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동인증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동인증서는 대한민국에서 전자서명법에 따라 발급 및 관리되었던 전자 인증서로, 온라인 뱅킹, 증권 거래, 전자 상거래, 전자 민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1999년 전자서명법 제정 이후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정한 공인인증기관에서 발급하는 공인인증서와 기타 인증기관에서 발급하는 사설인증서로 구분되었다. 2003년부터는 6개의 공인인증기관 간 상호 연동이 이루어졌으며, 용도에 따라 범용, 은행/카드/보험용, 증권/카드/보험용 등으로 나뉘어 발급되었다. 공인인증서 외에 행정전자서명 인증서도 존재하며, 공인인증서의 폐지 이후 민간 인증서가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인터넷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은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개인정보 보호, 정보통신망의 건전하고 안전한 이용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법률로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책임과 이용자의 권리, 불법정보 유통 금지 등을 규정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인터넷 -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09년 7월에 설립되었으며, 감사실, 원장 직속 부서, 경영기획본부, 정보보호산업본부, 인터넷서비스지원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공동인증서
기본 정보
명칭공동인증서 (共同認證書)
영어 명칭Korea Electronic Certificate Authority (KECA)
종류PKI 기반의 디지털 인증서
용도온라인 뱅킹
전자 상거래
전자 정부 서비스 이용 시 본인 확인
역사
시작1999년 대한민국에서 도입
폐지2020년 12월 10일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폐지
대체민간인증서
특징
발급 기관대한민국의 공인인증기관 (현재는 폐지)
저장 매체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보안 토큰
유효 기간1년 (만료 시 갱신 필요)
기술 표준X.509
문제점
액티브엑스(ActiveX) 의존성액티브엑스(ActiveX)와 같은 특정 기술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 운영체제나 웹 브라우저 환경에 따라 사용이 제한적
보안 취약성저장 매체에 개인키를 보관하는 방식의 보안 취약성 문제 제기
이용 불편매년 갱신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갱신 시 추가적인 인증 절차 요구
해외 사용 제한대한민국에서만 사용 가능한 인증 시스템으로 해외에서의 사용이 불가능
기술
암호화 알고리즘RSA, DSA, ECDSA 등
해시 함수SHA-256, SHA-512 등
인증 프로토콜SSL/TLS
관련 법규
법률전자서명법 (폐지)
시행령전자서명법 시행령 (폐지)
기타
참고 자료내일부터 공인인증서 폐지…"공공기관 민간인증서 사용 가능"
OpenSSL: Contributions, Misc
액티브X 없이도 은행·정부서 인증...'브라우저 공동인증' 개발

2. 관련 법령 및 제도

공동인증서와 관련된 법령 및 제도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에서는 1999년 전자서명법을 제정하여 공인인증서 발급 및 관리 체계를 마련하였다. 행정안전부장관이 지정한 공인인증기관에서 발급한 인증서를 공인인증서라 하며, 기타 인증기관에서 발급한 인증서는 사설인증서라 부른다.[1]

전자정부법에 따라 정부인증기관에서 발급하는 행정전자서명 인증서로 생성된 전자서명을 행정전자서명이라 하며, 전자관인이라고도 부른다.[1]

2003년 1월, 전자서명법에 의해 지정된 대한민국의 6개 공인인증기관(2014년 2월 현재 5개)은 공인인증서 상호연동 협약을 체결했다.[1] 2003년 6월부터 모든 전자거래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 공인인증서 발급이 시작되었다.[1]

2. 1. 전자서명법

대한민국에서는 1999년 전자서명법을 제정하고 공인인증서의 발급 및 관리 체계를 마련하였다. 행정안전부장관이 지정한 공인인증기관에서 발급한 인증서를 공인인증서라 하며 기타 인증기관에서 발급한 인증서를 사설인증서라 부른다.[1]

공인인증서가 사용되는 분야는 온라인 뱅킹, 증권거래, 인터넷을 통한 카드 결제, 보험 등의 금융업무와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입찰, 전자계약 등의 기업 조달업무, 정부에서 제공하는 전자민원, 전자정부 업무 등이 있다.[1]

공인인증서 발급에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다.[1]

구분필요 서류
개인신청서 1부, 신분증 사본 1부
법인, 개인사업자, 단체신청서 1부,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인감증명서 또는 대표자 개인인감증명 원본 1부, 신청서 상에 기재된 대리인의 신분증 사본 1부


2. 2. 전자정부법

전자정부법에 따라 정부인증기관에서 발급하는 행정전자서명 인증서로 생성된 전자서명을 행정전자서명이라 한다. 이를 전자관인이라 부르기도 한다.[1]

2. 3. 공인전자서명과 행정전자서명의 비교

(National Public Key Infrastructure, NPKI)정부 공개 키 기반구조
(Govern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 GPKI)주관기관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행정안전부
행정전자서명인증관리센터근거법령전자서명법 (1999년 2월 제정)전자정부법 (2001년 3월 제정)최상위 인증기관한국인터넷진흥원 (KISA)행정전자서명인증관리센터인증기관한국정보인증 (KICA)
코스콤 (KOSCOM)
금융결제원 (KFTC)
한국전자인증 (KECA)
한국무역정보통신 (KTNET)
한국정보사회진흥원 (구 전산원, 2008년에 한국정보인증으로 업무 이관)교육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대검찰청
병무청
대법원 (법원행정처)등록기관은행, 증권회사 등 등록대행기관29개 기관: 대통령비서실 등 13개 중앙행정기관, 서울특별시 등 17개 지방자치단체발급대상자연인 또는 법인, 서버 및 기계장치행정기관, 보조기관, 보좌기관 및 공무원용도전자 상거래, 전자정부행정행위


2. 4. 공인인증서 상호연동

2003년 1월, 전자서명법에 의해 지정된 대한민국의 6개 공인인증기관(2014년 2월 현재 5개)은 공인인증서 상호연동 협약을 체결했다.[1] 이에 따라, 2003년 6월부터 모든 전자거래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 공인인증서 발급이 시작되었다.[1]

범용 공인인증서는 과거 상호연동 공인인증서, 전자거래 공인인증서, 1등급 공인인증서 등으로 불렸으며, 최근에도 간혹 혼용되어 표기된다.[1]

3. 공인인증기관

(SIGNGATE)www.signgate.com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42, C동 5층(삼평동, 판교디지털센터)1577-8787상공회의소, 우체국, 조달청,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코스콤사인코리아
(SIGNKOREA)www.signkorea.com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1026-7 B동 3층1577-7337증권사, 아이티네이드 등금융결제원예스사인
(YESSIGN)www.yessign.or.kr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17 금융결제원1577-5500은행한국전자인증크로스서트
(CROSSCERT)www.crosscert.com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674-4 하림빌딩 7층1566-0566상공회의소,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한국무역정보통신트레이드사인
(TRADESIGN)www.tradesign.net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트레이드 타워 32층1566-2119상공회의소


3. 1. 사업자범용공인인증센터

회사이름브랜드홈페이지주소연락처
한국범용인증센터트레이드사인[http://www.certbiz.com/ www.certbiz.com]광주광역시 첨단과기로 313, 505호(대촌동, 하이테크센터)1544-5742
한국사업자인증센터사인코리아[https://www.kosignbiz.com/ www.kosignbiz.com]광주광역시 첨단과기로 313, 505호(대촌동, 하이테크센터)1644-4074


4. 인증서 종류 및 발급 방법

이때 해당 기관에서 발급받은 보안카드, 계좌비밀번호 등이 필요하다.공인인증기관의 홈페이지에 안내되어 있는 등록대행기관을 방문하여 발급받는다.
신분증 지참 필요하며, 신청인 본인이 직접 방문하여야 한다.(가입 대상이 미성년자가 아닐 경우 대리 발급 불가)은행/카드/보험용가입자는 무료
(해당 대행기관이 인증기관 "금융결제원"에 요금을 대납한다.)은행, 상호금융기관, 우체국 등에서 인터넷뱅킹을 신청하고 해당 기관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발급받는다.
이때 해당 기관에서 발급받은 보안카드, 계좌비밀번호 등이 필요하다.증권/카드/보험용가입자는 무료
(해당 증권회사가 인증기관 "코스콤"에 요금을 대납한다.)증권회사에서 온라인 증권거래 계좌를 개설하고 증권회사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발급받는다.
이때 해당 증권회사에서 발급받은 보안카드, 계좌비밀번호 등이 필요하다.특정목적용가입자는 무료특정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증서이며, 발급 방법은 범용인증서와 같다.


4. 1. 개인용 인증서

이때 해당 기관에서 발급받은 보안카드, 계좌비밀번호 등이 필요하다.공인인증기관의 홈페이지에 안내되어 있는 등록대행기관을 방문하여 발급받는다.
신분증 지참 필요하며, 신청인 본인이 직접 방문하여야 한다.(가입 대상이 미성년자가 아닐 경우 대리 발급 불가)은행/카드/보험용가입자는 무료
(해당 대행기관이 인증기관 "금융결제원"에 요금을 대납한다.)은행, 상호금융기관, 우체국 등에서 인터넷뱅킹을 신청하고 해당 기관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발급받는다.
이때 해당 기관에서 발급받은 보안카드, 계좌비밀번호 등이 필요하다.증권/카드/보험용가입자는 무료
(해당 증권회사가 인증기관 "코스콤"에 요금을 대납한다.)증권회사에서 온라인 증권거래 계좌를 개설하고 증권회사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발급받는다.
이때 해당 증권회사에서 발급받은 보안카드, 계좌비밀번호 등이 필요하다.특정목적용가입자는 무료특정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증서이며, 발급 방법은 범용인증서와 같다.


4. 2. 법인/개인사업자용 인증서

법인, 개인사업자, 단체의 경우 신청서 1부,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인감증명서 또는 대표자 개인인감증명 원본 1부, 신청서 상에 기재된 대리인의 신분증 사본 1부가 필요하다.[1]

종류요금발급 방법
범용110000KRW(부가세 포함)공인인증기관의 홈페이지에 안내되어 있는 등록대행기관을 방문하여 발급받는다. 또는 인증기관 직원이 신청인을 내방하여 신원확인을 수행하고 인증서를 발급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범용인증서는 조달청 및 특허청의 특정 목적용을 포함하는 모든 곳에서 호환된다.
은행 등 금융권 및 전자정부4400KRW(부가세 포함) (은행 기관 홈페이지 참고)
국세청 전자세금계산서용4400KRW(부가세 포함) (은행 등 공인인증기관 홈페이지 참고)
특정 목적용해당 인터넷 사이트 홈페이지 참고


5. 공인인증서의 용도

공인인증서는 온라인 뱅킹, 증권거래, 인터넷을 통한 카드 결제, 보험 등의 금융업무와 전자세금계산서, 전자입찰, 전자계약 등의 기업 조달업무, 정부에서 제공하는 전자민원, 전자정부 업무 등에 사용되었다.

대구분소구분용도관련사이트
금융인터넷뱅킹인터넷뱅킹 홈페이지 로그인 및 계좌이체
온라인증권거래온라인증권거래(HTS) 로그인 및 증권매도/매수 주문
신용카드 결제쇼핑몰 등에서 신용카드 온라인 결제(30만원 이상은 의무사용)
보험업무온라인 보험 가입 또는 관련 증명서 발급
지로납부지로요금, 공과금, 범칙금, 세금 납부https://www.giro.or.kr
기업전자상거래(B2B)입찰온라인 입찰서 제출 (조달청, 공공기관, 대기업 등)https://www.certbiz.com
계약온라인 계약서 작성 및 승인https://www.certbiz.com
세금계산서매출세금계산서 작성 및 승인https://www.certbiz.com
민원업무(공공/행정)실적신고건설협회, 화학물질관리협회 등의 온라인 실적신고
증명서발급건설협회, 무역협회 등의 온라인 증명서 발급업무
부동산아파트 온라인 청약공공, 민영 아파트 인터넷 청약
의료전자처방전, 전자의무행정
정부민원업무대한민국 전자정부포탈정부민원업무 포탈서비스https://gov.kr
헌법재판소 전자헌법재판센터전자접수, 전자송달https://ecourt.ccourt.go.kr
대법원 인터넷등기소부동산등기, 법인등기https://www.iros.go.kr
대법원 가족관계등록시스템가족관계등록부 발급(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등)https://efamily.scourt.go.kr
국세청 홈택스국세납부, 연말정산 등https://www.hometax.go.kr
관세청 인터넷통관포탈수출입통관, 관세환급, 요건확인https://portal.customs.go.kr
행정안전부 정부24토지대장열람, 주민등록등초본교부, 건축물대장 등초본교부, 전입신고 등https://gov.kr
행정안전부 WETAX(위택스)지방세 납부https://www.wetax.go.kr
서울시 ETAX(이택스)서울시 지방세 납부https://etax.seoul.go.kr
서울시 법인세무조사시스템서울시 인터넷서면조사https://biztax.seoul.go.kr
조달청 나라장터정부 및 공공기관의 용역, 시설, 물품 등의 입찰https://www.g2b.go.kr
정부민원업무병무청입영,징병검사,특기 선택 등의 병무청 민원업무https://www.mma.go.kr
정부민원업무교육부 나이스 대국민 서비스각종 교육 관련 민원업무https://www.neis.go.kr
정부/공공기관업무행정안전부정부, 공공기관의 전자문서 전달업무https://www.gdoc.go.kr
특허청 특허로전자출원업무https://www.kiporo.go.kr
무역한국무역정보통신무역,통관,물류,전자신용장,전자수납 등https://www.ctradeworld.com
중소벤처기업부 수출지원시스템해외인증획득지원 등https://www.exportcenter.go.kr
상공회의소 원산지증명 발급 시스템원산지증명 온라인 발급https://cert.korcham.net
전략물자관리원 전략물자관리시스템전략물자 판정 및 신고https://www.yestrade.go.kr


6. 공인인증서 폐지 및 민간 인증서 도입

2020년 12월 10일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되고, 다양한 민간 인증서가 도입되었다. 이는 문재인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의 일환으로, 독점적 지위를 누리던 공인인증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양한 인증 기술 경쟁을 통해 국민 편의를 증진하기 위한 조치였다.

참조

[1] 뉴스 내일부터 공인인증서 폐지…"공공기관 민간인증서 사용 가능"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12-09
[2] 웹인용 OpenSSL: Contributions, Misc https://web.archive.[...] 2008-04-22
[3] 뉴스 액티브X 없이도 은행·정부서 인증...'브라우저 공동인증' 개발 https://m.news.naver[...] 2018-06-25
[4] 웹사이트 법제처-전자서명법 http://www.law.go.kr[...]
[5] 웹사이트 전자서명인증관리센터-공인전자서명인증관리체계 및 공인인증업무 https://www.rootca.o[...]
[6] 웹사이트 우리은행-전자세금용 공인인증서란? https://sbiz.wooriba[...]
[7] 웹사이트 우리은행-공인인증서 종류 및 용도 https://sbiz.wooriba[...]
[8] 웹사이트 특허청-특허로 공인인증센터 http://www.tradesign[...]
[9] 웹사이트 지디넷코리아-은행권 블록체인 공동인증서비스 '뱅크사인' 상용화 은행이 직접 발급하고 공동개발한 서비스 https://www.zdnet.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