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곤우치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곤우치수는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대홍수와 이를 다스린 과정을 다룬 이야기이다. 요 임금 시대에 발생한 대홍수로 인해 곤이 치수를 시도했지만 실패하고, 그의 아들 우가 배수 중심의 새로운 방법으로 홍수를 성공적으로 다스려 명성을 얻고 하나라를 건국하게 된다. 전설에 따르면, 홍수의 원인은 물의 신 공공의 공격, 또는 기원전 1920년경의 대지진으로 인한 산사태로 추정되며, 우의 치수 성공은 당시 치수 기술의 발전을 보여준다. 최근 고고학적 발견은 대홍수 이야기가 기원전 1920년경 황허에서 발생한 지스 협곡 분출 홍수를 근거로 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하 왕조의 시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곤우치수는 단순한 재앙 극복을 넘어 농업 문명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신화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하 수계 - 정국거
    정국거는 전국시대 말 진나라의 국력 강화에 기여한 수리 시설로, 관중 지역의 농업 생산량을 증대시켜 진나라의 천하통일 기반을 마련했으며, 중국 3대 수리 시설이자 세계 관개 시설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황하 수계 - 하백 (중국)
    하백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황하의 신으로, 자비롭지만 예측 불가능한 성격을 지닌 존재이며, 우 임금에게 황하도를 하사하고 인신공양의 대상이 되기도 했던 중요한 숭배 대상이다.
  • 중국의 홍수 - 2021년 허난 홍수
    2021년 허난 홍수는 아열대 고기압과 태풍 인파의 영향으로 허난성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져 발생한 대규모 홍수로, 정저우 지하철 침수 사고를 포함하여 심각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했으며 정부의 대응 미흡 논란을 낳았다.
  • 중국의 홍수 - 황하 제방 붕괴 사건
    황하 제방 붕괴 사건은 1938년 중일 전쟁 중 국민혁명군이 일본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황하 제방을 인위적으로 붕괴시켜 광범위한 지역에 홍수를 일으킨 사건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일본군의 진격을 늦추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사건 이후 중국과 일본은 서로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선전전을 펼쳤다.
  • 하나라 - 명하
    14세기 중반 명옥진이 충칭을 수도로 건국한 명하는 홍건적 출신 장수가 세운 한족 국가였으나, 명나라에 의해 멸망하고 명승 대에 복속되었다.
  • 하나라 - 설 (상나라)
    설은 상나라의 시조로, 제곡의 비 간적이 현조의 알을 삼켜 잉태하여 태어났다는 설화가 있으며, 우의 치수를 도와 순 임금으로부터 상나라 땅에 봉해지고 자(子)라는 성을 받았다고 전해지지만, 갑골문 연구에서는 실존 인물이 아닐 가능성도 제기된다.
곤우치수

2. 전개

전설적인 홍수와 고대 중국의 구주를 보여주는 지도.


대홍수 이야기는 중국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 세계의 홍수 신화들과 여러 면에서 비슷하다. 중국 신화 속 홍수 이야기는 내용이 조금씩 다르고, 여와와 같은 신들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4] 예를 들어, 홍수는 보통 인간의 잘못 때문이 아니라 자연적인 이유로 발생한다.[5] 또 다른 특징은 영웅들이 홍수를 막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이다.[6] 영웅들은 제방을 건설하고(곤의 노력), 운하를 파고(우 임금이 고안), 물길을 넓히거나 깊게 만들고, 다른 사람에게 기술을 가르쳐 홍수를 막으려 했다.[7]

홍수라는 재앙에도 불구하고 문명이 발전하고 인간의 삶이 개선되었다는 점도 중요하다.[6] 홍수에 맞서 싸우고 살아남는 과정에서 토지 관리, 짐승 통제, 농업 기술이 발전했다. 이러한 발전은 홍수 비상 관리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과 사회 복지에 대한 더 넓은 관점을 보여준다. 전설에 따르면, 이러한 노력은 홍수를 통제하기 위한 협력과 대규모 노력, 그리고 최초의 왕조 국가인 하나라(기원전 2070년~기원전 1600년) 건국으로 이어졌다.

2016년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1920년경의 홍수는 지질학적, 역사학적, 고고학적 기록과 일치하며,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황하 유역 사람들을 연결한 자연재해에 대한 복잡한 문화적 반응이었다.[3]

2. 1. 홍수의 시작

야오 황제의 통치 기간 동안 대홍수가 시작되었는데, 이 홍수는 너무 거대하여 야오의 영토 어느 곳도 무사하지 못했으며, 황하와 양쯔강 유역이 모두 침수되었다.[9]

역사적, 신화적 자료에 따르면 홍수는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야오는 홍수를 제어할 수 있는 사람을 찾으려 했고, 그의 특별 고문인 사악 (四嶽|쓰웨중국어)에게 조언을 구했다. 그들은 심사숙고한 끝에 야오 황제에게 그가 특히 반기지 않는 조언을 했다.

2. 2. 곤의 노력과 실패

야오는 사악의 추천으로 먼 친척인 곤에게 홍수를 다스리도록 명했다.[9] 곤은 기적적으로 끊임없이 스스로 불어나는 흙인 희양(息壤)을 사용하여 홍수를 통제하려 했다.[1] 곤은 최고 신(Supreme Divinity)에게서 희양을 훔쳤는데, 최고 신은 이 불경함에 분노했다.[1] 곤은 여러 해 동안 마법의 희양 흙으로 댐, 제방, 둑을 건설하여 홍수를 막으려 했지만, 대홍수를 해결하지 못했다.[1] 곤이 홍수를 막지 못한 것이 신의 분노 때문인지, 기술적 결함 때문인지는 굴원이 천문(Heavenly Questions)에서 지적했듯이, 풀리지 않은 의문으로 남아 있다.[11]

2. 3. 우의 성공과 하나라 건국

순 임금은 곤을 우산으로 유배하고, 곤의 아들 우 임금에게 홍수를 다스리게 했다.[22] 우는 아버지 곤과는 달리 배수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치수 방법을 시도했다.[1]

홍수를 막는 우(禹) 임금과 그의 인간 및 거북류 협력자들. 우한 대학 수자원 및 수력 발전 연구소 외부 부조 (2005년)


여러 신화에 따르면, 우는 황하의 신 하백이나 후토에게서 황하와 주변 지역의 지도를 받아[23][24] 치수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또한, 도랑을 파는 용이나 거대한 진흙 운반 거북과 같은 초자연적인 존재들의 도움을 받기도 했다.

우는 오랜 노력 끝에 홍수를 다스리는 데 성공했고, 백성들로부터 큰 존경을 받았다.[25] 그의 아들 제기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하나라가 건국되었고, 이는 중국 최초의 세습 왕조의 시작이었다.

홍수를 다스린 후, 우는 구이지산에 홍수 퇴치에 공헌한 영웅과 신들을 소집했다. 그러나 방풍이 늦게 도착하자 우는 그를 처형했다. 후에 방풍이 늦은 이유는 가는 길에 만난 지역 홍수를 막기 위해 싸웠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3. 원인

중국 신화 속 대홍수 이야기는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홍수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죄에 대한 처벌보다는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한다.[5] 또한, 재앙을 완화하려는 영웅적인 노력이 강조된다.[6] 홍수는 제방과 댐을 건설하고(예: 곤의 노력), 운하를 파고(예: 우 임금이 고안), 기존 수로를 넓히거나 깊게 만드는 방식으로 완화된다.[7]

2016년에 발표된 기원전 1920년경의 홍수에 대한 연구는 지질학적, 역사학적, 고고학적 기록을 통해 알려진 이러한 주요 자연 및 사회 정치적 사건의 일치가 단순한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 황하를 따라 살았던 많은 집단을 연결한 극심한 자연 재해에 대한 심오하고 복잡한 문화적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제안했다.[3]

3. 1. 전설상의 원인

물의 신 공공이 순을 공격하면서 발생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공공을 숭배하는 강족의 또 다른 표현이며, 1000년에 걸친 공공의 중국 문명[33]에 대한 악행은 강족의 잦은 공격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홍수를 의미했다[34]. 전설에 따르면, 공공이 홍수의 '홍' 자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3. 2. 실제 원인

기원전 1920년경 중국에서 발생한 대지진[35]으로 인한 산사태로 천연 토사 댐이 발생했고, 이 댐이 붕괴하면서 대홍수가 발생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이 설에 대한 반론으로는, 지진에 의한 산사태는 8300년 전과 6300년 전에 발생했으며, 하나라 건설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주장이 있다.[36] 또 다른 설로는, 지진이 아닌 폭풍우를 원인으로 꼽으며, 崗溝와 魯家溝에서 발생한 흙탕물과 대량의 진흙이 라자 유적을 매몰시켰다는 설도 있다.[37]

4. 결과

곤우치수의 결과는 전설과 실제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전설에 따르면 순 임금은 을 파면하고 에게 치수 사업을 맡겼으며,[38] 우는 물길을 정비하는 방식으로 홍수를 다스려 성공했다.[40] 이는 당시 치수 기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실제로는 지진 홍수설에 따르면 황하의 수위가 30m 상승하여[41] 농경지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고, 폭풍우 홍수설에서는 도시 유적이 흙탕물에 매몰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기상 이변은 우 임금이 치수에 성공하여 선양을 받아 중국 최초의 세습 왕조인 하나라를 건국하는 원인[42]이 되었다.

4. 1. 전설상의 결과

순 임금은 을 파면하고 에게 치수 사업을 맡겼다.[38] 전설에 따르면 곤은 물을 막는 데 집중했지만,[39] 우는 물길을 정비하는 방법[40]을 사용해 홍수를 다스리는 데 성공했다. 이는 당시 치수 기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4. 2. 실제 결과

지진 홍수설에 따르면 황하의 수위가 30m 상승하여[41] 농경지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고 한다. 폭풍우 홍수설에서는 도시 유적이 흙탕물에 매몰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기상 이변은 당시의 제왕 이 치수 사업에 착수하게 된 계기가 되었고, 우 임금이 치수에 성공하여 선양을 받아 중국 최초의 세습 왕조인 하나라를 건국하는 원인[42]이 되었다.

5. 역사성

최근의 고고학 및 지질학 연구 결과는 대홍수 이야기가 실제 사건에 기반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29] 요전(堯典)에는 임금 시대의 천문 관측 기록이 남아있으며, 역사서 서경의 〈요전(堯典)〉은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받는다.[30]

5. 1. 고고학적 증거

최근의 고고학 및 지질학 연구 결과는 대홍수 이야기가 실제 사건에 기반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29] 기원전 1920년경 황하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스 협곡 분출 홍수의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대홍수 신화의 바탕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대한 산사태로 인해 강에 자연 댐이 만들어졌고, 약 1년 후 댐이 붕괴되면서 발생한 홍수는 강을 따라 2000km 이동했으며, 강 수로는 최대 20년 동안 불안정했을 수 있다. 이 시기는 황하 유역에서 신석기 시대가 청동기 시대로 전환되는 시기였다. 이러한 발견은 하(夏) 왕조의 시작이 기존의 생각보다 수 세기 늦었을 수 있으며, 얼리터우 문화가 하나라의 고고학적 유적일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3]

5. 2. 천문학적 기록

요전(堯典)에는 임금 시대의 천문 관측 기록이 남아있다. 역사서 서경의 〈요전(堯典)〉은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받는다. 이 문헌은 진나라의 분서갱유와 진나라 멸망 시 황실 도서관 화재에서 살아남은 "두 번째 묶음" 또는 "새로운" 텍스트에 속하지만, 진정한 자료에 기초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0]

요 임금은 즉위 초, 개정된 달력을 만들기 위해 네 명의 대신(두 쌍의 형제)을 임명하여 천문 관측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들은 사방의 왕실 영토 경계로 파견되어, 각 지점에서 동지, 하지, 춘분, 추분 때 특정 별들의 일몰을 관측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달력을 조정하는 임무를 맡았다.[31]

희화 형제가 요 임금으로부터 달력을 정리하라는 명령을 받음


현대 천문학 연구 결과는 이 기록이 기원전 2200년경의 실제 천문 현상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대홍수 발생 시기와 일치하며, 신화의 역사성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 즉, 고대 천문 관측이 신화적 자료와 결합되었거나, 그 반대의 경우일 수 있다는 것이다.[30]

6. 농업 문명의 발전

대홍수 신화는 단순한 재앙 극복 이야기를 넘어, 농업 문명의 발전 과정을 보여준다. 후직으로 불리는 기가 농업을 담당하고, 백성들은 곡물 씨앗과 불을 얻어 문명을 재건했다.[26] 이는 홍수가 단순한 재앙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 발전의 계기가 되었음을 시사한다.[27]

곤과 우의 치수 방법 차이는 늪지대를 농경지로 바꾸는 기술 발전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곤은 흙, 관목 등을 활용하여 부유식 정원을 만드는 방식으로 농경지를 확보하려 했다. 반면, 우는 배수 중심의 치수 방식을 통해 늪지대 자체를 농경지로 바꾸는 기술 혁신을 이루었다. 이는 농업 생산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28]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뉴스 Rocks tell story of China's great flood https://www.bbc.com/[...] BBC News 2016-08-04
[30] 서적
[31] 서적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웹사이트 黄河に古代の大洪水跡、伝説の王朝が実在?-NationalGeographic https://natgeo.nikke[...]
[36] 학술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Holocene massive landslide-dammed lakes in the Jishixia Gorges along the upper Yellow River: No relation to China's Great Flood and the Xia Dynasty https://www.scienced[...] 2023-11-04
[37] 학술 Catastrophic flashflood and mudflow events in the pre-historical Lajia Ruins at the northeast margin of the Chinese Tibetan Plateau https://www.scienced[...] 2023-11-04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41] 뉴스 中国・伝説の大洪水、初の証拠を発見 文明史書き換えか-afpbb https://www.afpbb.co[...]
[4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