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북동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하북동로는 북송과 금나라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이다. 북송 시대에는 대명부, 개덕부, 창주, 보순군, 기주, 하간부, 박주, 체주, 막주, 웅주, 패주, 덕주, 빈주, 은주, 영정군, 청주, 신안군, 보정군 등이 있었고, 금나라 시대에는 하간부, 여주, 막주, 헌주, 기주, 심주, 청주, 창주, 경주 등이 있었다. 각 지역은 다양한 현과 진을 관할했으며, 주요 도시와 특산물을 가지고 있었다.

2. 송나라 시대의 하북 행정 구역

송나라 시대 하북 지역은 여러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다. 각 행정 구역은 주(州) 또는 부(府)로 불렸으며, 그 아래에 현(縣)을 두었다. 일부 지역에는 군(軍)이 설치되기도 했다.


  • 대명부: 하북동로의 주요 행정 구역 중 하나였다.
  • 개덕부: 전연의 맹이 체결된 곳으로, 송나라요나라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푸양 시 일대에 위치했으며, 복양현(濮陽縣), 관성현(觀城縣), 임하현(臨河縣), 청풍현(淸豊縣), 위남현(衛南縣), 조성현(朝城縣), 남악현(南樂縣) 등의 현을 관할했다.[1]
  • 창주: 경성군(景城郡)이라고도 불렸으며, 창저우 시 일대에 위치했다. 청지현(淸池縣), 무태현(無棣縣), 염산현(鹽山縣), 낙릉현(樂陵縣), 남피현(南皮縣) 등의 현을 관할했다.[1]
  • 하간부: 영해군절도(瀛海軍節度)가 설치되었던 곳으로, 창저우 시 허젠 시 일대에 위치했다. 하간현(河間縣), 악수현(樂壽縣), 속성현(束城縣) 등의 현을 관할했다.[1]
  • 박주: 박평군(博平郡)이라고도 불렸으며, 랴오청 시 일대에 위치했다. 요성현(聊城縣), 고당현(高唐縣), 당읍현(堂邑縣), 박평현(博平縣) 등의 현을 관할했다.[1]
  • 체주: 낙안군(樂安郡)이라고도 불렸으며, 빈저우 시 일대에 위치했다. 염차현(厭次縣), 상하현(商河縣), 양신현(陽信縣) 등의 현을 관할했다.[1]
  • 막주: 문안군(文安郡)이라고도 불렸으며, 창저우 시 런추 시 일대에 위치했다. 임구현(任丘縣)을 관할했다.[1]
  • 웅주: 바오딩 시 슝 현 일대에 위치했으며, 귀신현(歸信縣)과 용성현(容城縣)을 관할했다.[1]
  • 패주: 랑팡 시 바저우 시 일대에 위치했으며, 문안현(文安縣)과 대성현(大城縣)을 관할했다.[1]
  • 덕주: 더저우 시 일대에 위치했으며, 안덕현(安德縣)과 평원현(平原縣)을 관할했다.[1]
  • 빈주: 발해군(渤海軍)이라고도 불렸으며, 빈저우 시 일대에 위치했다. 발해현(渤海縣)과 초안현(招安縣)을 관할했다.[1]
  • 은주: 싱타이 시 칭허 현 일대에 위치했으며, 청하현(淸河縣), 무성현(武城縣), 역정현(曆亭縣)을 관할했다.[1]
  • 영정군: 창저우 시 둥광 현, 더저우 시, 헝수이 시 푸청 현 일대에 위치했으며, 동광현(東光縣), 장릉현(將陵縣), 부성현(阜城縣)을 관할했다.[1]
  • 청주: 바오딩 시 칭 현 일대에 위치했으며, 건녕현(建寧縣)을 관할했다.[1]
  • 신안군: 바저우 시 신안진 일대에 위치했다.
  • 보정군: 바저우 시 서남쪽 일대에 위치했다.


이 외에도 보순군(保順軍) 등의 군사적 요충지가 있었다.

2. 1. 대명부(大名府)

대명부

2. 2. 개덕부(開德府)

개덕부(開德府)는 상급부로 '''전연군(澶淵郡) 진녕군절도(鎮寧軍節度)'''가 설치되었다. 1105년(숭녕 4년), '''전주(澶州)'''에 북보를 두었다가 1106년에 부로 승격되었다. 1120년(선화 2년) 보군을 파하고 하북동로에 소속시켰다. 숭녕 연간에는 31,878호 82,826명의 주민들이 살았으며, 낭유석(莨莠席), 남분(南粉)을 공납으로 바쳤다.[1]

개덕부는 전연의 맹이 체결된 곳으로, 송나라요나라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개덕부에는 7현이 있었다.[1]

개덕부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복양현濮陽縣푸양 시 푸양 현
관성현觀城縣랴오청 시 선 현 서남 관성진
임하현臨河縣허비 시 쉰 현 선당진 동
청풍현淸豊縣푸양 시 칭펑 현
위남현衛南縣푸양 시 푸양 현 서남
조성현朝城縣랴오청 시 양구 현 조성진
남악현南樂縣푸양 시 난러 현
덕청군德淸軍푸양 시 칭펑 현 서북見上


2. 2. 1. 복양현(濮陽縣)

1004년 요나라가 복양현까지 남진하여 송나라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이 요군의 대공세를 버티지 못한 송나라는 복양현에서 전연의 맹을 맺었다.[1]

2. 2. 2. 관성현(觀城縣), 임하현(臨河縣), 청풍현(淸豊縣), 위남현(衛南縣), 조성현(朝城縣), 남악현(南樂縣)

개덕부 관할의 현은 다음과 같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관성현觀城縣랴오청 시 선 현 서남 관성진1049년(황우 원년)에 복양현과 돈구현에 통폐합되었다가 3년 뒤에 복구되었다.
임하현臨河縣허비 시 쉰 현 선당진 동
청풍현淸豊縣푸양 시 칭펑 현1044년(경력 4년)에 청풍현에 덕청군 치소를 두었고 현에 군을 설치해 주에 소속시켰다. 1073년(희녕 6년)에 돈구현을 본현에 통폐합시켰다.
위남현衛南縣푸양 시 푸양 현 서남
조성현朝城縣랴오청 시 양구 현 조성진대명부에 속했으나 1105년(숭녕 4년)에 남악현과 함께 본부에 이관되었다.
남악현南樂縣푸양 시 난러 현


2. 2. 3. 덕청군(德淸軍)

德淸軍중국어은 개덕부 관할 군이었다. 1044년(경력 4년) 청풍현에 덕청군 치소를 두고 현에 군을 설치해 주에 소속시켰다.[1] 1073년(희녕 6년) 돈구현을 청풍현에 통폐합시켰다.[1]

2. 3. 창주(滄州)

창주는 상급주로 군명은 '''경성군(景城郡)'''이다. '''매해군절도(橫海軍節度)'''를 두었다. 숭녕연간 65,851호 118,218명이 살았다. 대견(大絹), 큰 버드나무로 만든 상자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1]

2. 3. 1. 청지현(淸池縣), 무태현(無棣縣), 염산현(鹽山縣), 낙릉현(樂陵縣), 남피현(南皮縣)

창주 관할 현은 5개였다.[1]

하북동로 창주 현령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청지현淸池縣창저우 시 창 현1071년(희녕 4년)에 요안현을 진으로 격하시켜 본 현에 소속시켰다. 건부채(乾符), 항고채(巷姑), 삼녀채(三女), 니고채(泥姑), 소남하오채(小南河五砦)가 있었다. 1112년(정화 2년), 항고를 해청(海淸)으로 개명하고 삼녀채를 삼하채(三河)로, 니고채를 하평채(河平)로 고쳤다.[1]
무태현無棣縣빈저우 시 우디현 상가진 일대치평 연간에 무태현의 치소에 보순군(保順軍)을 두고 현을 군사의 치소로 두면서 주에 소속시켰다.[1]
염산현鹽山縣창저우 시 황화 시 구성진[1]
낙릉현樂陵縣더저우 시 라오링 시1069년(희녕 2년), 함평진(咸平鎮)에 치소를 두었다.[1]
남피현南皮縣창저우 시 난피 현1073년(희녕 6년)에 임진현(臨津縣)을 본 현에 통폐합시켰다.[1]


2. 4. 보순군(保順軍)

후주에서 창주 무태현 남쪽 30리에 설치했다. 970년(개보 3년), 창주와 태주(棣州) 2주의 경계의 보순진과 오교진의 땅을 추가 확장했다.[1] 치평연간에 무태현의 치소에 '''보순군(保順軍)'''을 두고 현을 군사의 치소로 삼아 주에 소속시켰다.[1]

2. 5. 하간부(河間府)

하간부는 상급부로 하간군이라는 군명이 붙었으며, 영해군절도가 설치되었다. 997년(지도 3년) 고양을 순안군에 소속시켰고, 976년(태평흥국 원년) 고양현을 고양관으로 개명했다. 1048년(경력 8년) 고양관로안무사를 설치하여 영주(瀛州), 막주(莫州), 패주(貝州), 기주, 창주, 영주(永州), 정주(靜州) 보정, 건녕, 신안의 10개 주군을 관할하게 했다. 비단을 공납으로 바쳤다.[1]

영주는 본래 석경당요나라에 할양한 연운십육주 중 하나였으나, 송나라 건국 이전 후주 시영이 요나라에게서 수복했다. 송나라는 영주에 방어를 설치했고, 1108년(대관 2년) 부로 승격시키고 군명을 폐지했다. 숭녕연간에는 31,930호 60,206명이 살았다.[1]

2. 5. 1. 하간현(河間縣), 악수현(樂壽縣), 속성현(束城縣)

하간부 관할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하간현河間縣창저우 시 허젠 시희녕연간에 현 서쪽에 평로채(平虜砦)를 두었다. 경덕 2년에 숙녕성(肅寧城)으로 이름을 바꿨다.[1]
악수현樂壽縣창저우 시 셴 현지도 3년 심주에서 본주로 이관되었다. 1073년에 경성현(景城縣)을 진으로 격하시켜 본현에 통폐합했다.[1]
속성현束城縣창저우 시 허젠 시 동북 속성진(束城鎭)1073년, 진으로 격하시켜 하간현에 두었다가 1086년에 원래대로 되돌렸다.[1]


2. 6. 박주(博州)

박주는 상급주로 군명은 박평군이다. 방어가 설치되었다. 순화|순화중국어 3년(992년), 황하의 물길이 바뀌자 치소를 효무도의 서쪽으로 옮겼다. 숭녕 연간에는 46,492호 91,333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비단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1]

2. 6. 1. 요성현(聊城縣), 고당현(高唐縣), 당읍현(堂邑縣), 박평현(博平縣)

聊城縣|요성현중국어은 상급현으로 주의 치소를 두었다. 高唐縣|고당현중국어과 堂邑縣|당읍현중국어은 망급현이다. 博平縣|박평현중국어은 긴급현이다.

박주 관할 현
현급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요성현聊城縣랴오청 시주의 치소를 두었다.
고당현高唐縣랴오청 시 가오탕 현
당읍현堂邑縣랴오청 시 당읍진
박평현博平縣랴오청 시 츠핑 현 박평진(博平镇)


2. 7. 체주(棣州)

상급주로 군명은 낙안군이며 방어가 설치되었다. 961년(건륭 2년)에 단련을 설치했다가 방어로 바꾸었다. 1018년(대중상부 8년)에 양신현 경계에 있는 팔방사로 치소를 옮겼다. 숭녕연간에는 39,137호 57,234명이 살았다. 비단을 공납으로 바쳤다. 치소는 염차현에 두었다.[1]

2. 7. 1. 염차현(厭次縣), 상하현(商河縣), 양신현(陽信縣)

체주 관할 현은 다음과 같았다.[1]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염차현厭次縣빈저우 시 후이민 현
상하현商河縣지난 시 상허 현
양신현陽信縣빈저우 시 양신 현


2. 8. 막주(莫州)

막주는 원래 요나라에 속했으나, 후주가 수복하여 송나라에 편입되었다. 상급주로 군명은 문안군(文安郡)이며, 방어가 설치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14,560호, 31,992명이 살았으며, 면섬유를 공납으로 바쳤다. 1073년 장풍현을 진으로 격하하고 막현을 임구현으로 통폐합시켰으나, 1087년(원우 2년)에 막현을 복구했다가 다시 진으로 격하했다. 1현을 두었다.[1]

2. 8. 1. 임구현(任丘縣)

석경당요나라에게 연운 16주를 할양했지만, 이후 송나라가 수복하였다. 1073년 장풍현을 진으로 격하하고 막현을 임구현으로 통합했다. 1087년(원우 2년), 막현을 복구했다가 다시 진으로 격하했다. 정화 3년, 마촌채를 정안채(定安砦)로, 왕가채를 정평채(定平砦)로 개칭했다.[1]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임구현任丘縣창저우 시 런추 시마촌채(馬村砦)와 왕가채(王家砦)가 있었다.

[1]

2. 9. 웅주(雄州)

중급주로 방어를 두었다. 당나라 탁주의 와교관(瓦橋關)이 있었다. 석경당거란연운십육주를 할양할 때 같이 거란에 넘어갔다가 귀신현이 수복하였다. 1113년(정화 3년) 역양군이라는 군명이 붙었다. 숭녕연간에는 13,013호 52,967명이 살았다. 고(槹)를 공납으로 바쳤다.[1]

2. 9. 1. 귀신현(歸信縣), 용성현(容城縣)

석경당거란연운십육주를 할양할 때 같이 거란에 넘어갔다가 귀신현(歸信縣)이 수복되었다. 1113년(정화 3년)에 역양군이라는 군명이 붙었다. 2현을 두었다.[1]

웅주 관할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귀신현歸信縣바오딩 시 슝 현장가채(張家砦), 목장채(木場砦), 삼교채(三橋砦), 쌍유채(雙柳砦), 대와채(大渦砦), 칠고환채(七姑桓砦), 홍성채(紅城砦), 신환채(新桓砦)의 8개의 채가 있다.
용성현容城縣963년(건륭 4년)에 복구되었으나 치소는 귀신현과 복구하였다.


2. 10. 패주(霸州)

패주는 중급주로 방어를 두었다. 당나라가 유주 영청현에 익진관을 설치했고, 후주가 패주를 설치하면서 막주의 문안현과 영주의 목성현을 편입시켰다. 정화 3년에 영청군이라는 군명을 붙였다. 숭녕연간에는 15,918호 21,516명이 살았으며,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치소는 랑팡 시 바저우 시에 있었다.[1]

2. 10. 1. 문안현(文安縣), 대성현(大城縣)

후주에서 패주를 설치하고 막주의 문안현과 영주의 목성현을 편입시켰다. 패주의 속현은 2개였다.[1]

패주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문안현文安縣랑팡 시 원안 현1035년(경우 2년) 영청현을 통폐합했다. 유가와채(劉家渦砦), 조어채(刁魚砦), 막금구채(莫金口砦), 아옹채(阿翁砦), 안두채(雁頭砦), 여양채(黎陽砦), 희와채(喜渦砦), 녹각채(鹿角砦)의 8개 채를 두었다. 원풍 4년, 녹각채를 신안군에 이관했다. 정화 3년, 유가와채를 안평채(安平)로, 아옹채를 인효(仁孝)채, 안두채를 화령(和寧)채, 희와채를 희안(喜安)채로 개칭했다.[1]
대성현大城縣랑팡 시 다청 현[1]


2. 11. 덕주(德州)

덕주는 상급주로 평원군 군사(軍事)가 설치되었다. 1035년 안층현이 장릉현에, 1073년에는 덕평현이 안덕현에 각각 통폐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44,591호 82,025명이 살았으며,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2개의 현을 두었다.[1]

2. 11. 1. 안덕현(安德縣), 평원현(平原縣)

안덕현(安德縣)과 평원현(平原縣)은 상급주인 덕주의 관할 현이었다. 안덕현은 더저우 시 링청 구에, 평원현은 더저우 시 핑위안 현에 있었다.[1]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안덕현安德縣더저우 시 링청 구
평원현平原縣더저우 시 핑위안 현


2. 12. 빈주(濱州)

상급주로 발해군 군사가 설치되었다. 대관 2년에 발해군이란 군명을 받았다. 1012년(대중상부 5년)에 포태현(蒲台縣)을 폐지했다. 숭녕연간에는 49,991호 114,984명이 살았으며,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2개의 현을 두었다.[1]

2. 12. 1. 발해현(渤海縣), 초안현(招安縣)

빈주 관할 현으로 빈성진(滨城镇)에 발해현(渤海縣)이, 고성진(古城镇)에 초안현(招安縣)이 있었다.[1]

현 정보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발해현渤海縣빈저우 시 빈성진(滨城镇) 
초안현招安縣빈저우 시 잔화 구 고성진(古城镇)경력 3년에 초안진을 현으로 승격시켰다. 희녕 6년에 진으로 다시 격하하고 발해현에 이관시켰다. 원풍 2년에 현으로 복구했다.


2. 13. 은주(恩州)

은주는 하급주로 청하군 군사가 설치되었다. 당나라 때 패주(貝州)가 설치되었고, 후진은 영청군절도를 설치했다. 후주는 방어를 설치했다. 송나라가 건국된 후 절도를 복구했다. 1048년(경력 8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주명을 바꿨다. 견직물과 흰담요(白毯)를 공납으로 바쳤다. 3개의 현을 두었다.

은주 관할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청하현淸河縣싱타이 시 칭허 현
무성현武城縣더저우 시 우청 현
역정현曆亭縣더저우 시 우청 현 동북


2. 13. 1. 청하현(淸河縣), 무성현(武城縣), 역정현(曆亭縣)

은주 관할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청하현淸河縣싱타이 시 칭허 현988년(단공 원년), 치소를 영녕진에 두었다. 순화 5년에 지금의 위치로 치소를 옮겼다. 희녕 4년에 청양현을 통폐합했다.[1]
무성현武城縣더저우 시 우청 현[1]
역정현曆亭縣더저우 시 우청 현 동북지화 원년에 장남현을 통폐합했다.[1]


2. 14. 영정군(永靜軍)

동하급주로 당나라에선 경주를 두었다. 981년, 군을 대명직할에 두었다. 순화 원년에 기주 부성현(阜城縣)을 내속했다. 경덕 원년, 군명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숭녕연간에는 34,193호 39,022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1]

영정군 관할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둥광 현東光縣창저우 시 둥광 현
장릉현將陵縣더저우 시
푸청 현阜城縣헝수이 시 푸청 현


2. 14. 1. 동광현(東光縣), 장릉현(將陵縣), 부성현(阜城縣)

영정군 관할 현은 다음과 같다.[1]

영정군 관할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둥광 현東光縣창저우 시 둥광 현 
장릉현將陵縣더저우 시치소를 장하진에 두었다.
푸청 현阜城縣헝수이 시 푸청 현嘉祐|가우중국어 8년(1063년), 진으로 격하해 둥광 현에 통폐합시켰다가 희녕 10년에 현으로 복구했다.


2. 15. 청주(淸州)

청주(淸州)는 하급주로, 1113년에 설치된 건녕군(乾寧軍)이 그 기원이다. 석경당거란에 연운 16주를 할양하면서 거란에 속했다가, 후주가 이 지역을 수복하고 태평흥국 7년에 군을 설치하였다. 대관 2년에 주(州)로 승격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6,619호 12,078명이 살았으며,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조대채(釣台), 독류북채(獨流北), 독류동채(獨流東), 부성채(當城), 사와채(沙渦), 백만채(百萬)의 6개 채가 있었다.[1]

2. 15. 1. 건녕현(建寧縣)

건녕현은 본래 1113년(정화 3년)에 설치된 건녕군(乾寧軍)이었다. 유주 노태군(蘆台軍)의 땅이었으나, 석경당거란에 연운 16주를 할양할 때 함께 거란에 속하게 되었다. 후주가 이 지역을 수복하고 3개의 관을 설치하면서 영안현(永安縣)을 설치하여 창주에 소속시켰다. 태평흥국 7년 군을 설치하고 현 이름을 건녕현으로 바꾸었다. 대관 2년에 주(州)로 승격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6,619호, 12,078명의 주민이 살았으며,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1개의 현을 두었고, 조대채(釣台), 독류북채(獨流北), 독류동채(獨流東), 부성채(當城), 사와채(沙渦), 백만채(百萬)의 6개 채가 있었다.[1]

건녕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건녕현建寧縣바오딩 시 칭 현1073년(희녕 6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원부 2년에 복구되었다. 숭녕 3년에 폐지되었으나 정화 5년에 다시 복구되었다.


2. 16. 신안군(信安軍)

981년(태평흥국 6년), 패주의 어구채(淤口砦)에 파로군을 두었다가 경덕 2년에 신안군으로 개칭되었다. 숭녕연간에는 715호 1,437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1081년(원풍 4년)에 패주에서 내속된 녹각채, 주하채(周河), 조어채, 전가채(田家), 낭성채(狼城), 불성와채(佛城渦), 이상채(李詳)의 7개 채를 두었다. 지금의 패주시 신안진에 치소를 두었다.

2. 17. 보정군(保定軍)

981년(태평흥국 6년) 탁주(涿州) 신진(新鎭)에 평융군(平戎軍)이 설치되었다. 경덕 원년에 보정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경우 원년에 패주(覇州) 문안현(文安縣)과 대성현(大城縣)의 2개 현 500호를 보정군에 내속시켰다. 1125년(선화 7년) 보정군이 현으로 격하되어 막주에 소속되었고, 현사(縣司)에게 군사(軍事) 업무가 추가되었다. 숭녕연간에는 1,029호 2,484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깁직물(絁)을 공납으로 바쳤다. 도화채(桃花)와 부모채(父母) 2개의 채가 있었는데, 이 중 부모채는 1113년(정화 3년)에 안녕채(安寧)로 개명되었다. 치소는 지금의 바저우 시 서남쪽에 있었다.[1]

3. 금나라 시대의 하북 행정 구역

금나라대명부에 대명부로를 신설했기 때문에 하북동로의 중심지를 하간부로 옮겼다. 하간부, 여주, 막주, 헌주, 심주, 청주, 창주, 경주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 '''하간부(河間府)'''는 꿰메지 않은 면, 소금, 골풀로 만든 돗자리, 마린화(馬藺花), 향부자, 전하해(錢蝦蟹), 말린 물고기 등을 생산했다.[1] 1129년(금 태종 천회 7년) 총관부가 신설되었고 해릉양왕 말년인 정륭연간에 차부(次府)가 더해졌으며 영주(瀛州)가 설치되었다. 영해군절도사(瀛海軍節度使)가 총관을 겸임했고 동시에 전운사(轉運司)가 파견되었다가 후에 총관부가 복구되었다.[1]

  • '''여주(蠡州)'''는 정강의 변 직후에는 송나라가 설치한 영녕군을 그대로 유지했으나 1129년 영주(寧州) 박야군(博野郡), 박야군(博野軍)을 설치했다. 1151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하급주로 자사가 민정을 담당했다.

  • '''헌주(獻州)'''는 하급주로 자사가 민정을 담당했다. 1129년 악수현이 수주(壽州)로 분리되었다가 1151년 헌주로 개명되었다.

  • '''심주(深州)'''는 상급주로 자사가 민정을 맡았다. 요양군(饒陽郡) 방어를 반영하여 금나라 초에 군(郡)으로 분리(刺)했다.

  • '''청주(淸州)'''는 금나라 초기에는 송나라 건녕군을 그대로 설치했으나 1129년 방어를 파견했다.

  • '''창주(滄州)'''는 상급주로 송과 같이 매해군절도가 파견되었다.[1]

  • '''경주(景州)'''는 상급주로 자사가 파견되었다. 금나라 초 영정군이 경주로 승격되었고 1154년 본로에 내속되었다. 대안연간에 관주(觀州)로 개명되었다가 금 장종의 묘호로 인한 피휘 문제로 경주로 다시 개명했다.[1]

3. 1. 하간부

금나라대명부에 대명부로를 신설했기 때문에 하북동로의 중심지를 하간부로 옮겼다. 꿰메지 않은 면, 소금, 골풀로 만든 돗자리, 마린화(馬藺花), 향부자, 전하해(錢蝦蟹), 말린 물고기 등이 생산되었다.[1]

3. 1. 1. 하간의(河間倚), 숙녕현(肅寧縣)

1129년(금 태종 천회 7년) 총관부가 신설되었고 해릉양왕 말년인 정륭연간에 차부(次府)가 더해졌으며 영주(瀛州)가 설치되었다. 영해군절도사(瀛海軍節度使)가 총관을 겸임했고 동시에 전운사(轉運司)가 파견되었다가 후에 총관부가 복구되었다.[1] 하간의(河間倚), 숙녕현(肅寧縣) 2현과 3진을 합쳐 31,691호를 관할했다.[1]

현명한자속진비고
하간의河間倚속성진(束城鎭), 영녕진(永寗鎭), 북림진(北林鎭)
숙녕현肅寧縣


3. 2. 여주(蠡州)

정강의 변 직후에는 송나라가 설치한 영녕군을 그대로 유지했으나 1129년 영주(寧州) 박야군(博野郡), 박야군(博野軍)을 설치했다. 1151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하급주로 자사가 민정을 담당했으며, 1현 1진 29,997호를 관할했다.

현명
한자속진비고
박야의博野倚신교진(新橋鎭)사하(沙河), 당하(唐河)가 있다.


3. 2. 1. 박야의(博野倚)

여주 관할 현이었다. 정강의 변 직후에는 송나라가 설치한 영녕군을 그대로 유지했으나 1129년 영주(寧州) 박야군(博野郡), 박야군(博野軍)을 설치했다. 1151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29,997호 1현 1진을 관할했다.

현명한자속진비고
박야의博野倚신교진(新橋鎭)사하(沙河), 당하(唐河)가 있다.


3. 3. 막주

하급주로 자사가 민정을 담당했다. 1214년(금 선종 정우 2년) 막정현(莫亭縣)으로 격하되었고[1], 22,933호 1현 1진을 거느렸다.

3. 3. 1. 임구현(任丘縣)

1214년(금 선종) 막정현(莫亭縣)으로 격하되기 이전 막주의 속현이었다. 1개의 진을 속진으로 두었다.

임구현
현명한자속진비고
임구현任丘縣장풍진(長豐鎭)


3. 4. 헌주(獻州)

헌주는 하급주로 자사가 민정을 담당했다. 1129년 악수현이 수주(壽州)로 분리되었다가 1151년 헌주로 개명되었으며, 50,632호를 관할했다.

3. 4. 1. 악수의(樂壽倚), 교하현(交河縣)

1129년 악수현이 수주(壽州)로 분리되었다가 1151년 헌주로 개명되었다.[1] 헌주는 2현 10진을 관할했다.[1]

현명한자대략적 위치속진비고
악수의樂壽倚도해하(徒駭河), 방연(房淵), 한나라 헌왕 유덕(劉德)의 묘가 있다.
교하현交河縣창저우 시 보터우시 교하진경성진(景城鎭), 남대수진(南大樹鎭), 유해진(劉解鎭), 괴가진(槐家鎭), 참군진(參軍鎭), 관하진(貫河鎭), 북망진(北望鎭), 래탄진(夾灘鎭), 책하진(策河鎭), 사와진(沙渦鎭)


3. 5. 심주

상급주로 자사가 민정을 맡았다. 요양군(饒陽郡) 방어를 반영하여 금나라 초에 군(郡)으로 분리(刺)했다. 56,340호 5현 1진을 거느렸다.

심주 관할 현 요약
현명한자속진비고
정안의靜安倚하박진(下博鎭)형장수, 대륙택
속록현束鹿縣수운 물자창고, 형장수, 호타하(滹沱河)
무강현武强縣형장수, 무강천(武强泉)
요양현饒陽縣호타하(滹沱河)
안평현安平縣사수(沙水), 호타하(滹沱河)


3. 5. 1. 정안의(靜安倚), 속록현(束鹿縣), 무강현(武强縣), 요양현(饒陽縣), 안평현(安平縣)

정안의(靜安倚)는 하박진(下博鎭)을 속진으로 두었으며 형장수(衡漳水)와 대륙택(大陸澤)이 있었다. 속록현(束鹿縣)에는 수운으로 이용되던 물자창고가 있었으며, 형장수와 호타하(滹沱河)가 흘렀다. 무강현(武强縣)에는 형장수와 무강천(武强泉)이 있었다. 요양현(饒陽縣)에는 호타하가 흘렀다. 안평현(安平縣)에는 사수(沙水)와 호타하가 흘렀다.[1]

심주 관할 현
현명한자속진비고
정안의靜安倚하박진(下博鎭)형장수, 대륙택
속록현束鹿縣수운 물자창고, 형장수, 호타하(滹沱河)
무강현武强縣형장수, 무강천(武强泉)
요양현饒陽縣호타하(滹沱河)
안평현安平縣사수(沙水), 호타하(滹沱河)


3. 6. 청주

금나라 초기에는 송나라 건녕군을 그대로 설치했으나 1129년 방어를 파견했다. 47,875호 3현 1진을 관할했다. 청주가 관할하는 현은 아래 표와 같다.

청주 관할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
회천현會川縣창저우 시 칭 현
흥제현興濟縣창저우 시 창 현 흥제진
정해현靜海縣톈진시 징하이 구


3. 6. 1. 회천현(會川縣), 흥제현(興濟縣), 정해현(靜海縣)

청주 관할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회천현會川縣창저우 시 칭 현1153년(해릉양왕 정원 원년) 송나라 건녕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 수운창고와 범교진(範橋鎭)이 있었다. [1]
흥제현興濟縣창저우 시 창 현 흥제진1166년(금 세종 대정 6년) 본로로 내속.[1]
정해현靜海縣톈진시 징하이 구1193년(금 장종 명창 4년) 청주 와자구(窩子口)에서 분리신설.[1]


3. 7. 창주

창주는 상급주로 송과 같이 매해군절도가 파견되었다. 5현 11진을 거느렸으며, 인구는 104,774호였다.[1]

3. 7. 1. 청지현(淸池縣), 무태현(無棣縣), 염산현(鹽山縣), 남피현(南皮縣), 낙릉현(樂陵縣)

창주 관할 현은 다음과 같다.[1]

창주 관할 현
현명한자속진비고
청지현淸池縣장로진(長蘆鎭), 요안진(饒安鎭), 건부진(乾符鎭), 곽탄진(郭疃鎭), 곽교진(郭橋鎭)장로진을 제외한 나머지 진은 모두 폐지되었다. 부양수(浮陽水), 도해하가 흐른다.
무태현無棣縣분수진(分水鎭)노오산(老烏山), 격진하(鬲津河)가 있다.
염산현鹽山縣해풍진(海豐鎭), 해윤진(海潤鎭), 이풍진(利豐鎭), 박두진(撲頭鎭)이풍진(利豐鎭)과 박두진(撲頭鎭)은 후에 증설되었다. 염산(鹽山), 부수(浮水)가 있다.
남피현南皮縣마명진(馬明鎭)대대산(大臺山), 소대산(小臺山), 영제거(永濟渠), 결하(潔河)가 있다.
낙릉현樂陵縣회녕하진(會寧河鎭), 영리진(永利鎭), 동중진(東中鎭)회녕하진(會寧河鎭), 영리진(永利鎭), 동중진(東中鎭)은 모두 폐지되었다. 격진하, 독마하(篤馬河), 구반하(鉤盤河)가 있다.


3. 8. 경주(景州)

상급주로 자사가 파견되었다. 금나라 초 영정군이 경주로 승격되었고 1154년 본로에 내속되었다. 대안연간에 관주(觀州)로 개명되었다가 금 장종의 묘호로 인한 피휘 문제로 경주로 다시 개명했다.[1]

3. 8. 1. 동광의(東光倚), 부성현(阜城縣), 장릉현(將陵縣), 오교현(吳橋縣), 수현(蓚縣), 영진현(寧津縣)

금나라 초 영정군을 경주로 승격시켰고 1154년 본로로 내속되었다. 대안연간에 관주(觀州)로 개명되었다가 금 장종의 묘호로 인한 피휘문제로 경주로 개명했다. 65,828호 6현 4진을 관할했다.[1]

경주 관할 현
현명한자속진비고
동광의東光倚건교진(建橋鎭)영제거, 장하가 흐른다. 수운창고가 있었다.
부성현阜城縣형수, 장수하가 흘렀다.
장릉현將陵縣수운창고가 있었다. 영제거, 구반하가 있었다.
오교현吳橋縣영제거가 있다.
수현蓚縣장하, 수시(蓚市)가 있다.
영진현寧津縣서보안진(西保安鎭), 광평진(廣平鎭), 회진진(會津鎭)


참조

[1] 서적 《송사》 권86 지리지 2 하북로-동 https://zh.wikisourc[...]
[2] 서적 《금사》 권25 지리지 中 하북동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