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연한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연한간은 1930년 스웨덴-중국 합동 서북과학고찰단에 의해 발견된 한나라 시대의 목간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이 목간들은 주로 장액군 거연도위 및 견수도위의 주둔 기록을 담고 있으며, 한나라의 서역 통치 실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발견 당시에는 약 1만 매가 출토되었으며, 이후 추가 발굴을 통해 2만 매 이상의 목간이 더 발견되었다. 거연한간은 서예사적으로도 가치가 높아, 전서에서 예서로 서체가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미술 - 당삼채
당삼채는 당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다양한 색상의 납유 도자기로, 백토로 만든 몸체에 여러 염료를 사용하여 유약을 입혀 구워 만들며, 당나라 문화와 실크로드를 통해 다른 지역의 도자기 예술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미술 - 수묵화
수묵화는 먹을 사용하여 농담으로 사물을 묘사하는 동양화 기법으로, 동아시아 국가에서 각 나라의 문화와 철학을 반영하며 발전해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 한나라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나라 - 초한전쟁
초한전쟁은 진나라 멸망 후 항우와 유방 세력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유방의 승리로 끝나 한나라가 건국되었으며, 신분 질서의 변화와 민본주의 정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 거연한간 | |
|---|---|
| 거연한간 | |
![]() | |
| 기본 정보 | |
| 명칭 | 거연한간 |
| 제작 연대 | 한대 |
| 발견 연월 | 1899년 - |
| 출토지 | 내몽골 자치구에진 기 - 간쑤성주취안 시 |
| 발견자 | 스벤 헤딘, 폴케 베리만, 서북과학고찰단 |
| 소장자 | 중앙연구원역사언어연구소 |
| 종별 | 목간 |
| 수량 | 1만 매 이상 |
| 내용 | 공문서 |
| 서체 | 예서 |
2. 발견 경위
19세기 말부터 중국 대륙에서는 둔황이나 티베트를 중심으로 하는 서역 탐험과 유적 발굴・조사가 많은 탐험가에 의해 이루어졌다.
전한 무제가 거연현을 설치한 이후 후한 중기에 걸쳐 있다. 사용된 기년 중 가장 오래된 것은 태초 3년(기원전 102년)이며, 가장 최신의 것은 영원 10년(98년)이다.
거연한간은 한대(漢代)의 서역(西域) 통치의 실태를 밝히는 제1급 사료로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거연한간은 서도의 세계에도 큰 발견을 가져왔다. 거연한간이 쓰인 시대는 전서에서 예서로 서체가 변화하는 시기인데, 예변이 있었던 전한대에는 비석 등의 금석문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극히 적은 서적에서 추측할 수밖에 없었다.
[1]
웹사이트
広地南部永元五年至七年官兵釜磑月言及四時簿
http://museum.sinica[...]
中央研究院歴史語言研究所
2020-11-13
그러한 탐험가 중 한 명이었던 스웨덴의 스벤 헤딘은 1899년경부터 여러 차례 탐험대를 조직하여 조사를 실시, 목간 등을 대량으로 발견한 실적이 있었다. 그 연대는 전한대부터 위진남북조 시대에 걸쳐 있었지만, 그 수는 기껏해야 수백 개 정도였다.
1930년 헤딘을 단장으로 하는 스웨덴・중국 합동 "서북과학고찰단"이 서역에 들어갔다. 이 단은 고비 사막을 횡단하던 중 망루 흔적을 발굴했는데, 이때 한대 목간이 발견되었다. 이후 계속해서 목간이 발견되었고, 이듬해 1931년까지 조사한 결과 한대 것만 약 1만 매라는 전례 없는 양의 목간이 출토되었다. 발견자는 고고학자 폴케 베리만이다. 이것들을 통칭하여 "거연한간"이라고 한다.
현재는 대만 중앙연구원 역사언어연구소가 소장하고 있으며, 사진을 온라인으로 볼 수 있다.[2]
3. 연대와 내용
일반적인 중국의 간독과는 달리 대나무로 만들어진 것은 적고, 대부분은 나무로 만들어졌다.
그 내용은 대부분 공문서로, 특히 이 지역을 경호했던 장액군 거연도위 및 견수도위의 주둔 기록이 대부분이지만, 일부 당시의 법률, 의학서, 달력 등이 포함되어 있다.
4. 역사적 평가
그 중요한 요인은 주둔(駐屯) 기록이 내용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에 있다. 이 지역은 변방의 땅이었고, 항상 주변 이민족의 위협에 시달렸다. 따라서 군사적으로 중요한 땅이었으며, 그 기록이 남아 있다는 것은 당시 서역 경영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전체 해석문과 고증은 노간(勞榦)에 의해 1943년에 『거연한간고석』으로 정리되었다. 전후에도 1957년에 중국과학원 고고연구소에서 『거연한간 갑편』이, 1980년에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에서 『거연한간 갑을편』이 출판되었다.
또한 병행하여 발굴 조사도 계속되어, 1972년부터 거연고고대가 에치나 강(エチナ河) 유역의 재조사를 실시, 1973년 이후, 2만 매 이상의 목간이 발견되었다(거연신간).
5. 서예사적 평가
그러나 거연한간에는 순수한 전서에서 시작하여, 예서가 되기 시작한 초기의 예서인 "고예", 완전한 파책(예서 특유의 큰 획의 꺾임)을 가진 예서 = 팔분예까지 이 시대에 생각할 수 있는 이행기의 서체가 모두 사용되었으며, 예변의 과정이 밝혀졌다.
그 전까지 예변은 전서 → 고예 → 팔분예로 직선적으로 일어났다고 생각되었지만, 거연한간에서 거의 동시대에 고예와 팔분예가 혼재하고 있어, 원래 팔분예는 예서의 서풍 중 하나였으며, 그것이 고예의 서법을 대신하여 후에 표준이 되었다고 결론지어졌다.
이러한 서도사상의 가치뿐만 아니라, 일반 민중이 쓴 소박한 서풍이 서적으로서 애호되었고, 현재에는 서 작품으로서 임서되거나 서풍이 모방되기도 한다. 목간서로서 하나의 장르를 형성해 가고 있다.
참조
[2]
서적
漢代簡牘數位典藏
http://ndweb.iis.sin[...]
中央研究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