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무위원 중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행정안전부의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무회의 서무, 지방자치제도, 선거, 국민투표 지원, 안전 및 재난 관련 정책 수립 등을 관장한다. 역대 내무부, 행정자치부, 행정안전부, 총무처, 정무 제1장관, 정보통신부, 국민안전처 장관 등이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 - 이상민 (법조인)
이상민은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을 거쳐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재직했지만,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해 탄핵 소추 및 계엄령 선포 후 사퇴했다. -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 - 원세훈 (1951년)
원세훈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으로 서울특별시청에서 공직을 시작해 강남구청장,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행정안전부 장관과 국가정보원장을 지냈으나,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 건설업자 금품 수수, 국정원 예산 횡령 혐의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2022년 특별감형되었다. - 각료 목록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경제 및 재정 정책 수립과 예산 관리 등 기획재정부의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국무위원이다. - 각료 목록 - 제1해군경
제1해군경은 영국 해군의 최고위 장교로서, 1771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왔으며, 1868년부터는 해군의 운영과 전략을 책임지고 있으며, 국방참모총장을 보좌한다. - 대한민국의 장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대법관
대한민국의 대법관은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임명되며, 13명의 대법관과 대법원장 1명으로 구성되고, 임기는 6년이며, 헌법과 법률에 따라 중요한 사법적 결정을 내린다. - 대한민국의 장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검찰총장
대한민국의 검찰총장은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의 추천을 거쳐 법무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검찰총장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고 대검찰청을 지휘·감독한다.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 | |
---|---|
행정안전부 장관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명칭 | 행정안전부 장관 |
현직 | 공석 |
관저 | 행정안전부장관공관 |
초대 | 김부겸 |
성립 | 2017년 |
웹사이트 | 행정안전부 공식 웹사이트 |
2. 임명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무위원 중에서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무총리는 행정안전부 장관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 국회는 행정안전부 장관 임명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한다.
政府組織法중국어에 따라 행정안전부 장관은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무회의 서무, 법령 및 조약 공포, 정부조직과 정원, 상훈, 정부혁신, 행정능률, 전자정부, 개인정보보호, 정부청사 관리, 지방자치제도, 지방자치단체 사무지원·재정·세제, 낙후지역 등 지원,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 조정, 선거·국민투표 지원, 안전 및 재난에 관한 정책 수립·총괄·조정, 비상대비, 민방위 및 방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국가 행정사무 중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에 속하지 않는 사무는 행정안전부 장관이 처리한다.
3. 역할
4. 역대 장관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은 정부 수립 이후 내무부, 행정자치부, 행정안전부, 안전행정부, 행정자치부 등 여러 부처명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4. 1. 내무부 장관
內務部중국어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설치된 중앙행정기관으로, 지방 행정, 경찰, 선거 관리 등을 담당했다. 초대 내무부 장관은 윤치영이었다.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대통령 |
---|---|---|---|---|
1 | 윤치영 | 1948년 7월 27일 | 1948년 12월 24일 | 이승만 |
2 | 신성모 | 1948년 12월 24일 | 1949년 3월 21일 | |
3 | 김효석 | 1949년 3월 21일 | 1950년 2월 7일 | |
4 | 백성욱 | 1950년 2월 7일 | 1950년 7월 16일 | |
5 | 조병옥 | 1950년 7월 17일 | 1951년 4월 24일 | |
- | 장택상 | 1951년 4월 25일 | 1951년 5월 13일 | |
6 | 이순용 | 1951년 5월 14일 | 1952년 1월 12일 | |
7 | 장석윤 | 1952년 1월 12일 | 1952년 5월 24일 | |
8 | 이범석 | 1952년 5월 24일 | 1952년 7월 22일 | |
9 | 김태선 | 1952년 7월 24일 | 1952년 8월 29일 | |
10 | 진헌식 | 1952년 8월 29일 | 1953년 9월 19일 | |
- | 황호현 | 1953년 9월 19일 | 1953년 9월 20일 | |
11 | 백한성 | 1997년 8월 6일 | 1998년 3월 2일 | |
12 | 김형근 | 1955년 4월 23일 | 1956년 5월 21일 | |
13 | 이익흥 | 1956년 5월 21일 | 1957년 2월 4일 | |
14 | 장경근 | 1957년 2월 4일 | 1957년 9월 26일 | |
15 | 이근직 | 1957년 9월 26일 | 1958년 6월 17일 | |
16 | 민병기 | 1958년 6월 17일 | 1958년 8월 27일 | |
17 | 김일환 | 1958년 8월 27일 | 1959년 3월 20일 | |
18 | 최인규 | 1959년 3월 20일 | 1960년 3월 23일 | |
19 | 홍진기 | 1960년 3월 23일 | 1960년 4월 24일 | |
20 | 이호 | 1960년 4월 25일 | 1960년 8월 19일 | |
21 | 홍익표 | 1960년 8월 23일 | 1960년 9월 12일 | 윤보선 |
22 | 이상철 | 1960년 9월 12일 | 1960년 10월 13일 | |
23 | 현석호 | 1960년 10월 13일 | 1960년 11월 20일 | |
24 | 신현돈 | 1960년 11월 20일 | 1961년 5월 3일 | |
25 | 조재천 | 1961년 5월 3일 | 1961년 5월 18일 | |
26 | 한신 | 1961년 5월 20일 | 1962년 10월 14일 | |
27 | 박경원 | 1962년 10월 15일 | 1963년 11월 23일 | 박정희 |
- | 이계순 | 1963년 11월 23일 | 1963년 12월 17일 | |
28 | 엄민영 | 1963년 12월 17일 | 1964년 5월 11일 | |
29 | 양찬우 | 1964년 5월 11일 | 1966년 4월 15일 | |
30 | 엄민영 | 1966년 4월 15일 | 1967년 6월 29일 | |
31 | 이호 | 1967년 6월 30일 | 1968년 5월 20일 | |
32 | 박경원 | 1968년 5월 21일 | 1971년 6월 3일 | |
33 | 오치성 | 1971년 6월 4일 | 1971년 10월 6일 | |
34 | 김현옥 | 1971년 10월 7일 | 1973년 12월 2일 | |
35 | 홍성철 | 1973년 12월 3일 | 1974년 8월 20일 | |
36 | 박경원 | 1974년 8월 21일 | 1975년 12월 18일 | |
37 | 김치열 | 1975년 12월 19일 | 1978년 12월 21일 | |
38 | 구자춘 | 1978년 12월 22일 | 1979년 12월 14일 | |
39 | 김종환 | 1979년 12월 15일 | 1980년 9월 2일 | 최규하 |
40 | 서정화 | 1980년 9월 3일 | 1982년 4월 27일 | |
41 | 노태우 | 1982년 4월 28일 | 1983년 7월 6일 | 전두환 |
42 | 주영복 | 1983년 7월 7일 | 1985년 2월 18일 | |
43 | 정석모 | 1985년 2월 18일 | 1986년 8월 26일 | |
44 | 김종호 | 1986년 8월 27일 | 1987년 1월 20일 | |
45 | 정호용 | 1987년 1월 21일 | 1987년 5월 25일 | |
46 | 고건 | 1987년 5월 26일 | 1987년 7월 13일 | |
47 | 정관용 | 1987년 7월 14일 | 1987년 9월 13일 | |
48 | 이상희 | 1987년 9월 14일 | 1988년 5월 6일 | |
49 | 1988년 2월 25일 | 1988년 5월 6일 | 노태우 | |
50 | 이춘구 | 1988년 5월 7일 | 1988년 12월 4일 | |
51 | 이한동 | 1988년 12월 5일 | 1989년 7월 18일 | |
52 | 김태호 | 1989년 7월 19일 | 1990년 3월 18일 | |
53 | 안응모 | 1990년 3월 19일 | 1991년 4월 28일 | |
54 | 이상연 | 1991년 4월 29일 | 1992년 3월 30일 | |
55 | 이동호 | 1992년 3월 31일 | 1992년 10월 8일 | |
56 | 백광현 | 1992년 10월 9일 | 1993년 2월 26일 | |
57 | 이해구 | 1993년 2월 26일 | 1993년 12월 21일 | 김영삼 |
58 | 최형우 | 1993년 12월 22일 | 1994년 12월 23일 | |
59 | 김용태 | 1994년 12월 24일 | 1995년 12월 20일 | |
60 | 김우석 | 1995년 12월 21일 | 1997년 2월 12일 | |
61 | 서정화 | 1997년 2월 13일 | 1997년 3월 5일 | |
62 | 강운태 | 1997년 3월 6일 | 1997년 8월 5일 | |
63 | 조해녕 | 1997년 8월 6일 | 1998년 3월 2일 |
4. 2. 행정자치부 장관
김대중 정부 시절, 내무부와 총무처가 통합되어 행정자치부가 출범하면서 정부 조직 관리, 인사 행정, 전자정부 구축 등의 기능을 담당했다.대수 | 이름 | 임기 | 대통령 |
---|---|---|---|
1 | 김정길 | 1998년 3월 3일 ~ 1999년 2월 5일 | 김대중 |
2 | 김기재 | 1999년 2월 6일 ~ 2000년 1월 13일 | |
3 | 최인기 | 2000년 1월 14일 ~ 2001년 3월 25일 | |
4 | 이근식 | 2001년 3월 26일 ~ 2003년 2월 26일 | |
5 | 김두관 | 2003년 2월 27일 ~ 2003년 9월 18일 | 노무현 |
6 | 허성관 | 2003년 9월 19일 ~ 2005년 1월 4일 | |
7 | 오영교 | 2005년 1월 5일 ~ 2006년 3월 21일 | |
8 | 이용섭 | 2006년 3월 27일 ~ 2006년 12월 4일 | |
9 | 박명재 | 2006년 12월 13일 ~ 2008년 2월 28일 |
4. 3. 행정안전부 장관
이명박 정부 시절, 행정자치부와 정보통신부의 일부 기능, 중앙인사위원회가 통합되어 행정안전부가 출범했다. 행정안전부는 전자정부, 정보보호, 정부 혁신 등의 기능을 담당했다. 박근혜 정부 시절,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안전행정부로 개편되었다가, 다시 행정자치부로 변경되었다. 문재인 정부 시절, 행정자치부와 국민안전처가 통합되어 행정안전부로 다시 출범했다. 윤석열 정부 시절,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태원 압사 사고 부실 대응 논란으로 탄핵 소추되었으나,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되었다.역대 행정안전부 장관은 다음과 같다.
대수 | 이름 | 임기 시작일 | 임기 종료일 | 대통령 | 부처명 |
---|---|---|---|---|---|
1 | 원세훈 | 2008년 2월 29일 | 2009년 2월 11일 | 이명박 | 행정안전부 |
- | 정창섭 | 2009년 2월 12일 | 2009년 2월 19일 | ||
2 | 이달곤 | 2009년 2월 20일 | 2010년 3월 4일 | ||
- | 정창섭 | 2010년 3월 5일 | 2010년 4월 14일 | ||
3 | 맹형규 | 2010년 4월 15일 | 2013년 3월 11일 | ||
4 | 유정복 | 2013년 3월 11일 | 2014년 3월 22일 | 박근혜 | |
1 | 2013년 3월 23일 | 2014년 3월 5일 | 안전행정부 | ||
- | 박경국 | 2014년 3월 6일 | 2014년 4월 2일 | ||
2 | 강병규 | 2014년 4월 2일 | 2014년 7월 15일 | ||
3 | 정종섭 | 2014년 7월 16일 | 2014년 11월 18일 | ||
1 | 2014년 11월 19일 | 2016년 1월 12일 | 행정자치부 | ||
2 | 홍윤식 | 2016년 1월 13일 | 2017년 6월 15일 | ||
3 | 김부겸 | 2017년 6월 16일 | 2017년 7월 25일 | 문재인 | |
1 | 2017년 7월 26일 | 2019년 4월 5일 | 행정안전부 | ||
2 | 진영 | 2019년 4월 8일 | 2020년 12월 23일 | ||
3 | 전해철 | 2020년 12월 24일 | 2022년 5월 11일 | ||
4 | 이상민 | 2022년 5월 12일 | 2023년 2월 7일 | 윤석열 | |
- | 한창섭 | 2023년 2월 8일 | 2023년 7월 24일 | ||
4 | 이상민 | 2023년 7월 25일 | 2024년 12월 8일 | ||
- | 고기동 | 2024년 12월 8일 | 현재 |
4. 4. 총무처 장관
총무처는 정부의 인사, 조직, 예산 등 행정 지원 업무를 담당했다. 총무처 장관은 정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1공화국 | 초대 | 허정 | 1948년 7월 27일 ~ 1948년 8월 25일 | |
2대 | 김병연 | 1948년 8월 26일 ~ 1948년 11월 29일 | ||
3대 | 전규홍 | 1948년 11월 30일 ~ 1951년 4월 27일 | ||
4대 | 한동석 | 1951년 5월 7일 ~ 1953년 11월 1일 | ||
5대 | 정운갑 | 1953년 11월 2일 ~ 1955년 2월 16일 |
4. 5. 정무 제1장관
정무 제1장관은 대통령의 정무 특보 역할을 수행하며, 국회와의 소통을 담당했다.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3공화국 | 13대 | 이석제 | 1963년 12월 17일~1969년 10월 20일 | |
14대 | 서일교 | 1969년 10월 21일~1973년 12월 2일 | rowspan=2 | | |
제4공화국 | ||||
15대 | 심흥선 | 1973년 12월 3일~1977년 12월 19일 | ||
16대 | 심의환 | 1977년 12월 20일~1979년 10월 22일 | 간암으로 임기 도중 별세 헌정 사상 현직 각료가 사망한 첫 사례 | |
- | 최택원 | 1979년 10월 26일~1979년 12월 13일 | 직무대행 | |
17대 | 김용휴 | 1979년 12월 14일~1982년 5월 20일 | rowspan=2 | | |
제5공화국 | ||||
18대 | 박찬긍 | 1982년 5월 21일~1985년 2월 18일 | ||
19대 | 박세직 | 1985년 2월 19일~1986년 1월 7일 | ||
20대 | 정관용 | 1986년 1월 8일~1987년 7월 13일 | ||
21대 | 장기오 | 1987년 7월 14일~1988년 2월 24일 | ||
노태우 정부 | 22대 | 김용갑 | 1988년 2월 25일~1989년 3월 8일 | |
- | 손종석 | 1989년 3월 9일~1989년 3월 15일 | 직무대행 | |
23대 | 김용래 | 1989년 3월 17일~1990년 3월 18일 | ||
24대 | 이연택 | 1990년 3월 19일~1991년 12월 19일 | ||
25대 | 이상배 | 1991년 12월 20일~1992년 6월 25일 | ||
26대 | 이문석 | 1992년 6월 26일~1993년 2월 25일 | ||
김영삼 정부 | 27대 | 최창윤 | 1993년 2월 26일~1993년 12월 21일 | |
28대 | 황영하 | 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3일 | ||
29대 | 서석재 | 1994년 12월 24일~1995년 8월 3일 | ||
30대 | 김기재 | 1995년 8월 7일~1996년 1월 30일 | ||
31대 | 조해녕 | 1996년 1월 31일~1996년 12월 19일 | ||
32대 | 김한규 | 1996년 12월 20일~1997년 8월 5일 | ||
33대 | 심우영 | 1997년 8월 6일~1998년 3월 3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