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거가대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거가대교는 부산과 거제도를 연결하는 총 길이 8.2km의 왕복 4차선 자동차 전용 도로이다. 1994년 사업 계획이 시작되어 2010년 12월 개통되었으며, 사장교와 대한민국 최초의 침매터널인 가덕해저터널로 구성된다. 총사업비는 1조 4,469억 원이며, 민간 자본(대우건설 등)이 BTO 방식으로 참여하여 2011년부터 2050년까지 통행료를 징수한다. 개통으로 부산-거제 간 이동 거리가 단축되었으며, 부산·경남 지역 경제 통합에 기여한다. 통행료 문제 및 가드레일 안전 문제 등 논란이 있었으며, 2020년 1월 1일 기준 통행료는 경차 5,000원, 소형 10,000원, 중형 15,000원, 대형 20,000원, 특대형 25,000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량터널 - 외레순 다리
    외레순 다리는 덴마크 코펜하겐과 스웨덴 말뫼를 연결하는 다리와 해저터널 구조물로, 인공섬 페베르홀름을 중간 지점으로 1995년 착공, 1999년 완공되어 2000년 개통되었으며, 양국 간 경제 및 사회적 통합에 기여했으나 난민 위기 이후 국경 통제가 강화되기도 했다.
  • 교량터널 - 강주아오 대교
    강주아오 대교는 홍콩, 주하이, 마카오를 잇는 55km 해상 교량·터널 시스템으로, 건설 과정의 여러 논란과 경제적 효율성 논쟁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경제적, 기술적 난관을 극복한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 대한민국의 유료교 - 부산항대교
    부산항대교는 부산 영도구와 남구를 잇는 총 3,331m 길이의 사장교로, 높이 190m의 다이아몬드 주탑과 고리형 접속도로를 갖추고 2014년 개통되었으며, 개통 초기 무료 운영 후 유료화되어 일정 기준 초과 차량의 통행이 제한된다.
  • 대한민국의 유료교 - 울산대교
    울산대교는 울산광역시 남구와 동구를 잇는 다리로, 2015년 완공되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 통행료를 징수하고, 동쪽 진입로에 전망대가 설치되어 관광 명소로 활용된다.
  • 2010년 완공된 교량 - 청풍대교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을 잇는 2차선 교량인 청풍대교는 대림산업이 시공하고 H자 형태의 콘크리트 주탑과 캔틸레버 공법으로 건설된 327m의 주 경간이 특징이며 2010년 9월에 준공되었다.
  • 2010년 완공된 교량 - 껀터 대교
    껀터 대교는 베트남 껀터와 빈롱 성을 연결하는 메콩강의 사장교로서, 베트남 국도 1A호선 남북 종단 프로젝트의 일부이며 건설 중 붕괴 사고로 개통이 지연되었으나 완공 후 지역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했다.
거가대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거가대교 사장교 구간
명칭거가대교
다른 이름巨加大橋 (중국어)
종류고정 링크 (교량-터널)
위치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
좌표35°0′57.2″N 128°44′39″E
통행 정보
운송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통행료10,000원 (소형차 기준)
구조 및 규모
설계사장교
주경간475m
전체 길이8.2km
4차로, 20.5m
건설 정보
건설 시작2004년 12월 10일
완공2010년 12월 13일
개통2010년 12월 13일
관리 및 운영
관리GK해상도로(주)

2. 연혁

1994년 김영삼 대통령 당시 '거제~부산 간 연결도로' 사업 계획이 실시되었다.[10] 2004년 12월 10일 착공하였다.[10]

2010년 12월 13일 거가대교 개통식이 열렸으며,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하였다.[10][11] 다음 날인 12월 14일 오전 6시부터 일반에 대해 무료 통행이 시작되었다.[10] 2011년 1월 1일부터 통행료 징수가 개시되었다.[14][15][10][11]

2020년 1월 1일, 대형차량 통행료는 25,000원에서 20,000원으로, 특대형차량 통행료는 30,000원에서 25,000원으로 인하되었다.[16]

총사업비는 1조 4,469억원이며, 국고 지원은 28%에 민간자본 72%가 투입되었다. 민간 기업 (GK해상도로 주식회사, 주요 주주는 대형 건설사인 대우건설)이 BTO (Build-Transfer-Operate, 건설・이전・운영) 방식으로 사업을 시행했다.[10] 공사비는 2조 3천억 원, 공사 기간은 2003년부터 2010년까지 8년이며, 준공 후 소유권을 정부에 이전했다.[10] 2011년부터 2050년까지 40년간, 정부로부터 운영권을 부여받은 GK해상도로 주식회사가 통행료를 징수한다.[10]

개통 결과, 거제도부산광역시 중심부 사이의 거리는 약 60km, 시간 거리는 약 50분으로 단축되었다.[10]

3. 건설 배경 및 경제적 효과

3. 1. 건설 배경

거제도부산광역시 남서쪽 해상에 위치하며, 면적은 약 400km2이다. 제주도 다음으로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대우조선해양 거제조선소 등 대규모 조선소가 있어 조선 산업의 중심지이며 어항이 발달하여 어업 또한 주요 산업이다.[10] 조선업 발달로 인구가 20만 명이 넘고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부유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1971년 4월, 거제도와 경상남도 통영시 사이 견내량 해협을 잇는 거제대교(총 길이 740m, 2차선)가 개통되어 육지와 연결되었다.[10] 이후 교통량 증가로 1999년 5월 신거제대교(총 길이 940m, 4차선)가 건설되었다.[10] 그러나 거제도에서 부산광역시 중심부까지 가려면 통영시를 경유해야 했기 때문에 약 140km의 거리와 약 3시간이 소요되었다.[10]

거가대교는 이러한 거리와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BTO(Build-Transfer-Operate, 건설·이전·운영) 방식으로 민간 기업(GK해상도로 주식회사, 주요 주주는 대우건설)이 시행했으며, 공사비는 2조 3천억 원이 투입되었다.[10] 2003년부터 2010년까지 8년간 공사 후 준공과 함께 소유권은 정부로 이전되었고,[10] 2011년부터 2050년까지 40년간 GK해상도로 주식회사가 통행료를 징수하는 방식으로 운영권을 갖는다.[10]

3. 2. 경제적 효과

거가대교는 대한민국 최대 항구 도시인 부산과 거제도의 조선 산업 및 관광 명소를 연결한다.[8] 부산-거제 간 이동 거리를 140km에서 60km로, 이동 시간을 1시간 30분에서 40분으로 단축시켜 물류비를 절감한다.[5]

부산-거제 연결도로 지도


또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부산대구고속도로 등과 연결되어 남해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교통량을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 거가대교 개통으로 부산과 거제, 통영, 고성을 포함한 10개 지역(인구 673만 명)이 부산 광역 경제권으로 통합되었다.

4. 구조 및 기술적 특징

4. 1. 전체 구성

거가대교는 총 길이 8.2km의 왕복 4차로 자동차 전용 도로이다.[10] 부산-거제 간 연결도로의 일부로, 대한민국 최대 항구 도시인 부산과 거제도의 조선 산업 및 관광 명소를 연결하여, 이동 시간을 40분으로 단축시켰다.[5]

거가대교는 거제도에서 시작하여 저도, 중죽도, 대죽도를 지나 가덕도에서 끝난다.[6] 주요 구조물로는 사장교와 침매터널(가덕해저터널)이 있다.

  • 사장교: 총 3.5km 구간으로, 2주탑 사장교(저도-중죽도, 1.87km)와 3주탑 사장교(거제도-저도, 1.65km)로 구성된다.[6] 2주탑 사장교는 주 경간 475m, 측 경간 220m, 2개의 156m 다이아몬드형 주탑을 가지고 있으며, 52m의 항해 공간을 제공한다. 3주탑 사장교는 주 경간 230m, 측 경간 106m, 102m 높이의 주탑을 가지며, 다리 아래 통과 높이는 36m이다.[6]
  • 침매터널(가덕해저터널): 총 3.7km 구간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침매 터널이다.[7] 대한민국 해군 기지가 있는 진해만 입구에 위치하여 국방상의 이유로 교량 대신 해저 터널이 선택되었다.[10]
  • 육상터널: 1km


개통 당시 가덕해저터널은 세계에서 가장 깊은 침매 터널(평균 해수면 아래 48m)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콘크리트 침매 터널이었다.[4][8] 180m 길이의 세그먼트를 35km 예인하여 침몰시키는 방식으로 건설되었다.[9]

2010년 12월 터널 모습

4. 2. 침매터널 (가덕해저터널)

거가대교의 침매터널은 대한민국 최초의 침매터널이다.[7] 개통 당시에는 세계에서 가장 깊은 침매 터널(평균 해수면 아래 48m)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콘크리트 침매 터널이었다.[4] 2013년 마르마라이(보스포루스 해협 철도 터널)가 완공된 후 세계에서 두 번째로 깊은 침매 터널이 되었다.[8]

이 터널은 안견의 드라이 도크에서 건설된 180m 길이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세그먼트는 바지선에 의해 35km만큼 예인되어 제자리에 침몰되었다.[9]

비용 면에서는 해저 터널보다 교량이 유리했지만, 국방상의 이유로 해저 터널이 선택되었다.[10] (거가대교는 대한민국 해군이 기지를 둔 진해만의 입구에 위치한다). 터널의 명칭은 '가덕해저터널'이다.

4. 3. 사장교

거가대교는 침매터널과 2주탑 및 3주탑이 연속된 사장교로 구성되어 있다.[6] 왕복 4차로, 총 길이 8.204km 중 사장교는 3.5km이다. 거가대교는 거제도와 가덕도 사이 저도와 중죽도를 통과하며, 주요 구조물은 2개의 사장교와 해저 터널이다.[10]

정죽도와 저도를 연결하는 1.87km 교량은 주 경간 475m, 측 경간 220m의 사장교이다. 52m의 항해 공간을 제공하며, 156m 높이의 다이아몬드형 주탑 두 개가 있다.[6] 거제도와 저도 사이 1.65km 구간에는 주 경간 230m, 측 경간 106m, 주탑 높이 102m, 다리 아래 통과 높이 36m의 3주탑 사장교가 있다.[6]

거제도-저도 구간은 3주탑 사장교(1.65km), 저도-중죽도 구간은 2주탑 사장교(1.87km)로 연결된다.

4. 4. 시공사

거가대교는 민간투자사업(BTO: Build-Transfer-Operate) 방식으로 건설되었다.[10] GK해상도로 주식회사( 대우건설, 대림산업, 두산건설, SK건설, 고려개발, 한일건설, 원하종합건설, 한국도로관리(주))가 건설 및 운영을 담당한다.[19][4]

7개의 한국 건설사 컨소시엄인 GK 고정 링크 법인은 40년 동안 이 고정 링크를 건설, 운영 및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4] 총 18억 달러 규모의 이 프로젝트에서 정부는 비용의 1/4만 제공했으며, 나머지는 컨소시엄이 조달하여 계약 기간 동안 통행료로 상환하는 방식이다.[4] 컨소시엄의 주 계약자는 대우건설이다.[4]

설계는 코위 A/S(덴마크), 할크로우 그룹(영국), 터널 엔지니어링 컨설턴트(네덜란드), 필 앤 손(덴마크), 아르카디스 US(미국), 벤 C. 게르윅(미국) 등이 담당했다.[4]

4. 5. 운영

거가대교는 민관 협력 사업으로 건설되었으며, 7개의 한국 건설사 컨소시엄인 GK 고정 링크 법인이 40년 동안 건설, 운영 및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4] 이 프로젝트는 총 18억 달러 규모로 계획되었으며, 정부는 비용의 1/4만 제공하고 나머지는 컨소시엄이 조달하여 계약 기간 동안 통행료로 상환하는 방식이다.[4] 컨소시엄의 주 계약자는 대우건설이다.[4]

사업 시행은 BTO (Build-Transfer-Operate, 건설・이전・운영) 방식으로 민간 기업 (GK해상도로 주식회사, 주요 주주는 대우건설)이 맡았다.[10] 총 공사비는 2조 3천억 원이며, 2003년부터 2010년까지 8년간 공사가 진행되었다.[10] 준공 후 소유권은 정부에 이전되었으며,[10] 2011년부터 2050년까지 40년간 GK해상도로 주식회사가 운영 및 통행료를 징수한다.[10]

2010년 12월 13일 이명박 대통령 참석 하에 개통식이 거행되었고, 다음 날부터 일반 차량에 무료로 개방되었다.[10] 2011년 1월 1일부터 통행료 징수가 시작되었으며, 통행료는 소형차 기준 1만 원이다.[11][10]

5. 논란

5. 1. 통행료 문제

거가대교는 개통 이전인 2010년 11월 25일에 거가대교 건설조합과 GK해상대교 측이 승용차 기준 통행료를 10,770원으로 책정하면서 논란이 시작되었다.[20] 11월 30일 통행료를 770원 인하하여 10,000원으로 책정했지만, 지역 주민들은 이러한 극소폭 인하에 반발하여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하였다. 거가대교보다 4 km 이상 긴 12.3 km 인천대교 통행료보다 배 가까이 비싸고, 국내 유료 도로 중 가장 비쌀 뿐만 아니라 민자도로 중 서울양양고속도로덕소삼패 나들목 ~ 춘천 분기점 구간과 인천대교 운영 기간은 30년인데 비해 거가대교는 40년으로 책정되어 큰 논란이 되었다.[21]

2010년 12월 14일부터 12월 31일까지 무료 이용 기간을 거쳐 2011년 1월 1일부터 소형차 기준 10,000원의 통행료를 징수하기 시작하였다. 장애인 차량은 2,900원이다.

차종통행료 (대한민국 원)
경차5,000
소형10,000
중형15,000
대형25,000
최대형30,000


5. 2. 가드레일 안전 문제

창원시에서는 도로 미관을 위하여 불모산터널에 경관 가드레일을 설치하였는데, 이는 일반 가드레일보다 강도가 약하고 설치비가 더 많이 들어 예산 낭비로 지적받았다.[22] 감사원은 2012년 3월 이 가드레일이 국토해양부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며 경상남도와 감리단 등에 통보하였다. 자동차전용도로의 가드레일은 14톤 차량이 시속 65km로 비스듬히 충격했을 때도 견딜 수 있는 5등급 이상이어야 하는데, 이 경관 가드레일은 3등급이었다.[22] 경상남도는 경관뿐만 아니라 현장의 도로 구조 등도 반영해 설치하였다며 감사원에 이의를 신청할 방침을 밝혔다.[22] 이 가드레일은 불모산터널과 거가대교 모두 경상남도의 요구로 설치되었는데, 거가대교의 경상남도 연결 부분에만 해당 가드레일이 설치되었다.[23]

6. 통행료

2020년 1월 1일 기준 통행료는 2050년 12월 31일까지 징수할 예정이다.[24]

구분통행료
경차 (1,000cc 미만)5,000
소형(2축, 윤폭 279.4mm 이하)10,000
중형(2축, 윤폭 279.4mm 초과 1,800mm 이하)15,000
대형(2축, 윤폭 1,800mm 초과)20,000
특대형(3축 이상)25,000



2011년 이후 통행료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차종통행료 (대한민국 원)
경차5,000
소형10,000
중형15,000
대형25,000
최대형30,000


7. 기타

7. 1. 백로 서식지

거가대교의 두 다리 사이는 백로 서식지라 경적 사용이 금지된다.

7. 2. 관련 TV 프로그램

EBS 《극한 직업》 거가대교 건설현장 (2008년 4월 2일 ~ 4월 3일), 다큐프라임-원더풀사이언스 [http://home.ebs.co.kr/reViewLink.jsp?command=vod&client_id=wonderful&menu_seq=2&enc_seq=3036509 세계신기록 5개의 첨단 건설공학 거가대교!] (2009년 11월 19일), KBS다큐멘터리 3일》 바다를 달리다 -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3일 (2010년 4월 18일)이 방송되었다.

8.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s first bridge-undersea tunnel link opens http://www.deccanher[...] Deccan Herald 2010-12-13
[2] 서적 Yeoward 2010
[3] 서적 Cho 2009
[4] 서적 Cho 2009
[5] 비디오 Halcrow project video (wmv)
[6] 서적 Fraser 2008
[7] 비디오 Halcrow project video (wmv)
[8] 서적 Rowson 2009
[9] 서적 Cho 2009
[10] 논문 韓国・巨加大橋開通による地域の変貌 https://jglobal.jst.[...] 도시계획報告集 2014-04-25
[11] 웹사이트 http://www.gklink.co[...]
[12] 뉴스 높이 156m 사장교, 웅장함에 압도 http://www.geojenews[...] 거제신문 2008-12-04
[13] 뉴스인용 新 남해안시대 동맥 '거가대로' 개통(종합)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10-12-13
[14] 간행물 부산광역시 공고 제2010-1230호 https://news.busan.g[...] 2010-12-29
[15]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0-926호 http://210.104.249.3[...] 2010-12-24
[16]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9-1796호 http://www.gyeongnam[...] 2019-12-12
[17] 웹인용 거가대교 건설의 시너지효과 제고방안 http://hrd.busan.go.[...] 부산시 2008-04-23
[18] 뉴스 부산~거제도 연결 새 남해안 시대 열리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12-13
[19] 뉴스인용 거가대교 그 위용을 드러내다 http://www.morningne[...] 모닝뉴스 2008-12-01
[20] 뉴스인용 ‘1만770원’ 거가대교 통행료 논란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0-11-25
[21] 뉴스인용 ‘거가대로’ 잠정 통행료 만 원…감사 청구 http://news.kbs.co.k[...] KBS 2010-12-13
[2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mbcgn.kr/[...] 2013-12-05
[2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mbcgn.kr/[...] 2013-12-05
[24] 웹인용 GK해상도로주식회사 - 통행료 안내 http://gklink.com/in[...] 2020-01-02
[25] 문서 하이패스 이용 불가
[26]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3-26
[27] 보고서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28]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29]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30]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31]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