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타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며, 원시 드라비다어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3천년경 인도 남부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가장 오래된 비 산스크리트 인도 문학을 보유하고 있다. 기원전 2세기부터 비문 기록이 시작되었으며, 기원전 500년 이전으로 추정되는 타밀어 차용어가 성경 히브리어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타밀인들은 그리스, 로마, 이집트, 중국 등과 무역을 했으며, 톤디, 무시리 등의 항구를 통해 로마 제국 멸망까지 무역이 이어졌다. 고대 타밀어는 17개의 자음을 보존하고 있으며, 톨카피얌에 음운론에 대한 묘사가 나타난다. 아소카 브라흐미 문자 체계의 영향을 받은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를 사용하며, 상감 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문학 작품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고대 타밀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고대 타밀어 |
고유 이름 | (제공된 정보 없음) |
발음 | (제공된 정보 없음) |
사용 지역 | 타밀라캄, 고대 인도 |
사용 시기 | 기원전 3세기 ~ 서기 7세기 |
어족 | 드라비다어족 |
어파 | 남드라비다어파 |
어군 | 타밀-칸나다어군 |
하위 어군 | 타밀-코다구어군 |
문자 | 타밀 브라흐미 문자, 이후 바텔루투 문자, 팔라바 문자 |
ISO 639-3 | oty |
글롯토로그 | oldt1248 |
2. 역사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타밀어는 원(原) 드라비다어에서 유래했다.[8] 학자들은 타밀어의 기록된 역사를 고대 타밀어(기원전 300년~서기 700년), 중세 타밀어(700년~1600년), 현대 타밀어(1600년~현재)의 세 시기로 분류한다.[6]
타밀인들은 그리스, 로마, 이집트, 중국, 동남아시아, 스리랑카, 티베트와 무역을 했다. 그들의 항구는 톤디(Tondi), 무시리(Musiri), 코마리(Comari), 콜키(Colchi), 포두케(Poduke), 소팟마(Sopatma)였다. 이는 기원전 600년부터 서기 300년까지 타밀의 독립 시기에 이루어졌다.[14] 항구에는 소형 선박, 대형 선박, 대양 항해 선박 등 다양한 유형의 배가 들어왔다. 로마에서는 다양한 황제들의 주화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타밀인들이 로마와 오랫동안 무역을 했음을 보여준다. 이 무역은 로마 제국 멸망 후 비잔틴 제국 시대까지 계속되었다. 타밀인들은 홍해를 따라 무역을 했으며, 발굴 현장에서 발견된 토기 파편 등이 그 증거이다. 쌀과 소금은 인기 있는 수출품이자 물물교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콜라(Cholas)라는 항구는 서쪽과 말레이 반도 연안과 무역을 했다.[15]
아리카메두 언덕에서는 많은 양의 루렛 도자기와 로마 주화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곳이 물건을 싣고 내리던 벽돌 부두였음을 보여준다. 루렛 도자기, 항아리, 원뿔형 항아리, 마노, 칼세도니 등이 발견되었다. 쓰나미로 파괴된 두 항구 도시 테라마두라이(Thenmadurai)와 카파타푸람(Kapatapuram)에서는 고고학자 T. 사티야무르티가 160개의 항아리를 발견했고, J. 자고르 박사는 도자기, 무기, 그릇, 장신구, 돌 구슬, 옷, 뼈, 상아, 백단향, 돌 도구 등 9000개의 유물을 발견했다. 주민들은 목화 옷을 입고 구슬, 구리, 청동 장신구를 착용했다.[16]
2. 1. 기원
바드리라주 크리슈나무르티(Bhadriraju Krishnamurti)에 따르면,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타밀어는 원(原) 드라비다어에서 유래했다.[8] 언어 재구성에 따르면, 원 드라비다어는 기원전 3천 년경 인도 남부 고다바리강(Godavari) 하류 유역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8] 물질적 증거는 원 드라비다어 사용자들이 남인도 신석기 유적과 관련된 문화를 가졌음을 시사한다.[8]2. 2. 고대 타밀어 (기원전 300년 ~ 서기 700년)
Bhadriraju Krishnamurti에 따르면,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타밀어는 원시 드라비다어에서 유래했다. 언어 재구성에 따르면, 원시 드라비다어는 기원전 3천년경, 인도 남부의 고다바리강 하류 유역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물질적 증거는 원시 드라비다어 사용자들이 남인도의 신석기 유적과 관련된 문화를 가졌다는 것을 시사한다.[8] 가장 오래된 비문 기록은 일반적으로 기원전 2세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9]인도 언어 중 타밀어는 가장 오래된 비산스크리트 인도 문학을 가지고 있다.[10] 학자들은 타밀어의 기록된 역사를 고대 타밀어(기원전 300년~서기 700년), 중세 타밀어(700년~1600년), 현대 타밀어(1600년~현재)의 세 시기로 분류한다.[6] 2007년 11월, 쿠세이르 알 카딤에서 발굴된 기원전 1세기의 고대 이집트 도자기에는 고대 타밀어 브라흐미 문자가 새겨져 있었다.[11] 기원전 500년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여러 개의 성경 히브리어에 있는 타밀어 차용어가 존재하며, 이는 타밀어의 가장 오래된 증거이다.[12] John Guy는 타밀어가 인도 출신의 초기 해상 무역상들의 공용어였다고 말한다.[13]
타밀인들은 그리스, 로마, 이집트, 중국, 동남아시아, 스리랑카, 티베트와 무역을 했다. 그들의 항구는 톤디(Tondi), 무시리(Musiri), 코마리(Comari), 콜키(Colchi), 포두케(Poduke), 소팟마(Sopatma)였다. 이는 기원전 600년부터 서기 300년까지 타밀의 독립 시기에 이루어졌다.[14] 항구에 들어오는 다양한 유형의 배에는 소형 선박, 대형 선박, 대양을 항해하는 선박이 있었다. 그들은 로마에서 가장 많은 주화 매장을 받았는데, 이는 주화의 날짜와 황제가 다르다는 점에서 로마의 다양한 황제들의 범위에 걸쳐 있음을 보여준다. 이 무역은 로마 제국의 멸망까지 이어졌고 비잔틴 제국 시대까지 계속되었다. 타밀인들은 홍해를 따라 무역을 했는데, 발굴 현장에서 발견된 토기 파편과 같은 그들의 상품들이 그 증거이다. 쌀과 소금은 인기 있는 수출품이었을 뿐만 아니라 교역의 화폐로도 사용되었다. 대량으로 운송할 수 있었고 이러한 품목에 대한 수요가 항상 있었기 때문에 물물교환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콜라(Cholas)라는 항구는 서쪽과 말레이 반도 연안과 무역을 했다.[15]
아리카메두 언덕에서는 많은 양의 루렛 도자기와 로마 주화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그들이 물건을 넣어두고 하역할 준비를 하던 벽돌 부두였음을 보여준다. 루렛 도자기, 항아리, 원뿔형 항아리, 마노, 칼세도니 등이 발견되었다. 두 개의 항구 도시(테라마두라이(Thenmadurai)와 카파타푸람(Kapatapuram))는 나중에 쓰나미로 파괴되었다. 고고학자 T. 사티야무르티는 발굴 현장에서 160개의 항아리를 발견했다. J. 자고르 박사는 도자기, 무기, 그릇, 장신구, 돌 구슬, 옷, 뼈, 상아, 백단향, 갈기 위한 돌 도구 등 9000개의 유물을 발견했다. 주민들은 목화 옷을 입고 구슬, 구리, 청동으로 만든 장신구로 목을 장식했다.[16]
고대 타밀어로 된 많은 문학 작품들이 전해 내려온다. 여기에는 상감 문학으로 알려진 총 2,381편의 시가 포함된다. 이 시들은 일반적으로 기원전 3세기에서 기원후 5세기 사이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이들을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기존 문학으로 만든다. 상감 문학 외에도 티루쿠랄, 실라파티카람, 마니메갈라이 그리고 5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쓰여진 수많은 윤리적 및 교훈적 텍스트가 있다.
상감 문학은 기원전 250년에서 기원후 200년경 첫 번째 시대부터 찾아볼 수 있다. 상감 문학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 중 하나는 티루쿠랄이며, 다른 상감 교훈적 텍스트들 중에서도 대표적인 예이다. 티루쿠랄은 독자에게 일반적으로 2행시를 사용하여 시적인 방식으로 도덕을 가르치는 텍스트로 알려져 있다.
3. 특징
고대 타밀어는 원시 드라비다어의 자음 목록, 음절 구조, 다양한 문법적 특징들을 보존하고 있다.[27][28][29] 명확한 현재 시제가 없었고, 과거와 "비과거"의 두 가지 시제만 있었다. 독특한 부정 활용형을 가졌으며, 명사는 동사처럼 인칭 접미사를 취해 의미를 표현했다. 고대, 중세, 현대 타밀어 사이에는 상당한 변화가 있었지만, 타밀어는 문법적 연속성을 보여주며, 후기 언어의 많은 특징은 고대 타밀어에서 기원한다.[6]
고대 타밀어는 남드라비다어군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방언으로, 원시 드라비다어와 매우 유사한 17개의 자음(/p t ṯ c ṭ k, m n ñ ṇ, r ẓ, l ḷ, y w *H/)을 보존하고 있다.[32] 음운론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톨카피얌(Tolkappiyam)에서 찾을 수 있다.[32] 이 기록은 언어의 음운뿐만 아니라 인접 음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동소변이음에 대해서도 다룬다. a에서 n까지 30개의 선형 음소와 i’, u’, o’의 세 개의 비선형 음소를 가진다.[32]
문자 체계는 아소카 브라흐미 문자 체계에서 영향을 받은 아부기다에 속한다.[33] 모든 자음이 모음과 결합되는 특징을 가지며, 자음은 단어의 끝과 중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단일 음절 글자가 사용된다.[34]
3. 1. 문법
고대 타밀어는 원시 드라비다어의 자음 목록, 음절 구조, 다양한 문법적 특징들을 보존하고 있다.[27][28][29] 그중 하나는 명확한 현재 시제가 없다는 점이다. 원시 드라비다어처럼 고대 타밀어는 과거와 "비과거"의 두 가지 시제만 있었다. 고대 타밀어 동사는 또한 독특한 부정 활용형을 가지고 있었다(예: காணேன்|kāṇēṉta "나는 보지 않는다", காணோம்|kāṇōmta "우리는 보지 않는다").[30] 명사는 동사처럼 인칭 접미사를 취하여 의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பெண்டிரேம்|peṇṭirēmta "우리는 여자이다"는 "여자들"을 의미하는 பெண்டிர்|peṇṭirta와 1인칭 복수 표지 -ஏம்|-ēmta로 구성된다.[31] 고대 타밀어, 중세 타밀어, 현대 타밀어 사이에는 상당한 문법적, 통사적 변화가 있었지만, 타밀어는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서 문법적 연속성을 보여준다.[6] 후기 단계 언어의 많은 특징은 고대 타밀어의 특징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6]3. 2. 음운론
고대 타밀어는 남드라비다어군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방언으로, 원시 드라비다어와 매우 유사한 17개의 자음(/p t ṯ c ṭ k, m n ñ ṇ, r ẓ, l ḷ, y w *H/)을 보존하고 있다.[32]고대 타밀어 음운론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톨카피얌(Tolkappiyam)에서 찾을 수 있다.[32] 이 기록은 언어의 음운뿐만 아니라 인접 음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동소변이음에 대해서도 다룬다. 톨카피얌에 따르면, “주의 깊은 관찰을 통해 타밀어의 모든 음운은 배꼽에서 시작하여 가슴, 목, 머리, 혀, 경구개, 치아, 입술, 코 등 8개 부위를 통과하는 공기의 변화의 결과임을 알 수 있다.”[32]
이 언어는 a에서 n까지 30개의 선형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세 개의 비선형 음소(i’, u’, o’)는 제외한다.[32]
3. 3. 문자 체계
타밀어 문자 체계는 모든 현대 인도 문자의 기원이 되는 최초의 인도 문자인 아소카 브라흐미 문자 체계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33] 문자 체계는 크게 알파벳, 아부기다, 아브자드, 음절 문자, 의미 음성 문자 등 5가지로 분류된다. 고대 타밀어의 문자 체계는 아부기다에 속한다. 고대 타밀어 아부기다의 자모는 모두 정사각형이나 원과 같은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보인다.[34] 이 언어에서는 모든 자음이 모음과 결합되는데, 예를 들어 NA는 영어 알파벳의 n과 같다. 단어의 한 글자가 같은 모음으로 뒤따르는 경우, 인접한 모음과 자음-모음 결합 다음에 오는 모음을 구분하기 위해 두 번 쓰인다. 타밀어에서 자음은 일반적으로 단어의 끝과 중간에 나타난다.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예외이며, 이 경우에는 단일 음절을 나타내는 글자가 사용된다.4. 방언
톨카피얌은 센타밀이 사용되던 지역을 제외한 12개의 모지페야르 지역을 언급하고 있다.[35] 톨카피얌 881절에서는 티카이콜이라고 불리는 방언 단어들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울루르 S. 파라메스와라 아이어는 그의 저서 '케랄라 사히트야 차리트람(Kerala Sahithya Charithram)'에서 이 지역들의 이름을 제시한다. 세나바라이야르와 마일라이나타르는 모두 고대 타밀어의 이 12개 타밀 방언 지역에 대해 거의 비슷한 이름으로 해석한다.[36]
5. 해상 무역과 공용어
존 가이(John Guy)는 타밀어가 인도 출신 초기 해상 무역상들의 공용어였다고 말한다.[13]
타밀인들은 그리스, 로마, 이집트, 중국, 동남아시아, 스리랑카, 티베트와 무역을 했다. 기원전 600년부터 서기 300년까지 타밀의 독립 시기에 톤디(Tondi), 무시리(Musiri), 코마리(Comari), 콜키(Colchi), 포두케(Poduke), 소팟마(Sopatma) 등의 항구를 통해 이루어졌다.[14] 항구에는 소형 선박, 대형 선박, 대양 항해 선박 등 다양한 유형의 배가 들어왔다. 타밀인들은 로마에서 가장 많은 주화 매장을 받았는데, 이는 주화의 날짜와 황제가 다르다는 점에서 로마의 다양한 황제들의 범위에 걸쳐 있었다. 이 무역은 로마 제국 멸망 이후 비잔틴 제국 시대까지 계속되었다. 타밀인들은 홍해를 따라 무역을 했으며, 발굴 현장에서 발견된 토기 파편 등이 그 증거이다. 쌀과 소금은 인기 있는 수출품이자 교역의 화폐로도 사용되었다. 대량 운송이 가능하고 수요가 항상 있었기 때문에 물물교환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콜라(Cholas)라는 항구는 서쪽과 말레이 반도 연안과 무역을 했다.[15]
아리카메두(Arikamedu) 언덕에서는 많은 양의 루렛 도자기(Roulette potteries)와 로마 주화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벽돌 부두에서 물건을 싣고 내리던 곳이었음을 보여준다. 루렛 도자기, 항아리, 원뿔형 항아리, 마노, 칼세도니 등이 발견되었다. 이후 쓰나미로 테라마두라이(Thenmadurai)와 카파타푸람(Kapatapuram)이라는 두 항구 도시가 파괴되었다. 고고학자 T. 사티야무르티(Satyamurth)는 발굴 현장에서 160개의 항아리를 발견했고, J. 자고르(Jagor) 박사는 도자기, 무기, 그릇, 장신구, 돌 구슬, 옷, 뼈, 상아, 백단향, 갈기 위한 돌 도구 등 9000개의 유물을 발견했다. 주민들은 목화 옷을 입고 구슬, 구리, 청동으로 만든 장신구로 목을 장식했다.[16]
6. 문학 작품
상감 문학으로 알려진 총 2,381편의 시를 포함하여 고대 타밀어로 된 많은 문학 작품들이 전해 내려온다. 이 시들은 일반적으로 기원전 3세기에서 기원후 5세기 사이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이들을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기존 문학으로 만든다. 다른 고대 타밀어 문학 작품으로는 티루쿠랄, 실라파티카람, 마니메갈라이 그리고 5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쓰여진 수많은 윤리적 및 교훈적 텍스트가 있다.
상감 문학은 기원전 250년에서 기원후 200년경 첫 번째 시대부터 찾아볼 수 있다. 상감 문학을 통해 정의되는 두 가지 주요 스타일은 아캄과 푸람이다. 아캄은 사랑과 낭만적인 감정의 측면이 각각 독특한 풍경과 관련된 5가지 뚜렷한 범주를 통해 묘사된다. 푸람은 일반적으로 전쟁과 정치의 측면을 보여준다. 푸람 시는 저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특정한 도덕성을 목표로 한다. 상감 문학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 중 하나는 티루쿠랄이며, 다른 상감 교훈적 텍스트들 중에서도 대표적인 예이다. 티루쿠랄은 독자에게 일반적으로 2행시를 사용하여 시적인 방식으로 도덕을 가르치는 텍스트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서적
Early Tamil Epigraphy
[2]
서적
Tamil-Brahmi Inscriptions
[3]
서적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4]
웹사이트
Keeladi, Excavation Report, Urban Settlement, Sangam Age, River Vaigai
https://archive.org/[...]
2020-12-27
[5]
논문
A Bayesian phylogenetic study of the Dravidian language family
[6]
서적
[7]
서적
The Smile of Murugan: On Tamil Literature of South
[8]
서적
[9]
서적
[10]
논문
Early South Indian Society and Economy: The Tinai Concept
[11]
뉴스
Tamil Brahmi script in Egypt
http://www.thehindu.[...]
The Hindu
2015-01-05
[12]
서적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Seminar of Tamil Studies
[13]
웹사이트
Scroll.in – News. Politics. Culture.
http://scroll.in/art[...]
scroll.in
[14]
웹사이트
Timeline of Tamil History
https://www.academia[...]
2015
[15]
웹사이트
Trade and Commerce of Ancient Tamilagam
https://www.research[...]
2020-06-01
[16]
웹사이트
History of Ancient Tamil Civilization
https://www.academia[...]
2020
[17]
서적
[18]
서적
[19]
논문
Kavya in South India: Old Tamil Cankam Poetry
[20]
논문
Ritual and Mythological Sources of the Early Tamil Poetry
[21]
논문
Towards an Internal Chronology of Old Tamil Cankam Literature or How to Trace the Laws of a Poetic Universe
[22]
서적
Mirror of Tamil and Sanskrit
[23]
간행물
Statement on the Status of Tamil as a Classical Language
The Institute for South Asia Studies
2000-04-11
[24]
웹사이트
An Overview of Sangam Literature சங்க இலக்கியம்
Ilankai Tamil Sangam
2022-09-22
[25]
웹사이트
Tamil Sangam Literature: A Journey through History, Culture, and Literary Brilliance
eduzonejournal.com/i[...]
eduzonejournal.com
[26]
웹사이트
Virtues in Tirukkuṟaḷ and Other Tamil Didactic Works – a Bird’s Eye View
Academia.Edu
2016-09-27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논문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Old Tamil Phonemics
https://www.jstor.or[...]
[33]
웹사이트
Dravidian languages {{!}} History, Grammar, Map,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3-20
[34]
웹사이트
Dr.Gift Siromoney's Home Page
https://www.cmi.ac.i[...]
2024-03-20
[35]
서적
Kerala Sahithya Charithram, Part 1
Kerala University
[36]
논문
Negotiations with the Past: Classical Tamil in Contemporary Tamil
2009
[37]
Harvnb
2003
[38]
Harvnb
1998
[39]
논문
Kāvya in South India: Old Tamil Caṅkam Poetry
[39]
논문
Kavya in South India: Old Tamil Cankam Poetry
[39]
논문
Ritual and Mythological Sources of the Early Tamil Poetry
[39]
논문
Towards an Internal Chronology of Old Tamil Cankam Literature or How to Trace the Laws of a Poetic Universe
[40]
서적
The Smile of Murugan: On Tamil Literature of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BRILL
1973
[41]
Harvnb
1991
[42]
Harvnb
2003
[43]
Harvnb
2003
[44]
Harvnb
2003
[45]
Harvnb
1998
[46]
Harvnb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