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묵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묵화는 먹의 농담 조절을 통해 음영과 명암을 표현하는 동아시아 회화 기법으로, 중국 당나라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각국으로 전파되었다. 수묵화는 붓, 먹, 종이, 벼루 등 문방사우를 사용하여 그리며, 대상의 외형뿐 아니라 정신을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국에서는 왕유, 동기창, 치 바이시 등이, 한국에서는 안견, 김홍도, 정선 등이, 일본에서는 조세쓰, 세슈 도요 등이 수묵화 발전에 기여했다. 수묵화는 산수화, 인물화, 사군자 등 다양한 화목을 다루며, 현대 미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2. 역사

수묵화는 중국 당나라 (618-907년) 시기에 처음 개발되어 송나라 (960-1279년) 시기에 더욱 세련된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중국에서 먹물이 발견된 직후 한국에도 전래되었다.[107]

당나라 시대 이후, 일본, 한국 및 동아시아 국가들은 중국 회화와 수묵화를 광범위하게 연구해왔다.[7][25] 특히 중국에서 일본으로 이주한 조세쓰는 "일본 수묵화의 아버지"라고 불린다.[94] 동아시아 양식은 주로 남종화와 북종화의 화풍에서 발전했다.[7][3][76]

수묵화는 고려 시대에 한국에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현존하는 확실한 사례는 없다.[77] 이후 조선 시대에도 한국화의 주요 장르로 계속 발전하였다.

일본에서는 가마쿠라 시대선종과 함께 수묵화 양식이 전해졌으며,[102] 무로마치 시대 (1333–1573)에 선불교 사찰을 통해 본격적으로 수용되었다.[91] 조세쓰가 이 기법을 가르쳤다.

2. 1. 중국의 수묵화

중국에서 수묵화는 당나라 (618-907년) 시기에 처음 개발되었다. '''수묵'''이라는 단어는 당나라 시인 유상의 시에 언급되었다. 왕유는 기존 수묵화에 색을 입힌 화가로 알려져 있다.[107] 이 예술은 송나라 (960-1279년) 시기에 더 세련된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중국에서 먹물이 발견된 직후 한국에도 전래되었다.

벼루는 수묵화의 중요한 도구이다. 벼루는 잉크를 갈고 담는 데 사용되는 돌로 된 절구이다. 돌 외에도 벼루는 흙, 청동, 철, 자기 등으로 만들 수 있다. 이 도구는 약 6천 년에서 7천 년 전 염료를 문지르는 데 사용되던 마찰 도구에서 진화했다.[21]

; 탄소 기반이며 그을음과 동물성 접착제로 만듦, 중국.


수집가를 위한 중국 기념 먹.


17세기 기술 문서인 ''천공개물''의 이미지로, 먹을 만들기 위해 소나무를 한쪽 끝에서 태우고 그을음을 다른 쪽에서 모으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중국.


중국화에서 붓 그림은 중국 사대부 계급이 배워야 할 "사예" 중 하나였다.[22] 수묵화는 당나라 (618–907) 때 등장했으며, 초기 발전은 왕유와 장조 등의 공으로 여겨진다.[3] 명나라 시대에 동기창은 더 선명하고 웅장한 북종화와 더 자유롭고 표현적인 남종화(문인화)를 구분했다.[1][23][24][25]

서양 학자들은 송나라 이전에는 수묵화가 주로 묘사적 회화에 사용된 반면, 원나라 시대에는 표현적 회화가 주를 이루었다고 기술했다.[4][5] 중국의 역사적 관점에서는 이 시기의 일반적인 예술적 특징을 동기창이 명나라 시대에 널리 알린 남종화와 북종화 이론으로 구분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전통적으로 여겨진다.[6][7][29]

명나라 사대가는 명나라 시대의 유명한 중국 화가 4명을 묶어 부르는 명칭이다. 선주(1427–1509), 문징명(1470–1559, 오파 출신), 당인(1470–1523), 구영이 있다. 이들은 대략 동시대 인물로, 선주는 문징명의 스승이었으며, 다른 두 사람은 주신에게 사사했다. 그들의 화풍과 주제는 다양했다.[54]

서위(1521–1593)와 진순(1483–1544)은 문인화의 대담하고 자유로운 화풍을 대표하는 화가이며, 그들의 수묵화는 예리하고 유창한 먹의 표현이 특징이다. 그들의 수묵화 스타일은 역사적인 동양 예술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4] 서위는 "청등산인"이라는 다른 호를 가지고 있었으며, 명나라의 중국 화가이자 시인, 작가, 극작가로서 그의 예술적 표현력으로 유명했다.[55]

진순은 명나라 시대의 예술가였다. 소주의 부유한 사대부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명나라 사대가 중 한 명인 문징명에게 서예를 배웠다. 훗날 진순은 문징명과 결별하고 보다 자유로운 수묵화 기법을 선호했다.[56]

동기창(1555–1636)은 명나라 시대의 인물이며, 사왕은 청나라 시대의 인물로서, 원나라 이전의 화풍을 모방한 복고풍의 수묵화를 대표하는 화가들이다. 동기창은 명나라 후기의 중국 화가, 서예가, 정치가, 미술 이론가였다. 그는 수묵화의 남종화와 북종화 이론의 창시자이다. 그의 이론 체계는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회화 개념과 실천에 큰 영향을 미쳤다.[29][6]

사왕은 17세기의 중국 산수화가 4명으로, 모두 왕씨 성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에서 뛰어난 업적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왕시민(1592–1680), 왕건 (1598–1677), 왕휘 (1632–1717), 왕원기(1642–1715)이다.[29]

팔대산인(본명 "주답"), 석도(다른 호 "원제", 1642–1707), 양주팔괴는 명말 청초의 수묵화 혁신가들이다.[57][58] 팔대산인은 "팔대산인"이라는 다른 호를 사용했으며, 수묵화 화가이자 서예가였다. 그는 명나라 황족의 후손으로, 남창에 봉토를 가진 주권의 직계 자손이었다. 미술사학자들은 그를 이 시대의 뛰어난 화가로 칭했다.[59][60]

석도는 명나라 황족 출신으로 "주약극"으로 태어났으며, 청나라 초기(1644–1912)의 중국 산수화 화가였다.[61]

양주팔괴는 18세기에 활동한 8명의 중국 화가들을 일컫는 명칭으로, 청나라 시대에 표현적이고 개성적인 스타일을 선호하며 회화에 대한 정통적인 생각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허곡(1824–1896)은 청나라 시대의 중국 승려 화가이자 시인이었다.[62] 그의 수묵화는 관람객에게 추상과 환영의 느낌을 준다.[63]

허곡(1824–1896), ''높은 산과 시냇물'', 선지에 먹, 19세기, 청나라, 중국.


당나라 시대 이후, 일본, 한국 및 동아시아 국가들은 중국 회화와 수묵화를 광범위하게 연구해왔다.[7][25] 중국에서 일본으로 이주한 조세츠(如拙)는 "일본 수묵화의 아버지"라고 불린다.[94] 동아시아 양식은 주로 남종화와 북종화의 화풍에서 발전했다.[7][3][76]

중국 대륙에서는 상나라 시대에 먹이 사용되었고, 먹을 사용한 그림도 한나라 시대에는 존재했다.[102] 한대 벽화 등에는 먹으로 그린 선과 안료로 채색된 것이 현존하고 있다.[102]

당나라 시대에는 먹의 농담으로 표현하는 그림이 제작되었다.[102] 수묵화는 당나라 후반에 산수화의 기법으로 성립되었다. 또한, 9세기 장언원은 먹의 색에는 만물의 색채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여 "먹의 색에 오채가 있다"라고 화론에서 언급했다.[103] 수묵화는 서양화의 유화와는 달리 붓과 먹이 종이에 스며드는 듯한 그림이 특징이다.[104] 또한, 수묵화에서는 화가가 물체의 본질을 지각적·주관적으로 파악한 것만이 그려지며, 자연 재현 묘사를 중시하는 서양화처럼 광원을 고정시킨 배경(배경상 명암이나 음영)을 그리지 않는다.[105]

송나라 시대에는 문인 관료의 여가 활동으로 사군자(난초, 대나무, 국화, 매화) 수묵화가 행해졌다. 또한, 선종의 보급에 따라 선종의 고사 인물화가 수묵으로 제작되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화훼, 과일, 채소, 물고기 등을 그리는 수묵 잡화도 그려졌다.

2. 2. 한국의 수묵화

수묵화는 중국 당나라 (618-907년) 시기에 처음 개발되었다. 이 예술은 송나라 (960-1279년) 시기에 더 세련된 방식으로 발전했으며, 중국에서 먹물이 발견된 직후 한국에도 전래되었다.[107] 비록 현존하는 확실한 사례는 없지만, 고려 시대에 한국에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77] 조선 시대에도 한국화의 주요 장르로 계속 발전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도화서 또는 궁중 화원이 매우 중요했으며, 대부분의 주요 화가들이 이곳 출신이었다.[78] 그러나 고위 관료이자 화가인 강세황을 비롯한 사람들은 중국적 감수성을 지닌 아마추어 문인, 즉 선비 화풍을 옹호했다. 많은 화가들은 중국풍의 산수화와 일상생활을 그린 풍속화를 모두 그렸으며, 실제 장소를 더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전통과 함께, 태백산맥에서 영감을 받아 환상적인 산들을 그리는 전통도 있었다.[79]

조선 초기의 화가 안견충청남도 서산 출신으로, 1447년 안평대군을 위해 그린 몽유도원도는 현재 덴리 대학에 소장되어 있으며, 작가와 제작 연대가 알려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 작품이다.[77] 그는 남종화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80]

변상벽은 조선 후기에 활동했으며, 동물의 묘사와 인물의 섬세한 필치로 유명하다. 원체화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81][82][83]

송나라 시대 북종화의 영향을 받은 한국 화가들로는 강희안, 김홍도, 장승업 등이 있다.

  • 강희안 (1417?–1464): 호는 인재(인재한국어). 조선 초기의 저명한 학자이자 화가로, 시, 서예, 그림에 능했다.[84][85]
  • 김홍도 (1745년 출생, 1806?–1814? 사망): "단원" (단원한국어)으로 불림. 조선 시대의 전업 화가이자 '진경산수화'의 핵심 인물. 양주팔괴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 장승업 (1843–1897): "오원"이라는 호로 알려짐. 조선 후기 화가. 그의 삶은 영화 ''취화선'' (감독 임권택)에서 드라마화되었다.[86][87]


정선 (정선한국어) (1676–1759)은 "겸재"("겸손한 공부")로 알려진 풍경 화가로, 가장 유명한 한국 화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88] 그의 스타일은 추상적이기보다는 사실적이었으며,[89] 수묵화 예술을 더욱 독특한 한국적 방향으로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77] 그의 작품에는 ''인왕제색도'' (1751), ''금강전도'' (1734) 등이 있으며, "진경" 산수화는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중반 사이에 가장 두드러졌다. 이 스타일은 최북과 김유성을 통해 일본에 파견된 조선 통신사를 통해 일본으로 전파되어 이케노 다이가와 우라가미 교쿠도에게 영향을 미쳤다.[90]

2. 3. 일본의 수묵화

무로마치 시대 (1333–1573)에 선불교 사찰을 통해 일본에 수묵화가 도입되었으며,[91] 특히 중국에서 이주해 온 화가 조세쓰가 이 기법을 가르쳤다. 조세쓰는 "일본 수묵화의 아버지"라고 불린다.[94] 그는 교토의 쇼코쿠지 사찰에서 덴쇼 슈분의 스승이기도 했다.

덴쇼 슈분 (15세기 중반 사망)은 무로마치 시대의 일본 선불교 승려이자 화가였다. 그는 중국 화가의 북종화와 조세쓰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97] 그의 제자 세슈 도요 (1420–1506) 역시 승려였지만, 세슈는 결국 승려 생활을 그만두고 1468–69년에 약 1년 동안 중국에 머물렀다.[92]

세슈 도요는 무로마치 시대 중기의 가장 저명한 일본 수묵화 거장이었다. 그는 중국 회화의 북종화, 특히 마 위안과 샤 구이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98] 그는 중국에서 산수화를 공부한 후 를 그렸다. 이 그림은 중국 송나라의 풍경을 그린 것으로, 겨울의 자연 풍경을 묘사하고 있으며 절벽을 나타내는 굵은 선이 특징이다.

세슈 도요 (1420–1506), , 비단에 먹, 일본.


thumb 필 秋冬山水図|추동산수도일본어 중 겨울 풍경]]

무로마치 시대 말기에는 수묵화 기법이 몇몇 전문 또는 상업 화가, 특히 가노파의 대규모 화가들에게 채택되었다. 가노파는 가노 마사노부 (1434–1530)가 창시했다. 그의 아들 가노 모토노부 역시 매우 중요한 인물이었다.

가노파는 일본 수묵화의 한 장르로, 중국 도교와 불교 문화의 상당한 영향을 받아 탄생했다.[76] 가노 마사노부는 가노파의 리더였으며, 수세기 동안 일본 주류 회화에서 이 학교의 지배적인 지위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그는 주로 남송 시대의 중국 궁정 화가인 샤 구이 (1195–1225년 활동)의 영향을 받았다.[95] 그는 아시카가 막부의 수석 화가였으며 일반적으로 가노파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가노 마사노부는 선화뿐만 아니라 불교 신과 보살의 정교한 그림에도 특화되었다.[96]

四君子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1568–1600)의 일본 혁신은 병풍|뵤부일본어 접이식 화면에 흑백 기법을 훨씬 더 큰 규모로 사용한 것이었으며, 종종 세트로 제작되어 큰 방 전체에 걸쳐 펼쳐졌다. 약 1595년의 쇼린즈 병풍|소나무 그림 병풍일본어은 유명한 예이며, 종이의 약 15%만이 칠해져 있다.[93]

셋손 슈케이와 하세가와 도하쿠는 주로 중국 송나라 승려 화가 목계의 수묵화 스타일을 모방했다.[4] 셋손 슈케이는 일본 수묵화의 주요 대표자 중 한 명으로, 학식 있고 다작하는 선승 화가였다. 그는 초기의 다양한 중국 수묵화 스타일을 연구했으며 일본 선 수묵화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국 화가 목계 (13세기에 활동)의 동료들은 13세기 말에 처음으로 목계 그림을 일본에 가져왔다. 일본 선승들은 중국 승려 화가 목계가 그린 원숭이 그림을 따르고 배웠다. 15세기 말까지 목계 스타일의 동물 이미지는 대규모 일본 회화 프로젝트에서 뜨거운 주제가 되었다.[99]

雪村 周継


더 작고 순수하며 덜 화려한 하세가와파는 하세가와 도하쿠 (1539–1610)가 창시했으며 18세기까지 지속되었다.

하세가와 도하쿠는 일본인 화가이자 하세가와파의 창시자였다. 그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1573–1603)의 위대한 화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그의 병풍|뵤부일본어 접이식 화면, 예를 들어 쇼린즈 병풍|소나무일본어 와 '소나무와 꽃 피는 식물' (둘 다 국보) 또는 지샤쿠인의 벽과 미닫이 문에 있는 그림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그의 아들 (역시 국보)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그는 송나라의 중국 회화, 특히 량 카이와 목계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100][101]

미 푸와 그의 아들의 수묵화는 일본 수묵화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케노 다이가가 그 중 한 명이다.[76] 이케노 다이가는 에도 시대교토에서 태어난 일본인 화가이자 서예가였다. 그는 요사 부손과 함께 분진가일본어 (또는 난가일본어) 장르를 완성했다. 그의 작품 대부분은 고전 중국 문화와 회화 기법에 대한 그의 열정을 반영했지만, 그는 혁신적이고 현대적인 기법을 그렇지 않은 매우 전통적인 그림에 통합하기도 했다. 분진일본어 (, 학자)으로서, 이케는 평생 동안 교토와 다른 지역의 저명한 사회 및 예술계와 가까웠다.[25]

난가일본어 ( "남화") 또는 분진가일본어 ( "문인화") 스타일 또는 학교는 18세기부터 도미오카 뎃사이 (1837–1924)가 사망할 때까지 이어졌으며, 그는 널리 난가일본어 예술가의 마지막 인물로 여겨졌다.[23][24]

3. 기법 및 철학

수묵화의 기법은 동아시아의 철학과 깊은 관련이 있다.

중국: 이성의 ''먼 산봉우리 사이 무성한 숲'' (), 10세기 중국. 랴오닝성 박물관 소장.


한국: 안견의 ''몽유도원도'', 1447년, 한국. 덴리 대학 중앙 도서관 소장.


일본: 하세가와 도하쿠의 ''소나무 병풍''() 오른쪽 패널, 16세기 일본. 국보 지정.


수묵화는 대상의 재현을 넘어 본질과 정신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동아시아 미학의 핵심 가치를 반영하고 서양의 인상주의와도 비교된다.[1] 선종의 "단순성, 자발성, 자기 표현"과 도교의 "자발성과 자연과의 조화"라는 철학적 영향을 받았으며, 유교와 비교되기도 한다.[22][3][10]

수묵화는 서양 현대 미술가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는데, 미국 미술가 아서 웨슬리 다우는 수묵화의 간결함과 표현력을 높이 평가했고, 그의 제자 조지아 오키프 등 많은 미국 모더니스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1]

문방사우(붓, 먹, 종이, 벼루)는 "" ()라는 성어로 요약되며, 동아시아 회화에 필수적인 도구이다.[13][14]

중국에서는 상나라 때부터 먹을 사용했고, 한나라 시대에 이미 먹 그림이 존재했다.[102] 당나라 때 먹의 농담으로 표현하는 그림이 제작되었고,[102] 장언원은 "먹색에 오채가 있다"라고 했다.[103] 수묵화는 유화와 달리 붓과 먹이 종이에 스며드는 듯하며, 광원을 고정시킨 배경을 그리지 않는다.[104][105]

송나라 때는 문인 관료의 여가 활동으로 사군자 수묵화가 행해졌고, 선종 보급에 따라 선종 고사 인물화가 수묵으로 제작되었다. 명나라 때는 화훼, 과일, 채소, 물고기 등을 그리는 수묵 잡화도 그려졌다.

일본에는 나라 시대 전후에 대륙에서 먹이 전래되어 묵서나 묵화가 나타났다.[102] 수묵화 양식은 가마쿠라 시대선종과 함께 전해졌고,[102] 처음에는 '달마도', '표주어도'처럼 선종 사상을 나타내는 그림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산수화'도 그려졌다.

미술사에서 '수묵화'는 먹색의 농담, 번짐 등을 표현 요소로 한 중국풍 묘법을 가리키며, 일본 작품은 대체로 가마쿠라 시대 이후의 것을 말한다. 착색화라도 수묵화풍이면 '수묵화'에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헤이안 시대 초기에는 밀교 전래와 함께 '밀교 도상'이 제작되었고, '마쿠라노소시 그림말'처럼 먹 선만으로 그려진 그림도 있지만, '백묘'나 '백화'라 하여 '수묵화'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중국에서 수묵화 표현은 당나라 말부터 오대~ 초(9세기 말~10세기)에 발달했다. 일본 수묵화는 중국화 수용에서 시작되었고, 본격적인 작품은 13세기 말경에 나타났다.

13~14세기 일본 수묵화를 '초기 수묵화'라 부르며, 선승 왕래와 송· 신양식 그림 유입이 성행 요인이다. 무학조원, 란케이 도류 등 중국 선승들이 송·원 문화를 일본에 가져왔다.

일본 초기 수묵화는 불사나 선승 중심으로 제작되었고, 정상, 조사상, 도석화, 사군자 등이 주요 화제였다. 수묵화는 선종 교리와 직접 관련은 없으며, 외래 문화로서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14세기 대표 수묵 화가로는 가오, 묵암, 철주덕제 등이 있다.

무로마치 시대는 일본 수묵화 전성기로, 아시카가 가문의 선종 옹호로 선 문화와 고산 문학이 번성했고, 쇼코쿠지에서 뇨세츠, 슈분, 셋슈 등 화승들이 배출되었다. 도후쿠지의 깃산 민초는 농채 불화와 수묵화를 제작했다.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당물을 수집, 감상했다.

15세기에는 일본에서도 본격적인 산수화가 그려졌고, 초기 작품은 '사감' 인장이 있는 『평사낙안도』이다. 15세기 전반 시화축 대표작은 『계음소축도』, 『죽재독서도』, 『수색란광도』 등이며, '서재도'가 많다.

이 시대에 화가 이름과 개성이 명확해진다. 뇨세츠는 『표주어도』, 슈분은 "전 슈분 필" 작품이 다수 있지만, 확증은 없다.

15세기 후반 셋슈는 중국 회화를 소화하여 『아마노하시다테도』 등 독자적 수묵화를 제작하고, 많은 제자를 육성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셋손 등 무가 출신 화가들이 지방에서 활약했다. 소가 쟈소쿠, 쇼케이, 각옹 장구, 도모슈의 아미파 일족(노아미, 게이아미, 소아미)도 수묵 작품을 남겼다.

3. 1. 기법

수묵화는 먹의 농도를 조절하여 음영과 명암을 표현한다. 먹을 갈 때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붓 한 번의 움직임 안에서 먹의 양과 압력을 조절하여 표현한다. 수묵화가들은 붓의 움직임과 먹물의 흐름을 다듬기 위해 기본적인 붓질을 수년간 연습한다. 이러한 기술은 동아시아 문자의 기본적인 쓰기, 그리고 본질적으로 동일한 먹과 붓을 사용하는 서예에 필요한 기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2] 숙련된 장인은 한 번의 붓질로 짙은 검정에서 은빛 회색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명암의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원래의 맥락에서 음영은 단순히 명암의 배치를 의미하는 것 이상으로, 동아시아 수묵화와 붓글씨에서 발견되는 미묘한 명암 변화의 기반이다.[12]

한 번 그려진 붓질은 수정하거나 지울 수 없다. 결과적으로 수묵화는 고도의 기술, 집중력, 그리고 수년간의 훈련을 요구하는 기술적으로 까다로운 예술 형식이다.[23][2]

일본에서의 수묵화 기법은 중국에서 유입되었지만, 반드시 중국에서의 주류 양식만이 수용된 것은 아니며, 독자적인 도덕관 및 문화관과도 맞물려 중국의 수묵화와는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102]

3. 2. 철학

동아시아 미학에서 수묵화는 대상의 외형보다는 정신을 포착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말을 그릴 때는 근육과 뼈보다 성질을 이해하고, 꽃을 그릴 때는 꽃잎과 색깔보다는 생동감과 향기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서양의 인상주의와 비교되기도 한다.[1] 또한, "단순성, 자발성, 자기 표현"을 강조하는 선종과 "자발성과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도교와 관련이 있으며, 덜 영적인 유교와 비교되기도 한다.[22][3][10]

동아시아 수묵화는 서양의 현대 미술가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 미국 미술가이자 교육자인 아서 웨슬리 다우는 수묵화에 대해 "화가는 종이에 가능한 한 적은 선과 색조를 넣는다. 형태, 질감, 효과를 느끼게 할 만큼만. 모든 붓 터치는 의미로 가득 차야 하며, 쓸모없는 세부 사항은 제거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11] 다우는 선, 음영, 색상의 세 가지 요소를 통해 조화로운 구성을 추구했으며, 동아시아 붓과 먹으로 연습할 것을 권장했다.[3][23]

4. 재료

먹의 농도를 조절하여 음영과 명암을 표현하는 수묵화는, 먹을 갈 때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붓 한 번의 움직임 안에서 먹의 양과 압력을 조절하여 표현한다. 수묵화가들은 붓의 움직임과 먹물의 흐름을 다듬기 위해 기본적인 붓질을 수년간 연습한다. 이러한 기술은 동아시아 문자의 기본적인 쓰기, 그리고 본질적으로 동일한 먹과 붓을 사용하는 서예에 필요한 기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2] 숙련된 장인의 손에서는 한 번의 붓질로 짙은 검정에서 은빛 회색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명암의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원래의 맥락에서 음영은 단순히 명암의 배치를 의미하는 것 이상이다. 그것은 동아시아 수묵화와 붓글씨에서 발견되는 미묘한 명암 변화의 기반이다.[12]

한 번 그려진 붓질은 수정하거나 지울 수 없다. 결과적으로 수묵화는 고도의 기술, 집중력, 그리고 수년간의 훈련을 요구하는 기술적으로 까다로운 예술 형식이다.[23][2]

사보(四寶)는 "" () 즉, "''문방사우: 붓, 먹, 종이, 벼루''"라는 성어로 요약되며, 중국 사대부 또는 문인 계급이 언급하였고, 동아시아 회화에 필수적인 도구이자 재료이다.[13][14]

종류설명그림
--
종이--
벼루--


5. 화목의 종류

수묵화로 그릴 수 있는 화목에는 산수, 인물, 수석, 화조, 영모, 사군자 등이 있다. 중국 대륙에서는 상나라 시대부터 먹을 사용했고, 한나라 시대에는 이미 먹으로 그린 그림이 존재했다.[102] 당나라 시대에는 먹의 농담을 이용한 그림이 제작되었으며, 수묵화는 당나라 후반 산수화 기법으로 성립되었다.[102] 9세기 장언원은 "먹의 색에 오채가 있다"라고 언급하며, 먹의 색에 만물의 색채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였다.[103]

송나라 시대에는 문인 관료들이 여가 활동으로 사군자(난초, 대나무, 국화, 매화) 수묵화를 그렸다. 선종이 보급되면서 선종 관련 고사 인물화도 수묵으로 제작되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화훼, 과일, 채소, 물고기 등을 그리는 수묵 잡화도 그려졌다.

6. 현대의 수묵화

현대 중국의 자유로운 수묵화는 상하이 화파에서 두드러지며, 우 창숴, 푸 화, 왕 이팅, 치 바이시, 황 빈훙 등이 대표적인 화가이다.[64][65][66][67][55] 이들은 전통적인 수묵화 기법에 자유로운 표현 방식을 더하여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화가설명
우 창숴청나라 말기의 화가, 서예가, 전각가로, 상하이 화파의 지도자였다. 그의 화풍은 일본 그림에 큰 영향을 미쳤다.[64]
푸 화청나라 시대의 산수화가이자 서예가로, 자유분방한 필치로 산수화와 먹 대나무 그림을 그렸다.[65]
왕 이팅상하이 화파의 사업가이자 예술가였다.[66]
치 바이시기발하고 유쾌한 수묵화 스타일로 유명하다.[67]
황 빈훙문인화의 혁신가 중 한 명으로, 자유로운 산수화로 유명하다.[55]



서양의 스케치 기법을 흡수하여 중국 수묵화 발전에 기여한 화가로는 가오 지안푸, 쉬 베이훙, 류 하이쑤 등이 있다.[29]

화가설명
가오 지안푸중국 전통 수묵화를 현대화하려는 링난 화파를 이끌었다.[68][69]
쉬 베이훙말과 새 그림으로 유명하며, 서양화 기법을 도입하여 중국화를 혁신했다.[70][71][72]
류 하이쑤중국화와 유화에 모두 능통한 화가이자 미술 교육자였다.[72]



판 톈서우, 장 다첸, 푸 바오스는 중국 고전 문인화의 전통을 계승한 주요 화가이다.[72]

화가설명
판 톈서우중국 전통 회화 교육의 기초를 다졌으며,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박해를 받았다.[73]
장 다첸20세기 가장 유명한 중국 예술가 중 한 명으로, 국화 화가이자 인상주의 및 표현주의 화가로도 활동했다. 그는 또한 미술 위조에도 능했다.[74]
푸 바오스점과 먹칠 기법을 활용하여 풍경화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75]



스 루는 두 가지 다른 수묵화 스타일을 창조했다.

우 창숴, ''묵매도''


치 바이시, ''묵새우''


황 빈훙, ''세월로 그림을 달리하다''


가오 지안푸, ''동부 전장의 불꽃''


쉬 베이훙, ''질주하는 말''

7. 한국 수묵화에 대한 특별 고려사항

고려 시대에 수묵화가 한국에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현존하는 확실한 사례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묵화는 조선 시대에 한국화의 주요 장르로 발전했다.[77]

조선 시대에는 도화서가 매우 중요했으며, 대부분의 주요 화가들이 이곳 출신이었다. 그러나 도화서는 사실적인 장식 작품과 공식 초상화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일부 화가들은 중국적 감수성을 지닌 선비 화풍을 옹호하기도 했다.[78] 많은 화가들은 중국풍의 산수화와 풍속화를 그렸으며, 실제 장소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전통과 함께 환상적인 산을 그리는 전통도 있었다. 태백산맥은 이러한 그림에 많은 영감을 제공했다.[79]

안견조선 초기의 화가로, 충청남도 서산 출신이다. 1447년 안평대군을 위해 그린 몽유도원도|몽유도원도한국어는 현재 덴리 대학에 소장되어 있으며, 작가와 제작 연대가 알려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 작품이다.[77] 그는 이성과 곽희중국화 남종화에 영향을 받았다.[80]

변상벽조선 후기의 화가로, 동물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황전의 중국화 원체화에 영향을 받았다.[81][82][83]

강희안, 김홍도, 장승업 등은 송나라 시대의 북종화의 영향을 받은 화가들이다. 강희안은 세종대왕 재위 기간에 과거에 급제하여 왕실에 들어갔으며, 시, 서예, 그림에 능했다.[84][85] 김홍도는 '진경산수화'의 핵심 인물이었으며, 전통 회화의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예술가였다. 그의 인물 수묵화는 양주팔괴의 영향을 받았다. 장승업조선 후기 화가로, 그의 삶은 영화 ''취화선''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그는 조선 궁궐에서 관직을 가진 몇 안 되는 화가 중 한 명이었다.[86][87]

정선은 가장 유명한 한국 화가 중 한 명으로 꼽히며, 그의 스타일은 추상적이기보다는 사실적이었다.[89] 그는 수묵화 예술을 독특한 한국적 방향으로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77] 그의 작품에는 ''인왕제색도''(1751), ''금강전도''(1734) 등이 있으며, "진경" 산수화는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중반 사이에 두드러졌고, 최북과 김유성을 통해 일본에 파견된 조선 통신사를 통해 일본으로 전파되어 이케노 다이가와 우라가미 교쿠도에게 영향을 미쳤다.[90]

참조

[1] 서적 A Cultural History of the Chinese Language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9-01-22
[2] 서적 The History and Spirit of Chinese Art (2-Volume Set) https://books.google[...] Enrich Professional Publishing Limited 2019-01-22
[3] 서적 China: Five Thousand Years of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City University of HK Press 2019-01-22
[4] 서적 The Period and Content of Chinese Painting-Collection of Essays from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hinese Painting National Palace Museum 1970
[5] 학술지 Methodology of Chinese Painting History Zhejiang Academy of Fine Arts 1990
[6] 서적 New Literature-Reconstructing the Framework of a Poetic Art Theory and Its Significance Elephant Publisher House 2007
[7] 학술지 Why Chinese Painting Is History? https://www.onacadem[...] 2021-07-08
[8] 문서 Jenyns, 177-118
[9] 문서 Jenyns, 152–158
[10] 학술지 Meaning and Function of Chinese Landscape Painting Guangxi Art College 2006
[11] 서적 Composition 1899
[12] 서적 Chinese brushwork in calligraphy and painting : its history, aesthetics, and techniques https://archive.org/[...] 1990-10
[13] 웹사이트 趣談「文房四寶」 http://www.chineseto[...] 2010-11-27
[14] 웹사이트 走近文房四寶 http://big5.xinhuane[...] 2010-11-27
[15] 문서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1999:108–112
[16] 문서 Jenyns, 120–122
[17] 문서 Jenyns, 123
[18] 서적 The Art of Sumi-e: Beautiful ink painting using Japanese Brushwork Search Press 2015
[19]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Xuan Paper Making in Anhui China. https://www.chinacul[...] 2019-12-17
[20] 간행물 Technology, treatment, and care of a chinese wood block print https://www.si.edu/m[...] Smithsonian Institution 1997
[21] 서적 Chinese Calli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7-26
[22] 서적 Encyclopedia of China: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1-22
[23] 서적 Style in the Arts of China Penguin 1974
[24]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Non-Western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9-01-22
[25] 학술지 Chinese Painters in Nagasaki: Style and Artistic Contaminatio during the Tokugawa Period (1603–1868) (Ming Qing Studies) https://www.academia[...] Aracne 2017-12-03
[26] 문서 Sickman, 334
[27] 문서 Bio dates: Ch'en and Bullock, 49 and 53; Stimson, 22; Watson, 10 and 170; and Wu, 225. Note, however, other sources, such as Chang, 58, and Davis, x, give his years as 701–761
[28] 웹사이트 Zhang Zao http://ren.bytravel.[...] Boya Renwu 2020-12-08
[29] 서적 Cihai(辭海) https://hollis.harva[...] Shanghai Lexicographical Publishing House(上海辭書出版社) 2021-07-07
[30] 뉴스 Chinese painting – Five Dynasties (907–960) and Ten Kingdoms (902–978) https://www.britanni[...] 2017-05-25
[31] 서적 Xuan He HuaPu(宣和画谱) http://ctext.org/wik[...] 2017-05-25
[32] 서적 A Brief History of Chinese and Japanese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20-12-12
[33] 문서 Barnhart: Page 372. Guo Xi's style name was Chunfu (淳夫)
[34] 문서 Ci hai: Page 452
[35] 서적 Cultivated Landscapes: Chinese Paintings from the Collection of Marie-Hélène and Guy Weill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Yale University Press 2002
[36] 웹사이트 Scholar's Painting https://depts.washin[...] University of Washington 2021-07-21
[37] 서적 Poetry and Painting in Song China: The Subtle Art of Dissen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21-07-07
[38] 문서 Barnhart
[39] 웹사이트 米芾的書畫世界 The Calligraphic World of Mi Fu's Art https://web.archive.[...] National Palace Museum 2006
[40] 웹사이트 Mi Youren http://ren.bytravel.[...] Boya Renwu 2020-12-08
[41] 서적 Critical terms for the study of Buddh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42] 서적 Ink painting in medieval kamakura 2015
[43] 서적 Taoism and the Arts of Chin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01-01
[44] 문서 Farrer
[45] 웹사이트 Gao Kegong http://ren.bytravel.[...] Boya Renwu 2020-12-08
[46] 문서 Ebrey,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47] 문서 Liu
[48] 문서 Sickman
[49] 문서 Barnhart, Three Thousand Years of Chinese Painting
[50] 서적 Taoism and the Arts of Chin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01-01
[51] 문서 Barnhart, Three Thousand Years of Chinese Painting
[52] 서적 The Shanghai Museum of Art https://archive.org/[...] Harry N. Abrams, Inc 1981
[53] 웹사이트 Yan Hui http://ren.bytravel.[...] Boya Renwu 2020-12-08
[54] 문서 Rawson
[55] 문서 Cihai
[56] 웹사이트 CHEN CHUN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21-07-07
[57] 웹사이트 Birds in a Lotus Pond https://www.metmuseu[...]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1-07-21
[58] 웹사이트 Thirty-six Peaks of Mount Huang Recollected https://www.metmuseu[...]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1-08-05
[59] 논문 Landscapes, Tradition, and the Seventeenth-Century Art Market: A Different Side of Bada Shanren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2008-06
[60] 서적 China: five thousand years of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2019-01-22
[61] 서적
[62] 웹사이트 Xū Gǔ Brief Biography https://web.archive.[...] 2008-07-17
[63] 웹사이트 Squirrel on an Autumn Branch https://www.metmuseu[...]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1-07-21
[64] 웹사이트 Wu Changshuo http://ren.bytravel.[...] Boya Renwu 2020-12-08
[65] 웹사이트 Pu Hua-Artworks, Biography http://www.artnet.co[...] Artnet 2021-07-07
[66] 문서 Encyclopedia of Chinese Artists (Zhongguo meishu jia renming cidian)
[67] 웹사이트 Qi Baishi-Biography-Artworks http://www.artnet.co[...] Artnet 2021-07-07
[68] 웹사이트 The Lingnan School Painting http://www.lingnanar[...] 2015-01-27
[69] 문서 Inside Out: New Chinese Art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1998
[70] 웹사이트 Five major works of Xu Beihong that shouldn't be missed – Chinadaily.com.cn http://www.chinadail[...] 2019-11-20
[71] 웹사이트 Singapore Art Museum (SAM) opens 'Xu Beihong in Nanyang' a Solo Exhibition http://artknowledgen[...] Art Knowledge News 2008-06-18
[72] 서적 History of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中国现代绘画史) https://library.metm[...] Jiangsu Fine Arts Publishing House(江苏美术出版社) 2021-07-07
[73] 서적 Art in Turmoil: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1966–7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020-12-10
[74] 학술지 Zhang Daqian: A World-renowned Artist https://caod.oriprob[...] 2020-12-10
[75] 웹사이트 Fu Baoshi-Biography-Artworks http://www.artnet.co[...] Artnet 2021-07-07
[76] 웹사이트 Retracting a Diagnosis of Madness: A Reconsideration of Japanese Eccentric Art https://digital.lib.[...] University of Washington 2021-07-21
[77] 웹사이트 수묵화 (水墨畵)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1-18
[78] 문서 Dunn, 361–363
[79] 문서 Dunn, 367–368
[80] 웹사이트 An Gyeon http://www.towooart.[...] Towooart 2021-07-07
[81] 웹사이트 Court Painting https://depts.washin[...] University of Washington 2021-07-21
[82] 학술지 Euigwe and the Documentation of Joseon Court Ritual Life http://muse.jhu.edu/[...] 2009-11-14
[83] 웹사이트 http://handic.nate.c[...] Nate Korean-Hanja Dictionary 2009-11-14
[84] 웹사이트 Humanism in Gang Hui-an's Paintings http://artne.com/art[...] ARTne 2020-12-12
[85] 웹사이트 Brief biography http://koreandb.empa[...] 엠파스홈 (in Korean)
[86] 문서 Turner, 2003, p. (18)53
[87] 서적 Reading Korean history in one night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Paper Road 2007
[88] 웹사이트 Gyeomjae Jeong seon Memorial Museum, Korea http://asemus.museum[...] 2014-12-22
[89] 웹사이트 Jeong Seon's Paintings Brought to Life https://www.koreatim[...] 2014-12-22
[90] 웹사이트 진경산수화 (眞景山水畵)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11-18
[91] 문서 Stanley-Baker, 118–124
[92] 문서 Stanley-Baker, 126–129
[93] 문서 Stanley-Baker, 132–134, 148–50
[94] 웹사이트 Taiko Josetsu https://www.britanni[...] Britannica article
[95] 웹사이트 The Four Accomplishments https://www.metmuseu[...] The Metropolitain Museum of Art 2021-08-05
[96]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www.metmuseum[...] 2021-07-21
[97] 서적 Shūbun Japan Encyclopedia 2005
[98] 웹사이트 Ancien Japon 1888
[99] 웹사이트 Gibbons in a Landscape https://www.metmuseu[...] The Metropolitain Museum of Art 2021-07-21
[100] 웹사이트 Suiboku-g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09-12-10
[101] 웹사이트 HASEGAWA Tohaku (1539–1610) http://www.kyoto.zaq[...] Mibura-Dera Temple Website 2009-12-10
[102] 웹사이트 美術鑑賞講座5「墨絵の世界」 https://www.city-nak[...] 中津市木村記念美術館 2018-11-19
[103] 서적 水墨画の基礎描法 新装第2版 日貿出版社 2009
[104] 서적 水墨画の基礎描法 新装第2版 日貿出版社 2009
[105] 서적 水墨画の基礎描法 新装第2版 日貿出版社 2009
[106] 웹사이트 指定文化財・遺跡のご案内 https://www.city.suw[...]
[107] 서적 Selected poems and pictures of the Tang dynasty Wu zhou chuan bo chu ban she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