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텔은 고속도로를 따라 위치한 숙박 시설로, 호텔과 달리 객실 문이 외부로 향하고 주차장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1925년 미국에서 처음 등장하여 자동차 여행의 증가와 함께 발전했으며, 균일한 외관과 네온사인을 통해 시각적인 특징을 갖게 되었다. 1950년대에는 대형 모텔 체인이 등장하면서 개인 소유의 모텔은 쇠퇴하기 시작했고, 1970년대 이후에는 고속도로의 발달로 인해 쇠퇴를 겪었다. 모텔은 범죄, 사회 문제와 연관되기도 하지만, 자동차 여행 문화의 상징이자 대중문화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현재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존되거나, 부티크 호텔 등으로 용도가 변경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텔 종류 - 리조트
    리조트는 숙박, 음식, 오락 시설을 제공하며, 스키, 해변, 골프, 스파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올인클루시브, 레크리에이션 리조트, 리조트 타운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 호텔 종류 - 펜션
    펜션은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숙박 시설로, 대한민국에서는 관광지에 위치한 가족 경영 형태의 소규모 숙박 시설을 의미하며, 양실 객실과 1박 2식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고, 다양한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대중 문화에서도 등장한다.
  • 숙박 시설 - 빌라
    빌라는 고대 로마 시대 상류층의 시골 저택에서 유래하여 로마 제국 시대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으며, 시대에 따라 의미와 형태가 변화하여 현대에는 단독주택, 고급 숙박 시설, 소규모 공동주택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 숙박 시설 - 리조트
    리조트는 숙박, 음식, 오락 시설을 제공하며, 스키, 해변, 골프, 스파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올인클루시브, 레크리에이션 리조트, 리조트 타운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모텔

2. 역사

자동차 여행의 대중화와 함께 등장한 모텔은 20세기 미국의 풍경을 형성한 중요한 숙박 시설 유형이다. 초기에는 여행객들이 직접 텐트를 치거나 차에서 잠을 자는 '오토 캠프'(Auto Camp) 형태였으나, 점차 편의 시설을 갖춘 상업적인 야영장과 오두막 형태의 숙소로 발전했다.[3][18]

'모텔(Motel)'이라는 용어는 1925년 캘리포니아주 샌 루이스 오비스포에 아서 하이네만이 세운 '마일스톤 모-텔(Milestone Mo-Tel)'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모터 호텔(Motor Hotel)'을 줄인 말이다.[9][89] 모텔은 주차장에서 객실로 바로 들어갈 수 있는 편리한 구조와 저렴한 가격을 특징으로 빠르게 확산되었고,[86] 특히 대공황 시기 비용을 절약하려는 여행객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모텔 산업은 전성기를 맞았다. 미국 전역에 수많은 모텔이 건설되었고, 수영장, 에어컨, 텔레비전 등 편의 시설 경쟁이 치열해졌다.[11][12] 홀리데이 인과 같은 대형 프랜차이즈 체인이 등장하여 표준화된 서비스와 예약 시스템을 제공하며 시장을 주도하기 시작했다.[27]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고속도로 시스템의 발달로 기존 국도변 모텔들이 쇠퇴하고, 체인 간 경쟁 심화 및 실속형 호텔의 등장으로 많은 독립 모텔들이 어려움을 겪었다.[33] 시간이 지나면서 '모텔'이라는 단어 자체가 낡거나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되면서, 많은 시설이 '호텔', '인(Inn)', '로지(Lodge)' 등으로 명칭을 변경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모텔'이라는 명칭이 본래 의미와는 다소 다르게 사용되기도 한다. 기존의 여관들이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면서 '모텔'로 간판을 바꾸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는 일본의 러브 호텔과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객실과 차고가 결합된 무인텔 형태도 등장하고 있다.[94]

2. 1. 초기 발전 (1920년대 ~ 1940년대)

자동차 여행객을 위한 최초의 캠프장은 1910년대 후반에 등장했다. 그 이전에는 호텔에 머물 여유가 없는 관광객들은 차에서 잠을 자거나 길가에 텐트를 쳤는데, 이런 장소를 '오토 캠프'(Auto Camp)라고 불렀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현대적인 캠프장은 수돗물, 피크닉 장소, 화장실 시설 등을 갖추기 시작했다.[3] 처음에는 여행자들이 직접 텐트를 치는 원시적인 시립 야영장이었으나, 수요가 늘면서 점차 영리 목적의 상업 야영장이 공공 야영장을 대체하게 되었다.

1930년대에 여행용 트레일러가 등장하기 전까지, 자동차 여행객들은 침대나 임시 주방 등을 추가하여 차를 개조해 사용했다. 그 다음 단계로 원시적이지만 영구적인 구조물인 오두막 야영장(Cabin Camp)이 나타났다. 특히 대공황 시기에는 고속도로에 인접한 땅을 가진 지주들이 수익을 내기 어려운 땅에 오두막을 짓거나, 관광 숙소(Tourist Home)를 열기도 했다. 이러한 길가의 오두막 코트 건물들은 보통 단층으로, 실용서나 건축 잡지에 나온 계획과 지침에 따라 빠르고 간단하게 지어졌다.[18] 대공황 중에도 정부의 고용 창출 노력 덕분에 고속도로망 확장은 꾸준히 이어졌지만, 길가의 오두막 야영장은 기본적으로 텐트 대신 작은 오두막이 있는 자동차 야영장 수준으로 원시적이었다.

1935년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의 시립 목록에는 관광 야영소 아래에 "모텔" 유형의 숙박 시설이 등재되어 있었다. 초기 오두막 야영소는 하룻밤 숙박비가 1USD 미만으로 저렴했지만 편의 시설은 거의 없었다. 더 나은 시설을 원했던 여행객들은 코티지 코트(Cottage Court)나 관광 코트(Tourist Court)를 찾기 시작했다. 이곳은 가격이 더 비쌌지만, 오두막에 전기와 실내 욕실이 있었고 때로는 개인 차고나 카포트(Carport)까지 갖추고 있었다. 건물들은 보기 좋게 모여 있거나 U자형으로 배치되었으며, 종종 주유소, 카페, 편의점 등을 포함한 더 큰 복합 단지의 일부이기도 했다. 글레이셔 국립공원의 라이징 선 오토 캠프나 텍사스의 블루 보넷 코트 같은 곳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자동차 야영장은 대공황 시기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인기를 유지했으나, 토지 비용 증가와 소비자 요구 변화로 점차 쇠퇴했다.

한편, 시내에서는 개인 주택을 개조하여 자동차 여행객에게 객실을 제공하는 관광객 숙소(Tourist Home)가 등장했다. 하숙집과 달리 주로 단기 여행객들이 이용했다.[5] 특히 미국 남서부에서는 짐 크로우 시대의 인종 차별 정책으로 인해 식당이나 숙소를 구하기 어려웠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행객들을 위해 일부 흑인들이 직접 관광객 숙소를 운영하기도 했다.[6] 당시 흑인 여행객들은 돈이 있어도 숙소를 구하거나 식당에서 식사하기 어려웠으며, 기본적인 편의 시설 이용조차 제한받는 경우가 많았다.[7]

이러한 인종 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흑인 여행자를 위한 그린북(The Negro Motorist Green Book)'' (1936–64)이 발간되어, 인종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숙소, 식당, 주유소 등을 안내했다.[18] 미국의 관광 숙박 시설에서의 인종 분리는 이후 1964년 민권법과 하트 오브 애틀랜타 모텔 대 미국 사건 판결을 통해 법적으로 종식되었다.[8]

아서 하이네만의 샌 루이스 오비스포의 모텔 인


샌루이스 오비스포에 있던 모텔 인(1976년 촬영). 1925년에 개업하여 1991년에 폐관하였다


"모텔(Motel)"이라는 용어는 1925년 아서 하이네만이 캘리포니아주 샌 루이스 오비스포에 세운 '마일스톤 모-텔(Milestone Mo-Tel)'에서 유래했다.[87] 하이네만은 건물 지붕 간판에 'Milestone Motor Hotel'이라는 글자를 모두 넣을 공간이 부족하자 'motor hotel'이라는 두 단어를 합쳐 'mo-tel'이라는 이름을 만들었다.[9][89] 이것이 최초의 모텔로 여겨진다. 이후 많은 유사한 시설들이 생겨나면서 스스로를 '모텔'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하이네만은 'Mo-Tel' 또는 '모텔'이라는 명칭에 대한 등록 상표를 얻는 데 실패했고, 그의 시설은 나중에 단순히 '모텔 인'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모텔은 관광객용 별도의 오두막들을 하나의 지붕 아래로 통합한 모터 코트(Motor Court) 또는 모터 호텔(Motor Hotel) 형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1926년부터 일부 모터 코트가 스스로를 모텔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1938년에 건설된 루이지애나주, 세인트 프랜시스빌의 3V 관광 코트[10]처럼 초기의 모텔 중 일부는 여전히 남아있다. 오토 캠프나 관광객 숙소와 달리, 모텔은 처음부터 자동차 여행객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으며, 점차 미국 전역에서 균일한 외관을 갖추게 되었다.[4]

모텔은 주차장을 중심으로 I자형, L자형, U자형 등의 평면도로 숙박동이 배치되고 객실 문이 주차장을 향하는 구조가 특징이다. 포터 같은 직원이 없어 짐은 숙박객이 직접 옮겨야 하지만, 객실 문 바로 앞에 차를 댈 수 있어 편리했다.[86] 가격이 저렴하고 셀프 서비스 방식이며, 객실은 비교적 넓었다. 이는 주로 철도 이용객을 대상으로 철도역 근처에 위치하며 주차장이 부족하고 벨보이나 포터에게 팁을 주어야 했던 기존의 고층 호텔들과 대조적이었다.

대공황 시기에는 여행 경비를 절약하려는 출장 여행객이나 외판원들이 기차 대신 자가용을 이용하고, 비싼 도심 호텔 대신 저렴한 길가의 모텔이나 코트에 머무르면서 모텔 산업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1940년대에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노동력, 연료, 고무, 운송 수단 등이 전쟁에 동원되어 민간 건설은 대부분 중단되었다. 건설이 이루어진 곳은 주로 군 기지 근처였으며, 그곳의 오두막들은 병사들과 그 가족들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었다.

2. 2. 전성기 (1950년대 ~ 1960년대)



1982년까지 사용된 홀리데이 인(Holiday Inn)의 "Great Sign". 일부는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는 미국에서 모텔 산업의 황금기를 맞이했다. 전쟁 중 주춤했던 건설은 전후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1947년 약 22,000개였던 모터 코트는 1950년에는 50,000개로 늘어났고, 1964년에는 61,000개에 달하며 정점을 찍었다.[13] 이는 당시 대도시 호텔 건설 비용(객실당 1.2만달러)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객실당 3천달러)으로 건설이 가능했기 때문이기도 했다.[11] 1950년에는 미국 휴가객 2,200만 명의 절반이 모텔을 이용했으며, 이듬해에는 호텔보다 모텔을 찾는 수요가 더 많아졌다.[12]

이 시기 모텔들은 경쟁적으로 시설을 개선하고 고객 유치에 힘썼다. 많은 모텔이 화려한 네온사인을 내걸고 "에어컨 완비"나 "스팀 난방"을 광고했으며, 일부는 위그 맘 모텔처럼 티피 모양을 한 별난 건축으로 눈길을 끌었다.[14] 기존의 독립적인 모터 호텔들도 수영장이나 당시 사치품이었던 컬러 텔레비전 같은 새로운 편의 시설을 추가하기 시작했다. 객실 내에 동전을 넣고 사용하는 매직 핑거스 진동 침대 같은 기기가 잠시 인기를 끌기도 했으나, 잦은 고장과 동전함 훼손 문제로 1970년대에 대부분 사라졌다. 해변가에 위치한 모텔들은 특히 인기가 많아, 플로리다주잭슨빌, 마이애미메릴랜드주 오션시티 같은 해변 도시에는 다채로운 디자인의 모텔들이 들어섰다.

초기 모텔 시장은 주로 지역 주민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소규모 독립 모텔들이 주도했다. 이들은 각 마을의 주요 도로였던 2차선 고속도로 주변에 자리 잡았으나, 독립적으로 운영되다 보니 숙박 시설의 품질이 제각각이었다. 미국 자동차 협회(AAA)나 캐나다 자동차 협회(CAA) 같은 기관의 평가를 받는 곳은 소수에 불과했고,[17] 전국적인 광고나 예약 시스템도 갖추지 못했다. 대신 모텔들은 눈에 잘 띄는 네온사인으로 '빈 방 있음'이나 '컬러 TV', '에어컨', '수영장' 등을 알리며 경쟁했고, 지역 관광 안내소나 무료 엽서를 통해 홍보하기도 했다.[16]

이러한 독립 모텔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리퍼럴 체인(Referral Chain)'이 등장했다. 이는 독립적인 모텔 소유주들이 모여 공동의 기준을 설정하고 서로를 홍보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베스트 웨스턴(1946년 설립)이나 퀄리티 코트(1939년 설립)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18][19] 회원 모텔들은 각자의 이름과 함께 체인의 로고를 사용하며 신뢰도를 높였다.

1950년대 들어서는 현대적인 '프랜차이즈 체인'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케몬스 윌슨은 1951년 가족 여행 중 겪었던 불편함[26]을 계기로, 이듬해 테네시주 멤피스에 표준화된 시설(TV, 에어컨, 레스토랑, 수영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홀리데이 인을 열었다. 홀리데이 인은 모든 지점에서 동일한 품질을 보장하고, 1965년에는 IBM과 협력하여 최초의 전국 단위 컴퓨터 예약 시스템을 도입하며[27]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라마다(1954년), 메리어트 인터내셔널(1957년) 등 다른 프랜차이즈 체인들도 등장하며 경쟁에 가세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1963년 아메리칸 호텔 협회는 아메리칸 호텔 & 모텔 협회로 명칭을 변경했다.[15]

프랜차이즈 시스템은 가맹점주에게 중앙 예약 시스템과 전국적인 브랜드 인지도를 제공했지만, 동시에 프랜차이즈 수수료, 마케팅 비용, 로열티 등의 부담을 안겨주기도 했다. 경기 침체기에도 이러한 비용은 줄어들지 않아 사업 위험의 상당 부분이 가맹점주에게 전가되는 구조였으며, 일부 계약은 사업 매각이나 프랜차이즈 탈퇴를 어렵게 만들기도 했다.[28]

체인 모텔의 확산과 더불어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주간 고속도로 건설은 기존 국도변에 위치했던 많은 독립 모텔들의 쇠퇴를 가져왔다. 새로운 고속도로가 기존 도로를 우회하면서 여행객들의 동선이 바뀌었고, 고속도로 나들목 주변에 새로 생긴 체인 모텔들에게 고객을 빼앗기기 시작했다. 이는 모텔 산업의 전성기 속에서도 독립 모텔들에게는 위기 요인이 되었다.

2. 3. 쇠퇴와 변화 (1970년대 이후)

체인점의 등장과 고속도로 시스템의 확산은 기존 독립 모텔들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특히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도로망은 기존 국도를 우회하며 건설되었고, 이로 인해 오래된 도로변의 모텔들은 새로운 도로의 진출입로 주변에 들어선 체인 모텔들에게 고객을 빼앗기기 시작했다.

66번 국도와 같이 완전히 우회되어버린 도로변의 마을 중 일부는 유령 마을이 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주 엠보이는 한때 66번 국도의 주요 휴게소였으나, 1973년 I-40 개통으로 완전히 고립되어 쇠퇴했다.[33] 심지어 홀리데이 인 체인의 시초였던 멤피스의 첫 모텔조차 1973년에 문을 닫고 결국 철거되었다.[29] 트윈 브리지스 메리어트 역시 1990년에 공원 부지 조성을 위해 철거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독립 모텔들은 모텔 6, 라마다와 같은 대형 체인점과의 경쟁 심화 및 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한 입지 약화라는 이중고를 겪었다. 여기에 더해, 197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실속형 호텔(Economy/Limited Service, ELS)들은 모텔 산업의 지형을 더욱 변화시켰다. 저니즈 엔드 코퍼레이션(1978년 설립)과 같이 수영장이나 레스토랑 등 부대시설을 없애고 저렴한 가격에 객실만 제공하는 형태의 숙박 시설이 등장하여[31], 기존 모텔의 주요 고객층이었던 예산 중시 여행객들을 끌어들였다.

기존 대형 호텔 체인들도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시장을 세분화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초이스 호텔은 1982년 실속형 브랜드인 컴포트 인을 출시했으며, 다른 주요 체인들도 기존 브랜드를 유지하면서 별도의 실속형 브랜드를 만들어 고속도로 진출입로나 공항 근처에 시설을 확장했다. 이는 체인 내 가맹점 간의 최소 거리 보장 계약을 우회하면서 동일 지역에 여러 브랜드를 출점시켜 경쟁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고, 결국 시장 포화 상태를 야기하기도 했다.[28] 슈퍼 8이나 모텔 6 같은 브랜드는 점차 내부 복도 구조를 채택하며 호텔화되었고, 라마다홀리데이 인 같은 기존 모텔 브랜드들도 중급 호텔 체인으로 변모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번성했던 많은 독립 모텔들은 경쟁 심화와 시설 노후화로 인해 점차 쇠퇴했다. 원래 소유주들이 은퇴하고 후임자들이 관리를 소홀히 하면서 건물 상태는 악화되었고, 외부 복도 형태의 단순한 구조는 다른 용도로 전환하기도 어려웠다.

캐나다의 윈저-퀘벡 회랑이나 미국의 오래된 국도변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졌다. 특히 토론토의 킹스턴 로드 모텔 스트립[32]이나 피닉스의 밴 뷰렌 스트리트[35]처럼 도시 외곽에 위치했던 모텔 밀집 지역은 노후화되고 우범 지대로 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지 보수가 중단되고 가격 인하 경쟁이 벌어지면서 시설은 더욱 낙후되었고, 일부 모텔은 노숙자나 사회 복지 대상자를 위한 임시 거처로 사용되기도 했다. 1976년경에는 '바퀴벌레 모텔(cockroach motel)'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34] 일부 저가 모텔의 이미지는 크게 실추되었다. --

반면,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과거에는 외곽 지역이었던 곳이 가치 있는 도심 토지로 변모하자, 오래된 모텔 건물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콘도미니엄 등 새로운 건물을 짓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기도 했다. 역사적인 가치가 있는 일부 모텔조차 방치되어 쇠퇴했는데, '모텔'이라는 이름을 처음 사용했던 샌 루이스 오비스포의 모텔 인은 복원 계획이 무산된 채[36][37] 일부만 남아 방치되어 있다. 초창기 모텔 체인이었던 알라모 플라자 호텔 코트의 여러 지점들도 노후화되어 철거되거나[39][40][41], 범죄의 온상이 되기도 했다.[38]

20세기 말 미국에서는 모텔 산업의 소유 구조에도 변화가 생겼다. 기존 백인 소유주들이 은퇴하면서 인도계 미국인, 특히 구자라트인 출신 이민자들이 다수의 모텔을 인수하여 운영하게 되었다.[42][43] 물론 일부는 여전히 창업주 가족이 대를 이어 운영하는 경우도 남아있다.[44]

살아남은 독립 모텔들과 기존 체인들은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적응해야 했다. 과거에는 사치품으로 여겨졌던 컬러 TV 대신 평면 TV, 와이파이, 전자레인지, 소형 냉장고 등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게 되었으며[45], 온라인 예약 시스템과 키 카드가 도입되어 보편화되었다. 이코노 로지, 트래블로지, 나이츠 인 등 일부 프랜차이즈는 여전히 전통적인 모텔 형태(객실 문이 주차장을 향하는 구조)를 유지하며 브랜드를 제공하고 있다.[46]

하지만 '모텔'이라는 단어가 가진 부정적인 이미지를 피하기 위해, 많은 시설들이 '호텔', '인(Inn)', '로지(Lodge)' 등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미국 호텔 및 모텔 협회(American Hotel & Motel Association)는 2000년에 '모텔'을 제외하고 미국 호텔 및 숙박 협회(American Hotel & Lodging Association)로 명칭을 변경했다.

2. 4. 한국의 모텔

대한민국에서는 방에 화장실이나 샤워 또는 욕실 설비를 갖춘 한국식 여관이 기존에는 "○○장 여관"으로 불리다가, 최근 "○○모텔"로 명칭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 일반 관광객을 주로 받는 모텔도 있지만, 외관이나 내부 시설, 주요 이용객층이 일본의 러브 호텔과 비슷한 모텔도 존재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도 가족 단위나 1인 고객 등 일반 숙박객을 거부하지 않으며, 시설이 잘 갖춰져 있고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 고객도 많이 이용한다.

또한, 주차장이 없는 과거의 "○○장 여관"까지 "○○모텔"로 이름을 바꾸는 경우가 많아, 이는 '모터 호텔(Motor Hotel)'이라는 모텔의 본래 어원과는 맞지 않는 현상이다.

일본의 모텔 시스템과 유사하게 객실마다 차고가 있는 방식(원룸-원개러지)의 모텔은 무인텔[94]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무인텔은 2010년대 이후 전라남도 화순군을 시작으로 전국의 인구 감소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일본의 모텔처럼 비어있는 객실은 셔터가 열려 있고, 차를 주차한 후 셔터를 닫고 이용료를 지불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한국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숙박 형태이므로 대부분 자동 정산기를 사용하며, 관리인과는 정산기 옆의 인터폰으로 연락한다.

3. 건축 및 디자인

모텔은 본질적으로 자동차 여행객의 편의를 염두에 두고 설계된 숙박 시설로, 건축 및 디자인 면에서 전통적인 호텔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가장 큰 특징은 주로 고속도로변과 같이 차량 접근이 용이한 곳에 위치하며, 객실 문이 내부 복도가 아닌 외부 주차장을 직접 향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86] 이는 투숙객이 자신의 차량을 객실 문 가까이에 주차하고 짐을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편의성을 극대화한 구조이다.

건물은 대부분 1~2층의 저층 구조이며, 객실들이 I자, L자, 또는 U자 형태로 배치되어 중앙의 주차 공간을 둘러싸는 형태가 일반적이다.[2] 이는 주로 도심에 위치하며 다층 구조를 가진 호텔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초기 모텔은 기능성에 중점을 두었으나, 점차 경쟁이 심화되면서 시각적인 차별화를 위해 눈길을 끄는 네온 사인이나 특정 테마를 활용한 디자인이 도입되기도 했다. 모텔의 구체적인 구조와 디자인 특징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3. 1. 일반적인 구조

미국 미네소타주, 딜워스에 있는 스타 라이트 모텔은 전형적인 1950년대 미국식 L자형 모텔이다.


모텔은 종종 대형 수영장을 갖추고 있는데, 예를 들어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있는 선더버드 모텔 (1973년)이 있다.


사우스다코타주, 커스터의 로켓 모텔의 전형적인 모텔 로비


모텔은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를 따라 위치하며, 이는 주로 도심에 자리 잡는 호텔과는 대조적인 특징이다. 또한 객실 문이 일반적으로 내부 복도를 향하는 호텔과 달리, 모텔의 객실 문은 외부, 특히 주차장을 향해 열려 있는 구조를 가진다. 모든 모텔은 기본적으로 주차장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자동차 보급 이전에 지어진 오래된 호텔들이 주차 공간을 고려하지 않은 것과 차이가 있다.

모텔은 주로 1~2층 정도의 낮은 건물로 지어지기 때문에, 같은 면적의 땅이라도 철도역 주변에 지어진 고층 호텔에 비해 수용할 수 있는 객실 수가 적다. 하지만 모터리제이션 초기, 주요 고속도로가 마을의 중심 도로 역할을 하고 도시 외곽의 저렴한 토지에 모텔 건설이 용이했던 시대에는 이것이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자동차의 보급은 이동성을 높였고, 모텔은 광대한 도로망 어디에나 들어설 수 있었다.

건물 배치는 객실, 부속된 관리자 사무실, 작은 접수처 등을 포함하는 I자형, L자형 또는 U자형 레이아웃이 일반적이다. 경우에 따라 작은 식당이나 수영장을 갖추기도 한다. 대부분 단층 구조로 객실 문이 주차장과 바로 연결되어 있어, 차에서 객실로 짐을 옮기기 편리하다.[2] 2층 구조인 경우, 외부 계단을 통해 발코니로 연결된다. 주차장을 향해 객실이 있는 캐빈이나 코티지 형태도 모텔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짐을 객실까지 운반해주는 포터는 없으며, 숙박객이 직접 객실 문 앞에 차를 세우고 짐을 옮기는 셀프 서비스 방식이다.[86]

특히 1950년대 초반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의 전후 시기에 지어진 모텔들은 시각적인 개성을 강조하기 위해, 눈길을 끄는 화려한 네온 사인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네온사인에는 서부극의 카우보이나 인디언 이미지부터 우주선과 같은 원자 시대의 상징물까지, 당시 대중문화의 다양한 테마가 활용되었다. 미국 66번 국도는 이러한 "네온 시대"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장소로, 당시의 간판 중 상당수가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3. 2. 디자인 특징

모텔은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를 따라 위치하며, 객실 문이 주차장 등 외부를 향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도심에 위치하고 내부 복도를 향해 객실 문이 있는 호텔과 대조되는 주요 특징이다.[86] 대부분의 모텔은 손님이 자신의 객실 문 바로 앞에 차를 주차하고 짐을 직접 옮길 수 있도록 설계되어 편리성을 높였다.[86]

건물 구조는 주로 1~2층의 낮은 형태로 지어지며, 객실, 관리자 사무실, 작은 접수처를 포함하는 I자형, L자형, 또는 U자형 배치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경우에 따라 작은 식당이나 수영장과 같은 부대시설을 갖추기도 한다.[2] 2층 구조의 모텔은 외부 계단을 통해 객실 앞 발코니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특히 1950년대 초반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의 전후 시대에 지어진 모텔들은 시각적인 개성을 중요하게 여겼다. 눈길을 사로잡는 화려하고 다채로운 네온 사인이 대표적인 특징인데, 이는 종종 카우보이아메리카 원주민 같은 서부극 테마, 또는 우주선원자 시대의 상징물 등 당시 유행하던 대중문화 요소를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미국 66번 국도변에 늘어선 모텔들은 이러한 '네온 시대'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꼽히며, 이러한 건축 양식은 구기 건축(Googie architecture)의 특징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객실 내부는 비교적 넓은 편이며, 일부 모텔에서는 주방 시설을 갖춘 '이피션시(efficiency)' 객실을 일반 객실보다 높은 가격에 제공하기도 했다. 이는 장기 투숙객이나 식비를 절약하려는 여행객들에게 유용한 선택지였다. 또한, 두 개의 객실을 하나로 합쳐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문이 설치된 객실도 흔히 볼 수 있었다. 특정 관광지, 예를 들어 온타리오주 나이아가라 폭포 인근의 일부 모텔들은 신혼부부를 겨냥하여 월풀 욕조와 같은 추가적인 편의 시설을 갖춘 '신혼부부 스위트'를 운영하며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했다.

4. 사회문화적 의미

일본에서는 전후 모터리제이션의 발전과 함께 자가용차가 보급되면서, 독특한 형태의 모텔 문화가 발달했다. 미국식 모텔과는 달리, 일본의 모텔은 개별 객실마다 차고를 갖춘 원룸·원개러지 방식이 특징적이었다. 1층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바로 2층 객실로 올라가는 구조가 많았으며, 이는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이용객들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었다. 특히 입실부터 퇴실까지 종업원이나 다른 사람과 마주치지 않도록 자동 계산기나 가림막이 있는 작은 창구를 통해 계산하는 등, 익명성을 보장하는 시스템을 갖춘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일본에서 '모텔'은 점차 자동차를 이용한 '연애 숙소', 즉 러브 호텔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본 최초의 모텔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1957년 아타미에 개업한 모터 호텔, 같은 시기 나고야의 '카 호텔', 1959년 하코네의 '모텔·하코네[93]' 등이 언급된다. 완전한 원룸·원개러지 방식의 시초는 1963년 이시카와현 가가시 교외에 문을 연 '모텔 호쿠리쿠'로 알려져 있다. 이 모텔은 미국식 모텔을 모델로 하여 가족이나 그룹 여행객을 위한 시설도 갖추었으나, 실제 이용객은 커플이 대부분이었다. 이를 계기로 1968년 요코하마에 커플 고객을 주 대상으로 한 '모텔 게이힌'이 등장했고, 이후 유사한 형태의 모텔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얼굴을 보이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모텔의 영업 방식은 매춘이나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사회적 비판에 직면했다. 1969년 경찰청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이 지적되었고, 1972년 풍속 영업 등 단속법 개정으로 모텔 영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다. 조례에 따라 특정 지역에서의 모텔 영업이 금지되면서 일부 모텔은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하지만 법망을 피한 '유사 모텔'이 등장하면서 러브 호텔과의 경계는 더욱 모호해졌다.

현재 일본에서 '모텔'이라는 용어는 과거와 같은 의미로 잘 사용되지 않지만, 타운 페이지와 같은 업종별 전화번호부에서는 여전히 '모텔·러브 호텔'로 함께 분류되는 등 그 흔적이 남아있다. 러브 호텔 업계 단체인 '(일사) 일본 레저 호텔 협회'의 전신 명칭이 '(일사) 일본 자동차 여행 호텔 협회'였다는 점도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보여준다. 한편, 미국식 모텔과 유사한 형태의 숙박 시설로는 패밀리 로지 여관집과 같은 체인이 있으며, 간선도로변에는 주차장을 갖춘 비즈니스 호텔도 운영되고 있다.

4. 1. 자동차 여행 문화의 상징



모텔은 "자동차(motor)"와 "호텔(hotel)"을 합친 혼성어[9], 자동차 여행객을 위한 숙소를 의미한다. 20세기 초 미국에서 포드 모델 T와 같은 저렴한 자동차가 대량 생산되면서 모터리제이션이 급속히 진행되었고, 1920년대부터 전국적인 미국 국도망이 건설되면서 장거리 자동차 여행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도로변에서 쉽게 접근하고 주차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숙박 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모텔이 등장하고 빠르게 성장했다.

모텔은 주로 철도 이용객을 대상으로 도심의 철도역 근처에 고층으로 지어지던 기존 호텔과 여러 면에서 달랐다. 모텔은 주로 고속도로나 간선 도로변의 교외 지역에 위치했으며, 넓은 주차장을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었다. 건물은 대부분 1~2층의 저층 구조였고, 객실 문은 호텔처럼 내부 복도가 아닌 주차장을 향해 외부로 직접 열리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이는 숙박객이 자신의 차를 객실 문 바로 앞에 주차하고 짐을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86]. 짐 운반 서비스는 없었지만, 저렴한 가격에 넓은 객실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모텔의 초기 형태는 1920년대에 등장한 자동 야영장(auto camp)으로 볼 수 있다. 처음에는 여행자들이 직접 텐트를 치는 원시적인 시립 야영장이었으나[3], 수요가 늘면서 점차 상업적인 야영장으로 대체되었다. 이후 여행객들은 자동차를 개조하여 잠자리를 마련하거나 여행용 트레일러를 이용하기도 했지만, 곧 오두막 야영장(cabin camp)이라는 영구적인 구조물이 등장했다. 특히 대공황 시기에는 고속도로변 토지 소유자들이 수익을 내기 위해 간단하게 지을 수 있는 오두막을 건설했으며[18], 일부는 B&B 형태의 관광 숙소(tourist home)를 운영하기도 했다. 관광 숙소는 개인이 자신의 집을 자동차 여행객에게 단기 임대하는 형태였다.[5]

당시 미국 남부에서는 짐 크로우 법에 따른 인종 차별이 심각하여 흑인 여행객들은 식당이나 숙소를 구하기 매우 어려웠다.[6][88] 이 때문에 일부 흑인들이 직접 관광 숙소를 운영하며 동족 여행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도 했다. 어빙 로건 주니어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66번 국도에서는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 있었습니다. 시카고와 로스앤젤레스 사이에서는 장거리 운전 후 피곤하더라도 방을 빌릴 수 없었습니다. 식당이나 식당에서 앉아 식사를 할 수도 없었고, 아무리 돈이 많아도 식사를 살 수 없었습니다. 돈이 있어도 용변을 볼 곳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1940년대와 50년대에 66번 국도를 여행하는 유색 인종이라면 말입니다."[7] 이러한 차별 속에서 흑인 여행객들을 위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숙소, 식당, 주유소 등을 안내하는 ''흑인 여행자를 위한 그린북''(The Negro Motorist Green Book, 1936–64)과 같은 안내서가 발행되기도 했다.[18] 이러한 숙박 시설에서의 인종 분리는 1964년 민권법 제정과 하트 오브 애틀랜타 모텔 대 미국 사건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판결을 통해 법적으로 금지되었다.[8]

"모텔"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1925년 캘리포니아주 샌 루이스 오비스포에 '마일스톤 모-텔(Milestone Mo-Tel)'을 건설한 Arthur Heineman|아서 하이네만영어이었다. 그는 간판에 'Milestone Motor Hotel'이라는 글자를 모두 적을 공간이 부족하자 'motor hotel'을 줄여 'mo-tel'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9][89] 이후 많은 유사 숙박 시설들이 '모텔'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하이네만의 모텔은 나중에 '모텔 인'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초기 모텔들은 개별 오두막 형태에서 점차 하나의 건물 안에 여러 객실을 배치하는 모터 코트(motor court) 또는 모터 호텔(motor hotel) 형태로 발전했다. 대공황 시기에는 출장 여행객이나 외판원들도 비용 절감을 위해 기차 대신 자가용을 이용하고, 팁을 줘야 하는 직원이 많은 도심 호텔 대신 저렴한 길가 모텔을 선호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건설 자재와 노동력이 전쟁 지원에 집중되면서 모텔 건설이 잠시 주춤했지만, 전쟁이 끝난 1950년대에는 다시 대규모 건설 붐이 일어났다. 1947년 미국에는 약 22,000개의 모터 코트가 운영 중이었고[11], 1950년에는 50,000개로 늘어나 미국 휴가객의 절반을 수용했으며[12], 1964년에는 61,000개로 정점을 찍었다.[13] 이 시기 모텔들은 에어컨("에어 쿨링"), 난방("스팀 히팅"), 수영장, 컬러 TV 등 새로운 편의 시설을 경쟁적으로 도입했고, 눈길을 끄는 화려한 네온사인을 내걸었다. 네온사인에는 카우보이, 아메리카 원주민 같은 서부 개척 시대 모티프나 우주선, 원자력 같은 당시 첨단 과학기술을 상징하는 모티프가 사용되는 등 구기 건축 양식이 나타나기도 했다.[14] 티피 모양의 위그 맘 모텔처럼 독특한 건축 디자인을 선보이는 곳도 있었다. 객실 내에는 동전을 넣고 사용하는 매직 핑거스 진동 침대 같은 설비가 잠시 인기를 끌기도 했다.[15]

초기의 모텔들은 대부분 소규모 가족 경영 방식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시설이나 서비스의 질이 제각각이었다. 전국적인 광고나 예약 시스템이 없었기에, 모텔들은 주로 도로변의 눈에 잘 띄는 네온사인("빈 방 있음" 또는 편의시설 강조)이나 지역 관광 안내소, 무료 엽서 등을 통해 홍보했다.[16] 미국 자동차 협회(AAA)나 유명 레스토랑 평론가 덩컨 하인스가 발행한 여행 가이드북의 추천을 받는 것이 중요한 홍보 수단이었다.[17]

1930년대부터는 동일한 브랜드와 건축 양식을 공유하는 모텔 체인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929년 텍사스주 웨이코에서 시작된 알라모 플라자 호텔 코트는 최초의 모텔 체인 중 하나로 꼽힌다.[21][22] 1935년 샌디에이고에서 시작하여 1946년 법인화된 트래블로지 역시 초기의 주요 체인이다.[23] KFC 창업자로 유명한 할랜드 샌더스도 1937년 켄터키주 코빈에 샌더스 코트 앤 카페라는 모텔 겸 레스토랑을 열었으나, 체인으로 확장되지는 않았다.[24][25]

1952년, Kemmons Wilson|케몬스 윌슨영어테네시주 멤피스에 가족 여행객을 위한 표준화된 서비스와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운 홀리데이 인을 개업하면서 모텔 산업은 큰 변화를 맞이했다.[90] 홀리데이 인은 빠르게 전국적인 체인망을 구축하며 성공을 거두었고, 이는 기존의 소규모 독립 모텔들의 쇠퇴를 가속화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이 건설되면서 기존 국도변에 위치했던 많은 모텔들이 주요 교통 흐름에서 벗어나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동시에 대형 호텔 체인들도 고속도로 인터체인지나 공항 근처에 저렴한 가격대의 브랜드를 출시하면서 모텔과 호텔의 경계는 점차 모호해졌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오래된 국도변에서는 과거의 향수를 간직한 소규모 가족 경영 모텔들을 찾아볼 수 있다. 미국 내셔널 트러스트와 같은 단체들은 국도 66호선 주변의 역사적인 모텔들을 보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91]

4. 2. 대중문화 속 모텔

모텔은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중요한 배경이나 소재로 등장하며, 때로는 특정 장르의 클리셰를 형성하기도 한다.

가장 상징적인 예 중 하나는 로버트 블로흐의 1959년 소설 ''싸이코''와 이를 각색한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1960년 영화 ''싸이코''에 등장하는 베이츠 모텔이다. 이 모텔은 이후 제작된 속편 영화 ''싸이코 2''(1983), ''싸이코 3''(1986), ''싸이코 4: 더 비기닝''(1990)과 구스 반 산트 감독의 1998년 리메이크작 ''싸이코''에서도 주요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1987년 TV 영화 ''베이츠 모텔''과 2013년부터 방영된 TV 시리즈 ''베이츠 모텔''은 원작 영화의 프리퀄로서 모텔의 이름을 제목으로 삼았다. 2010년 할로윈 TV 스페셜 ''겁쟁이 슈렉''에서는 장화 신은 고양이가 "부츠 모텔"이라는 패러디를 언급하기도 한다.

호러 영화 장르에서는 고립된 모텔을 연쇄 살인범이 운영하며 투숙객을 희생시키는 설정이 자주 사용된다. 대표적인 예로 ''모텔 헬''(1980)과 ''마운틴탑 모텔 대학살''(1986)이 있다. 최근에는 ''메이헴 모텔''(2001), ''머더 인''(2005), ''배케이션'' (2007)과 그 프리퀄인 ''배케이션 2: 더 퍼스트 컷''(2009) 등이 이러한 공포 장르의 계보를 잇고 있다.

일부 공포 영화는 모텔 주인이 투숙객의 성적인 행위를 엿보거나 촬영하는 관음증 요소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는 모텔이 불법적인 성행위와 연관된다는 사회적 인식을 이용한 것으로, 이러한 테마는 스릴러, 코미디, 십 대 영화, 섹스플로이테이션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서 다뤄졌다. 초기 작품으로는 스티븐 C. 아포스톨로프의 ''모텔 기밀''(1967)과 포르노 영화 ''사랑을 위한 모텔''(1970)이 있으며, 이후 ''파라다이스 모텔''(1985), ''토킹 월스''(1987), ''선셋 모텔의 욕망과 지옥''(1991) 등이 제작되었다. 한국 영화로는 ''모텔 선인장''(1997)과 ''모텔''(2005)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수많은 영화와 TV 시리즈에서 모텔은 고립되고 낡고 지저분한 장소로 묘사되며, 불미스러운 사건의 배경으로 등장한다. 예를 들어 ''핑크 모텔''(1982), ''모텔 블루 19''(1993), ''백로드 모텔''(2001), ''스테이트라인 모텔''(2003), ''나이아가라 모텔''(2006), ''모텔 5150''(2008) 등이 있다.

모텔은 공상 과학 장르에서도 등장하는데, 영화 ''스파클 라이트 모텔''(2006)과 TV 미니시리즈 ''로스트 룸''(2006)이 그 예이다. 픽사의 애니메이션 영화 ''''(2006)에서는 등장인물들이 모두 의인화된 자동차이기 때문에 모든 숙박 시설이 고객이 객실로 바로 운전해 들어갈 수 있는 모텔 형태로 그려진다. 이 영화에는 66번 국도에 실존하는, 미국 국립 사적지에 등록된 모텔들에 대한 오마주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코지 콘 모텔의 디자인은 애리조나주 홀브룩에 있는 위그웜 모텔을 기반으로 했고,[78][79][80] 뉴멕시코주 투컴캐리의 블루 스왈로우 모텔의 네온사인 문구("100% Refrigerated Air")를 차용했으며,[81] 휠 웰 모텔의 이름은 미주리주 쿠바에 있는 왜건 휠 모텔을 암시한다. 영화 속 '글렌 리오 모텔'은 66번 국도변의 유령 도시이자 국립 역사 지구인 뉴멕시코주 글렌리오와 텍사스주 글렌리오를 연상시킨다. 글렌리오는 한때 "텍사스 최초의 모텔"(뉴멕시코 방향에서 진입 시) 또는 "텍사스 마지막 모텔"(반대 방향에서 진입 시)이라는 간판으로 유명했다.[82]

컴퓨터 게임 ''머더 모텔''은 1980년대 다양한 다이얼업 게시판 시스템(BBS)에서 인기를 끌었던 텍스트 기반 온라인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모텔의 각 방을 돌아다니며 다양한 무기를 사용해 다른 투숙객을 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3]

연극 무대에서도 모텔은 종종 배경으로 활용된다. 특히 허름한 모텔 방은 ''같은 시간, 내년''(1975)이나 ''버그'' (2006)와 같은 2인극의 배경으로 설정되기도 했다. 두 작품 모두 나중에 영화로 각색되었다. 브로드웨이 뮤지컬에서도 모텔 문화의 저속한 이미지를 차용한 노래들이 등장했는데, ''프리티벨''의 "The No-Tel Motel"이나 ''롤리타, 마이 러브''의 "At the Bed-D-by Motel" 등이 그 예이다.

영국의 장수 연속극 ''크로스로드''는 잉글랜드 미들랜드 지방의 한 모텔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다. 처음에는 미국식 샬레 형태의 모텔이었으나, 나중에는 고급 컨트리 호텔로 설정이 변경되었다.

에미상을 수상한 캐나다의 TV 시리즈 ''쉬츠 크릭''에서는 부유했지만 파산한 로즈 가족이 허름한 모텔로 이사하여 살게 된다.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주인공 조니 로즈와 모텔 직원 스티비 버드는 낡은 모텔을 개성 있는 부티크 모텔로 탈바꿈시키려 노력한다. 한 에피소드에서는 시대에 맞는 가구로 꾸며진 '프레지덴셜 스위트'가 등장하기도 한다.[84]

4. 3. 사회 문제와의 연관성

과거 미국 남부에서는 짐 크로우 법의 영향으로 유색 인종 여행객들이 식당이나 숙소를 구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인종 차별 속에서 일부 모텔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위해 문을 열기도 했다.[6] 당시 상황에 대해 어빙 로건 주니어는 "66번 국도에서는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 있었습니다. 시카고와 로스앤젤레스 사이에서는 장거리 운전 후 피곤하더라도 방을 빌릴 수 없었습니다. 식당이나 식당에서 앉아 식사를 할 수도 없었고, 아무리 돈이 많아도 식사를 살 수 없었습니다. 돈이 있어도 용변을 볼 곳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1940년대와 50년대에 66번 국도를 여행하는 유색 인종이라면 말입니다."라고 증언했다.[7] 이러한 차별 속에서 ''흑인 여행자를 위한 그린북''(The Negro Motorist Green Book, 1936–64)과 같은 안내서가 등장했으며, 이 책들은 유색 인종 여행객이 이용할 수 있는 숙소, 식당 등을 안내했다.[18] 미국의 숙박 시설에서의 인종 분리는 1964년 민권법 제정과 하트 오브 애틀랜타 모텔 대 미국 사건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판결을 통해 법적으로 금지되었다.[8]

시카고의 버려진 그랜드 웨스트 코트, 2013년 9월 철거됨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번성했던 많은 독립 모텔들은 1980년대 이후 대형 체인 호텔과의 경쟁 심화와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건설로 인한 기존 도로의 통행량 감소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특히 미국 66번 국도와 같이 주간 고속도로에 의해 우회된 도로변의 모텔들은 큰 타격을 입었다.[33] 운영난과 관리 소홀로 인해 많은 모텔들이 노후화되었고, 일부는 철거되거나 방치되었다. 이러한 쇠퇴 과정에서 일부 모텔들은 저렴한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시설 개선이나 유지 보수를 포기했고, 이는 '바퀴벌레 모텔'이라는 경멸적인 용어의 등장으로 이어졌다.[34]

쇠퇴한 모텔들은 종종 노숙, 매춘, 마약 밀매 등 범죄와 관련된 장소로 변모하기도 했다.[35] 특히 도시 외곽이나 우회 도로변에 위치한 저가 모텔들은 사회 복지 기관에 의해 난민, 가정 폭력 피해자, 사회 주택 대기자 등을 위한 임시 거처로 활용되기도 한다.[70] 일부 모텔은 장기 투숙객을 위해 간이 주방을 갖추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열악한 환경과 범죄 문제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71] 교정 당국이 출소 후 거처가 없는 가석방자를 임시로 배치하는 경우도 있어, 지역 사회의 치안 불안 요인이 되기도 한다.[72] 문제 지향적 경찰 센터에 따르면, 1950년대 이후 주간 고속도로 건설과 대형 체인 호텔의 등장은 독립 모텔의 쇠퇴를 가속화했으며, 경제적으로 생존하기 위해 저가 시장에 집중하게 된 일부 모텔들이 유지 관리 부족으로 노후화되어 범죄와 무질서의 온상이 되었다고 분석한다.[73]

시카고 모텔 간판


모텔의 구조적 특징인 객실 외부 직접 출입은 본래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것이었으나, 범죄 예방 측면에서는 취약점으로 작용한다. 외부인의 출입 통제가 어렵고, 모텔 직원의 감시를 피하기 쉬워 범죄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73] 실제로 보안이 허술한 모텔에서는 소란, 강도, 절도, 기물 파손, 공공장소 음주, 마약 거래, 폭력, 성범죄 등 다양한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는 지역 사회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74] 이에 일부 지방 자치 단체는 공중 보건 및 소방 안전 규정 위반, 세금 체납 등을 이유로 문제 모텔을 폐쇄하는 불법 행위 중단 전략을 사용하기도 한다.[75][76][77]

역사적으로 모텔은 익명성과 간단한 등록 절차 때문에 범죄자들의 은신처로 이용되기도 했다. 1930년대 보니와 클라이드와 같은 갱단이 모텔을 은신처로 삼았으며,[67] 당시 FBI 국장 J. 에드가 후버는 모텔을 "범죄의 온상"으로 지목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많은 모텔이 범죄 조직의 활동 거점이 되고 있으며, 마약 거래나 불법적인 만남("밀회 캠프")의 장소로 이용된다고 주장했다.[67] 그러나 현대에는 고객 신원 확인 의무화, 즉각적인 신용카드 거래 확인 및 데이터베이스 연동 시스템 도입 등으로 인해 범죄자의 모텔 이용이 과거보다 어려워졌다.

한편, 일부 모텔은 시간 단위로 객실을 대여하며 연인들의 밀회 장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모텔은 "노텔 모텔(no-tell motel)"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하며,[68] 라틴 아메리카나 동아시아 일부 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각국의 문화적 배경과 관련이 있으며, 예를 들어 일본러브 호텔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필리핀과 같이 보수적인 가톨릭 문화권에서는 이러한 시간제 대실을 금지하려는 사회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5. 보존 및 활용

2000년대 초중반, 미국의 오래된 고속도로변에 위치했던 1950년대 모텔 중 상당수가 쇠퇴하거나 개발을 위해 철거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 모텔들의 소실 위기에 대응하여 미국 국립 역사 보존 신탁(National Trust for Historic Preservation)은 2006년 뉴저지주 와일드우즈 쇼어 리조트 역사 지구(Wildwoods Shore motel district in New Jersey)를, 2007년에는 일리노이주부터 캘리포니아주까지 이어지는 역사적인 66번 국도변 모텔들을 '미국에서 가장 위험에 처한 역사적인 장소' 목록에 포함시키며 보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47]

위스콘신 델스(Wisconsin Dells)에 있는 4 Seasons 모텔 간판은 구기 건축의 훌륭한 예시이다.


위그웜 모텔 6호점, 애리조나주 홀브룩의 유서 깊은 66번 국도에 위치한 독특한 모텔이다.


보존 운동가들은 사라질 위기에 처한 모텔들을 연방 또는 주의 역사 등록부에 등재하려 노력했지만, 많은 경우 역사적 장소로 지정되는 것만으로는 건물의 변경이나 철거를 막는 데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호주 빅토리아주 오클리(Oakleigh)의 오클리 모텔(Oakleigh Motel)은 1956년 하계 올림픽 당시 구기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초기 모텔 중 하나로 2009년 빅토리아 유산 등록(Victorian Heritage Register)에 등재되었으나,[48] 2010년 개발업자에 의해 내부가 철거되어 타운하우스 단지로 개발되었고, 외피만 보존되었다.[49] 뉴멕시코주 앨버커키(Albuquerque)의 아즈텍 모텔(Aztec Motel, 1932년 건립)은 1993년 국립 사적지에 등재되고[50] 뉴멕시코주 문화재로도 등록되었으나 2011년에 철거되었다.[51][52]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St. Louis) 인근의 코랄 코트 모텔(Coral Court Motel) 역시 국립 사적지 등재 시도가 있었지만 1995년 철거를 막지 못했다. 다만, 객실 하나가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해체되어 국립 교통 박물관(National Museum of Transportation)에 전시되어 있다.[53]

특히 66번 국도는 1985년 미국 고속도로 시스템에서 공식적으로 폐지되면서 텍사스주 글렌리오나 캘리포니아주 앰보이 같은 지역들이 급격히 쇠퇴하는 등 큰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87년 애리조나주 셀리그먼의 앤젤 델가딜로가 시작한 66번 국도 협회와 같은 단체들은 네온사인이 빛나던 시절의 모텔, 상점, 도로변 시설들의 보존과 복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1999년에는 '국립 66번 국도 보존법'이 제정되어 도로변 역사적 건물들의 민간 복원 및 보존을 위한 매칭 펀드로 1000만달러가 배정되기도 했다. 존 스타인벡의 소설 ''분노의 포도''와 바비 트룹의 노래 "(Get Your Kicks On) Route 66"으로 유명해진 이 길은 단순한 도로를 넘어 그 자체로 중요한 관광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54][55]

주간고속도로 건설로 인해 고립된 많은 소도시들은 1950년대의 향수를 활용하고 역사적 복원을 통해 침체된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1930년대 캐빈 코트 시절부터 존재했던 많은 빈티지 모텔들이 개조 및 복원되어 미국의 국립 사적지 등록부나 지역 및 주 목록에 추가되었다.[56] 일부는 저소득층 주택, 부티크 호텔, 아파트, 상업 또는 사무 공간으로 용도가 변경되기도 했지만,[57] 다수는 원래의 모텔 기능으로 복원되었다.

새롭게 복원된 모텔 객실에는 와이파이나 평면 TV 같은 현대적인 편의 시설이 갖춰지기도 하지만, 외부 건축물과 네온사인 간판 등은 원래 디자인에 충실하게 복원된다.[58] 2012년 기준으로 66번 국도 여행객들은 옛 도로변 지역 사회의 역사적 장소와 박물관 방문에 연간 3800만달러를 지출했으며, 유산 보존에는 매년 9400만달러가 투자되는 등 경제적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59] 이러한 흐름 속에서 ''66번 국도의 모텔''이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이 발표되기도 했다.[60]

참조

[1] 서적 The California bungalow https://www.worldcat[...]
[2] 웹사이트 Motel http://www.thefreedi[...] The Free Dictionary By Farlex 2012-06-28
[3] 뉴스 Hanlon before the Council is favoring a site just outside the city limits for an auto tourist camp 1923-02-08
[4] 서적 Made in America Harper Perennial
[5] 서적 The Motel in America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13-07-08
[6] 웹사이트 Route 66 in Missouri: Survey and National Register project S7215MSFACG SURVEY REPORT http://www.nps.gov/r[...] National Park Service 2003-01-14
[7] 서적 The Birthplace of Route 66: Springfield, MO. Curtis Enterprises 2001-11-28
[8] caselaw
[9] 뉴스 The World's First Motel Rests Upon Its Memories http://archives.seat[...] 2008-04-02
[10] 웹사이트 3V Tourist Court http://www.themagnol[...]
[11] 간행물 Coin-ops find motor courts increasingly fertile field https://books.google[...] 1947-03-31
[12] 서적 Home Away From Home: Motels in America https://archive.org/[...] Bulfinch Press, Little Brown and Co. 1995-11
[13] 뉴스 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American Motel https://theconversat[...] 2016-09-14
[14] 뉴스 10 great places to stay at a vintage motel http://travel.usatod[...] 2012-06-28
[15] 웹사이트 AH&LA history of lodging http://www.ahla.com/[...] American Hotel Association 2012-03-27
[16] 웹사이트 Digital Archives http://digital-colle[...] Columbus (OH) Metropolitan Library 2012-03-25
[17] 서적 Lodging for a night http://www.ebooksrea[...] Adventures in Good Eating Inc., Bowling Green, Ky, Telephone 1219
[18] 서적 The Great Depression in America: a cultur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2007-03-30
[19] 문서 Jakle, Sculle, Rogers, p. 162
[20] 문서 Jakle, p. 149
[21] 웹사이트 Torrance, Edgar Lee (1893-1971) http://americanhisto[...] The Handbook of Texas Online 2016-11-02
[22] 웹사이트 Alamo Plaza http://www.highwayho[...]
[23] 서적 The Motel in America JHU Press
[24] 웹사이트 KFC http://www.agilitynu[...] 2012-03-31
[25] 웹사이트 Harland Sanders Museum and Café http://www.corbinkyt[...] Corbin KY tourism
[26] 뉴스 Holiday Inns: Annoyed by the inflexible pricing at America's motels, Kemmons Wilson lodged his business at the intersection where the baby boom met the open road https://money.cnn.co[...] 2003-04-01
[27] 뉴스 Happy birthday Holiday Inn https://www.telegrap[...] 2002-09-11
[28] 서적 Life Behind the Lobby: Indian American Motel Owners and the American Dream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2-08-15
[29] 뉴스 Room at the Holiday Inn: How an American icon was reinvented for the 21st century https://www.independ[...] 2010-02-13
[30] 웹사이트 Life Behind the Lobby: Indian American Motel Owners and the American Dream http://www.sup.org/p[...]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2-08-15
[31] 뉴스 Real Estate; A No-Frills Hotel Rises in Manhattan https://www.nytimes.[...] 1989-01-11
[32] 웹사이트 http://www.sarnia.ca[...] 2015-06-30
[33] 뉴스 Route 66 motels endangered http://usatoday30.us[...] 2007-05-19
[34] 문서 Nancy White (singer-songwriter)'s 1993 "Senator Lawson at the Motel Cucaracha" (03:45) adopts this modified tag line as part of the song's chorus
[35] 뉴스 It's check-out time for Scarborough's storied motel strip https://www.theglobe[...] 2009-09-10
[36] 웹사이트 Motel Inn restoration proposal (2002, never implemented) http://www.kingventu[...] King Ventures (Apple Farm Inn) 2016-03-05
[37] 뉴스 World's first motel a sight worth saving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2006-08-15
[38] 뉴스 After dark, it gets ugly http://www.225batonr[...] 2012-05-01
[39] 뉴스 Memories: Remembering the Alamo Plaza Hotel and Courts http://www.chattanoo[...] 2010-08-17
[40] 간행물 Remembering the Alamo — Plaza, That Is http://www.memphisfl[...] 2008-12-01
[41] 뉴스 Alamo Plaza, an Oak Cliff landmark, falls to wrecking ball today http://www.dallasnew[...] 2010-12-14
[42] 뉴스 A Patel Motel Cartel? https://www.nytimes.[...] 2010-09-01
[43] 뉴스 America's Patel Motels http://news.bbc.co.u[...] 2012-02-16
[44] 서적 Life Behind the Lobby: Indian American Motel Owners and the American Dream Stanford University Press
[45] 웹사이트 metal key on a preprinted plastic tag https://www.flickr.c[...] 2008-06-06
[46] 웹사이트 CoStar | # 1 Commercial Real Estate Information Company https://www.costar.c[...]
[47] 웹사이트 National Trust Names Historic Route 66 Motels One of America's 11 Most Endangered Historic Places: Treasured "Mother Road" Motels Meet the Wrecking Ball or are Forgotten and Abandoned http://www.preservat[...] National Trust for Historic Preservation 2007-06-14
[48] 웹사이트 Oakleigh Motel, final report http://www.dpcd.vic.[...] Heritage Council, Victoria, Australia 2012-04-12
[49] 웹사이트 Oakleigh Motel http://www.adonline.[...] Melbourne Buildings (blog) 2011-11-19
[50] 웹사이트 Aztec Auto Court--Route 66: A Discover Our Shared Heritage Travel Itinerary http://www.nps.gov/n[...] National Park Service
[51] 뉴스 History Takes a Lick on Route 66 http://www.abqjourna[...] 2011-06-16
[52] 뉴스 Historic Route 66 motel demolished http://www.krqe.com/[...] 2011-08-16
[53] 서적 Missouri Off the Beaten Path: A Guide to Unique Plac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2-04-29
[54] 웹사이트 Route "66" The Mother Road - Back in Time - General Highway History - Highway History https://www.fhwa.dot[...] 2024-06-10
[55] 웹사이트 Travel Route 66 https://www.nps.gov/[...] 2024-06-10
[56] 웹사이트 Discover Our Shared Heritage Travel Itinerary: Route 66 http://www.nps.gov/n[...]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18-08-21
[57] 웹사이트 The most prestigious addresses in Louisville, KY http://renaissancece[...] 2018-08-21
[58] 웹사이트 Motels Archives http://route66news.c[...] 2018-08-21
[59] 간행물 Americans Are Still Getting Their Kicks Along Route 66 https://www.forbes.c[...] 2018-08-21
[60] 웹사이트 The Motels of Route 66 (documentary) http://themotelsofro[...] Vive le Rock Productions 2018-08-21
[61] 웹사이트 Australia's first motels http://www.builtheri[...] Mo (Vol 10 No 2)
[62] 웹사이트 Official Government Road Map of Ontario http://www.ontarioro[...] Ontario Department of Public Highways, Queen's Park, Toronto 2013-06-09
[63] 문서 "Motéis de Portugal" ("Motels of Portugal", www.moteisdeportugal.com) is a listing of what elsewhere would be classed as adult motels; see also "Motel" (in Portuguese) in that language's Wikipedia.
[64] 뉴스 Privacy e comfort, così torna l'albergo a ore (Privacy and comfort, back to the hotel by the hour) http://www.repubblic[...] 2009-08-21
[65] 웹사이트 Moteles RD http://www.motelesRD[...] Marketeam.com.do 2018-08-21
[66] 뉴스 Old-style motels fading out https://usatoday30.u[...] Gannett Co. Inc. 2018-08-21
[67] 간행물 Camps of Crime 1940-02
[68] 간행물 Motel Memories: Once Upon A Time, Hanging Out At Tucson's No-Tel Motel Must've Been Quite A Trip http://www.tucsonwee[...] 1997-10-09
[69] 뉴스 Boom in motels brings thievery https://news.google.[...] 1972-08-04
[70] 뉴스 American families shelter in motels as homelessness worsens https://www.bbc.co.u[...] 2011-12-20
[71] 뉴스 Change may be coming to Aurora Avenue North: Future looks brighter for downtrodden strip http://www.seattlepi[...] 2008-06-08
[72] 뉴스 Police: Months of problems, violence at Aurora motels http://www.seattlepi[...] 2009-08-24
[73] 웹사이트 Disorder at Budget Motels http://www.popcenter[...] Center for Problem-Oriented Policing
[74] 간행물 Aurora Avenue: Out with the Inn Crowd? http://www.seattlewe[...] 2012-03-26
[75] 뉴스 Gastonia motel sues city, county, over inspection that led to shutdown http://www.gastongaz[...] 2008-10-17
[76] 웹사이트 AN ORDINANCE relating to abatement of and penalties, including license suspension or revocation, for public nuisances http://clerk.seattle[...] City of Seattle 2009-12
[77] 뉴스 Problem Aurora motel to be demolished http://blog.seattlep[...] 2012-02-24
[78] 웹사이트 About the Wigwam http://www.wigwammot[...] 2018-08-21
[79] 웹사이트 Teepee Village http://www.wigwamvil[...] 2018-08-21
[80] 웹사이트 Welcome to the Wigwam Motel http://www.galerie-k[...] 2018-08-21
[81]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blueswal[...] New Mexico Digital 2018-08-21
[82] 뉴스 Glenrio resurrected http://amarillo.com/[...] 2012-06-23
[83] 웹사이트 Murder Motel (BBS door game) http://www.r2games.c[...] 2018-08-21
[84] 웹사이트 Schitt's Creek https://www.cbc.ca/s[...]
[85] 문서 Oxford Dictionary Lexico, "motel" https://www.lexico.c[...]
[86] 웹사이트 Motel http://www.thefreedi[...] The Free Dictionary By Farlex 2012-06-28
[87] 뉴스 Hanlon before the Council is favoring a site just outside the city limits for an auto tourist camp 1923-02-08
[88] 웹사이트 Route 66 in Missouri: Survey and National Register project S7215MSFACG SURVEY REPORT http://www.nps.gov/r[...] National Park Service 2019-09-24
[89] 뉴스 The World's First Motel Rests Upon Its Memories http://archives.seat[...] 2008-04-02
[90] 뉴스 Holiday Inns: Annoyed by the inflexible pricing at America's motels, Kemmons Wilson lodged his business at the intersection where the baby boom met the open road http://money.cnn.com[...] 2003-04-01
[91] 웹사이트 National Trust Names Historic Route 66 Motels One of America's 11 Most Endangered Historic Places: Treasured "Mother Road" Motels Meet the Wrecking Ball or are Forgotten and Abandoned http://www.preservat[...] National Trust for Historic Preservation 2019-09-24
[92] 뉴스 American families shelter in motels as homelessness worsens https://www.bbc.co.u[...] 2011-12-20
[93] 문서
[9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