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방송은 1997년 12월 2일 개국한 경기도 지역의 라디오 방송국이었다. 2020년 2월 25일 폐업을 결정하고, 3월 30일 방송을 종료했다. 광교산 송신소를 통해 수도권 지역에 방송을 송출했으며, 뉴스, 교통 정보, 음악 프로그램 등을 편성했다. 폐업 과정에서 경영진의 문재인 정부 비판 발언, 노사 분쟁, 재정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대한민국 방송 최초로 자진 폐업한 사례로 기록되었다. 폐업 이후 주파수는 OBS 라디오로 이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폐지된 라디오 방송국 - 풍정라디오
풍정라디오는 2018년 3월 개국하여 시사, 문화, 예술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었으나 공정성 및 정치적 편향성 논란으로 채널 사용 허가를 받지 못해 2010년과 2020년에 두 번 폐국된 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 1997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KNN
KNN은 1995년에 개국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과 경상남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민영방송이며, TV 방송과 KNN 파워FM, KNN 러브FM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고, KNN타워를 신사옥으로 사용하며 지역밀착형 뉴스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1997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KNN 파워FM
KNN 파워FM은 부산, 경상남도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는 KNN의 라디오 채널로, 1997년 개국하여 대중음악 채널로 운영되며 여러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 폐국된 라디오 채널 - 동양방송
동양방송은 삼성의 투자로 개국한 라디오서울을 모태로, 라디오와 TV 방송국을 통합하여 운영되었던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사였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KBS에 강제 통폐합되었다. - 폐국된 라디오 채널 - 동아방송
동아방송은 1963년 동아일보 자회사로 개국하여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언론통폐합으로 KBS에 강제 통폐합되어 폐국 후 주파수는 SBS 러브FM에 이관되었으며, 동아일보는 채널A를 통해 방송에 재진출했다.
경기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국어 명칭 | 경기방송 |
한자 명칭 | 京畿放送 |
영어 명칭 | Gyeonggi Broadcasting Corporation |
로마자 표기 | Gyeonggi Bangsong |
약칭 | KFM |
구분 | 민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라디오 |
창립일 | 1997년 1월 15일 |
개국일 | 1997년 12월 2일 |
폐국일 | 2020년 3월 30일 |
이후 | OBS 라디오 |
본사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영로345번길 111 (영통3동 961-17) |
사장 | 정수열 (제작부문 사장), 유연채 (보도부문 사장) |
웹사이트 | 경기방송 |
![]() | |
시장 정보 | |
자본금 | 5,199,000,000원 (2008년) |
매출액 | 9,610,000,000원 (2008년) |
직원 수 | 46명 (2008년) |
2. 연혁
1997년 12월 2일 경기방송이 개국하여 2020년 3월 30일 내부 문제로 폐국하였다.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를 방송 서비스 지역으로 하는 독립 수도권 민영 라디오 방송국이었다. "하루의 행복을 여는 수도권의 중심"을 캐치프레이즈로 하고 있었다.
2. 1. 1990년대
1997년 12월 2일 경기방송(京畿放送)이 FM 99.9㎒(HLDS-FM)로 개국하였다.[1] 1999년 6월 24일에는 출력을 3㎾에서 5㎾로 증강하였다.[2]2. 2. 2000년대
- 2000년 3월 14일: 행정자치부 지정 재난방송사로 선정되었다.[1]
- 2001년 5월 17일: 일본 오카야마 FM 방송과 제휴를 맺었다.[2]
- 2003년 12월 22일: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3]
- 2006년 12월 14일: 연변인민방송과 이원방송 협약을 체결하였다.[4]
- 2007년 3월 6일: 지상파 DMB 채널 '''KDMB'''를 개국하였다.[5]
- 2007년 3월 30일: 광교산 송신소 탑을 30m에서 100m로 증설하였다.[6]
- 2009년 12월: 지상파 DMB 채널 '''KDMB''' 방송을 중단하였다.[7]
2. 3. 2010년대
- 2011년 12월 : 경기 월롱산 FM 95.5㎒ 방송보조국 허가[1]
- 2012년 9월 15일 : 경기 월롱산 FM 95.5㎒ 방송보조국 개국[1]
- 2014년 9월 : 경기 의정부시청 FM 100.7㎒ 방송보조국 허가[1]
- 2016년 2월 25일 : 경기 의정부시청 FM 100.7㎒ 방송보조국 개국[1]
- 2017년 5월 17일 : JDB 엔터테인먼트와 MOU 체결[1]
- 2017년 7월 27일 : 베트남 국영방송국 VOV와 협력 사업[1]
- 2017년 12월 21일 : 베스티안 화상후원재단과 업무협약 채결[1]
2. 4. 2020년대
2020년 2월 25일: 경기방송 이사회에서 방송 폐업을 결정했다.[3]2020년 3월 30일: 방송 정파 및 폐국. 주파수는 2023년에 OBS 라디오로 이관되었다.
2020년 2월 20일, 경기방송은 긴급 이사회를 열어 방송 허가 면허를 반납하고 폐업하기로 결정했다. 이사회는 폐업 이유로 노사 간 분쟁, 매출 감소, 방송통신위원회의 경영 간섭을 제시했다. 갑작스러운 폐업 결정에 방송통신위원회는 2월 25일 “많은 청취자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경기방송 측에 방송 허가 면허 유지·갱신을 요청했지만, 경기방송 측은 폐업 의지를 굽히지 않았고, 긴급 이사회를 다시 열어 만장일치로 폐업을 최종 결정했다.
2020년 3월 6일, 경기방송은 이사회 폐업 결의에 따라 전 직원에게 희망퇴직을 권고했다. 직원들은 “2020년 3월 16일 주주총회에서 폐업 결의가 있더라도 모든 직원의 고용은 유지·보장되어야 하며 방송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2020년 3월 16일, 주주총회에서 폐국, 지상파 방송 허가 면허 반납, 임대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의 폐업이 확정되었다. 이후 경기방송 직원들은 무급으로 3월 29일까지 정상적으로 방송을 진행했지만, 주주총회 결의 14일 후인 2020년 3월 30일 0시에 방송이 종료되었다. 애국가 연주는 없었다. 경기방송은 언론 통폐합 이후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면허 갱신을 거부당하고 폐업된 경인방송 지상파 TV에 이어 두 번째로 지상파 방송을 중단한 사례가 되었다. 또한 지상파 라디오 방송국 중 최초로 방송이 종료되었으며, 한국 방송 역사상 최초로 자발적 폐업을 한 방송국이 되었다.
일각에서는 폐국 배경으로 당시 경기방송 본부장의 문재인 정권 비판 발언이 보도된 점을 들어 정부 압력으로 갑작스러운 폐국에 몰렸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
경기방송 폐업 및 전파 중단 이후, 유튜브에서 평일과 주말 방송 담당 DJ와 프로듀서들이 "999채널"을 개설, 매주 목요일 오후 6시에 유튜브 라이브 채팅을 활용한 쌍방향 방송 "응답하라 999"를 시작했다.
이후, 방송통신위원회는 2022년 5월 17일 전체 회의를 열고 OBS경인TV를 새로운 사업자로 선정했으며, 2023년 3월 30일 OBS 라디오가 개국하여 현재에 이른다.
3. 방송 송출 시설
경기방송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광교산에 송신소가 있으며, 여기서 FM 99.9 MHz, 5kW 출력으로 방송을 송출한다.[4]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 월롱산과 의정부시 의정부동 의정부시청에 중계소가 있으며, 각각 FM 95.5 MHz, FM 100.7 MHz, 90W 출력으로 송출한다.[4]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
광교산 송신소 | FM 99.9㎒ | 5kW | HLDS-FM | 경기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산52 |
월롱산 중계소 | FM 95.5㎒ | 90W | 경기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 산126-2 | |
의정부시 중계소 | FM 100.7㎒ | 90W | 경기 의정부시 의정부동 326-2 (의정부시청) |
4. 방송 프로그램
경기방송은 '''2020년 3월 30일 폐국 기준'''으로 평일과 주말 프로그램을 다르게 편성했다. 평일에는 뉴스, 시사, 음악, 오락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방송되었고, 주말에는 평일 프로그램 재방송과 주말 전용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 1. 평일
다음은 경기방송의 2020년 3월 30일 폐국 기준 평일 프로그램 목록이다.- 05:00 모닝팝
- 06:00 굿모닝 코리아
- 08:00 KFM 뉴스플러스
- 08:30 KFM 모닝와이드
- 09:00 조조할인
- 10:00 배형진의 음악풍경 (재방송 02:00)
- 11:30 돈키오테 (재방송 03:30)
- 12:00 어우야, 미키광수입니다
- 14:00 오늘의 문제, 김경식입니다
- 16:00 팝스 콘서트 (재방송 00:00)
- 18:00 유연채의 시사공감
- 20:00 내 마음의 수채화
- 22:05 여우야, 서린입니다
- 04:00 장주영의 가요 1번지
4. 2. 주말
경기방송은 2020년 3월 30일에 폐국되었다. 다음은 폐국 당시 주말 프로그램 목록이다.시간 | 프로그램 |
---|---|
05:00 | 모닝팝 |
06:00 | 굿모닝 코리아 |
08:00 | 김진이의 옴부즈맨 라디오 |
08:30 | 김호중의 에듀챔프 |
09:00 | 조조할인 |
10:00 | 달리는 라디오, 허책입니다 (재방송) |
12:00 | KFM 정오종합뉴스 |
12:10 | 양정모의 뮤직하이웨이 |
14:05 | 김동혁의 골든박스 탑텐 |
16:00 | 팝스 콘서트 (재방송) |
18:00 | KFM 6시 종합뉴스 |
18:10 | 최진의 음악충전 |
20:00 | 내 마음의 수채화 |
22:05 | 이세나의 8090 콘서트 |
00:00 | 음악철도 999 |
02:00 | 달리는 라디오, 허책입니다 (재방송) |
04:00 | 장주영의 가요 1번지 |
5. 교통정보
수도권의 교통 상황, 고속도로와 국도 비교, 우회 정보를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제공한다.
6. 임직원
직책 | 이름 | 담당 프로그램 |
---|---|---|
편성제작팀장 | 노광준 | <뮤직브런치>, <에듀챔프>, <더 로망스>, <조조할인> |
편성제작팀 부장 | 소영선 | <시사999>, <하이-큐>, <아이 마음 연구소>, <내 마음의 수채화> |
편성제작팀 | 김현아 | <시사999>, <뮤직 하이웨이>, <교통정보>, <음악충전>, <8090 콘서트> |
배형진 | <음악풍경>, <나만 듣고싶은 라디오>, <여행을 떠나요>, <신짜오 베트남>, <굿모닝코리아> | |
최미근 | <오늘의 문제 김경식입니다>, <골든박스 탑텐>, <아침종합뉴스>, <클릭! 정보와이드> (안동MBC에서 이직) | |
장주영 | ||
김예령 (현 국민의힘 대변인) | 1998년~2003년 "새아침을 열어요" 진행 및 연출 |
6. 1. 라디오 PD
- 노광준: 편성제작팀장. <뮤직브런치>, <에듀챔프>, <더 로망스>, <조조할인> 제작.[1]
- 소영선: 편성제작팀 부장. <시사999>, <하이-큐>, <아이 마음 연구소>, <내 마음의 수채화> 제작.[1]
- 김현아: 편성제작팀. 주중 교통정보 총 책임자. <시사999>, <뮤직 하이웨이>, <교통정보>, <음악충전>, <8090 콘서트> 제작.[1]
- 배형진: <음악풍경>, <나만 듣고싶은 라디오>, <여행을 떠나요>, <신짜오 베트남>, <굿모닝코리아> 제작.[1]
- 최미근: 안동MBC에서 이직. <오늘의 문제 김경식입니다>, <골든박스 탑텐>, <아침종합뉴스>, <클릭! 정보와이드> 제작.[1]
- 장주영:
, <바운스 바운스>, <가요 1번지>, <어우야>, <달리는 라디오> 제작.[1] - 김예령(현 국민의힘 대변인): 1998년~2003년 "새아침을 열어요" 진행 및 연출.[1]
6. 2. 교통 리포터
소속 | 이름 |
---|---|
한국도로공사 | 정지정, 이승미, 조중민, 전은주 |
경기도교통정보센터 | 김년경, 이지연, 최솔지, 나미향 |
6. 3. 편성제작부 아나운서
- 유주현: 1997년~2013년 <소영선 유주현의 사통팔달>, 2010년~2013년 <덕이와 현이의 주말 사통팔달>, 2013년~2015년 <평생학습관>, 2018년~2020년 <아이 마음 연구소> 진행. 1994년~1997년 KBS 2라디오 교통정보센터 리포터 활동.[1]
- 주혜경: 2016년~2017년
, 2016년~2020년 <굿모닝 코리아> 진행. 전주MBC에서 이직.[1] - 이유나 (팀장): 2005년~2012년 <웰빙 투데이>, <행복한 90분>, 2013년 <이유나의 공감>, 2014년~2015년 <오늘밤 이유나입니다>, 2017년~2020년 <클릭! 정보와이드>, 2018년~2019년 <이유나의 나만 듣고싶은 라디오>, 2019년 <주말 콘서트 8090>, 2019년~2020년 <이유나의 팝스콘서트>, <저녁종합뉴스> 진행.[1]
6. 4. 보도부 아나운서
- 김혜미: 2010~2013년 <인천의 발견>, 2016~2019년 <아침의 멜로디>, 2019~2020년 <내 마음의 수채화> 진행.
- 나정훈 (前 한국도로공사 교통리포터): 2011~2012년 <반승원의 오후의 데이트>, 2013년 <소영선 유주현의 사통팔달>, 2016년 <평생학습관>, 2017~2018년 <새벽다방>, 2019~2020년 <조조할인> (주말) 진행.
- 김혜진 (前 UBC 아나운서): 2015~2016년 <한밤나라>, 2016~2017년 <안전운전하세요>, 2017~2020년 <달려라 경기>, <정시뉴스>, <정오종합뉴스>, <6시종합뉴스> (주말) 진행.
6. 5. 공채 PD/DJ
이름 | 구분 | 입사 년도 | 퇴사 년도 | 주요 프로그램 |
---|---|---|---|---|
이세나 | PD | 1997년 | 2002년, 2020년 | "세나의 깊은밤 그대와 함께", "이세나의 감성터치", "이세나의 8090 콘서트" |
반승원 | PD | 1997년 | 2019년 | "반승원의 오후의 데이트", "반승원의 해피타임", "반승원의 아침의 멜로디", "반승원의 뮤직브런치", "반승원의 매일 그대와", "팝스 콘서트" |
김예령 (국민의힘 대변인) | PD | 1998년 | 2003년 | "새아침을 열어요" |
김미낭 | PD | 1998년 | 2016년 | "행복한 90분", "김미낭의 해피타임", "음악공간", "김미낭의 아침의 멜로디" |
김동혁 | DJ | 2005년 | 2008년, 2020년 | "김동혁의 정보특급", "김동혁의 골든박스 탑텐"(주말) |
최진 | DJ | 2013년 | 2020년 | "최진의 여행을 떠나요", "최진의 음악충전"(주말) |
장벽진 | DJ | 2013년 | 2019년 | "장벽진의 주말 해피타임", "장벽진의 바운스 바운스" |
김란아 | DJ | 2017년 | 2020년 | "김란아의 스윗뮤직", "내 마음의 수채화" (주말) |
김나래 | DJ | 2020년 | 2020년 | "팝스콘서트 (주말) |
신채이 | DJ | 2016년 | 2020년 | "하이큐", "굿모닝 코리아" (주말) |
6. 6. 방송작가
프로그램명 | 작가 |
---|---|
조조할인 | 이현경 |
굿모닝 코리아 | 권혜원 |
아침의 멜로디 | 강연주 |
내 마음의 수채화 | 손지애 |
오늘의 문제 김경식입니다 | 권혜정, 유정혜 |
바운스 바운스 | 김혜림 |
골든박스 탑텐 | 이보나 |
반승원의 매일 그대와 | 우영경, 박상미 |
시사999 | 양희선, 전세희 |
음악풍경 | 신진란 |
8090 콘서트 | 허윤선 |
감성터치 | 이세나 |
6. 7. 전직 아나운서
- 유주현: 1994~1997년 KBS 제2라디오 교통정보센터 리포터, 1997~2013년 <소영선 유주현의 사통팔달>, 2010~2013년 <덕이와 현이의 주말 사통팔달>, 2013~2015년 <평생학습관>, 2018~2020년 <아이 마음 연구소> 진행.
- 주혜경: 전주문화방송에서 이직, 2016~2017년 <KFM 아침종합뉴스>, 2016~2020년 <굿모닝 코리아> 진행.
- 이유나 (팀장): 2005~2012년 <웰빙 투데이> <행복한 90분>, 2013년 <이유나의 공감>, 2014~2015년 <오늘밤 이유나입니다>, 2017~2020년 <클릭! 정보와이드>, 2018~2019년 <이유나의 나만 듣고싶은 라디오>, 2019년 <주말 콘서트 8090>, 2019~2020년 <이유나의 팝스콘서트> <저녁종합뉴스> 진행.
- 김혜미: 2010~2013년 <인천의 발견>, 2016~2019년 <아침의 멜로디>, 2019~2020년 <내 마음의 수채화> 진행.
- 나정훈 (前 한국도로공사 교통리포터): 2011~2012년 <반승원의 오후의 데이트>, 2013년 <소영선 유주현의 사통팔달>, 2016년 <평생학습관>, 2017~2018년 <새벽다방>, 2019~2020년 <조조할인> (주말) 진행.
- 김혜진 (前 울산방송 아나운서): 2015~2016년 <한밤나라>, 2016~2017년 <안전운전하세요>, 2017~2020년 <달려라 경기> <정시뉴스> <정오종합뉴스> <6시종합뉴스> (주말) 진행.
- 이운영 (VOA KOREA TV 호스트)
- 권계현
- 남상미 (소상공인방송정보원 과장)
- 반승원 (경기도청 홍보콘텐츠팀장)
- 서정덕 (서울경제TV로 이적)
- 석아윤
- 지화진
- 전지영
7. 폐업 과정 및 논란
2019년 1월 10일 청와대 신년 기자회견에서 김예령 기자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경제 기조를 안 바꾸는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 건지, 근거는 무엇인지"를 단도직입적으로 질문하여 논란이 되었다.[2] 이 질문은 친문 지지층으로부터 "무례하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기자로서 할 수 있는 정당한 질문이었다는 평가도 있다.
2019년 8월 5일에는 현준호 총괄본부장이 이른바 친일 망언을 하고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는 발언을 하여 큰 파장을 일으켰다.[3] 회사 측은 현준호 본부장을 경질했지만, 오히려 전무이사로 승진시켰고, 이를 내부고발한 PD와 기자는 징계위원회에 회부되어 해고 통보를 받았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2020년 경기방송 폐국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2020년 3월 16일 주주총회에서 폐국과 지상파 방송 허가 면허 반납이 결정된 후, 3월 30일 자정에 방송이 종료되었다. 이는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 방송법 위반으로 2004년 iTV 경인방송이 폐국된 이후 두 번째 사례였으며, 대한민국 방송 최초로 자진 폐업한 사례였다.
경기방송 폐업 이후, 해당 주파수는 2022년 5월 17일 OBS경인TV가 새로운 사업자로 선정되어, 2023년 3월 30일 OBS 라디오로 개국하였다.
7. 1. 폐업 결정
2020년 2월 25일 경기방송 이사회는 방송 허가 면허를 반납하고 폐업하기로 결정했다.[3] 2020년 3월 30일 방송 정파 및 폐국이 이루어졌으며, 주파수는 2023년에 OBS 라디오로 이관되었다.2020년 2월 20일, 경기방송은 긴급 이사회를 열어 폐업을 결정했다. 이사회는 노사 간 분쟁, 매출 감소, 방송통신위원회의 경영 간섭을 폐업 이유로 제시했다. 갑작스러운 폐업 결정에 방송통신위원회는 2월 25일 “매우 많은 청취자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경기방송 측에 방송 허가 면허 유지·갱신을 요청했다. 하지만 경기방송은 폐업 의지를 굽히지 않았고, 긴급 이사회를 다시 열어 만장일치로 폐업을 최종 결정했다.
2020년 3월 6일, 경기방송은 이사회 폐업 결의에 따라 전 직원에게 희망퇴직을 권고했다. 직원들은 “2020년 3월 16일에 열리는 주주총회의 폐업 결의에 따라 방송국의 폐업은 결정될 것이지만, 그 결과와 관계없이 모든 직원의 고용은 유지·지속·보장되어야 하며 방송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2020년 3월 16일 주주총회에서 폐국, 지상파 방송 허가 면허 반납, 임대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의 폐업이 확정되었다. 이후 경기방송 직원들은 무급 노동으로 3월 29일까지 정상적인 프로그램 편성을 유지하며 방송에 참여했다. 그러나 주주총회 결의가 확정된 지 14일 후인 2020년 3월 30일 0시를 기해 방송이 종료되었다. 애국가 연주는 없었다. 경기방송은 언론 통폐합 이후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면허 갱신을 거부당하고 폐업된 경인방송 지상파 TV에 이어 두 번째로 지상파 방송을 중단한 방송국이 되었다. 또한 지상파 라디오 방송국으로서는 최초로 방송이 종료되었으며, 한국 방송 역사상 최초로 자발적 폐업을 한 방송국이 되었다.
일각에서는 폐국 배경으로 당시 경기방송 본부장의 문재인 정권 비판 발언이 보도된 점을 들어 정부의 압력으로 갑작스러운 폐국에 몰렸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2]
7. 2. 문재인 정부 언론 탄압 의혹
2019년 1월 10일 청와대 신년 기자회견에서 김예령 기자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경제 기조를 안 바꾸는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 건지 근거는 무엇인지 단도직입적으로 묻는다"는 질문을 던졌다.[2] 이 질문은 친문 지지층으로부터 "무례하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기자로서 할 수 있는 정당한 질문이었다는 평가도 있다.2019년 8월 5일 현준호 총괄본부장은 친일 망언과 문재인 정부 비판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회사 측은 현준호 본부장을 경질했지만, 오히려 전무이사로 승진시켰고, 이를 내부고발한 PD와 기자는 징계위원회에 회부되어 해고 통보를 받았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2020년 경기방송 폐국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2]
일각에서는 당시 경기방송 본부장의 문재인 정부 비판 발언이 보도된 이후, 정부의 압력으로 경기방송이 갑작스러운 폐국에 이르렀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2]
7. 3. 직원들의 반발과 폐업 확정
2019년 8월 5일, 현준호 총괄본부장이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고, 이른바 친일 망언을 한 사건으로 논란이 되었다.[3] 이 사건으로 현준호 본부장은 경질되었으나, 오히려 전무이사로 승진하였다. 이를 내부고발한 PD와 기자는 징계위원회에 회부되어 해고 통보를 받았다. 또한, 기자들에게 논란이 될 만한 기사를 작성하라는 지시가 있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결국 2019년 12월 30일, 현준호는 경영에서 퇴출되고 조건부 재허가 추천이 결정되었다. 이 사건은 결국 경기방송 폐국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3]2020년 2월 20일, 경기방송은 긴급 이사회를 열어 방송 허가 면허를 반납하고 폐업하기로 결정했다. 이사회가 제시한 폐업 이유는 노사 간 분쟁, 매출 감소, 방송통신위원회의 경영 간섭이었다. 갑작스러운 폐업 결정에 2월 25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청취자들을 고려하여 경기방송 측에 방송 허가 면허를 유지 및 갱신할 것을 요청했다.[3] 그러나 경기방송은 다시 긴급 이사회를 열어 만장일치로 폐업을 최종 결정했다.[3]
2020년 3월 6일, 경기방송은 이사회 폐업 결의에 따라 전 직원에게 희망퇴직을 권고했다. 직원들은 “2020년 3월 16일 주주총회 폐업 결의와 관계없이 모든 직원의 고용은 유지 및 보장되어야 하며 방송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2020년 3월 16일, 주주총회에서 폐국, 지상파 방송 허가 면허 반납, 임대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의 폐업이 확정되었다. 이후 경기방송 직원들은 무급 노동으로 3월 29일까지 정상적으로 방송을 진행했다. 그러나 주주총회 결의 14일 후인 3월 30일 0시를 기해 방송이 종료되었다. 애국가 연주는 없었다. 경기방송은 언론 통폐합 이후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면허 갱신을 거부당하고 폐업된 경인방송 지상파 TV에 이어 두 번째로 지상파 방송을 중단한 방송국이 되었다. 또한 지상파 라디오 방송국으로서는 최초로 방송이 종료되었으며, 한국 방송 역사상 최초로 자발적으로 폐업한 방송국이 되었다.[3]
일각에서는 폐국의 배경으로 당시 경기방송 본부장의 문재인 정부 비판 발언이 보도된 점을 들어, 정부의 압력으로 갑작스러운 폐국에 몰렸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2]
7. 4. 방송 중단 및 후속 조치
2020년 2월 25일 : 방송국 폐업 결정[3]2020년 3월 30일 : 방송 정파 및 폐국. 주파수는 2023년에 OBS 라디오로 이관.
경기방송은 폐업이 결정되기 전에 JTBC와 같은 방송 사업자의 잠재적 인수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경기방송 경영진의 운영난과 코로나19 범유행 등의 문제로 JTBC 인수는 무산되었다. 만약 JTBC가 경기방송을 인수하였다면 경기방송은 JTBC 라디오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2022년 하반기에 경기교통방송 개국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2021년 9월에 OBS경인TV와 한국교통방송이 라디오 신규 방송사업자 공모 신청을 시작했고,[5] 같은 해 11월 12일, 라디오 신규 방송사업자 공모에 7곳이 신청을 완료했다.[6] 신청 법인은 경인방송, 경기도, 도로교통공단, OBS경인TV, 케이방송, 뉴경기방송, 경기도민방송 등이었다. 2022년 2월, 라디오 방송 사업자 공모 결과 도로교통공단이 최고점을 받았으나, 최종 선정은 보류된 상태다.[7]
2022년 5월 17일 OBS경인TV가 최종 선정되었으며, 동년 8월 25일 라디오 방송 허가를 받고[8] 경기방송의 주파수를 이관받아 2023년 3월 30일 OBS 라디오가 개국했다.[9]
2020년 2월 20일, 경기방송의 긴급 이사회에서 방송 허가 면허를 반납하고 폐업하기로 결정했다. 이사회에서 제시된 폐업 이유는 노사 간의 분쟁, 매출 감소, 방송통신위원회의 경영 간섭이었다. 갑작스러운 폐업 결정 및 발표에 2월 25일 방송통신위원회는 “매우 많은 청취자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경기방송 측에 방송 허가 면허를 유지·갱신할 것을 요청했지만, 경기방송 측의 폐업 의지는 확고했고, 다시 긴급 이사회를 열어 만장일치로 폐업을 최종 결정했다.
2020년 3월 6일, 경기방송은 앞선 이사회 폐업 결의에 따라 전 직원에게 희망퇴직을 권고했다. 직원들은 경기방송에 “2020년 3월 16일에 열리는 주주총회의 폐업 결의에 따라 방송국의 폐업은 결정될 것이지만, 그 결과와 관계없이 모든 직원의 고용은 유지·지속·보장되어야 하며 방송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2020년 3월 16일에 열린 주주총회에서 폐국과 지상파 방송 허가 면허 반납, 임대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의 폐업이 확정되었다. 이후 경기방송 직원들은 무급 노동으로 3월 29일까지 정상적인 프로그램 편성을 유지했지만, 주주총회 결의가 확정된 지 14일 후인 2020년 3월 30일 0시에 방송이 종료되었다. 애국가 연주는 없었다. 경기방송은 언론 통폐합 이후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면허 갱신을 거부당하고 폐업된 경인방송의 지상파 TV에 이어 두 번째로 지상파 방송을 중단한 방송국이 되었다. 또한 지상파 라디오 방송국으로서는 최초로 방송이 종료된 방송국이자, 한국 방송 역사상 최초로 자발적으로 폐업한 방송국이 되었다.
일각에서는 폐국 배경으로 당시 경기방송 본부장이 문재인 정권을 비판하는 발언이 보도되었고, 정부의 압력으로 갑작스러운 폐국에 몰렸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2]
경기방송 폐업 및 전파 중단 이후, 유튜브에서 평일과 주말 방송 담당 DJ와 프로듀서가 "999채널"을 개설하여, 매주 목요일 오후 6시에 유튜브 라이브 채팅을 활용한 쌍방향 방송 "응답하라 999"를 시작했다.
이후, 방송통신위원회는 2022년 5월 17일 전체 회의를 열고 OBS경인TV를 새로운 사업자로 선정했으며, 2023년 3월 30일 OBS라디오가 개국하여 현재에 이른다.
8. 여담
1997년 12월 2일에 개국하여 2020년 3월 30일에 내부 문제로 폐국하였다. 대한민국의 민방 네트워크에는 속하지 않고,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를 방송 서비스 지역으로 하는 독립 수도권 민영 라디오 방송국이었다. "하루의 행복을 여는 수도권의 중심"을 캐치프레이즈로 하고 있었다.
경기방송은 폐업이 결정되기 전에 JTBC와 같은 방송 사업자의 잠재적 인수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경기방송 경영진의 운영난과 코로나19 범유행 등의 문제로 JTBC에 인수되지는 않았다. 만약 JTBC가 경기방송을 인수하였다면 JTBC 라디오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다. 이후 경기교통방송이 2022년 하반기 개국 예정이었으나, 2021년 9월 OBS경인TV와 한국교통방송이 라디오 신규 방송사업자 공모 신청을 시작했고[5], 같은 해 11월 12일에는 경인방송, 경기도, 도로교통공단, OBS경인TV, 케이방송, 뉴경기방송, 경기도민방송 등 7곳이 신청을 완료했다.[6] 2022년 2월, 라디오 방송 사업자 공모 결과 도로교통공단이 최고점을 받았으나 최종 선정은 보류된 상태였다.[7]
2022년 5월 17일, OBS경인TV가 최종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8월 25일에 라디오 방송 허가를 받고[8] 경기방송의 주파수를 이관받아 2023년 3월 30일에 OBS 라디오가 개국했다.[9]
참조
[1]
웹사이트
KFM 경기방송의 마지막 순간(2020.03.29 PM 11:51~03.30 AM 00:01)
https://www.youtube.[...]
2023-07-30
[2]
웹사이트
文在寅が独裁者である理由 公営放送を掌握せよと指示、政権批判メディアはお取り潰し
https://www.dailyshi[...]
2020-12-20
[3]
뉴스
끊이지 않은 논란 경기방송 이번엔 “방송사업 폐업”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20-02-25
[4]
웹사이트
KFM 경기방송 100.7㎒ 송출 축하 콘서트 '라쇼' 개최
http://entertain.nav[...]
[5]
뉴스
경기지역 신규 라디오방송사업자 선정 절차 돌입...11월 12일까지 접수
https://www.pdjourna[...]
PD저널
2021-10-01
[6]
뉴스
방통위, 경기 지상파 라디오방송 사업자 공모에 7곳 신청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11-12
[7]
뉴스
방통위, 라디오 방송 공모서 도로교통공사 최고점…최종 선정은 보류
https://cm.asiae.co.[...]
아시아경제
2022-02-22
[8]
뉴스
자진 폐업 경기방송 2년5개월 만에 ‘OBS FM’으로 부활
https://www.mediatod[...]
미디어오늘
2022-08-25
[9]
뉴스
경기지역 새 라디오방송 사업자에 OBS경인TV 선정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2-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