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나들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속도로 나들목(IC)은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를 연결하는 시설로, 차량이 고속도로에 진입하거나 진출할 수 있도록 램프(연결 도로)를 통해 연결된다. 나들목은 고속도로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분기점(JC)과 구분되며, 램프의 형태와 교차하는 도로의 종류에 따라 트럼펫형, 다이아몬드형, 클로버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한국에서는 기점부터 종점 방향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며, 주변 지역의 지명을 사용하여 명칭을 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입체 교차로 - 고속도로 분기점
고속도로 분기점은 주요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을 의미하며, 과거 교통 요충지가 도시 발달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것처럼 한국의 역참이나 나루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했다. - 고속도로 - 티카 도로
티카 도로는 케냐 A2 고속도로의 혼잡과 사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2009년에 착공하여 2012년에 개통되었고, 2014년에는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 - 고속도로 - 왕복 2차로 고속도로
왕복 2차로 고속도로는 고속도로로 업그레이드될 가능성을 고려해 부지가 확보된 평면 교차로를 갖춘 고속화된 일반도로로, 초기 건설 비용 절감의 장점이 있지만 교통사고 위험 증가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고속도로 나들목 |
---|
2. 용어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이탈리아, 독일, 미국, 캐나다에서 통제된 접근 고속도로라는 개념이 개발되었다.[18][19] 초기에는 평면 교차로가 많았지만, 교통량이 많은 일반 도로와의 연결을 위해 인터체인지가 개발되었다. 브롱크스 리버 파크웨이와 롱아일랜드 모터 파크웨이는 최초로 입체 교차를 도입한 도로였다.[18][19] 브롱크스 리버 파크웨이는 1922년에, 롱아일랜드 모터 파크웨이는 1908년 10월 10일에 개통되었다.[18][19]
나들목의 형상은 교차 도로의 종류, 요금소의 유무, 램프의 교통량,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특히 평면 교차나 엮어 들어가기 유무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나들목'''(영어: Interchange, IC)은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를 연결하는 시설로, 차량이 고속도로로 진입하거나 진출할 수 있도록 램프(연결 도로)를 통해 연결된다.[2] 미국 고속도로 및 교통 공무원 협회(AASHTO)는 나들목을 "두 개 이상의 도로 또는 고속도로 간의 교통 흐름을 다른 레벨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체 교차로와 함께 연결하는 도로 시스템"으로 정의한다.[3]
'''분기점'''(영어: Junction, JC)은 고속도로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시설이다. 나들목과 마찬가지로 램프를 통해 연결되지만, 주로 고속도로 간의 교통 흐름을 처리한다.
나들목과 분기점은 종종 노선의 한 종점(노선의 "시작")으로부터의 거리 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진다.[2] 시스템 나들목은 여러 개의 통제된 접근 고속도로를 연결하며,[4] 서비스 나들목은 통제된 접근 시설을 간선 도로 또는 집산 도로와 같은 하위 차수 시설에 연결한다.[4] 서비스 나들목의 '''본선'''은 통제된 접근 고속도로이며, '''교차로'''는 종종 본선 위 또는 아래를 통과할 수 있는 평면 교차로 또는 로터리를 포함하는 하위 차수 시설이다.[5]
'''램프'''(Ramp, 영국/아일랜드에서는 슬립 로드(Slip road))는 차량이 통제된 접근 고속도로에 진입하거나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짧은 구간의 도로이다.[7][8][9][10] ''진입'' 교통은 '''진입 램프''' 또는 '''입구 램프'''를 통해 고속도로에 진입하고, ''진출'' 교통은 '''진출 램프''' 또는 '''출구 램프'''를 통해 고속도로를 나간다.[11]
'''방향성 램프'''는 원하는 이동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는 램프이다. 즉, 좌회전을 하는 램프는 도로의 왼쪽에서 나옵니다(왼쪽 출구).[12] '''반-방향성 램프'''는 원하는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나간 다음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램프이다. 대부분의 좌회전 이동은 왼쪽에서 나가는 대신 오른쪽으로 나가는 반-방향성 램프에 의해 제공된다.[12]
'''엮임'''은 고속도로에 진입하고 나가는 교통이 제한된 거리 내에서 경로를 교차해야 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다.[13]
일본(일본의 고속도로), 독일(아우토반), 프랑스(오토루트), 영국(영국의 고속도로, 모터웨이),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동일하게 인터체인지마다 번호가 부여되지만, 프랑스에서는 정션에는 번호가 매겨지지 않는다. 또한, 일본과 영국에서는 일반 도로에서 인터체인지 입구에도 번호가 부여된 안내 표지판이 존재하지만, 독일, 프랑스, 대한민국의 입구 안내 표지판에는 번호가 들어 있지 않다. 이탈리아(아우토스트라다)에는 인터체인지 번호 자체가 없고, 지명만으로 안내하고 있다.
3. 역사
메릴랜드의 엔지니어 아서 헤일은 1915년 5월 24일에 클로버리프 인터체인지 디자인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20] 세계 최초의 클로버형 인터체인지는 1929년 12월 15일 미국 뉴저지주 우드브리지 타운십에서 뉴저지 주도 25선과 뉴저지 주도 4선(현재 미국 국도 1/9선과 뉴저지 주도 35선)을 연결하는 형태로 개통되었다.[21][22][19] 이 인터체인지는 필라델피아 엔지니어링 회사 루돌프 앤 델라노가 아르헨티나 잡지에서 본 디자인을 기반으로 설계했다.[21][22][19]
4. 종류
교통 동선 처리 방법에 따라 완전 입체 교차형(평면 교차를 전혀 설치하지 않음), 불완전 입체 교차형(평면 교차를 1곳 이상 설치), 엮어 들어가기형(평면 교차는 포함하지 않지만 엮어 들어가기부가 있음)의 3종류로 크게 분류된다. 완전 입체 교차형의 대표적인 예가 트럼펫형이나 Y형이며, 고속도로 상호 또는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와의 접속에 많이 사용된다. 불완전 입체 교차형의 대표적인 예가 다이아몬드형이나 평면 Y형이며, 고속도로와 교통량이 많지 않은 일반 도로, 또는 일반 도로끼리의 접속에 많이 사용된다. 전자는 후자에 비해 안전성이 높지만, 용지 면적이나 구조물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57]. 일본에서는 설치 공간이 비교적 작게 끝나는 트럼펫형이나 Y형이 많다.명칭 대표 예 이미지 사례 트럼펫형[58] ・메이신 고속도로 - 호쿠리쿠 자동차도 마이바라 JCT 캐나다・오타와 Y형(직결 Y형)[66] ・수도 고속도로 코스게 JCT, 호리키리 JCT, 고호쿠 JCT, 이타바시 JCT, 도카이 환상 자동차도-도요타히가시 분기점 Y형(준 직결 Y형)[66] ・도호쿠 자동차도 센다이미야기 IC
・메이한 국도 하리 IC캘리포니아주・산호세 T본형 ・도호쿠 자동차도 코리야마 IC
・반에쓰 자동차도 오노 IC
・나가노 자동차도 오카야 IC
・호쿠리쿠 자동차도 미카와 IC
・주오 자동차도 토키 IC
・오키나와 자동차도 기타나카구스쿠 IC다이아몬드형[59] ・도메이 고속도로 스소노 IC
・메이신 고속도로 아마가사키 IC
・한와 자동차도 기시와다이즈미 IC
・니시메이한 자동차도 호류지 IC
・수도권 중앙 연락 자동차도 사테 IC
・산요 자동차도 타츠노 IC
・주부 횡단 자동차도 사쿠키타 IC오하이오주・페이에트군 완전 다이아몬드형 ・- 덤벨형 ・산인 자동차도 오다아사야마 나들목 (개수 전) 접이식 다이아몬드형
(부분적 클로버형이라고도 함)・니혼카이토호쿠 자동차도 마츠가사키카메다 IC
・시이다 도로 츠키시로 IC(개축 전)[60]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소오야고로 IC
・호도가야 바이패스 혼무라 IC, 신사쿠라가오카 IC
・사루토 그린 로드 나카야마 IC
(접이식 부분적 클로버형이라고도 함)3층 다이아몬드형 ・국도16호선히가시 오미야 바이패스 - 사이타마현도 5호 사이타마 쇼부선 하라시(중) 교차로 분기 다이아몬드형 ・-
유타주・솔트레이크군평면 Y형[61] ・칸에쓰 자동차도 미즈카미 IC
・호쿠리쿠 자동차도 노에 IC
・야마가타 자동차도 쇼나이아사히 IC
・도토 자동차도 치토세히가시 IC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 구조하치만 IC
・니혼카이토호쿠 자동차도 오우치 JCT클로버형[62]
(클로버리프형)・규슈 자동차도 도스 JCT[63]
・국도16호선 소데가우라 IC[64]
・국도357호선 우라야스 IC
터키・이스탄불불완전 클로버형[59]
(불완전 클로버리프형)・도메이한 자동차도 - 메이한 국도 가메야마 IC
・메이신 고속도로 오가키 IC
・미야자키 자동차도 -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기요타케 JCT
・국도254호선 - 국도463호선 - 사이타마현도 109호 신자 와코선 에이 IC
・메이한 국도 진노구치 IC캐나다・온타리오주 반 클로버형 ・도메이 고속도로 아츠기 IC
・메이신 고속도로 릿토 IC
・주고쿠 자동차도 다카라즈카 IC
(모두 일반 도로와의 접속 부분)[65]대향 루프형[59] ・도쿄 외환 자동차도 - 도호쿠 자동차도 - 수도 고속도로 가와구치 JCT
네덜란드・Knooppunt Ridderkerk터빈형[66] ・도쿄 외환 자동차도 - 조반 자동차도 - 수도 고속도로 미사토 JCT
・제2게이한 도로 - 게이지 바이패스 구미야마 JCT
・오사카 중앙 환상선 - 신미도스지 센리 IC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 규슈 중앙 자동차도 - 노베오카 인터 접근 도로 노베오카 JCT/IC[67]・도메이 고속도로 - 도요타 JCT일리노이주・시카고 2층 라운드어바웃형
(로터리형[68])・수도 고속도로 하코자키 로터리
・산인 자동차도 오다아사야마 나들목 (개수 후)3층 라운드어바웃형 ・Kinsale Road Roundabout(아일랜드・코크)
・Denham Roundabout(영국・Denham)
・Staples Corner(영국・런던)
・체코・파르두비체주 3방향 라운드어바웃형 ・한국의 제2자유로(제2자유로)한류 월드 IC 스택형 ・한신 고속도로 기타코 JCT
중국・상하이시풍차형 ・- 분기 풍차형 ・- 분할 발레볼형 ・- U턴형 ・신메이신 고속도로 - 가메야마 연락로 가메야마니시 JCT[69] 3/4 발레형 ・- 양방향형 ・나고야 고속도로 2호 히가시야마선 후키아게히가시 출입구/후키아게니시 출입구 (2개의 출입구의 램프가 교차) 캐나다・온타리오주・바스켓위브 단일 지점 도시형 ・도쿄 외환 자동차도 - 수도 고속 5호 이케부쿠로선 - 수도 고속 사이타마 오미야선 비조키 JCT
・규슈 자동차도 - 이부스키 스카이 라인 - 남규슈 서쪽 순환 자동차도 - 가고시마 동서 간선 도로 가고시마 IC플로리다주・올랜도
4. 1. 시스템 인터체인지 (고속도로-고속도로)
시스템 인터체인지는 여러 자동차 전용 도로를 연결하며, 평면 교차로와 같은 신호 제어 교차로를 포함하지 않는다.[4]
나들목의 형상을 정할 때에는 교차 도로의 종류, 요금소의 유무, 램프의 교통량, 안전성을 고려한다. 특히 평면 교차나 엮어 들어가기 유무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교통 동선 처리 방법에 따라 완전 입체 교차형(평면 교차 없음), 불완전 입체 교차형(평면 교차 1곳 이상), 엮어 들어가기형(평면 교차는 없지만 엮어 들어가기부가 있음)의 3종류로 분류된다. 완전 입체 교차형의 대표적인 예는 트럼펫형이나 Y형이며, 고속도로 상호 또는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와의 접속에 많이 사용된다. 불완전 입체 교차형의 대표적인 예는 다이아몬드형이나 평면 Y형이며, 고속도로와 교통량이 많지 않은 일반 도로, 또는 일반 도로끼리의 접속에 많이 사용된다. 완전입체 교차형이 불완전 입체 교차형에 비해 안전성이 높지만, 용지 면적이나 구조물을 많이 필요로 하여 비용이 많이 든다.[57] 일본에서는 설치 공간이 비교적 작게 끝나는 트럼펫형이나 Y형이 많다.
명칭 | 대표 예 | 이미지 | 사례 |
---|---|---|---|
트럼펫형[58] | ・메이신 고속도로 - 호쿠리쿠 자동차도 마이바라 JCT | 캐나다・오타와 | |
Y형(직결 Y형)[66] | ・수도 고속도로 코스게 JCT, 호리키리 JCT, 고호쿠 JCT, 이타바시 JCT, 도카이 환상 자동차도-도요타히가시 분기점 | ||
Y형(준 직결 Y형)[66] | ・도호쿠 자동차도 센다이미야기 IC ・메이한 국도 하리 IC | 캘리포니아주・산호세 | |
T본형 | ・도호쿠 자동차도 코리야마 IC ・반에쓰 자동차도 오노 IC ・나가노 자동차도 오카야 IC ・호쿠리쿠 자동차도 미카와 IC ・주오 자동차도 토키 IC ・오키나와 자동차도 기타나카구스쿠 IC | ||
다이아몬드형[59] | ・도메이 고속도로 스소노 IC ・메이신 고속도로 아마가사키 IC ・한와 자동차도 기시와다이즈미 IC ・니시메이한 자동차도 호류지 IC ・수도권 중앙 연락 자동차도 사테 IC ・산요 자동차도 타츠노 IC ・주부 횡단 자동차도 사쿠키타 IC | 오하이오주・페이에트군 | |
완전 다이아몬드형 | ・- | ||
덤벨형 | ・산인 자동차도 오다아사야마 나들목 (개수 전) | ||
접이식 다이아몬드형 (부분적 클로버형이라고도 함) | ・니혼카이토호쿠 자동차도 마츠가사키카메다 IC ・시이다 도로 츠키시로 IC(개축 전)[60]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소오야고로 IC ・호도가야 바이패스 혼무라 IC, 신사쿠라가오카 IC ・사루토 그린 로드 나카야마 IC | ||
3층 다이아몬드형 | ・국도16호선히가시 오미야 바이패스 - 사이타마현도 5호 사이타마 쇼부선 하라시(중) 교차로 | ||
분기 다이아몬드형 | ・- | |150px]] 유타주・솔트레이크군 | |
평면 Y형[61] | ・칸에쓰 자동차도 미즈카미 IC ・호쿠리쿠 자동차도 노에 IC ・야마가타 자동차도 쇼나이아사히 IC ・도토 자동차도 치토세히가시 IC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 구조하치만 IC ・니혼카이토호쿠 자동차도 오우치 JCT | ||
클로버형[62] (클로버리프형) | ・규슈 자동차도 도스 JCT[63] ・국도16호선 소데가우라 IC[64] ・국도357호선 우라야스 IC | 터키・이스탄불 | |
불완전 클로버형[59] (불완전 클로버리프형) | ・도메이한 자동차도 - 메이한 국도 가메야마 IC ・메이신 고속도로 오가키 IC ・미야자키 자동차도 -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기요타케 JCT ・국도254호선 - 국도463호선 - 사이타마현도 109호 신자 와코선 에이 IC ・메이한 국도 진노구치 IC | 캐나다・온타리오주 | |
반 클로버형 | ・도메이 고속도로 아츠기 IC ・메이신 고속도로 릿토 IC ・주고쿠 자동차도 다카라즈카 IC (모두 일반 도로와의 접속 부분)[65] | ||
대향 루프형[59] | ・도쿄 외환 자동차도 - 도호쿠 자동차도 - 수도 고속도로 가와구치 JCT | 네덜란드・Knooppunt Ridderkerk | |
터빈형[66] | ・도쿄 외환 자동차도 - 조반 자동차도 - 수도 고속도로 미사토 JCT ・제2게이한 도로 - 게이지 바이패스 구미야마 JCT ・오사카 중앙 환상선 - 신미도스지 센리 IC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 규슈 중앙 자동차도 - 노베오카 인터 접근 도로 노베오카 JCT/IC[67]・도메이 고속도로 - 도요타 JCT | 일리노이주・시카고 | |
2층 라운드어바웃형 (로터리형[68]) | ・수도 고속도로 하코자키 로터리 ・산인 자동차도 오다아사야마 나들목 (개수 후) | ||
3층 라운드어바웃형 | ・Kinsale Road Roundabout(아일랜드・코크) ・Denham Roundabout(영국・Denham) ・Staples Corner(영국・런던) ・ | 체코・파르두비체주 | |
3방향 라운드어바웃형 | ・한국의 제2자유로(제2자유로)한류 월드 IC | ||
스택형 | ・한신 고속도로 기타코 JCT | 중국・상하이시 | |
풍차형 | ・- | ||
분기 풍차형 | ・- | ||
분할 발레볼형 | ・- | ||
U턴형 | ・신메이신 고속도로 - 가메야마 연락로 가메야마니시 JCT[69] | ||
3/4 발레형 | ・- | ||
양방향형 | ・나고야 고속도로 2호 히가시야마선 후키아게히가시 출입구/후키아게니시 출입구 (2개의 출입구의 램프가 교차) | 캐나다・온타리오주・바스켓위브 | |
단일 지점 도시형 | ・도쿄 외환 자동차도 - 수도 고속 5호 이케부쿠로선 - 수도 고속 사이타마 오미야선 비조키 JCT ・규슈 자동차도 - 이부스키 스카이 라인 - 남규슈 서쪽 순환 자동차도 - 가고시마 동서 간선 도로 가고시마 IC | 플로리다주・올랜도 |
## 네 갈래 인터체인지
'''클로버형 인터체인지'''는 네 방향 모두 루프 램프를 통해 연결하는 형태이다. 위에서 보면 네잎 클로버를 닮아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21] 1970년대까지 흔했지만, 대부분의 고속도로 관리 부서와 교통부는 램프에서 교통 흐름이 얽히는 문제 때문에 이를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설계로 재건축하려고 노력해 왔다.[23]
'''스택 인터체인지'''는 네 방향 모두 방향성 램프를 사용하는 형태이다. 램프가 여러 층으로 쌓여 있는 모습이 특징이며, 엮임 현상이 없고 교통 흐름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4층 구조로 인해 건설 비용이 많이 들고, 높이와 시각적 영향으로 인해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직면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의 서운JC과 장수IC에서 볼 수 있듯이 대도시 주변에서 종종 볼 수 있다.
'''터빈 인터체인지'''는 방향성 램프가 나선형으로 연결되는 형태이다. 스택 인터체인지보다 적은 층수(보통 2~3층)로 건설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35]
'''풍차형 인터체인지'''는 터빈 인터체인지와 유사하지만, 램프의 회전 반경이 더 작아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조합형 인터체인지'''는 클로버형, 스택형, 터빈형 등 여러 인터체인지 형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다.[26][27] 교통량과 지형 조건에 따라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클로버형 인터체인지의 엮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30]
## 세 갈래 인터체인지
'''트럼펫형 나들목'''은 한 고속도로가 다른 고속도로에서 끝나는 지점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트럼펫과 유사한 형태를 띠어 그렇게 불린다.[40] 이러한 나들목은 모든 진입 및 진출 교통량을 단일 도로 구간에 집중시키기 때문에, 특히 티켓 방식 통행료 도로에서 모든 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해 한 번만 통행료 징수소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료 도로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된다.[41] 덜 자주 사용되는 회전 차선에는 더 느린 루프 램프가 포함된다.[41]
트럼펫형 나들목은 방향성 T 또는 Y 나들목이나 반-방향성 T 또는 Y 나들목 대신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트럼펫형 나들목은 다리 건설이 덜 필요하면서도 위빙(weaving)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전체 Y형 나들목''' (방향성 T 인터체인지라고도 함)은 두세 개의 고속도로가 반 병렬/수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직각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램프는 이동 방향과 각도에 따라 고속도로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서 분기될 수 있다.
방향성 T 인터체인지는 연결 및 본선 구간 모두에 입체교차 램프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두 개의 도로 레벨만 사용하므로 적절한 토지 사용과 적절한 비용이 소요된다. 이 명칭은 인터체인지가 보이는 각도와 교차하는 도로의 정렬에 따라 대문자 T와 유사한 모양에서 유래되었다.
방향성 T 인터체인지는 방향성 램프(루프 없음, 또는 우회전하여 좌회전 없음)를 특징으로 하며 비교적 적은 공간에서 다차선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디자인은 두 개의 램프와 "내부" 통과 도로(고속도로가 끝나는 쪽에 있음)가 세 개의 레벨의 교량에서 서로 교차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방향성 T 인터체인지는 트럼펫형 나들목보다 선호되는데, 트럼펫형 나들목은 속도를 줄일 수 있는 루프 램프가 필요하지만 입체교차 램프는 훨씬 더 빠른 속도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방향성 T 인터체인지'''는 3방향 인터체인지에서 모든 방향에 입체교차 램프를 사용한다. 반방향성 T에서는 일부 분기 및 합류가 전환되어 추월 차선에서 오가는 램프를 피하여 방향성 T의 주요 단점을 제거한다.
반방향성 T 인터체인지는 2층 또는 3층 교차로로 건설된다.
나들목의 형상을 선정할 때에는 교차 도로의 종류, 요금소의 유무, 램프의 교통량, 안전성을 고려하여 검토가 이루어진다. 특히 평면 교차나 엮어 들어가기의 유무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교통 동선의 처리 방법에 따라 완전 입체 교차형, 불완전 입체 교차형, 엮어 들어가기형의 3종류로 크게 분류된다. 완전 입체 교차형의 대표적인 예가 트럼펫형이나 Y형이며, 고속도로 상호 또는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와의 접속에 많이 사용된다. 불완전 입체 교차형의 대표적인 예가 다이아몬드형이나 평면 Y형이며, 고속도로와 교통량이 많지 않은 일반 도로, 또는 일반 도로끼리의 접속에 많이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설치 공간이 비교적 작게 끝나는 트럼펫형이나 Y형이 많다.
명칭 | 대표 예 | 이미지 | 사례 |
---|---|---|---|
트럼펫형 | ・메이신 고속도로 - 호쿠리쿠 자동차도 마이바라 JCT | 캐나다・오타와 | |
Y형(직결 Y형) | ・수도 고속도로 코스게 JCT, 호리키리 JCT, 고호쿠 JCT, 이타바시 JCT, 도카이 환상 자동차도-도요타히가시 분기점 | ||
Y형(준 직결 Y형) | ・도호쿠 자동차도 센다이미야기 IC ・메이한 국도 하리 IC | 캘리포니아주・산호세 | |
T본형 | ・도호쿠 자동차도 코리야마 IC ・반에쓰 자동차도 오노 IC ・나가노 자동차도 오카야 IC ・호쿠리쿠 자동차도 미카와 IC ・주오 자동차도 토키 IC ・오키나와 자동차도 기타나카구스쿠 IC | ||
평면 Y형 | ・칸에쓰 자동차도 미즈카미 IC ・호쿠리쿠 자동차도 노에 IC ・야마가타 자동차도 쇼나이아사히 IC ・도토 자동차도 치토세히가시 IC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 구조하치만 IC ・니혼카이토호쿠 자동차도 오우치 JCT | ||
3방향 라운드어바웃형 | ・한국의 제2자유로(제2자유로)한류 월드 IC |
4. 1. 1. 네 갈래 인터체인지
'''클로버형 인터체인지'''는 네 방향 모두 루프 램프를 통해 연결하는 형태이다. 위에서 보면 네잎 클로버를 닮아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21] 1970년대까지 흔했지만, 대부분의 고속도로 관리 부서와 교통부는 램프에서 교통 흐름이 얽히는 문제 때문에 이를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설계로 재건축하려고 노력해 왔다.[23]
'''스택 인터체인지'''는 네 방향 모두 방향성 램프를 사용하는 형태이다. 램프가 여러 층으로 쌓여 있는 모습이 특징이며, 엮임 현상이 없고 교통 흐름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4층 구조로 인해 건설 비용이 많이 들고, 높이와 시각적 영향으로 인해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직면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의 서운JC과 장수IC에서 볼 수 있듯이 대도시 주변에서 종종 볼 수 있다.
'''터빈 인터체인지'''는 방향성 램프가 나선형으로 연결되는 형태이다. 스택 인터체인지보다 적은 층수(보통 2~3층)로 건설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35]
'''풍차형 인터체인지'''는 터빈 인터체인지와 유사하지만, 램프의 회전 반경이 더 작아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조합형 인터체인지'''는 클로버형, 스택형, 터빈형 등 여러 인터체인지 형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다.[26][27] 교통량과 지형 조건에 따라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클로버형 인터체인지의 엮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30]
4. 1. 2. 세 갈래 인터체인지
'''트럼펫형 나들목'''은 한 고속도로가 다른 고속도로에서 끝나는 지점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트럼펫과 유사한 형태를 띠어 그렇게 불린다.[40] 이러한 나들목은 모든 진입 및 진출 교통량을 단일 도로 구간에 집중시키기 때문에, 특히 티켓 방식 통행료 도로에서 모든 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해 한 번만 통행료 징수소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료 도로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된다.[41] 덜 자주 사용되는 회전 차선에는 더 느린 루프 램프가 포함된다.[41]트럼펫형 나들목은 방향성 T 또는 Y 나들목이나 반-방향성 T 또는 Y 나들목 대신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트럼펫형 나들목은 다리 건설이 덜 필요하면서도 위빙(weaving)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전체 Y형 나들목''' (방향성 T 인터체인지라고도 함)은 두세 개의 고속도로가 반 병렬/수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직각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램프는 이동 방향과 각도에 따라 고속도로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서 분기될 수 있다.
방향성 T 인터체인지는 연결 및 본선 구간 모두에 입체교차 램프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두 개의 도로 레벨만 사용하므로 적절한 토지 사용과 적절한 비용이 소요된다. 이 명칭은 인터체인지가 보이는 각도와 교차하는 도로의 정렬에 따라 대문자 T와 유사한 모양에서 유래되었다.
방향성 T 인터체인지는 방향성 램프(루프 없음, 또는 우회전하여 좌회전 없음)를 특징으로 하며 비교적 적은 공간에서 다차선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디자인은 두 개의 램프와 "내부" 통과 도로(고속도로가 끝나는 쪽에 있음)가 세 개의 레벨의 교량에서 서로 교차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방향성 T 인터체인지는 트럼펫형 나들목보다 선호되는데, 트럼펫형 나들목은 속도를 줄일 수 있는 루프 램프가 필요하지만 입체교차 램프는 훨씬 더 빠른 속도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방향성 T 인터체인지'''는 3방향 인터체인지에서 모든 방향에 입체교차 램프를 사용한다. 반방향성 T에서는 일부 분기 및 합류가 전환되어 추월 차선에서 오가는 램프를 피하여 방향성 T의 주요 단점을 제거한다.
반방향성 T 인터체인지는 2층 또는 3층 교차로로 건설된다.
나들목의 형상을 선정할 때에는 교차 도로의 종류, 요금소의 유무, 램프의 교통량, 안전성을 고려하여 검토가 이루어진다. 특히 평면 교차나 엮어 들어가기의 유무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교통 동선의 처리 방법에 따라 완전 입체 교차형, 불완전 입체 교차형, 엮어 들어가기형의 3종류로 크게 분류된다. 완전 입체 교차형의 대표적인 예가 트럼펫형이나 Y형이며, 고속도로 상호 또는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와의 접속에 많이 사용된다. 불완전 입체 교차형의 대표적인 예가 다이아몬드형이나 평면 Y형이며, 고속도로와 교통량이 많지 않은 일반 도로, 또는 일반 도로끼리의 접속에 많이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설치 공간이 비교적 작게 끝나는 트럼펫형이나 Y형이 많다.
명칭 | 대표 예 | 이미지 | 사례 |
---|---|---|---|
트럼펫형 | ・메이신 고속도로 - 호쿠리쿠 자동차도 마이바라 JCT | 캐나다・오타와 | |
Y형(직결 Y형) | ・수도 고속도로 코스게 JCT, 호리키리 JCT, 고호쿠 JCT, 이타바시 JCT, 도카이 환상 자동차도-도요타히가시 분기점 | ||
Y형(준 직결 Y형) | ・도호쿠 자동차도 센다이미야기 IC ・메이한 국도 하리 IC | 캘리포니아주・산호세 | |
T본형 | ・도호쿠 자동차도 코리야마 IC ・반에쓰 자동차도 오노 IC ・나가노 자동차도 오카야 IC ・호쿠리쿠 자동차도 미카와 IC ・주오 자동차도 토키 IC ・오키나와 자동차도 기타나카구스쿠 IC | ||
평면 Y형 | ・칸에쓰 자동차도 미즈카미 IC ・호쿠리쿠 자동차도 노에 IC ・야마가타 자동차도 쇼나이아사히 IC ・도토 자동차도 치토세히가시 IC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 구조하치만 IC ・니혼카이토호쿠 자동차도 오우치 JCT | ||
3방향 라운드어바웃형 | ・한국의 제2자유로(제2자유로)한류 월드 IC |
4. 2. 서비스 인터체인지 (고속도로-일반도로)
고속도로 나들목은 출입 통제 도로와 출입 통제되지 않는 교차로 사이에 사용된다.[23]
다이아몬드 인터체인지는 4개의 램프가 고속도로에 좁은 각도로 진입하고 빠져나와 비고속도로와 거의 직각으로 만나는 인터체인지이다. 비고속도로상의 이 램프는 정지 표지판, 신호등, 또는 회전 램프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차로 건설에 다리 하나 이상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다른 인터체인지 설계보다 재료 및 토지 사용 측면에서 훨씬 경제적이다. 그러나 다른 인터체인지보다 용량이 낮고 교통량이 많으면 쉽게 혼잡해질 수 있다.

부분 클로버형 입체 교차로(Parclo)는 1~3개의 사분면에 루프 램프가 있고, 다이아몬드형 입체 교차로 램프가 임의의 사분면에 있는 입체 교차로이다. 다양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클로버형 디자인의 더 안전한 수정으로, 위빙(weaving)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감소로 인해 이루어지지만, 덜 사용되는 교차로에는 신호등이 필요할 수 있다.[44] Parclo 구성은 램프가 있는 사분면의 위치와 수를 기반으로 이름이 지정된다.[45]

분기 다이아몬드형 교차로(DDI)는 일반적인 다이아몬드형 교차로와 유사하지만, 교차로의 반대 차선이 고속도로 양쪽에서 두 번 교차한다. 이렇게 하면 모든 고속도로 진출입로가 반대 방향의 교통과 교차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교통 신호등의 신호 단계를 하나 줄일 수 있다.[46]

단일 지점 도시 교차로(SPUI)는 고속도로에서 진출입하는 4개의 램프가 고가도로 또는 지하차도의 중앙에 있는 단일 3단계 신호등에서 수렴되는 다이아몬드 교차로의 변형이다. 이러한 콤팩트한 설계는 더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기존 다이아몬드의 4단계 대신 3단계 신호, 간선 도로의 4개 대신 2개의 좌회전 대기열을 통해 용량을 증가시키지만, 대부분의 서비스 교차로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든다.[51][52]
5. 한국의 인터체인지
한국의 인터체인지는 도로법에 따라 정의되며,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한국의 고속도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체인지를 활용하여 교통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인터체인지(출구) 및 분기점에 기점부터 종점 방향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인터체인지는 주변 교통, 토지 이용 등 사회적 조건, 지형 및 지질 등 자연 조건을 고려하여 위치가 결정된다. 대략적인 위치 선정 후, 세부 검토 및 수정을 거쳐 최적의 위치를 찾는다. 공업 지대나 대도시 주변에는 5~10km, 평지의 소도시는 15~25km, 산지에는 20~25km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건설비 절감을 위해 더 좁은 간격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인터체인지 주변에는 주유소, 주차장을 갖춘 음식점(패밀리 레스토랑, 드라이브 인 등), 기념품 점포 등 승용차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점포가 입지한다. 또한, 볼링장, 파친코점 등 오락 시설과 자동차 판매점, 공장·창고·트럭 터미널 등 물류 시설도 볼 수 있다. 주변 자치 단체는 유통이나 공업 단지를 조성하기도 한다. 러브 호텔이나 모텔이 입지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는 풍기나 교육 환경 문제로 지역 주민과의 마찰을 빚기도 하며, 인터체인지 건설 반대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쇼핑 센터·슈퍼마켓 등 대규모 로 사이드 점포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무료 도로에서는 서비스 구역이나 주차 구역을 대체하여 휴게소, 편의점, 음식점 등을 인터체인지 주변에 설치하기도 한다.
고속도로를 이용한 환자 이송을 위해 고차 응급 의료 기관이 입지하거나, 구급차 긴급 퇴출로가 정비되기도 한다.
1998년 9월 도로법 개정으로, 고속자동차 국도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 연결로 부속지에 이용 편의 증진 시설 사업자를 공모, 점용 허가를 할 수 있게 되었다.
5. 1. 명칭
한국의 고속도로 나들목(IC) 명칭은 일반적으로 해당 지역의 지명을 사용한다.[72] 같은 지역에 여러 나들목이 있을 경우, 서안동IC나 남원주IC처럼 지명 뒤에 방위(동, 서, 남, 북)를 붙여 구분한다.[72] 이는 일본의 철도역 명명 방식과는 반대이다.[72]두 개 이상의 자치단체에 걸쳐 나들목이 설치된 경우에는 서안동IC(안동시, 의성군)와 같이 두 지명을 모두 사용하기도 한다.[72]
5. 2. 번호
대한민국에서는 인터체인지(IC, 출구) 및 분기점(JCT)에 기점부터 종점 방향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새로운 인터체인지가 추가될 경우, 기존 번호에 하이픈을 붙여 분기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경부고속도로 판교JC는 23-1번으로 표기된다.일본의 고속도로에서도 인터체인지와 분기점(JCT)에 기점에서 종점 방향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80] 기본적으로 기점에서 종점을 향해 번호가 부여되지만, 개통이 늦어지는 시설은 일시적으로 결번 처리되거나, 간선 도로에서 분기하는 경우 종점에서부터 번호를 부여하는 등 예외도 존재한다.[80] 기존 인터체인지 중간에 새 인터체인지가 추가되면 하이픈을 사용한 분기 번호를 부여한다.[80]
5. 3. 입지
인터체인지는 주변 교통, 토지 이용 등 사회적 조건, 지형 및 지질 등 자연 조건을 고려하여 위치가 결정된다. 대략적인 위치 선정 후, 세부 검토 및 수정을 거쳐 최적의 위치를 찾는다. 공업 지대나 대도시 주변에는 5~10km, 평지의 소도시는 15~25km, 산지에는 20~25km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건설비 절감을 위해 더 좁은 간격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인터체인지 주변에는 주유소, 주차장을 갖춘 음식점(패밀리 레스토랑, 드라이브 인 등), 기념품 점포 등 승용차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점포가 입지한다. 또한, 볼링장, 파친코점 등 오락 시설과 자동차 판매점, 공장·창고·트럭 터미널 등 물류 시설도 볼 수 있다. 주변 자치 단체는 유통이나 공업 단지를 조성하기도 한다. 러브 호텔이나 모텔이 입지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는 풍기나 교육 환경 문제로 지역 주민과의 마찰을 빚기도 하며, 인터체인지 건설 반대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쇼핑 센터·슈퍼마켓 등 대규모 로 사이드 점포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무료 도로에서는 서비스 구역이나 주차 구역을 대체하여 휴게소, 편의점, 음식점 등을 인터체인지 주변에 설치하기도 한다.
고속도로를 이용한 환자 이송을 위해 고차 응급 의료 기관이 입지하거나, 구급차 긴급 퇴출로가 정비되기도 한다.
1998년 9월 도로법 개정으로, 고속자동차 국도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 연결로 부속지에 이용 편의 증진 시설 사업자를 공모, 점용 허가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같은 해 12월, 누마타IC와 후쿠로이IC에서 편의점이 개업한 것을 시작으로, 각지에서 사업화되었다.
6. 기타
6. 1. 유럽 및 미국의 인터체인지
미국에서는 인터체인지가 약 5km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83] 미국의 고속도로는 주(州)마다 마일 수(마일 포스트)에 대응하는 숫자로 인터체인지(출구) 및 정션에 번호를 매긴다.[80] 동일 인터체인지에 복수의 출구가 있을 때는 숫자에 알파벳을 붙여 구분한다(예: 1A, 1B…).[80] 이러한 방식은 도중에 인터체인지를 추가해도 번호를 다시 매길 필요가 없고,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IC 입구 안내 표지판에는 노선 번호는 있지만 IC 번호는 없다.독일의 아우토반 건설 당시 일반 도로와의 접속 시설은 평균 10km 간격으로 설치하기로 했다.[56] 전후 인터체인지 수가 증가했지만,[56] 아우토반의 성격에 따라 간격이 다르며, 약 7km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보고[83]와 대도시권에는 3~4km나 2km 간격의 예도 있다는 정보[84]가 있다. 독일에서는 인터체인지(출구) 및 정션에 기점부터 종점까지 일련번호로 넘버링을 한다.[80] 프랑스 또한 인터체인지(출구)에 기점부터 종점까지 일련 번호로 넘버링을 한다.[80] 영국에서는 인터체인지 및 분기점에 기점에서 종점 방향으로 일련 번호를 매긴다.[80]
6. 2. 아시아 국가의 인터체인지
중국의 고속도로 나들목에는 번호가 할당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점을 1번으로 하는 일련번호로 되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Fact Sheet: Light Horse Interchange – Westlink M7/M4 Motorway Interchange
http://www.westlinkm[...]
Westlink Motorway Limited
2006-05
[2]
웹사이트
Interstate System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21-07-27
[3]
서적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https://www.bestmate[...]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2021-07-27
[4]
웹사이트
The Amazing World of: Interchange Designs
https://www.sehinc.c[...]
Short Elliott Hendrickson Inc.
2021-07-25
[5]
서적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https://www.bestmate[...]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2021-07-30
[6]
간행물
Interchange Development Patterns on Interstate Highways in South Carolina
http://onlinepubs.tr[...]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021-07-27
[7]
서적
Design of Interchange Loop Ramps and Pavement/Shoulder Cross-Slope Breaks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8]
웹사이트
Motorways (253 to 273) – Joining the motorway (259)
https://www.gov.uk/m[...]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021-07-26
[9]
웹사이트
Motorways (253 to 273) – Leaving the motorway (272 to 273)
https://www.gov.uk/m[...]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021-07-26
[10]
보고서
The Design of Major Interchanges
https://www.tiipubli[...]
Transport Infrastructure Ireland
2021-08-01
[11]
웹사이트
Ingress/Egress
https://www.txdot.go[...]
Tex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1-07-18
[12]
보고서
Cross Sections of One-Way Ramps and Loops
http://www.iowadot.g[...]
2009-10-19
[13]
보고서
Guidelines for Ramp and Interchange Spacing
http://www.cmfcleari[...]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21-07-27
[14]
웹사이트
Bronx River Parkway
https://www.dot.ny.g[...]
New York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4-10-04
[15]
뉴스
City Opens Bronx Park Way to Traffic
https://www.nytimes.[...]
2010-04-13
[16]
뉴스
The Age of the Auto: Sportsman William K. Vanderbilt II's cup race paves the way to the future
http://www.newsday.c[...]
1998-04-12
[17]
뉴스
35 cars to race on the Motor Parkway
https://timesmachine[...]
1908-10-10
[18]
뉴스
Built to Meander, Parkway Fights to Keep Measured Pace
https://www.nytimes.[...]
2021-08-01
[19]
보고서
Evolution of Interchange Design in North America
http://conf.tac-atc.[...]
Conference of the Transportation Association of Canada
2021-07-29
[20]
웹사이트
US Patent No. 1173505A
https://patents.goog[...]
Google Patents
2021-07-29
[21]
뉴스
A Major Lane Change
https://www.latimes.[...]
2021-07-29
[22]
뉴스
New Bridge Over Raritan, 'Express Route' Opens Today
https://www.newspape[...]
2021-07-29
[23]
학위논문
Free-flow Parclo Interchange vs. the Cloverleaf Interchange with C-D Roads and the All-Directional Four-level Interchange: A Comparison of Geometrics, Construction Cost, and Right of Way Requirements
https://repository.l[...]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21-07-31
[24]
서적
From Footpaths to Freeways
Ontario Ministry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Historical Committee
[25]
뉴스
The octopus that could save Slussen
https://www.thelocal[...]
The Local
2021-07-19
[26]
웹사이트
Bureau of Environment Conference Report: NHDOT Monthly Natural Resource Agency Coordination Meeting
https://www.nh.gov/d[...]
New Hampshir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1-08-05
[27]
웹사이트
Ordinance No. 12-15
https://dublinohious[...]
City of Dublin, Ohio
2021-08-05
[28]
서적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https://www.bestmate[...]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2021-07-10
[29]
서적
Publication 13M – Design Manual, Part 2 Highway Design, Chapter 4
http://www.dot.state[...]
Pennsylva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1-07-10
[30]
서적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https://www.bestmate[...]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2021-08-03
[31]
웹사이트
Turbine Interchange Analysis in Lummen
https://www.jandenul[...]
Jan De Nul Group
2021-07-13
[32]
웹사이트
I-94 East Metro Interchange Study
https://i-94-east-me[...]
Minnesot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1-07-13
[33]
웹사이트
I-485/I-85 Turbine Interchange Design-Build
https://www.stvinc.c[...]
STV Inc.
2021-07-13
[34]
간행물
The art of the interchange
https://www.politico[...]
2021-07-13
[35]
웹사이트
Rare 'Turbine' Design for Charlotte's I-85/485 Interchange
https://www.enr.com/[...]
2021-07-13
[36]
웹사이트
I-40 AT I-440/ US 1/ US 64 Interchange Feasibility Study, Prepared for: North Carolina Capital Area Metropolitan Planning Organization
https://nmcdn.io/e18[...]
Parsons Brinckerhoff
2015-08
[37]
웹사이트
Dror Bar-Natan's Image Gallery: Knotted Objects: Baltimore Interchange
http://www.math.toro[...]
2022-05-02
[38]
웹사이트
The knot driver
https://bldgblog.com[...]
2005-12-29
[39]
웹사이트
Construction still rolling along I-95 to prepare for Express Toll Lanes
https://www.avenuene[...]
2007-07-03
[40]
간행물
2013 Design Manual
Indian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41]
서적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https://www.bestmate[...]
AASHTO
[42]
웹사이트
CT Has an Absurd Number of Left Exits, the Most in New England by far
https://i95rock.com/[...]
2022-03-04
[43]
간행물
South Carolina Roadway Design Manual
https://www.scdot.or[...]
South Carolin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1-02
[44]
서적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https://www.bestmate[...]
AASHTO
[45]
간행물
South Carolina Roadway Design Manual
https://www.scdot.or[...]
South Carolin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1-02
[46]
웹사이트
Double Crossover Diamond Interchange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9-10
[47]
웹사이트
I-64 Interchange at Route 15, Zion Crossroads
http://www.virginiad[...]
Virgi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3-06-13
[48]
웹사이트
New Interchange and Intersection Designs: The Synchronized Split-Phasing Intersection and the Diverging Diamond Interchange
http://www.urbanstre[...]
[49]
웹사이트
Missouri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http://www.modot.org[...]
[50]
웹사이트
I-44/Route 13 Interchange Reconstruction: Diverging Diamond Design
http://www.modot.org[...]
Missouri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06
[51]
웹사이트
Innovative Intersections and Interchanges
https://www.virginia[...]
2020-11-17
[52]
웹사이트
Single-Point Urban Interchanges
https://www.modot.or[...]
[53]
서적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https://www.bestmate[...]
AASHTO
[54]
Report
National Survey of Single-Point Urban Interchanges
https://static.tti.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1989-03
[55]
문서
w:High Five Interchange|ハイ・ファイブは、複雑な5層構造型であり、w:Frontage road|側道及びHOVレーン付近用のインターチェンジである。この混合設計は、高速道路の4層構造及び側道管制目的の3層ダイヤモンド型インターチェンジの各部分によって成り立っている。
[56]
논문
'インターチェンジの計画と設計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1[...]
京都大学
1967
[57]
문서
PDFlink|[http://www.road.or.jp/event/pdf/10_kouzou5.pdf 第5章 立体交差] - 「道路構造令の解説と運用」平成15年度 地区講習会資料(日本道路協会)
[58]
서적
道路構造令の解説と運用
2004-02
[59]
서적
道路構造令の解説と運用
2004-02
[60]
문서
PDFlink|[https://corp.w-nexco.co.jp/corporate/release/kyushu/h24/1101a/pdfs/01.pdf 椎田道路 大規模改築事業の概要 別紙]
2015年6月19日閲覧
[61]
서적
道路構造令の解説と運用
2004-02
[62]
서적
道路構造令の解説と運用
2004-02
[63]
문서
供用後に[[サガンクロス橋]]を追加した亜種となっている。
[64]
문서
東京湾アクアライン|東京湾アクアライン連絡道の袖ヶ浦インターチェンジではない。なお、ランプ上に京葉臨海鉄道臨海本線の踏切が存在する。
[65]
문서
厚木ICは[[小田原厚木道路]]と接続しているが、東名高速道路との双方向利用のみであり一般道とは接続しない。
[66]
서적
道路構造令の解説と運用
2004-02
[67]
문서
トランペット型構造を持ち合わせた、変則タイプのタービン型ジャンクション。
[68]
서적
道路構造令の解説と運用
2004-02
[69]
웹사이트
E1A 新名神 亀山西JCTの名古屋・伊勢ランプウェイが完成し、2019年12月21日(土)7時からご利用いただけます 合流・分岐が連続しますので注意してご走行ください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9-11-20
[70]
뉴스
효과事例: 고속 인터체인지 주변에 입지하는 공업단지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71]
간행물
道路の様々な効果に関する評価について(公共サービスの向上-高次医療機関へのアクセスの向上など)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72]
문서
[73]
문서
[74]
웹사이트
平成21年度開通予定の圏央道のインターチェンジ名称が決定しました。- 「桶川北本インターチェンジ」に決定 -
http://www.ktr.mlit.[...]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
2009-07-13
[75]
웹사이트
多気のスマートIC来春開通 VISON開業に合わせ
https://www.chunichi[...]
中日新聞
2020-11-07
[76]
웹사이트
E23 伊勢道「多気ヴィソン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2021年度春に開通予定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
2020-11-06
[77]
웹사이트
E23 伊勢道「多気ヴィソン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 2021年度春に開通予定
https://www.town.tak[...]
多気町
2020-11-06
[78]
문서
[79]
journal
◎字の区域の設定について
https://www.town.tak[...]
多気町役場企画調整課
[80]
간행물
高速道路ナンバリングの実現に向けた提言 参考資料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9-10-14
[81]
웹사이트
2018年度『Highway Walker』北海道版 12月号(No.39) 北海道全図
https://www.drivepla[...]
NEXCO東日本
2018-12-02
[82]
문서
[83]
간행물
スマートICに関する社会実験の概要と今後の取り組みについて
https://www.hido.or.[...]
国土交通省道路局有料道路課
2018-08-23
[84]
뉴스
「アウトバーンのインターチェンジ密度は日本の2~5倍」
ルール地方よもやま通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