보장의 배율을 나타낸다.

3. 3. 제도 개선 (민영화 이후)

우정 민영화 이후 간포 생명보험의 제도 신설 및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보험료 납입 방법 다양화: 이전에는 유초 은행(민영화 전에는 우편 저금), 미즈호 은행, 미쓰이 스미토모 은행, 미쓰비시 UFJ 은행, 요코하마 은행 계좌를 통한 계좌 대체(계좌 납입)만 가능했으나, 민영화 이후 대행 수납 제도를 도입하여 대부분의 금융 기관 계좌에서 보험료를 인출할 수 있게 되었다.

  • 지정 대리 청구 제도 도입: 2008년 7월부터 피보험자가 질병 등으로 의사 표현이 어렵거나, 의사로부터 병명을 직접 듣지 못하고 가족만 알고 있는 경우, 원래 수령인을 대신하여 보험금, 보험료 납입 면제, 중도 장애 등을 청구할 수 있는 지정 대리 청구 제도가 도입되었다. 지정 대리인은 "피보험자의 배우자", "피보험자의 직계 혈족", "피보험자의 형제자매", "피보험자의 3촌 이내 친족(동거·동일 생계 요건 없음)", "피보험자를 위해 보험금 등의 청구를 해야 할 상당한 관계가 있다고 회사가 인정한 자" 중 한 명이 될 수 있다.

  • 등록 가족 제도 도입: 2018년 3월 26일부터 각 보험 계약에 대해 "등록 가족"을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 등록 가족은 계약자에게만 공개되던 계약 정보를 문의할 수 있으며, 재해 발생 시 또는 간포 생명보험으로부터의 통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경우 보험 회사로부터 알림을 받을 수 있다. 등록 가족은 "계약자의 배우자", "계약자의 3촌 이내 친족", "피보험자", "보험금 수령인", "지정 대리 청구인" 중 한 명으로 제한되며, 지정 대리 청구인과 달리 보험금 청구 권한은 없다.

4. 지점 및 점포망

간포 생명보험은 "직영점"과 "대리점" 형태의 점포망을 운영하고 있다.

직영점은 법인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일반 고객이 방문할 수 있는 창구는 없다. 대리점은 일본우편주식회사에 업무를 위탁하여 개인 대상 업무를 수행한다. 우체국 내에 직영점이 있더라도 개인 대상 업무는 대리점이 처리하는 형식을 취하며, 실제로는 같은 점포 내에서 업무가 이루어진다.[24] 간포 생명보험 신규 계약의 약 90%는 대리점인 일본우편을 통해 이루어진다. 직영점의 "파트너 영업부"는 담당 우체국에 대한 영업 및 업무 지원을 담당한다.

직영점은 구 공사 지사의 담당 구역(영역)별로 설치되었으며, "통괄 지점" 1개와 "기타 지점" 여러 개로 구성되어 총 81개 점포가 있다.[25][26]

영역 본부명통괄 지점기타 지점
홋카이도삿포로
도호쿠신센다이 빌딩 (센다이)
간토일본우정그룹 사이타마 빌딩 (사이타마)
도쿄TOKYU REIT 토라노몬 빌딩 (도쿄 중앙 법인)
남간토요코하마
신에츠일본우정그룹 나가노 빌딩 (나가노 구리타 우체국) (나가노)
호쿠리쿠가나자와 우에쓰치마치 빌딩 (가나자와)
도카이미유키 빌딩 (나고야, 나고야 법인)
긴키오사카 (오사카 법인)
주고쿠NTT 크레도 시라시마 빌딩 (히로시마)
시코쿠일본우정그룹 마쓰야마 빌딩 (마쓰야마 미야타 우체국) (마쓰야마)
규슈일본 생명 제2 빌딩 (구마모토)
오키나와나하(없음)



이 외에도 전국 5곳(센다이, 도쿄, 기후, 교토, 후쿠오카)의 간이 보험 사무 센터를 "서비스 센터"로 명칭을 변경하여 운영하고 있다. 도쿄 및 교토 간이 보험 사무 센터의 조직이었던 동일본 및 서일본 정보 관리 센터는 본사 직할 조직으로 분리되었다.

5. 주요 상품

현재 간포 생명보험에서 판매하는 보험 상품은 과거 일본우정공사가 판매했던 간이보험과 거의 동일하다. 보험 계약은 간이생명보험법에 근거한 "간이보험" (우정민영화로 신규 가입 불가)이 아닌, 생명보험이다.[29][30]

계약 금액(사망 보험금, 만기 보험금의 기준) 상한도도 우정공사 시대와 동일하게 유지되며, 유초 은행에 승계된 구 우편 저금 계좌와 같은 취급을 받는다. 상품명은 간포 생명 개발의 학자금 보험 "처음의 간포"를 제외하고는 우정공사 시대 간이 생명 보험 상품명에 "신"을 붙인 것이지만, 우정공사 시대부터 일부 상품(성인 보험 등)은 신규 모집이 중단되었다. 원래 간이 보험은 "정기 보험"을 제외하면 대부분 "생존 보험금(만기 보험금)" 형태의 저축성이 있는 상품이다.[29][30]

상품명 뒤 괄호는 정식 명칭이며, X배는 배액 보장 배율을 나타낸다(간이생명보험 참조).

5. 1. 종신 의료 보장형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간포 생명보험'의 '종신 의료 보장형' 섹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는 단순히 간포 생명보험의 상품 종류를 나열하고 있으며, '종신 의료 보장형'이라는 상품명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현재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5. 2. 세만기 양로 보험

계약 시에 임의로 만기가 되는 계약 기간(10년~최장 30년)을 선택할 수 있다(2010년 4월 이후는 최장 50년).[14][15]

  • 신 프리 플랜(보통 양로보험)
  • 신 프리 플랜 2배·5배·10배 보장형(특별 양로보험)
  • 신 일병 장건 플랜 - 생활 습관병 등의 만성 질환이나 의 치유와 같은 기왕증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한 특정 양로보험으로 보험 기간은 10년뿐이다. 또한 질병 입원 특약은 붙일 수 없다.

5. 3. 기타 양로 보험

2014년 6월 말 기준으로 간포 생명보험의 단독 보유 계약 건수는 다음과 같다.[14][15]

구분건수총자산
생명보험1215만 7988건35조
연금보험 (구 간이생명보험 제외)123만 3371건3.5조



같은 시점 지급여력비율은 1600%였다.

보험료 납입 기간과 보험 기간이 다른 상품으로는 신규 자유 플랜(단기 납입형)이 있으며, 보험 기간은 15년, 보험료 납입 기간은 10년이다.

5. 4. 정기 의료 보험형

かんぽ生命保険일본어 (간포 생명보험)의 2014년 6월 말 시점 단독 보유 계약 건수는 생명보험이 1215만 7988건, 총자산 35조이었다. 연금보험은 123만 3371건, 총자산 3.5226조이었다(구 간이생명보험 제외). 2014년 6월 말 시점의 지급여력비율은 1600%였다.[14][15]

5. 5. 연금 보험

2014년 6월 말 기준으로 간포 생명 단독 보유 계약 중 연금보험은 1,233,371건, 총자산은 3.5226조이었다(구 간이생명보험 제외).[14][15]

다음은 과거에 판매되었던 연금 보험 상품 목록이다.

상품명폐지일
신 정기 연금 보험2016년 6월 2일
신 부부 연금 보험2008년 4월 1일
신 헵증형 종신 연금 보험(폐지)
신 정액형 종신 연금 보험(폐지)
신 실버 연금 안심 (개호 할증 연금 부 종신 연금 보험)2010년 4월 1일


5. 6. 간포생명보험 개발 상품

2014년 6월 말 기준으로 간포 생명보험이 단독으로 보유한 계약 건수는 다음과 같다.

보험 종류계약 건수총자산
생명보험1215만 7988건351.125조
연금보험123만 3371건35.226조



간포 생명보험의 신 입원 특약 "그날부터"는 4일 이내의 질병 입원에 대해서도 1박 2일 이상(당일 입원 포함)이면 입원 보험금을 지급한다.[14][15]

6. 부정 판매 사건

2019년 12월, 일본 우정 홀딩스(日本郵政ホールディングス)와 일본 우정 보험(日本郵政保険)이 고령 고객을 대상으로 대규모 불법 보험 판매 사기에 연루된 것이 드러났다. 이로 인해 일본 우정 홀딩스 사장 겸 CEO 나가토 마사츠구(長門正貢), 일본 우정 보험 사장 우에히라 미츠히코(植平光彦), 일본 우정 사장 요코야마 쿠니오(横山邦男)는 여론의 압력으로 사임했다.[4] 주가는 폭락했고, 일본 정부는 민영화 절차를 5년 연기했다.[5] 2007년 10월 민영화 이전의 불상사에 관해서는 간이보험을 참조하면 된다.

2018년 4월 24일, NHK의 클로즈업 현대+에서 간포 생명 보험의 부정 계약 문제를 보도했다.[32]

2019년 6월 27일, 간포 생명보험은 2014년 4월부터 2019년 3월 사이에 계약한 건수 중 고객이 생명 보험 갈아타기 과정에서 불이익을 입은 사례가 23,900건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고객이 6개월 이상 신규 및 기존 계약의 보험료를 이중으로 납부한 사례도 약 22,000건 있었다.[34]

2019년 7월, 일본 유성의 나가토 마사츠구 사장, 일본 우편 요코야마 쿠니오 사장 등은 도쿄도 지요다구 오테마치에서 기자 회견을 열어 사과했다.[35] 특별 조사 위원회가 설치되었으며, 이토 테츠오 전 차장 검사가 위원장으로 취임했다.[36] 2019년 7월 10일 시점에서 최소 10만 건의 부정 계약이 발견되었다.[37]

2020년 3월 31일, 2014년 4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계약 중 약 183,000건의 계약이 부정 계약 의심 건으로 파악되었다.[38]

2019년 12월 27일, 금융청의 업무 정지 명령(2020년 1월 1일~2020년 3월 31일)으로[21] 간포 생명 사장 우에히라 미츠히코가 퇴임했다. 일본 유성 주식회사 사장 나가토 마사츠구, 일본 우편 주식회사 사장 요코야마 쿠니오도 퇴임했다.

2020년 8월 19일 현재, 특정 사안 18.3만 건 중 판매원 법령 위반 410명, 사내 규정 위반 2,212명, 정밀 조사 22만 건 중 법령 위반 37명, 사내 규정 위반 3명이 발견되었다.[39] 2020년 8월 영업 자숙 기간 중에도 판매원의 부정 계약이 발각되었다.[40]

2020년 10월 5일, 간포 생명보험은 업무를 재개했다.[22]

6. 1. 개요

2006년 9월 1일, 간포 생명보험은 "준비 회사(準備会社)"로 시작했다. 2007년 10월 1일, 일본 우정 공사의 분할 및 민영화와 함께 정식으로 설립되었다.[4]

2019년 12월, 일본 우정 홀딩스(日本郵政ホールディングス)와 일본 우정 보험(日本郵政保険)이 고령 고객을 대상으로 대규모 불법 보험 판매 사기에 연루된 것이 드러났다. 이 사건으로 일본 우정 홀딩스 사장 겸 CEO 나가토 마사츠구(長門正貢), 일본 우정 보험 사장 우에히라 미츠히코(植平光彦), 일본 우정 사장 요코야마 쿠니오(横山邦男)는 여론의 압력으로 사임했다.[4] 주가는 폭락했고, 일본 정부는 민영화 절차를 5년 연기했다.[5]

2012년 11월 13일, 일본 우정 그룹의 간포 생명보험은 민영화 이후 2007년 10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5년간 보험금 청구 1700만 건 중 약 10만 건(약 1000억)이 미지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2018년 4월 24일, NHK의 클로즈업 현대+는 간포 생명보험의 부정 계약 문제를 보도했다.[32]

2019년 6월 27일, 간포 생명보험은 2014년 4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계약 중 고객이 생명 보험 갈아타기 과정에서 불이익을 입은 사례가 23,900건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고객이 6개월 이상 신규 및 기존 계약 보험료를 이중 납부한 사례도 약 22,000건 있었다.[34] 2019년 7월, 일본 유성 나가토 마사츠구 사장, 일본 우편 요코야마 쿠니오 사장 등은 도쿄도 지요다구 오테마치에서 기자 회견을 열어 사과했다.[35] 특별 조사 위원회가 설치되고, 이토 테츠오 전 차장 검사가 위원장으로 취임했다.[36] 2019년 7월 10일 기준, 최소 10만 건의 부정 계약이 발견되었다.[37] 2020년 3월 31일 기준, 2014년 4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계약 중 약 183,000건이 부정 계약 의심 건으로 파악되었다.[38]

2019년 12월 27일, 금융청은 간포 생명보험에 업무 정지 명령(2020년 1월 1일~2020년 3월 31일)을 내렸고,[21] 우에히라 미츠히코 간포 생명 사장이 퇴임했다. 나가토 마사츠구 일본 유성 주식회사 사장, 요코야마 쿠니오 일본 우편 주식회사 사장도 함께 퇴임했다.

2020년 8월 19일 현재, 특정 사안 18.3만 건 중 판매원 법령 위반 410명, 사내 규정 위반 2,212명, 정밀 조사 22만 건 중 법령 위반 37명, 사내 규정 위반 3명이 발견되었다.[39] 2020년 8월 영업 자숙 기간 중에도 판매원의 부정 계약이 발각되었다.[40]

2020년 10월 5일, 간포 생명보험은 업무를 재개했다.[22]

6. 2. 부정 계약 수법

; 이중 계약 (약 75,000건[42])

: 신규 계약을 체결한 후 6개월 이내에 기존 계약을 해약하면 갈아타기로 간주되어 판매원의 수수료가 반감되기 때문에, 판매원의 수수료를 늘리기 위해 7~9개월간 이중 계약을 맺게 하는 수법이다. 이 기간 동안 보험 계약자는 불필요한 보험료를 지불하게 된다.[41]

; 3개월 이상의 무보험 (약 46,000건[42])

: 기존 계약 해약 후 3개월 이내에 신규 계약으로 전환하면 갈아타기로 간주되어 판매원의 수수료가 반감되기 때문에, 판매원의 수수료를 늘리기 위해 4~6개월간 무계약 기간을 만드는 수법이다. 이 기간 동안 피보험자에게 보험 사고가 발생해도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43]

; 특약 전환으로 충분한데 신규 보험 계약을 체결하게 하는 수법 (약 26,000건[42])

: 원래는 특약 전환으로 충분한데, 판매원이 수수료를 늘리기 위해 보험을 해약하고 신규 계약으로 갈아타게 하는 수법이다.[42]

; 보상 내용이 같거나 악화되는데 신규 보험 계약을 체결하게 하는 수법 (약 15,000건[42])

: 판매원이 수수료를 늘리기 위해 악화되거나 의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신규 계약으로 갈아타게 하는 수법이다.[42]

; 갈아타기가 불가능한 보험을 계약하게 하는 수법 (인수 거절 약 18,000건, 지급 거절 약 3,000건[42])

: 건강 상태 등의 이유로 신규 계약이 보험으로서 기능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판매원이 수수료를 위해 신규 계약으로 갈아타게 하는 수법이다.[44]

; 해약을 25개월까지 연장하는 수법

: 보험을 해약하고 싶어하는 고객에게 24개월 이내에 해약되면 판매원은 수당을 반납해야 하기 때문에, 해약을 25개월까지 연장하는 수법이다. 이 기간 동안 계약자는 불필요한 보험료를 지불하게 된다.[45]

우에히라 미츠히코(2019년 7월 당시 사장)에 따르면 회사 측이 세운 과도한 목표가 부정 계약의 원인이라고 한다.[37]

또한, 회사 측이 작성한 고객에게의 영업 수법 관련 화법의 연수 자료 자체가 부적절한 영업 수법을 사용하고 있었다.[46] 상속세의 절세 효과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절세 효과가 있는 것처럼 잘못된 설명을 하며 영업을 하고 있었다.[46]

6. 3. 원인

2019년 12월, 일본 우정 홀딩스(日本郵政ホールディングス)와 일본 우정 보험(日本郵政保険)이 고령 고객을 대상으로 대규모 불법 보험 판매 사기에 연루된 것으로 드러났다.[4] 이 사건으로 일본 우정 홀딩스 사장 겸 CEO 나가토 마사츠구(長門正貢), 일본 우정 보험 사장 우에히라 미츠히코(植平光彦), 일본 우정 사장 요코야마 쿠니오(横山邦男)는 여론의 압력으로 사임했다.[4] 주가는 폭락했고, 일본 정부는 민영화 절차를 5년 연기한다고 발표했다.[5]

참조

[1] 웹사이트 Directors and Executive Officers https://www.jp-life.[...] 2024-01-09
[2] 웹사이트 End of 2011 list, A.M. Best http://www.insurance[...] 2013-08-03
[3] 뉴스 Japan Post firms make bumper debut after $12 billion triple IPO https://finance.yaho[...] 2018-08-11
[4] 뉴스 'Gut-Wrenching': Japan Post CEO Quits over Scams That Targeted Elderly https://www.wsj.com/[...] 2019-12-27
[5] 웹사이트 Insurance scandal delays Japan Post privatization by 5 years https://asia.nikkei.[...]
[6] 웹사이트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 https://www.jp-life.[...]
[7] 뉴스 日本郵政株、初値1631円 売り出し価格上回る 3社上場 朝日新聞社 2015-11-04
[8] 서적 株式会社かんぽ生命保険 第13期 有価証券報告書 https://disclosure.e[...] EDINET 2019-07-27
[9] 문서 株式会社かんぽ生命保険 定款 第1章第1条2項
[10] 문서 郵政民営化法がつくられた時点では会社名は決まっておらず、同法においては単に「郵便保険会社」と表現されていた。
[11] 웹사이트 かんぽ生命「株式基本情報」 https://investor.jp-[...]
[12] 뉴스 郵政3社、描けぬ将来像 きょう上場 朝日新聞社 2015-11-04
[13] 문서 株主が日本郵政だけの状態から、現在の状態に到るまでの途中の経緯としては、[[2017年]]9月30日までに日本郵政持株分を処分する(売り出す)ことが[[郵政民営化法]]に明記されており、2009年度下期にも[[株式]]を[[株式公開|上場]]させる事がグループの目標とされ、上場準備にあたる関係部署が設置されたが、2009年の[[第45回衆議院議員総選挙|衆議院議員総選挙]]の結果、郵政民営化の見直しを掲げた[[鳩山由紀夫内閣]]の発足により、12月に[[日本郵政株式会社、郵便貯金銀行及び郵便保険会社の株式の処分の停止等に関する法律|郵政株売却凍結法]]が成立し、民営化の見直しが行われるまで株式市場への上場・売却は凍結されることになり、[[2012年]](平成24年)[[5月8日]]の[[第180回国会]]において、郵政民営化の一部見直しを規定した「郵政民営化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等の法律(平成24年法律第30号)」が可決・成立した事に伴い、同法第5条第2号の規定により郵政株売却凍結法は廃止された。改正法では以前「2017年9月30日までに株式を処分する」と明記されていたものから「(期限を設けず)'''経営状況とユニバーサルサービス確保への影響を勘案しながら早期売却を目指す'''」とした努力目標に改められた、という経緯もあった。
[14] 웹사이트 https://www.nikkei.c[...]
[15] 웹사이트 ニュースイッチ https://newswitch.jp[...]
[16] 문서 なお、郵政民営化前日(2007年9月30日)までに締結された[[簡易生命保険]]・[[郵便年金]](1991年に簡保へ内包)契約は、[[独立行政法人]][[郵便貯金簡易生命保険管理・郵便局ネットワーク支援機構]](郵政管理・支援機構)に継承され、機構がかんぽ生命へ業務委託をしているため、かんぽ生命の[[保険代理店]]である[[郵便局]]の保険窓口・かんぽ生命の法人営業拠点、あるいは両社の保険外務員にて、満期などで契約が解消されるまで前身時代と同様の手続きが行える。
[17] 문서 [[さいたまスーパーアリーナ]]で行われた。
[18] 웹사이트 10月1日、簡易生命保険誕生100周年を迎えます!|プレスリリース|かんぽ生命保険 https://www.jp-life.[...] 2023-04-06
[19] 웹사이트 かんぽ生命企業キャラクター・ネーミング決定!名前は、「かんぽくん」です!|プレスリリース|かんぽ生命保険 https://www.jp-life.[...] 2023-04-06
[20] 웹사이트 かんぽ生命企業キャラクター「かんぽくん」に新しいお友だちができました!|お知らせ|かんぽ生命保険 https://www.jp-life.[...] 2023-04-06
[21] 웹사이트 お詫びとお知らせ - 日本郵便 https://www.post.jap[...]
[22] 웹사이트 信頼回復に向けた業務運営の開始日について|プレスリリース|かんぽ生命 https://www.jp-life.[...]
[23] 웹사이트 かんぽ生命と大和証券グループが資本提携で合意 https://www3.nhk.or.[...] 2024-05-16
[24] 문서 これは、郵便局の全国ネットワークを維持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される法規定による。
[25] 문서 内部事情のこまごまとしたことなので基本的に百科事典に長々と書くようなことではなく、本来なら「雑多な内容」として一括削除しなければならない内容だが、一応、注として記述を残すとして、店舗の旧組織から継承された由来や、所有権(賃貸関係)について説明すると、外交員を配置する都合上、原則として職域保険課または職域サービスセンター設置の[[集配郵便局]]に設けられることとなっていた。民営化後10年以内を目処に完全民営化されグループから切り離されること、当初入居を予定していた場所が狭隘である等の理由から、当初の実施予定計画から大幅に変更され、スペースに余裕がある他の部内施設(郵政公社支社社屋、かつて集配郵便局として使用していた無集配郵便局の局舎等)だけでは足りず、結果としてやむを得ず民間施設(賃貸ビル)に入居した支店も数箇所みられる。あえて言えば、各直営店ごとに以下のような、例外的な特徴がある。
[26] 문서 なお、直営店については会社発足以降、次のとおり統廃合もしくは設置、移転、改称を行っている。
[27] 문서 旧:三井生命土浦ビル→大樹生命土浦ビル
[28] 문서 旧:三井生命長岡ビル→大樹生命長岡ビル
[29] 문서 普通[[養老保険]]・[[学資保険]]・[[年金保険]]が特に該当する
[30] 문서 貯蓄性があり、顧客がお金を、かんぽ生命に預けてゆく形の契約となっているので、結果として、かんぽ生命は資産規模が大きい(「預かり資産」が膨らんでいる)わけである。
[31] 웹사이트 かんぽ生命 保険金100億円を不払い https://www.j-cast.c[...]
[32] 웹사이트 NHK「クロ現」に一体何が? かんぽ不正で消えた続報: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33] 웹사이트 かんぽ生命、さらに2万3900件で顧客に不利益の恐れ - 毎日新聞 https://mainichi.jp/[...]
[3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35] 웹사이트 かんぽ3千万件の契約調査 長門郵政社長、辞任を否定 https://www.nikkei.c[...]
[36] 간행물 「特別調査委員会の設置について 」 https://www.japanpos[...] 日本郵政
[37] 뉴스 かんぽ生命、ノルマ偏重を見直しへ 植平社長が謝罪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38] 뉴스 8000人「意向沿わず」 かんぽ不正の全契約調査―日本郵政 https://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39] 간행물 かんぽ生命のご契約調査の状況等について https://www.jp-life.[...]
[40] 뉴스 かんぽ、自粛中の8月にも不正 通院歴隠すよう客に助言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41] 뉴스 かんぽ生命、2万2千件で保険料の二重払い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42] 간행물 「かんぽ生命保険契約問題 特別調査委員会」からの報告について https://www.jp-life.[...]
[43] 뉴스 かんぽ一時的に無保険4万7千件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ニュース
[44] 뉴스 かんぽ生命、1.9万件乗り換えできず 不利益販売調査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45] 뉴스 かんぽ契約2年後に解約続発 局員の手当金返納逃れ?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ニュース
[46] 뉴스 日本郵便、「社員大量処分」の杜撰すぎる実態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47] 간행물 第2期決算公告[PDF] http://www.jp-life.j[...]
[48] 간행물 第3期決算公告[PDF] http://www.jp-life.j[...]
[49] 간행물 第4期決算公告[PDF] http://www.jp-life.j[...]
[50] 간행물 第5期決算公告[PDF] http://www.jp-life.j[...]
[51] 간행물 第6期決算公告[PDF] http://www.jp-life.j[...]
[52] 간행물 第7期決算公告[PDF] http://www.jp-life.j[...]
[53] 간행물 第8期決算公告[PDF] http://www.jp-life.j[...]
[54] 간행물 第9期決算公告[PDF] http://www.jp-life.j[...]
[55] 뉴스 セイホ“新”戦国時代~あなたの保険は大丈夫?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2007-12-04
[56] 웹사이트 磯村勇斗、“かんぽさん”に就任「信頼できる役者としてこれからも努めたい」 oricon ME 2024-07-08
[57] 웹사이트 かんぽ生命 新TVCM第一弾 磯村勇斗さんが「かんぽさん」を熱演 日本郵政 2024-07-25
[58] 웹사이트 椎名林檎「人生は、夢だらけ。」テーマのかんぽ生命CMの音楽担当 https://natalie.mu/m[...] 音楽ナタリー 2016-02-29
[59] 웹사이트 【ハラミちゃんが奏でる新たな"ラジオ体操の歌"】かんぽ生命 新WebCM『もっとうごかそう、みんなで。』篇『もっとうごかそう、ラジオ体操で。』篇 2023年2月10日(金)公開 日本郵政 2023-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