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얼리터우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얼리터우 문화는 기원전 19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중국 허난성 중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존재했던 청동기 문화를 말한다. 1959년 쉬쉬성에 의해 발견된 얼리터우 유적은 궁궐 건물과 청동 제련 작업장을 갖추고 있었으며, 제의에 사용된 청동 용기를 비롯한 다양한 청동기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문화는 4개의 시기로 구분되며, 청동기 제작 기술의 발달과 도시 국가의 형성을 보여준다. 얼리터우 문화는 중국에서 가장 초기의 대규모 청동 생산 문화로, 하 왕조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9년 발굴 - 정릉 (명)
    만력제와 황후들을 안장한 정릉은 명십삼릉 중 유일하게 발굴된 황릉으로, 발굴 기술 부족과 문화대혁명으로 훼손되어 중국이 황릉 발굴 제한 정책을 시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 중국의 청동기 시대 - 마자야오 문화
    마자야오 문화는 기원전 3300년에서 2000년 사이에 중국에서 번성한 신석기 시대 문화로, 채색 토기가 특징이며, 양사오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여 치자 문화로 계승되었다.
  • 중국의 청동기 시대 - 삼성퇴
    삼성퇴는 고대 촉나라의 유적지로, 성벽 도시 흔적과 독특한 형태의 청동 유물들이 출토되어 고대 문명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툭 튀어나온 눈을 가진 가면과 세계 최대 크기의 청동 가면인 청동 세로 눈 가면, 청동 신수 등이 대표적인 유물로 쓰촨성 광한 시에 위치한 삼성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얼리터우 문화
위치
위치중국 허난성 서부
문화 개요
시대중국 청동기 시대
연대기원전 1900년 ~ 기원전 1500년경
정의쉬쑤성
유형 유적얼리터우
선행 문화룽산 문화
후행 문화얼리강 문화
언어 정보
중국어 (간체)二里头文化
로마자 표기Èrlǐtóu wénhuà

2. 얼리터우 유적

허난성뤄양시옌스구에 위치한 '''얼리터우 유적'''은 얼리터우 문화의 대표 유적이다. 1959년 쉬쉬성에 의해 발견되었으며,[1] 궁궐 건물과 청동 제련 작업장이 있을 정도로 큰 규모였다.[2] 의례용 청동 용기 생산을 독점하였으며, 최초로 발굴된 딩이 여기서 나왔다.[3]

얼리터우 유적은 원래 2.4km 규모였으나, 홍수 피해로 현재 3km2만 남아 있다.[4] 얼리터우 유물 박물관에는 얼리터우 유적에서 발굴된 2,000점 이상의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5]

발견된 얼리터우 문화 유적지 지도; 주요 유적지는 녹색 선으로 강조 표시



2. 1. 위치 및 지리적 범위

얼리터우 유적은 황허의 지류인 뤄허강 유역에 위치하며, 얼리터우 문화는 허난성 중서부에서 산시성 남부 펀허 하류 일대에 걸쳐 분포한다. 주요 유적은 다음과 같다.[11]

위치유적 이름
뤄양시둥치엔거우 유적, 추어리 유적, 둥마거우 유적
산저우구치리푸 유적
루저우 시메이산 유적
정저우시뤄다먀오 유적


2. 2. 시기 구분

얼리터우 유적은 지금으로부터 3800년에서 3500년 전의 것으로, 유적의 시기는 4기로 나눌 수 있다.[1] 1, 2기는 신석기 시대로, 토기를 제조하는 농경 문명이었고, 3기와 4기는 청동기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고 도시 국가가 형성되었다.

  • 1기: 산먼샤, 관중 평원 동부, 허난성 남부로 확대
  • 2기: 펀수이(汾水) 유역으로 확대해, 그 지역에 얼리터우 문화 둥샤펑(東下馮) 유형을 형성.
  • 3기: 친수이(沁水) 이서 지구, 허난성 동쪽, 동남부로 확대.
  • * 2, 3기 경에는 허베이 후이웨이 문화(輝衛文化), 샤치유안 문화(下七垣文化), 산둥 위에스 문화(岳石文化) 등과의 충돌 흔적이 보인다.
  • * 3, 4기가 되면 청동기나 궁전의 자취가 출토되었고, 도시 국가가 형성되고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 4기
  • * 4단계 말에 청동 및 기타 엘리트 상품 생산이 중단되었으며, 동시에 동쪽으로 85km 떨어진 정저우시에 얼리강 도시가 세워졌다. 화재나 전쟁으로 인한 파괴 증거는 없지만, 상부 얼리강 단계(기원전 1450–1300년) 동안 모든 궁전이 버려지고, 얼리터우는 30ha의 마을로 축소되었다.[1]

2. 3. 주요 유물

얼리터우 유적에서는 다양한 유물이 발굴되었는데, 이는 당시 사회의 발전상을 보여준다.

  • 궁전: 1호 궁전 터와 2호 궁전 터가 발굴되었다. 1호 궁전 터는 남북 약 100m, 동서 108m 크기의 방형 토대 위에 지어졌으며, 담장과 회랑이 발견되었다. 2호 궁전 터는 1호 궁전 터에서 북동쪽으로 약 150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동서 42.5m, 남북 12.5m 크기의 토단이 출토되었다.[13]
  • 청동기: 작, 등 제기를 비롯하여 무기, 도구, 장신구 등 다양한 청동기가 발굴되었다.[21][23] 특히, 동물 얼굴 문양 등 복잡한 형태의 청동기가 발굴되어 당시 얼리터우 문화의 청동기 주물 기술이 매우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22]
  • 청동
  • 청동 작
  • 터키석으로 장식된 청동기
  • 터키석으로 장식된 청동기
  • 청동
  • 옥기: 의례용 칼, 도끼 등 옥으로 만든 다양한 유물도 발견되었다.
  • 도기: 다양한 형태와 문양의 도기가 발굴되었으며, 일부 도기 조각에는 갑골 문자와 유사한 24종의 뼈 그림 부호가 새겨져 있어 주목된다.[14]
  • 기타: 복골, 뼈 그림 부호 등이 발견되었다.


얼리터우 유적 주요 유물
종류세부 내용
궁전1호 궁전 터, 2호 궁전 터
청동기작, 등 제기, 무기, 도구, 장신구 등
옥기의례용 칼, 도끼 등
도기다양한 형태와 문양, 일부에 뼈 그림 부호 (갑골 문자와 유사)
기타복골, 뼈 그림 부호


3. 얼리터우 문화의 특징

얼리터우 문화는 룽산 문화를 기반으로 발전했으며, 처음에는 허난성산시성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나 이후 산시성후베이성으로 퍼져나갔다. 얼리강 문화가 성장하면서 얼리터우 유적의 규모는 줄어들었지만, 사람들은 계속 거주했다.[1]

1959년 쉬쉬성에 의해 발견된 얼리터우 유적은 이 문화와 관련된 가장 큰 유적지로, 궁궐 건물과 청동 제련 작업장이 있었다. 얼리터우는 최초로 발굴된 딩을 포함하여 의례용 청동 용기 생산을 독점했다.[1] 이 도시는 황허강으로 흘러드는 뤄허강의 지류인 이허강에 위치해 있었다. 도시는 2.4km x 1.9km 크기였으나, 홍수 피해로 인해 현재는 3km2만 남아 있다.[1]

뤄양에 위치한 얼리터우 유물 박물관은 2019년 10월에 개관했으며, 얼리터우 유적에서 발굴된 2,000점 이상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2]

3. 1. 청동기 제작 기술

얼리터우 유적에서는 제사에 사용된 청동 용기를 비롯한 다양한 청동기가 발굴되었다.[21] 이는 치자 문화 등 비슷한 시기의 청동기 시대 유적지들과 비교할 때 훨씬 다양한 것이다. 동물 얼굴 문양 등 복잡한 형태의 청동기가 발굴되어, 당시 얼리터우 문화의 청동기 주조 기술이 상대적으로 더 발달되고 체계적인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얼리터우 문화 3기에 제작된 청동기들은 특히 더 복잡한 문양을 띈다.[22]

얼리터우에서 발굴된 청동기들은 은허주나라 청동기들의 원형이 된다. 작(爵), (鼎) 등의 청동기들이 얼리터우 문화 4기가 되면 이미 활발히 제작되고 있었다.[23] 초기의 유물로는 동탁이라고도 하는 청동 종과 더불어 청동 도끼도 발굴되었다.

얼리터우 문화는 중국에서 가장 초기에 대규모 청동 생산을 시작한 문화로, 제기 및 기타 청동기를 생산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부분 주형 공정을 사용했다.[3] 치자와 시바에서 청동 유물이 발견되었지만, 얼리터우 청동기는 현저하게 더 발전되고 풍부하다. 얼리터우 문화는 청동 도구와 종 모양의 악기뿐만 아니라 청동 무기와 독특한 동물 얼굴 형상 장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10종 이상의 청동 제기가 발굴되었다. 이는 얼리터우의 청동 주조가 다양하고 체계적임을 보여준다.

얼리터우 청동기는 겉면에 무늬가 없거나 단순한 기하학적 무늬가 있는 등 토기를 모방한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얼리터우 문화의 3단계에서 얼리터우 문화 전반에 걸쳐 매우 인기 있었던 천공 장식이 청동 ''궐''에 나타났다.[4]

많은 원형 중국 유물이 얼리터우 문화 유적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 ''정''은 얼리터우 문화의 4단계에서 발견되었으며, 줄무늬 격자 무늬로 장식되었다.[5] 가장 오래된 금속 종은 타오시 유적에서 1개, 얼리터우 유적에서 4개가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2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전의 토기 원형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 최초의 청동 도끼 또는 ''격''은 얼리터우 유적에서 나타났으며, 이곳에서 200개 이상의 청동 유물 중 2개가 발견되었다 (2002년 기준). 세 개의 옥 ''격''도 같은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3. 2. 사회 구조

얼리터우 유적은 지금으로부터 3,800년 전부터 3,500년 전의 유적으로, 크게 4개의 시기로 구분된다. 1, 2기는 신석기 시대로, 도기를 만들고 농사를 짓는 문명이었다. 3, 4기에는 청동기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고 도시 국가가 형성되기 시작했다.[1]

3, 4기에는 청동기나 궁전의 흔적이 발견되어 도시 국가가 형성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특히 3기에는 인구가 약 24,000명에 달하는 대규모 도시가 형성되었다.[4] 궁궐 지역은 2미터 두께의 성토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여러 궁전들이 건설되었다.[5]

1호 궁전(3단계)의 건축 배치


얼리터우 유적의 발전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면적인구주요 특징
1단계100ha수천 명급성장하는 지역 중심지였으나, 아직 도시 문명은 아니었음.[2]
2단계300ha약 11,000명도시화 시작, 12ha 면적의 궁궐 지역 조성, 청동 주조 공장 설립.[3]
3단계약 24,000명도시 절정기, 궁궐 단지 확장, 가장 큰 궁전 1호 건설.[4],[5]
4단계약 20,000명인구 감소, 건설 지속, 궁전 추가 건설, 얼리강 문화 하부 단계와 겹침.[6]



4단계 말에는 청동기 등의 생산이 중단되었고, 얼리터우는 30ha의 마을로 축소되었다.[7]

3. 3. 주변 문화와의 관계

얼리터우 문화는 주변의 룽산 문화, 얼리강 문화, 위에스 문화 등과 교류하거나 충돌하면서 발전했다.

얼리터우 유적은 지금으로부터 3800년에서 3500년 전의 유적으로, 그 시기는 4기로 나눌 수 있다.[1]

시기내용
1기산먼샤(三門峽), 관중평원 동부, 허난성 남부로 확대
2기펀수이(汾水) 유역으로 확대해, 그 지역에 얼리터우 문화 둥샤펑(東下馮) 유형을 형성
3기친수이(沁水) 이서 지구, 허난성 동쪽, 동남부로 확대
4기



2, 3기 경에는 허베이 후이웨이 문화(輝衛文化), 샤치유안 문화(下七垣文化), 산둥(山東) 위에스 문화 등과의 충돌 흔적이 보인다.[1]

4. 하나라와의 관련성

얼리터우 문화는 전통적인 기록에 등장하는 하나라와 관련된 유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얼리터우 유적의 3, 4기에서는 청동기나 궁전의 자취가 출토되었으며, 도시 국가가 형성되고 있었다고 추측된다. 이러한 추이는 사서에 기록된 하나라와 은나라에 관한 기술과 관련지어 해석되기도 한다.

얼리터우 문화는 룽산 문화를 기반으로 발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허난성산시성을 중심으로 시작된 이 문화는 산시성후베이성으로 확산되었다. 얼리강 문화가 부상한 후, 얼리터우 유적지는 규모가 줄어들었지만, 계속해서 사람이 거주했다.[1]

1959년 쉬쉬성이 발견한[2] 얼리터우 유적은 이 문화와 관련된 가장 큰 유적지로, 궁궐 건물과 청동 제련 작업장이 있었다. 얼리터우는 최초로 발굴된 딩을 포함하여 의례용 청동 용기의 생산을 독점했다. 이 도시는 황허강으로 흘러드는 뤄허강의 지류인 이허강에 위치해 있었다.

4. 1. 하나라와의 관련설

일부 학자들은 얼리터우 문화가 하나라의 문화이며, 얼리터우 유적이 하나라의 수도였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베이징 대학의 류쉬와 쉬톈진은 얼리강 문화를 초기 상나라 문화, 얼리터우 문화를 하나라 문화로 추정한다.[16]

쉬쉬성이 얼리터우를 처음 발견했을 때, 이곳이 전통적인 기록에서 탕왕 시대 상 왕조의 첫 번째 수도인 Bo라고 제안했다.[6][7][8] 1970년대 후반부터 중국의 고고학자들은 이 유적지를 마지막 하 왕조의 수도인 진순으로 식별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 왕조가 하 왕조를 전복했다는 전통적인 기록은 다양한 저자에 의해 이 유적지의 네 단계의 각 끝과 동일시되어 왔다. 하-상-주 연대 프로젝트는 얼리터우의 네 단계를 모두 하 왕조로 식별하고, 옌시 성벽 도시의 건설을 상 왕조의 건국으로 보았다.

다른 학자들은 그러한 식별에 대한 확고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중국 고고학의 역사적 초점이 지나치게 제한적이라고 주장한다.[10]

지스 협곡에서 발생한 대규모 범람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라자 유적지를 파괴했으며, 이는 기원전 192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는 황허 강 중류 계곡에서 얼리터우 문화가 부상하고, 산둥에서 웨스 문화가 등장하기 직전이며, 이는 화베이 평원에서 룽산 문화가 쇠퇴한 이후의 일이다. 이 홍수가 이후 신화의 근간이 되었을 수 있으며, 문화의 전환에 기여했을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이 시기가 하 왕조를 얼리터우 문화로 식별하는 추가 증거가 된다고 주장한다.[9] 그러나 화베이 평원에서는 동시대에 광범위한 홍수가 있었다는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중국 고고학회는 1기부터 3기까지를 확대기, 4기를 쇠퇴기로 정의하여, 1기부터 2기까지를 하 왕조, 3기 이후로는 은나라로 접어든다고 추정했다.[17]

2019년에는 얼리터우 유적 근처에 공영 박물관인 "얼리터우 하도 유적 박물관"(:zh:二里头夏都遗址博物馆)이 설립되었다.[18] "하의 수도"라는 명목으로 출토품과 모형을 전시하고 있다.

얼리터우 문화는 문헌 사료에 기록된 하 왕조에 비정되며, 동시대에 병존했던 선상 문화인 샤치유안 문화보다 진보적이며, 얼리강 문화에는 얼리터우 문화에서 계승된 문화 양식이 여러 개 확인되고 있다.[19]

4. 2. 반론과 논쟁

하나라의 존재와 얼리터우 문화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사기와 같은 역사서에 기록된 내용과 고고학적 발견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요임금이 도읍으로 삼은 평양은 허난성이 아닌 산시성에 있으며, 우임금이 설치한 기주 역시 산시성에 있어 허난성의 얼리터우 유적지와는 거리가 멀다.[24] 또한, 우임금의 묘는 허난성이 아닌 저장성 사오싱 시에 있다.[24]

은허에서 하나라 관련 기록이 적힌 갑골문이 발견되지 않은 점도 논쟁거리이다.[24] 다만, 서주시대 우임금에 대한 글이 적힌 금석문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앞으로의 고고학적 발굴을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24]

얼리터우 유적(검은색)과 죽서기년의 "현재 텍스트" 버전에 기록된 하의 수도(빨간색)


중국 역사학계, 특히 의고학파에서는 하나라의 역사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안양의 은허에서 발견된 갑골문을 통해 상나라의 존재는 확정되었지만, 하나라의 경우에는 그러한 증거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6][7][8]

일부 학자들은 지스 협곡에서 발생한 대규모 범람(기원전 1920년경)이 라자 유적지를 파괴했으며, 이 사건이 하나라 건국 신화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9] 그러나 화베이 평원에서 동시대에 광범위한 홍수가 있었다는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10]

5. 현대적 의의

얼리터우 문화는 중국 초기 국가 형성과 청동기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얼리터우 문화는 중국 고대사, 특히 하나라상나라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동아시아 초기 문명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24] 베이징 대학의 류서와 서천진은 얼리강 문화가 상나라 문화이며, 얼리터우 문화는 하나라 문화라고 추정했다. 중국 고고학회는 얼리터우 문화 1기부터 2기까지가 하 왕조, 3기 이후로는 상나라로 접어든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제왕세기>에 따르면 요임금이 도성을 둔 평양(平陽)은 산시성이며, 우임금의 구주 설치 지역도 산시성으로 허난성 얼리터우 문화 유적지와 일치하지 않는다. 우임금의 묘는 저장성 사오싱 시에 있어 얼리터우 유적지와 거리가 멀다. 서주시대 우임금에 대한 글이 적힌 금석문이 발견되었으나, 은허에서는 하나라 관련 기록이 적힌 갑골문이 발견되지 않았다.[24]

중국 고고학의 주요 목표는 ''죽서기년'', ''사기''와 같은 역사서에 기록된 하와 상 왕조의 수도를 찾는 것이었다. 안양의 은허에서 갑골문이 발견되면서 상 왕조의 마지막 수도임이 확정되었지만, 이전 유적지에서는 그러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쉬쉬성은 얼리터우를 처음 발견했을 때, 이곳이 탕왕 시대 상 왕조의 첫 번째 수도인 Bo라고 제안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중국의 고고학자들은 이 유적지를 마지막 하 왕조의 수도인 진순으로 비정(比定)하는 경향을 보였다.[6][7][8] 하-상-주 연대 프로젝트는 얼리터우의 네 단계를 모두 하 왕조로 식별하고, 옌시 성벽 도시의 건설을 상 왕조의 건국으로 보았다. 특히 중국 외부의 다른 학자들은 그러한 비정에 대한 확고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지스 협곡에서 발생한 대규모 범람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라자 유적지를 파괴했으며, 이는 기원전 192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황허 강 중류 계곡에서 얼리터우 문화가 부상하고, 산둥에서 웨스 문화가 등장하기 직전이며, 화베이 평원에서 룽산 문화가 쇠퇴한 이후의 일이다. 저자들은 이 홍수가 이후 신화의 근간이 되었을 수 있으며, 문화의 전환에 기여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또한, 그들은 이 시기가 하 왕조를 얼리터우 문화로 비정하는 추가 증거가 된다고 주장한다.[9] 그러나 화베이 평원에서는 동시대에 광범위한 홍수가 있었다는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10]

5. 1. 고고학적 가치

얼리터우 유적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궁전 건축, 청동기 공방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1959년 쉬쉬성이 발견한 얼리터우 유적은 이 문화와 관련된 가장 큰 유적지로, 궁궐 건물과 청동 제련 작업장이 있었다.[2]

얼리터우 유적에서는 제의에 사용된 청동 용기 등 다양한 청동기가 발굴되었다.[21] 이는 치자 문화 등 비슷한 시기의 청동기 시대 유적지들과 비교할 때도 훨씬 다양한 것이다. 동물 얼굴 문양 등 복잡한 형태의 청동기가 발굴되어, 당시 얼리터우 문화의 청동기 주물 기술이 상대적으로 더 발달되고 체계적인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얼리터우 문화 3기에 제작된 청동기들은 특히 더 복잡한 문양을 띄고 있다.[22] 얼리터우에서 발굴된 청동기들은 은허주나라 청동기들의 원형이 된다. 작(爵), (鼎) 등의 청동기들이 얼리터우 문화 4기가 되면 이미 활발히 제작되고 있었다.[23]

얼리터우 문화는 중국에서 가장 초기의 대규모 청동 생산 문화로, 제기 및 기타 청동기를 생산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부분 주형 공정을 사용했다.[3] 얼리터우 청동기는 겉면에 무늬가 없거나 단순한 기하학적 무늬가 있는 등 토기를 모방한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얼리터우 문화 3단계에서 얼리터우 문화 전반에 걸쳐 매우 인기 있었던 천공 장식이 청동 ''궐''에 나타났다.[4] 많은 원형 중국 유물이 얼리터우 문화 유적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 ''정''은 얼리터우 문화 4단계에서 발견되었으며, 줄무늬 격자 무늬로 장식되었다.[5]

초기의 유물로는 동탁이라고도 하는 청동 종과 더불어 청동 도끼도 발굴되었다. 가장 오래된 금속 종은 타오시 유적에서 1개, 얼리터우 유적에서 4개가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2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전의 토기 원형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 최초의 청동 도끼 또는 ''격''은 얼리터우 유적에서 나타났다.

1960년에 광대한 궁전 자취나 청동기 공방 등의 자취가 발견되어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궁전 건축의 기초인 것이 확인되었다. 1호 궁전터의 토대는 방형으로, 남북 약 100m, 동서 약 108m이다. 2호 궁전터는 1호 궁전터의 동북쪽으로 약 150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동서로 42.5m, 남북으로 12.5m의 토단이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연옥제품, 도끼, 칼, 낚시 바늘, 창, 주연에 사용하는 용기류, 복골, 갑골 문자와 비슷한 24종의 뼈 그림 부호가 확인되었다.

5. 2. 역사적 의의

얼리터우 문화는 중국 고대사, 특히 하나라상나라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동아시아 초기 문명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24]

베이징 대학의 류서와 서천진은 얼리강 문화가 상나라 문화이며, 얼리터우 문화는 하나라 문화라고 추정한다. 중국 고고학회는 얼리터우 문화 1기부터 2기까지가 하 왕조, 3기 이후로는 상나라로 접어든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제왕세기>에 따르면 요임금이 도성을 둔 평양(平陽)은 산시성이며, 우임금의 구주 설치 지역도 산시성으로 허난성 얼리터우 문화 유적지와 일치하지 않는다. 우임금의 묘는 저장성 사오싱 시에 있어 얼리터우 유적지와 거리가 멀다. 서주시대 우임금에 대한 글이 적힌 금석문이 발견되었으나, 은허에서는 하나라 관련 기록이 적힌 갑골문이 발견되지 않았다.[24]

중국 고고학의 주요 목표는 ''죽서기년'', ''사기''와 같은 역사서에 기록된 하와 상 왕조의 수도를 찾는 것이었다. 안양의 은허에서 갑골문이 발견되면서 상 왕조의 마지막 수도임이 확정되었지만, 이전 유적지에서는 그러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쉬쉬셩은 얼리터우를 처음 발견했을 때, 이곳이 탕왕 시대 상 왕조의 첫 번째 수도인 Bo라고 제안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중국의 고고학자들은 이 유적지를 마지막 하 왕조의 수도인 진순으로 비정(比定)하는 경향을 보였다.[6][7][8] 하-상-주 연대 프로젝트는 얼리터우의 네 단계를 모두 하 왕조로 식별하고, 옌시 성벽 도시의 건설을 상 왕조의 건국으로 보았다. 특히 중국 외부의 다른 학자들은 그러한 비정에 대한 확고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지스 협곡에서 발생한 대규모 범람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라자 유적지를 파괴했으며, 이는 기원전 192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황허 강 중류 계곡에서 얼리터우 문화가 부상하고, 산둥에서 웨스 문화가 등장하기 직전이며, 화베이 평원에서 룽산 문화가 쇠퇴한 이후의 일이다. 저자들은 이 홍수가 이후 신화의 근간이 되었을 수 있으며, 문화의 전환에 기여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또한, 그들은 이 시기가 하 왕조를 얼리터우 문화로 비정하는 추가 증거가 된다고 주장한다.[9] 그러나 화베이 평원에서는 동시대에 광범위한 홍수가 있었다는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10]

참조

[1] 웹사이트 Shanghai Museum https://www.shanghai[...]
[2] 웹사이트 Erlitou Relic Museum opens in Central China – China.org.cn http://www.china.org[...]
[3] 서적 Metalworking in Bronze Age China: The Lost-Wax Process https://www.cambriap[...] Cambria Press 2020
[4] 서적 On the Casting Technique of Bronze Vessels of Erlitou and Erligang Culture in the Perspective of Decorative Complication http://kns8.en.eastv[...] 2020
[5] 논문 河南偃师二里头遗址发现新的铜器 New bronze ware found at Erlitou site in Yanshi, Henan https://r.cnki.net/k[...] 1991
[6] 서적 Archaeologica Global Book 2020-01-18
[7] 논문 Identification of Writing in the Xia Period: A Study of Pottery Glyphs in the Erlitou Culture http://www.kaogu.cn/[...]
[8] 서적 Chinese City And Urbanism: Evolution And Development https://archive.org/[...] World Scientific
[9] 논문 Outburst flood at 1920 BCE supports historicity of China's Great Flood and the Xia dynasty
[10] 웹사이트 Massive flood may have led to China's earliest empire https://www.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6-08-05
[11] 문서
[12] 웹사이트 https://u-ryukyu.rep[...]
[13] 웹사이트 http://abc0120.net/w[...]
[14] 서적 中国古代漢字学の第一歩 凱風社
[15] 간행물 河南偃師二里頭遺址発掘簡報 1965-05
[16] 서적 三代文明の探索 平凡社
[17] 간행물
[18] 웹사이트 二里頭夏都遺跡博物館が開館 「最古の王朝」の神秘の姿が明らかに https://www.afpbb.co[...] 2020-07-09
[19] 웹사이트 https://kaken.nii.ac[...]
[20] 서적 中国古代史の伝説時代
[21] 서적 Metalworking in Bronze Age China: The Lost-Wax Process https://www.cambriap[...] Cambria Press 2020
[22] 서적 On the Casting Technique of Bronze Vessels of Erlitou and Erligang Culture in the Perspective of Decorative Complication http://kns8.en.eastv[...] 2020
[23] 논문 河南偃师二里头遗址发现新的铜器 New bronze ware found at Erlitou site in Yanshi, Henan https://r.cnki.net/k[...] 1991
[24] 웹사이트 http://book.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