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동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동군은 평양직할시에 속한 군으로, 대동강 동쪽에 위치하여 지명이 유래되었다. 과거 평안남도 소속이었으나 1983년 평양직할시로 편입되었다. 단군릉이 위치해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기 산업 관련 시설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36년 강동현이 설치되었으며, 일제강점기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9개 로동자구, 1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평덕선, 덕산선, 삼등탄광선 등의 철도가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동군 - 단군릉
    단군릉은 북한이 한국의 건국 시조 단군의 무덤이라고 주장하며 유골 발굴 및 개보수를 진행했으나, 고고학적 근거 부족과 정치적 의도에 대한 국제 학계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민족적 자긍심 고취의 상징으로 활용하는 유적이다.
강동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단군릉의 모습
단군릉의 모습
한자 표기江東郡
로마자 표기Gangdong-gun
주요 정보평양직할시에 속하는 군
행정 구역
군 종류
1개
로동자구9개
15개
통계
면적536.1 km²
총 인구 (2008년)221,539명
인구 밀도413명/km²

2. 위치 및 특징

본래 평안남도 소속이었으나 1983년에 평안남도에서 분리되어 평양직할시로 편입되었다. 강동이라는 지명은 대동강의 동쪽이라는 데서 유래했다. 서쪽은 대동강, 남쪽은 황해북도 승호구역, 동쪽과 북쪽은 성천군, 평안남도와 접한다.

강동군 대박산에서는 고조선 시조인 단군 부부의 단군릉이 발굴되었다. 단군릉은 개발되어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군의 동북쪽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무기 산업을 담당하는 제2경제위원회가 위치해 있다. 김정일의 별장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직할시역의 동부 교외에 위치하며, 평안남도·황해북도와 접한다. 군명은 대동강의 동쪽에 위치한 데서 유래했다.

3. 역사

고려 시대 1136년에 강동현이 설치되었다. 조선 왕조 시대에는 평안도에 속했다.

1895년 강동군이 되었고, 1896년 평안남도에 속했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일제는 조선총독부의 지시아래 삼등군을 병합했다.

1914년 4월 1일 평안남도 삼등군 및 성천군 일부(문헌면)를 '''강동군'''에 편입하였다.[6] 이때 강동면, 정호면, 삼등면, 만달면, 고읍면, 구지면, 마산면, 고천면, 원탄면이 강동군에 속하게 되었다.

1929년 4월 1일 정호면, 고읍면, 마산면, 구지면을 폐지하는 등의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다.[8][9] 마산면·구지면 및 고천면·고읍면의 각 일부를 가지고 봉진면을 설치하였고, 고읍면의 잔부가 원탄면·고천면에, 정호면이 강동면·삼등면으로 분할 편입되었으며, 삼등면의 일부가 만달면에 편입, 원탄면의 일부가 고천면에 편입되었다.

1941년 10월 1일 만달면(晩達面)을 승호읍으로 승격하였다.[10]

1945년 광복 당시 강동군은 1읍 5면(승호읍, 강동면, 삼등면, 원탄면, 고천면, 봉진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47년, 승호읍이 승호면으로 강등되었고, 중화군 풍동면·청룡면, 대동군 시족면을 편입하여 9면이 되었다.

1952년 12월 북한의 지방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승호읍 일대를 승호군으로 분리하고, 성천군의 일부를 편입하여 강동군을 재구성하였다.[6]

1954년 한왕리의 일부가 광덕리에 편입되었고, 1956년에는 회창군 순창리를 편입하였다. 1958년 승호군 금옥리의 일부가 송가리에 편입되었고, 1959년 9월 광덕리, 삼성리, 도덕리가 신설된 평양직할시 삼석구역에 편입되었으며, 승호군 고비리, 화천리, 금옥리, 삼청리를 편입하였다. 1960년 10월 금옥리, 화천리, 삼청리가 평양직할시 승호구역에 편입되었다.[6]

1963년 하리가 하리 로동자구로 승격되었고, 1967년 하단리, 한왕리가 평성구에 편입되었으며, 향교리가 봉화리로, 고비리가 고비 로동자구로, 송가리가 송가 로동자구로, 대리가 대리 로동자구로 각각 개칭 및 승격되었다. 1977년 문명리가 삼등리로, 자양리가 문화리로 개칭되었다.[6]

1983년 3월, 평안남도에서 평양직할시로 편입되었다.[6] 1989년 향단리가 남강 로동자구로 승격되었고, 1995년에는 하리 로동자구, 흑령 로동자구, 송가 로동자구의 일부를 분리하여 각각 상리 로동자구, 속추 로동자구, 령남 로동자구를 신설하였다. 같은 해 11월 평안남도 성천군 백원 로동자구의 일부가 상리 로동자구에 편입되었고, 1999년 12월 평안남도 평성시 경신리의 일부가 동리, 향목리에 분할 편입되었다.

3. 1. 고대

1136년에 강동현이 설치되었다. 조선 왕조 시대에는 평안도에 속했다.

1895년 강동군이 되었고, 1896년 평안남도에 속했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삼등군을 병합했다.

3. 2. 조선 시대

1136년, 강동현이 설치되었다. 조선 왕조 시대에는 평안도에 속했다.

1895년에 강동군이 되었고, 1896년에 평안남도에 속했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삼등군을 병합했다. 1945년 8월 시점, 강동군은 1읍 5면(승호읍, 강동면, 삼등면, 원탄면, 고천면, 봉진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3. 3.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는 조선총독부의 지시아래 평안남도 삼등군 및 성천군 일부(문헌면)를 '''강동군'''에 편입하였다.[6] 이때 강동면, 정호면, 삼등면, 만달면, 고읍면, 구지면, 마산면, 고천면, 원탄면이 강동군에 속하게 되었다.

1929년 4월 1일 정호면, 고읍면, 마산면, 구지면을 폐지하는 등의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다.[8][9] 마산면·구지면 및 고천면·고읍면의 각 일부를 가지고 봉진면을 설치하였고, 고읍면의 잔부가 원탄면·고천면에, 정호면이 강동면·삼등면으로 분할 편입되었으며, 삼등면의 일부가 만달면에 편입, 원탄면의 일부가 고천면에 편입되었다.

1941년 10월 1일 만달면(晩達面)을 승호읍으로 승격하였다.[10]

1947년, 승호읍이 승호면으로 강등되었고, 중화군 풍동면·청룡면, 대동군 시족면을 편입하여 9면이 되었다.

3. 4. 해방 이후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평안남도 삼등군 및 성천군 일부(문헌면)를 강동군에 편입했다.[6] 1929년 4월 1일 정호면, 고읍면, 마산면, 구지면을 폐지하는 등의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다.[8][9] 1941년 10월 1일 만달면(晩達面)을 승호읍으로 승격하였다.[10]

1945년 광복 당시 강동군은 1읍 5면(승호읍, 강동면, 삼등면, 원탄면, 고천면, 봉진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52년 12월 북한의 지방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승호읍 일대를 승호군으로 분리하고, 성천군의 일부를 편입하여 강동군을 재구성하였다.[6]

1954년 한왕리의 일부가 광덕리에 편입되었고, 1956년에는 회창군 순창리를 편입하였다. 1958년 승호군 금옥리의 일부가 송가리에 편입되었고, 1959년 9월 광덕리, 삼성리, 도덕리가 신설된 평양직할시 삼석구역에 편입되었으며, 승호군 고비리, 화천리, 금옥리, 삼청리를 편입하였다. 1960년 10월 금옥리, 화천리, 삼청리가 평양직할시 승호구역에 편입되었다.[6]

1963년 하리가 하리 로동자구로 승격되었고, 1967년 하단리, 한왕리가 평성구에 편입되었으며, 향교리가 봉화리로, 고비리가 고비 로동자구로, 송가리가 송가 로동자구로, 대리가 대리 로동자구로 각각 개칭 및 승격되었다. 1977년 문명리가 삼등리로, 자양리가 문화리로 개칭되었다.[6]

1983년 3월, 평안남도에서 평양직할시로 편입되었다.[6] 1989년 향단리가 남강 로동자구로 승격되었고, 1995년에는 하리 로동자구, 흑령 로동자구, 송가 로동자구의 일부를 분리하여 각각 상리 로동자구, 속추 로동자구, 령남 로동자구를 신설하였다. 같은 해 11월 평안남도 성천군 백원 로동자구의 일부가 상리 로동자구에 편입되었고, 1999년 12월 평안남도 평성시 경신리의 일부가 동리, 향목리에 분할 편입되었다.

4. 행정 구역

강동군은 1개의 읍, 9개의 로동자구, 15개의 로 구성되어 있다.

로동자구
valign="top" |valign="top" |valign="top" |


4. 1. 읍

강동군은 1개의 읍, 9개의 로동자구, 15개의 로 구성되어 있다. 강동군의 중심 읍은 강동읍이다.

강동읍



로동자구
고비로동자구남강로동자구대리로동자구령남로동자구상리로동자구
속추로동자구송가로동자구하리로동자구흑령로동자구



구빈리동리란산리룡흥리맥전리
명의리문화리문흥리봉화리삼등리
송석리순창리태잠리향목리화강리


4. 2. 로동자구

강동군은 1개의 읍, 9개의 로동자구, 15개의 로 구성되어 있다. 강동군의 로동자구는 고비로동자구, 남강로동자구, 대리로동자구, 령남로동자구, 상리로동자구, 속추로동자구, 송가로동자구, 하리로동자구, 흑령로동자구이다.

4. 3. 리

강동군은 1개의 읍, 9개의 로동자구, 15개의 로 구성되어 있다.

로동자구
valign="top" |valign="top" |valign="top" |


5. 교통

평덕선은 강동역, 석름역, 흑령역, 삼등역, 송가역을 지난다. 덕산선은 송가역과 덕산역을 지난다. 삼등탄광선은 삼등역과 대리역을 지난다.

5. 1. 철도

평덕선은 강동역, 석름역, 흑령역, 삼등역, 송가역을 지난다. 덕산선은 송가역과 덕산역을 지난다. 삼등탄광선은 삼등역과 대리역을 지난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The Palaces of Pyongyang on Google Earth http://freekorea.us/[...] 2012-06-05
[3] 웹사이트 KWP Leadership Compound: Kangdong Residence http://wikimapia.org[...] 2012-06-05
[4] 웹사이트 The Hidden Gulag – Exposing Crimes against Humanity in North Korea’s Vast Prison System (p. 109, p. 226) https://web.archive.[...] 2012-09-21
[5]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2-08-19
[6] 웹사이트 평양시 강동군 역사 http://www.cybernk.n[...]
[7]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8] 문서 도령 제7호 면의명칭및구역 (개정 1929년 3월 25일)
[9] 문서 도고시 제20호 리의명칭및구역 (개정 1929년 3월 25일)
[10]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253호 (1941년 9월 29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