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기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는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후량 시대에 개봉부로 처음 설치되었다. 이후 변주, 동경개봉부, 남경로, 변량로 등으로 이름이 바뀌며 각 왕조의 수도 또는 주요 지역으로 기능했다. 명나라 시대에는 개봉부로 개칭되어 하남성에 속했으며, 청나라 시대까지 유지되다 1913년 중화민국에 의해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이펑시 - 청명상하도
    청명상하도는 장택단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두루마리 회화로, 북송 수도 개봉의 번영과 사회상을 세밀하게 묘사하지만, 제작 시기와 의미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사회 풍자화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 송나라의 로 - 하북서로
    하북서로는 송나라 시대에 설치된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정부, 상주, 중산부 등 여러 지역을 관할하며 각 지역은 역사적 배경과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경제, 문화, 군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송나라의 로 - 하북동로
    하북동로는 송나라와 금나라 시대에 현재의 허베이성 일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송나라 시대에는 여러 주와 부가 설치되어 군사적 역할과 공납물을 담당했으며, 금나라 시대에는 하간부가 중심지로 기능하며 일부 행정 구역 명칭과 관할에 변화가 있었다.
  • 송나라 - 남송
    남송은 정강의 변으로 멸망한 북송을 조구(고종)가 강남에서 재건한 왕조로, 금나라와 대립 후 화의를 통해 안정되었으나, 몽골의 침입과 권신들의 전횡으로 쇠퇴하여 1279년 멸망할 때까지 경제, 사회, 문화적 발전을 이루며 일본과 교류하였다.
  • 송나라 - 정강의 변
    정강의 변은 1125년부터 1127년까지 금나라의 침입으로 북송이 멸망한 사건으로, 휘종과 흠종을 포함한 황족들이 포로로 잡혀가고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주어 중국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경기로

2. 역사

오대십국 시대 후량 때인 907년 변주가 '''개봉부'''로 승격되어 후량의 동도가 되었다.[1] 이후 후당 때인 923년에는 다시 변주로 강등되었고,[3] 후진 때인 938년에 동경으로 승격되며 다시 '''개봉부'''가 설치되었다.[4]

북송 시대에는 동경개봉부라 불렸으며, 이때 경기로에 속하게 되었다.[5] 금나라 시대에는 남경로에 속했고,[6] 1214년에는 몽골 제국의 압박으로 금나라가 이곳으로 천도하기도 하였다.[7]

원나라 때인 1288년에는 변량로로 개칭되어 하남강북등처행중서성에 속했다.[8] 명나라 때인 1368년에는 다시 '''개봉부'''로 개칭되어 하남성에 속했고,[9] 이 명칭과 소속은 청나라 시대까지 이어졌다.[10]

1913년 중화민국에 의해 개봉부는 폐지되었다.

2. 1. 후량 시대 (907년 ~ 923년)

907년(개평 원년), 주전충이 세운 후량은 변주를 "'''개봉부'''"로 승격시켜 후량의 동도로 삼았다.[1] 초기에 개봉부는 개봉현, 준의현, 진류현, 기현, 봉구현, 위씨현의 6개 현을 관할했다. 이후 정주 소속이었던 중모현과 양무현, 활주 소속이었던 산조현과 장원현, 허주 소속이었던 부구현과 언릉현, 송주 소속이었던 상읍현, 조주 소속이었던 대읍현, 진주 소속이었던 태강현 등 총 9개 현이 추가로 개봉부에 편입되었다.[2]

923년(동광 원년), 후당이 후량을 멸망시키면서 개봉부는 다시 "변주"로 강등되었고, 선무군절도사의 관할 지역으로 되돌아갔다.[3]

2. 2. 후당 시대 (923년 ~ 936년)

923년(동광 원년), 후당후량을 멸망시키자 개봉부는 "변주"로 강등되어 선무군절도사의 관할로 되돌아갔다.[3]

2. 3. 후진 시대 (936년 ~ 947년)

938년(천복 3년), 후진은 변주를 동경으로 승격시키고 "개봉부"를 설치하였다.[4]

2. 4. 북송 시대 (960년 ~ 1127년)

북송 시대에 개봉부는 "동경개봉부"가 되었다. 동경개봉부는 경기로에 속했으며, 개봉, 상부, 진류, 옹구, 봉구, 위씨, 중모, 양무, 연진, 장원, 동명, 부구, 언릉, 고성, 태강, 함평의 16개 현을 관할했다.[5]

2. 5. 금나라 시대 (1127년 ~ 1234년)

금나라 시대에 개봉부는 남경로에 속했으며, 개봉, 상부, 양무, 통허, 태강, 중모, , 언릉, 위씨, 부구, 진류, 연진, 유천, 장원, 봉구의 15개 현과 연가, 진교, 팔각, 곽교, 최교, 포전, 양무, 만승, 백사, 옥성, 마란교, 주가곡, 송루, 건웅, 의점 등을 관할했다.[6]

1214년 (정우 2년), 몽골 제국의 군사적 압박이 거세지자 금나라는 수도를 남경개봉부로 옮겼다.[7]

2. 6. 원나라 시대 (1271년 ~ 1368년)

1288년 (지원 25년), 원나라는 남경로를 '''변량로'''(汴梁路)로 개칭하고 하남강북등처행중서성에 속하게 하였다. 변량로는 1개의 록사사(錄事司)와 17개 현, 5개 주(州) 및 그 속현 21개를 관할했다.[8]

변량로의 관할 구역은 다음과 같다.[8]

구분상세
록사사1개
직할 현 (17개)개봉, 상부, 중모, 원무, 언릉, 형택, 봉구, 부구, 양무, , 연진, 란양, 통허, 위씨, 태강, 유천, 진류
속주 (5주) 및 주령현 (21개)


2. 7. 명나라 시대 (1368년 ~ 1644년)

1368년 (홍무 원년), 은 원나라의 변량로를 다시 "개봉부"로 개칭하였다. 개봉부는 하남성에 소속되었다.[9]

명나라 시대 개봉부의 관할 구역은 다음과 같다.[9]

명나라 시대 개봉부 관할 구역 (4주 30현)
구분현 목록
직할 현 (17개)상부, 진류, , 통허, 태강, 위씨, 유천, 언릉, 부구, 중모, 양무, 원무, 봉구, 연진, 란양, 의봉, 신정
진주 소속 (4개)상수, 서화, 항성, 심구
허주 소속 (4개)임영, 상성, 안성, 장갈
우주 소속 (1개)밀현
정주 소속 (4개)형양, 형택, 하음, 사수



총 4주 30현을 관할하였다.[9]

2. 8. 청나라 시대 (1644년 ~ 1912년)

시대에 개봉부는 하남성에 속했으며, 상부, 진류, , 통허, 위씨, 유천, 언릉, 중모, 란봉, 신정, 밀의 11개 현과 우주 1개 주를 관할했다.[10]

2. 9. 중화민국 시대 (1912년 ~ 1949년)

1913년, 중화민국에 의해 개봉부는 폐지되었다.

3. 관할 구역

개봉부(開封府)의 관할 구역은 여러 왕조를 거치며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다. 907년 후량은 변주를 개봉부로 승격시키고 동도로 삼았으며, 초기 6개 현에서 시작하여 총 15개 현을 관할하게 되었다.[1][2] 923년 후당이 후량을 멸망시킨 후에는 잠시 변주로 강등되었으나,[3] 938년 후진에 의해 다시 동경으로 승격되며 개봉부가 설치되었다.[4]

북송 시대에는 동경개봉부로서 경기로에 속했으며 16개 현을 관할했다.[5] 금나라 때는 남경로에 속하여 15개 현과 여러 진(鎭)을 관할했고, 1214년 몽골 제국의 압박으로 수도를 남경개봉부로 옮기기도 했다.[6][7]

1288년 원나라는 남경로를 '''변량로'''(汴梁路)로 개칭하고 하남강북등처행중서성에 소속시켰으며, 1사 17현과 5주 및 그 속현 21개를 관할하며 관할 범위가 크게 확장되었다.[8] 1368년 명나라는 변량로를 다시 개봉부로 바꾸고 하남성에 소속시켰으며, 총 4주 30개 현을 관할했다.[9] 청나라 시대에는 관할 구역이 축소되어 1주 11개 현을 다스렸다.[10]

1913년 중화민국 정부에 의해 개봉부는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3. 1. 후량

907년 (개평 원년), 주전충이 세운 후량은 변주를 '''개봉부'''(開封府)로 승격시키고 동도로 삼았다.[1] 처음 개봉부는 개봉현, 준의현, 진류현, 기현, 봉구현, 위씨현의 6개 현을 관할했다. 이후 정주의 중모현과 양무현, 활주의 산조현과 장원현, 허주의 부구현과 언릉현, 송주의 상읍현, 조주의 대읍현, 진주태강현 등 9개 현이 추가로 개봉부에 편입되었다.[2]

923년 (동광 원년), 후당이 후량을 멸망시키면서 개봉부는 다시 변주로 강등되었고, 선무군절도사의 관할 아래로 돌아갔다.[3]

3. 2. 북송

북송 시대에 개봉부는 "동경개봉부"가 되었다. 동경개봉부는 경기로에 속했으며, 개봉·상부, 진류, 옹구, 봉구, 위씨, 중모, 양무, 연진, 장원, 동명, 부구, 언릉, 고성, 태강, 함평의 16개 현을 관할했다.[5]

3. 3. 금나라

금 시대에 개봉부는 남경로에 속했으며, 개봉, 상부, 양무, 통허, 태강, 중모, , 언릉, 위씨, 부구, 진류, 연진, 유천, 장원, 봉구의 15개 현과 연가, 진교, 팔각, 곽교, 최교, 포전, 양무, 만승, 백사, 옥성, 마란교, 주가곡, 송루, 건웅, 의점 등을 관할했다.[6] 1214년(정우 2년), 몽골 제국의 압박을 받아 금나라는 수도를 남경개봉부로 옮겼다.[7]

3. 4. 원나라

1288년(지원 25년), 원나라는 남경로를 '''변량로'''(汴梁路)로 개칭하였다.[8] 변량로는 하남강북등처행중서성에 속했으며, 1개의 록사사(錄事司)와 17개의 직할 현, 그리고 5개의 속주(州)와 그에 딸린 21개 현을 관할했다.[8]

변량로의 관할 구역은 다음과 같다.[8]

구분상세 내역
직속 기관록사사 (1개)
직할 현개봉, 상부, 중모, 원무, 언릉, 형택, 봉구, 부구, 양무, , 연진, 란양, 통허, 위씨, 태강, 유천, 진류 (17개 현)
속주 및 속현정주 (관성, 형양, 사수, 하음 - 4개 현)
허주 (장사, 장갈, 안성, 상성, 임영 - 5개 현)
진주 (완구, 상수, 서화, 남돈, 항성 - 5개 현)
균주 (양적, 신정, 밀 - 3개 현)
수주 (상읍, 고성, 의봉, 절성 - 4개 현)



총 관할 규모는 1사 17현 5주 주령(州領) 21개 현이었다.[8]

3. 5. 명나라

1368년(홍무 원년), 원나라의 변량로를 "개봉부"로 개칭하고 하남성에 소속시켰다. 당시 개봉부가 관할한 행정 구역은 아래와 같다.[9]

명나라 시기 개봉부 관할 구역[9]
구분현 목록
직할 현 (17개)상부, 진류, , 통허, 태강, 위씨, 유천, 언릉, 부구, 중모, 양무, 원무, 봉구, 연진, 란양, 의봉, 신정
진주 소속 (4개 현)상수, 서화, 항성, 심구
허주 소속 (4개 현)임영, 상성, 안성, 장갈
우주 소속 (1개 현)밀현
정주 소속 (4개 현)형양, 형택, 하음, 사수



이로써 개봉부는 총 4주 30개 현을 관할하게 되었다.[9]

3. 6. 청나라

시대에 개봉부는 하남성에 속했으며, 상부, 진류, 기, 통허, 위씨, 유천, 언릉, 중모, 란봉, 신정, 밀, 우주의 1주 11개 현을 관할했다.[10]

참조

[1] 서적 旧五代史梁書太祖紀三
[2] 서적 旧五代史郡県志
[3] 서적 旧五代史唐書荘宗紀四
[4] 서적 旧五代史晋書高祖紀
[5] 서적 宋史地理志一
[6] 서적 金史地理志中
[7] 서적 金史宣宗紀上
[8] 서적 元史地理志二
[9] 서적 明史地理志三
[10] 서적 清史稿地理志九
[11] 서적 송사 권85 지리지 1 경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