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차부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차부자리는 북반구 하늘의 별자리로, 주요 천체로 특이한 이중성인 엡실론별과 제타별이 있다. 이 별자리에는 M36, M37, M38과 같은 밝은 산개성단들이 있으며, 카펠라를 비롯한 여러 항성들이 존재한다.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고유 이름이 정해진 항성들이 있으며, 동아시아에서는 마차부자리의 별들을 곡식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헤파이스토스의 아들 에리크토니오스, 헤르메스의 아들 뮈르틸로스, 테세우스의 아들 히폴리토스 등 다양한 인물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차부자리 - 마차부자리 SU
    마차부자리 SU는 추가 정보가 필요한 천체로, 구체적인 특성 및 분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 마차부자리 - 카펠라
    카펠라는 마차부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여섯 번째로 밝은 황백색 별로, 여러 문화권에서 염소와 관련된 신화에 등장하며 복잡한 항성계를 이루는 천문학자들의 관측 대상이다.
  • 북반구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북반구의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는 W자 모양의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관측 가능하며 그리스 신화 속 오만한 왕비 카시오페이아와 연관되며, 셰다르, 카프 등의 별과 다양한 성운, 초신성 잔해를 포함한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마차부자리
기본 정보
별자리 이름마차부자리
로마자 표기Machabu jari
일본어 이름ぎょしゃ座 (교샤자)
영어 이름Auriga (오리가)
약자Aur
소유격Aurigae (오리가에)
기호마차부
위치 및 관측
적경6h
적위+40°
남중일1월 10일
북쪽 위도90°
남쪽 위도40°
21시 남중일5월 20일
사분면NQ1
별 정보
총 면적657 평방도
면적 순위21위
주요 별 수5, 8
Bayer/Flamsteed 지정 별 수65
행성 보유 별 수6
밝은 별 수5
가장 가까운 별 이름QY Aur
가장 가까운 별 거리20.0 광년
가장 밝은 별 이름카펠라 (α Aur)
가장 밝은 별 밝기0.08 등급
천체 목록
Messier 천체 수3
유성우
유성우 종류Alpha Aurigids
Delta Aurigids
관련 유성우마차부자리 유성우
인접 별자리
인접 별자리기린자리
페르세우스자리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살쾡이자리

2. 주요 천체

마차부자리는 밝은 별들로 이루어진 약간 긴 오각형 형태를 이루며, 은하수가 그 중심을 지난다. 가장 밝은 별은 카펠라이다.

마차부자리 엡실론제타는 특이한 이중성이다. 엡실론별은 약 27년의 공전주기를 가지며, 18개월 동안 식 현상을 일으킨다. 제타별은 970일의 공전주기를 가진다.

명칭기타
α별카펠라마차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전천 21개의 1등성 중 하나
β별멘칼리난 (Menkalinan)마차부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 2등성
ε별알마즈 (Almaaz)변광 주기 27.1년
ζ별Saclateni식변광성, 변광 주기 970일
η별하에두스 (Haedus)
θ별Mahasim
ι별Hassaleh
HD 45350Lucilinburhuc국제천문연맹 100주년 기념 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룩셈부르크에 명명권 부여
HD 49674Nervia국제천문연맹 100주년 기념 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벨기에에 명명권 부여
HAT-P-9Tevel국제천문연맹 100주년 기념 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이스라엘에 명명권 부여



은하수가 지나는 마차부자리에는 산개성단을 비롯한 많은 천체들이 있다. 가장 밝은 산개성단으로는 M36, M37, M38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도시 근교에서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M37 산개성단


M38 산개성단

2. 1. 항성

마차부자리 엡실론제타는 특이한 이중성이다. 엡실론별의 공전주기는 약 27년이며, 18개월 동안 식을 일으킨다. 관측이 가능한 동반성은 노란색을 띠는 F급 초거성이며, 나머지 별의 타입은 알려지지 않았다. 태양보다 300배나 큰 별을 동반성이 가려서 밝기가 변하는데, 동반성의 지름은 무려 태양의 2300배로 지금까지 알려진 별 중에서 가장 크다. 제타별은 970일의 공전주기를 가지며, 첫 번째 별은 K급 초거성이며, 두 번째 별은 B급 주계열성이다.

1등성인 α별(카펠라) 외에 2등성이 1개(β별) 있다.

다음 별에는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정식으로 고유 이름이 정해져 있다.

명칭기타
α별카펠라(Capella)마차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전천 21개의 1등성 중 하나, 신화 속 염소인 아말테이아와 관련, ζ별, η별은 그 자식으로 여겨짐
β별멘칼리난 (Menkalinan)마차부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 2등성
ε별알마즈 (Almaaz)가장 특이한 종류의 쌍성, 변광 주기는 27.1년이며, 약 2년간 식 현상이 지속, 육안으로 보이는 쪽의 별은 황색을 띠는 F형 거성 또는 초거성, 반성의 타입은 불명
ζ별Saclateni식변광성, 변광 주기는 970일, 주성 A는 K형 적색 초거성, 반성 B는 B형 주계열성
η별하에두스 (Haedus)
θ별Mahasim
ι별Hassaleh
HD 45350Lucilinburhuc국제천문연맹 100주년 기념 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룩셈부르크에 명명권이 주어져, 외계 행성은 Peitruss로 명명
HD 49674Nervia국제천문연맹 100주년 기념 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벨기에에 명명권이 주어져, 외계 행성은 Eburonia로 명명
HAT-P-9Tevel국제천문연맹 100주년 기념 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이스라엘에 명명권이 주어져, 외계 행성은 Alef로 명명



그 외, 다음과 같은 별들이 알려져 있다.


  • Z별: SRD형 반규칙 변광성.
  • AG별: SRD형 반규칙 변광성.
  • NO별: LC형 맥동 변광성.


마차부자리에는 카펠라, β별, ε별, ζ별 등의 쌍성이 있다. ε별과 ζ별은 각각 쌍성 진화의 매우 드문 단계에 있다.

2. 2. 성단 및 성운

은하수가 지나는 마차부자리에는 산개성단을 비롯하여 많은 천체들이 있다. 가장 밝은 산개성단으로는 M36, M37, M38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도시 근교에서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더 큰 구경의 망원경으로는 개개의 별을 구별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4100, 4400, 4200 광년 정도 떨어져 있으며, 상대적인 밝기는 각각 6.3, 6.2, 7.4 등급이다.

또 다른 세 개의 산개성단으로, 마차부자리 ψ7 부근의 NGC 2281, 마차부자리 ε 부근의 NGC 1664, M38 우측 가까이에 'IC 405'와 함께 'IC 410' (또는 NGC 1893)이 있다. '도망치는 별'인 마차부자리 AE는 밝은 변광성으로, 현재 'IC 405' 안쪽에 위치한다.

3. 역사와 신화

중앙 우측의 밝은 별이 카펠라이다.]]

원래 마차부와 염소는 별개의 별자리였으나,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하나의 별자리로 통합되었다. 따라서 마차부와 염소를 연결하는 신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3. 1. 서양


  • 카펠라는 전설의 암염소 아말테아와 관련이 있다.[1]
  • 마차부자리 ε, 마차부자리 ζ, 마차부자리 η의 세 별은 '아이들'을 의미하는 'Haedi'라 불린다.[1]
  • 로마인들은 이 별자리를 헤파이스토스의 아들이자 걸음이 불편했던 아테네에리크토니오스로 생각했다. 그는 여신 아테나에게 도움을 받아 4두 전차를 발명했다고 전해지며, 제우스가 그의 발명을 높이 평가하여 하늘에 올려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한다.[1]
  • 마차부자리는 마차,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희미한 별은 마차부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 마차부는 염소를 왼쪽 어깨에 메고 두 아이(밝은 두 별)를 가까이 데리고 있는 양치기로 묘사되었다.[1]


이 마부의 정체에 관해서는 그리스 신화에 여러 전설이 전해진다.

가장 유명한 것은 그리스 신화의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가 여신 아테나에게 욕정을 품고 대지에 흘린 정액에서 태어난 아들, 아테네에리크토니오스라는 것이다. 아테나에게 양육된 그는 그녀에게서 말을 길들이는 법을 배웠고, 헬리오스를 연상시키는 솜씨로 4두 전차를 조종했다고 한다. 제우스는 이를 칭찬하여 그를 하늘로 올려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한다.

다른 전승에 따르면, 헤르메스의 아들 뮈르틸로스라고도 한다. 뮈르틸로스는 피사 왕 오이노마오스의 마부였으나, 탄탈로스의 아들 펠롭스와 오이노마오스의 딸 히포다메이아의 계략에 빠져 오이노마오스의 마차에 장치를 해 그를 죽게 만들었다. 이후 뮈르틸로스는 펠롭스에 의해 바다에 빠져 익사했다. 그의 죽음을 슬퍼한 헤르메스는 뮈르틸로스를 하늘로 올려 마차부자리로 만들었다고 한다.

테세우스의 아들 히폴리토스라는 전승도 있다. 히폴리토스는 계모 파이드라의 구애를 거절했고, 절망한 파이드라는 테세우스에게 그를 모함하여 자살했다. 파이드라의 모함을 믿은 테세우스는 무고한 아들을 아테네에서 추방했다. 테세우스의 저주로 인해 히폴리토스는 전차에서 떨어져 죽음을 맞이했다. 훗날 히폴리토스는 아스클레피오스에 의해 되살아났지만, 이로 인해 제우스는 아스클레피오스를 번개로 쳐 죽였다.

아라토스에 따르면, 성도에서 왼손에 안고 있는 염소는 크로노스를 피해 크레타 섬의 이데 산에 숨어 있던 어린 제우스에게 젖을 먹여 키운 염소 아말테이아라고 한다. 에라토스테네스무사이오스의 전승을 인용하여 같은 염소라고 설명하지만, 여기서는 아말테이아가 그 염소를 소유한 여신(님프)의 이름이며, 염소 자체에는 이름이 없다고 한다.

3. 2. 동양

동아시아에서는 별자리의 5각형을 구성하는 다섯 개의 별이 각각 콩, 조, 쌀, 삼베, 보리 등 다섯 종류의 곡식을 대표한다고 생각했다.

중국에서는 마차부자리의 네 개 별과 황소자리 β별을 연결한 오각형을 "오거(五車)"라고 불렀다. 일본에서도 비슷한 관점에서 "오각성(五角星)"이라고 부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