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산 연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산 연씨는 함흥 출신 연사종의 조상이 고려 말에 곡산으로 이주하면서 시작된 한국의 성씨이다. 연사종은 조선 개국공신으로 곡산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었다. 곡산 연씨는 조선 시대에 무과 급제자 22명,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했다. 본관은 황해도 곡산이며, 여러 분파로 나뉘어졌다. 현재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북도, 평안남도 등지에 집성촌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곡산 연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가문 정보 | |
이름 | 곡산 연씨 |
한자 표기 | 谷山 延氏 |
로마자 표기 | Goksan Yeonssi |
본관 | 황해도 신평군 |
기원 | 고려 시대 |
시조 | 연사종 |
웹사이트 | 곡산연씨대동종친회 |
역사 | |
창성 시기 | 고려 시대 |
시조 | 연사종(延嗣宗) |
주요 인물 | 연계령(延繼笭) 연수창(延壽菖) 연주(延柱) 연병호(延秉昊) 연주흠(延周欽) 연제원(延済源) 연정훈(延政勳) 연상호(延相昊) 연상엽(延相燁) |
인구 통계 | |
2015년 인구 | 33,891명 |
주요 거주지 | |
지역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충청북도 청주시 모충동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평안남도 평양시 강동구 |
기타 | |
관련 인물 | 연정훈 연상호 |
2. 역사
조선의 장군 연사종(延嗣宗)은 함흥 출생이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연사종의 조부는 곡산 출신으로 고려 말에 함흥으로 이주하였다.[10] 이후 연사종은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곡산부원군'''(谷山府院君)에 책봉되었다.
곡산(谷山)은 황해도 북동단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십곡성(十谷城)인데 통일신라 경덕왕 때 진서(鎭瑞)로 고쳤고 고려 초에 곡주(谷州)로 개칭하였다. 1393년(조선 태조 2) 곡산으로 개칭하고 부(府)로 승격하였다. 1895년 곡산군이 되었으며, 별칭은 덕둔홀, 고곡, 진서, 상산 등이다.
[1]
웹사이트
Ungdam-ri, Sangdo-do, Goksan-gun, Hwanghae-do
https://cksm.kangwon[...]
무진년에 고려 우왕이 군사를 일으켜 요동을 칠 때, 조선 태조가 우군 도통사가 되고, 동향 사람이었던 연사종은 장군 진무로서 따라갔다. 조선 태조 즉위 후 연사종에게 원종 공신의 문권을 내려 주고, 또 회군 공신의 문권도 하사했다. 이후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정안군을 왕위에 옹립하는데 기여해 왕실로부터 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었다. 이어 상장군(上將軍)·호조 전서를 거쳐 곡성군(谷城君)에 봉해졌다.
중종실록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1]
신사년 봄, 조선 태종은 좌명 공신의 호(號)를 내리고, 연사종은 상장군·호조 전서를 거쳐 곡성군에 봉해졌고, 판한성부사로 승진했다. 경인년에 길주도 도안무찰리사 겸 동북면병마절제사로 나가게 되고, 길주목을 다스렸다. 신묘년 12월에 부상(父喪)을 당하였고, 임진년 정월에는 기복(起復)하여 동북면도순문찰리사 겸 병마절제사·영흥부윤이 되었다.
연사종은 조선 세종에 의해 다시 소환되어 삼군 도진무에 임명되고, 의정부 참찬을 거쳐 중군 도총제를 역임하였다.
곡산 연씨는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22명,[12]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13]
3. 본관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곡산군의 토성(土姓)으로 우(禹)·노(盧)·강(康)·한(韓)·용(龍)·연(延) 6성이 기록되어 있다.[14]
4. 분파
파명 시조 상주공파(尙州公派) 연비 연안공파(延安公派) 연정렬 별좌공파(別坐公派) 연척 감역공파(監役公派) 연수 지평공파(砥平公派) 연인 정랑공파(正郞公派) 연학재 사과공파(正郞公派) 연만재 충위공파(忠衛公派) 연경수 충사공파(忠司公派) 연계희 교위공파(校尉公派) 연정방 안음공파(安陰公派) 연충수 작달파(爵達派) 연정복 진사공파(進士公派) 연제수 눌문파(訥文派) 연예수 금당파(金塘派) 연준수 부위공파(副尉公派) 연학서 감찰공파(監察公派) 연의 장영공파(掌令公派) 연정설 주부공파(主簿公派) 연방보 호군공파(護軍公派) 연방필 첨정공파(僉正公派) 연탁 목사공파(牧使公派) 연간 옥천공파(沃川公派) 연정결 판서공파(判書公派) 연사준 승지공파(承旨公派) 연사화
5. 집성촌
지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충청북도 청주시 모충동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평안남도 평양시 강동구 평안남도 성천군 삼흥면 광탄리[8]
6. 항렬자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會(회) 鐘(종) 羽(우) 秉(병) 熙(희) 圭(규) 欽(흠) 濟(제) 模(모) 應(응) 基(기)
均(균)鎬(호)
鏞(용)永(영)
澤(택)相(상)
采(채)勳(훈)
烈(열)○세손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행렬자 회(會) 종(鍾) 우(羽) 병(秉) 희(熙)
재(在)규(圭)
석(錫)흠(欽)
해(海)제(濟)
식(植)모(模)
병(柄)
진(震)응(應)
희(熹)균(均)
기(基)
규(圭)용(鏞)
호(鎬)
진(鎭)영(永)
택(澤)
호(浩)채(采)
상(相)
근(根)훈(勳)
열(烈)○세손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행렬자 중(重)
시(時)
기(基)갑(鉀)
옥(鈺)해(海)
호(浩)근(根)
식(植)
권(權)
상(相)영(煐)
사(思)곤(坤)
은(垠)전(銓)
금(錦)홍(洪)
락(洛)재(梓)
근(槿)원(愿)
협(協)주(周)
증(增)석(錫)
진(鎭)순(淳)
준(浚)권(權)
업(業)덕(德)
성(性)
변경 사항:
1. 템플릿 제거: `style="text-align:center;"` 템플릿 제거.
2. 표(Table) 수정: 두 번째 표의 헤더 행과 첫 번째 데이터 행을 병합하여 중복 제거. `○세손`과 `행렬자`를 각각 한 행으로 통합.
참조
[2]
웹사이트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http://esillok.histo[...]
2023-03-20
[3]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4]
뉴스
'3대 걸친 항일운동' 증평 곡산 연씨 독립운동사 발간
https://news.joins.c[...]
2016-02-26
[5]
웹사이트
Ungdam-ri, Sangdo-do, Goksan-gun, Hwanghae-do
https://cksm.kangwon[...]
[6]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3
[7]
웹사이트
증평군 보선 ‘압도적인 17표차’
https://m.khan.co.kr[...]
2009-04-30
[8]
웹사이트
연씨(延氏) 본관(本貫) 곡산(谷山)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9]
웹사이트
항렬도
http://www.goksan.co[...]
2024-05-04
[10]
웹인용
세종실록 64권, 곡산 부원군 연사종의 졸기
https://sillok.histo[...]
2024-06-14
[11]
웹인용
중종실록 56권, 삼공이 연정을 입거의 대상에서 면제하도록 아뢰다
https://sillok.histo[...]
2024-06-14
[12]
웹인용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곡산(谷山)연씨(延氏)의 무과 목록
http://people.aks.ac[...]
2024-06-14
[13]
웹인용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곡산(谷山)연씨(延氏)의 문과 목록
http://people.aks.ac[...]
2024-06-14
[14]
웹인용
세종실록 152권, 지리지 황해도 황주목 곡산군
http://sillok.histor[...]
2024-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