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개발원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적개발원조(ODA)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가 정의한 개념으로,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과 복지 증진을 목표로 하며, 최소 25%의 무상 요소를 포함하는 양허적인 성격을 가진 공적 자금 흐름을 의미한다. ODA는 공공 부문에서 수행되며, 경제 개발과 복지 증진을 주요 목표로 하고, 양허적인 금융 조건을 갖춰야 한다. ODA는 양자 간 원조와 다자간 원조로 나뉘며, 지원 방식과 규모에 따라 분류된다. ODA는 1960년대 이후 국제적인 개발 지원의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한국은 1980년대 후반부터 ODA 공여를 시작하여 2010년 DAC에 가입했다. ODA는 무역을 위한 원조(AfT)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조건부 원조와 같은 논쟁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한국 ODA는 규모, 유상원조 비율, 사업 효과성, 시민사회와의 소통 등 여러 과제를 안고 있으며,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 달성에 기여하고 글로벌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원조 - 한국국제협력단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개발도상국 지원 및 국제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91년 설립된 대한민국 정부 기관이다. - 국제원조 - 일본 국제협력기구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및 사회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설립한 독립행정법인으로, 기술 협력, 무상 자금 협력, 유상 자금 협력(엔 차관) 등의 방식으로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며 해외 협력 자원봉사단 파견 및 국제 긴급 원조 활동도 수행한다. - 경제 개발 - 마셜 플랜
마셜 플랜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의 제안으로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 재건을 지원하여 경제 회복과 공산주의 확산 방지, 유럽 통합에 기여한 대규모 경제 지원 계획이다. - 경제 개발 - 몰로토프 플랜
몰로토프 플랜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이 동유럽 국가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립한 계획이다. - 경제협력개발기구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는 발트 3국 중 가장 큰 국가로, 1009년에 이름이 처음 언급되었고, 1253년 통일 국가를 세운 후 폴란드와의 연합을 거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립, 소련 점령과 재독립을 거쳐 현재는 민주주의 공화국으로 유럽 연합, NATO, OECD 회원국이다. - 경제협력개발기구 - 벨기에
벨기에는 서유럽에 위치하며, 네덜란드, 독일, 룩셈부르크, 프랑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를 주로 사용하며, 유럽 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창립 회원국으로서, 브뤼셀은 유럽 연합의 주요 기관들이 위치한 도시이다.
공적개발원조 | |
---|---|
기본 정보 | |
국기 비율 | 2:3 |
![]() | |
국가 | เพลงชาติไทย (프라텟 타이) |
일반 정보 | |
수도 | 방콕 |
공용어 | 태국어 |
종교 | 불교 |
정치 | |
정치 체제 | 입헌군주제 |
국왕 | 라마 10세 |
총리 | 세타 타위신 |
의회 | 태국 의회 |
역사 | |
성립 | 수코타이 왕국 (1238년) |
현재 왕조 | 짜끄리 왕조 (1782년) |
입헌 군주제 | 1932년 6월 24일 |
면적 | |
전체 면적 | 513,120 km² (50위) |
물 면적 비율 | 0.4% |
인구 | |
2023년 추정 | 70,230,000명 (20위) |
인구 밀도 | 132.5명/km² (86위) |
경제 | |
통화 | 바트 (THB) |
명목 GDP (2022년) | 5,367억 7,000만 달러 (32위) |
1인당 명목 GDP (2022년) | 7,693달러 (92위) |
실질 GDP (2022년) | 1조 4,177억 5,100만 달러 (20위) |
1인당 실질 GDP (2022년) | 20,336달러 (70위) |
지니 계수 | 34.9 (2020년) |
인간 개발 지수 | 0.800 (보통, 66위) |
기타 정보 | |
시간대 | ICT (UTC+7) |
차량 통행 방향 | 왼쪽 |
ISO 3166-1 | TH |
국가 도메인 | .th |
국제전화 코드 | +66 |
2. 개념 및 정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는 국제 원조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조정하기 위해 공적개발원조(ODA)라는 개념을 정의했다. ODA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과 복지 증진을 주된 목표로 하는 공적 자금의 흐름으로, 다음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3]
# 주 및 지방 정부, 또는 그 집행 기관을 포함한 공공 기관이 수행해야 한다.[4]
# 경제 개발과 복지 증진을 주요 목표로 해야 한다.
# 양허적인 금융 조건이어야 한다. (대출의 경우, 최소 25%의 무상 요소가 있어야 함)
이 정의에 따라 DAC 회원국의 원조는 ODA 외에도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공적 원조(OA)''': 개발원조위원회(DAC)의 원조 수혜자 목록 Part II에 있는 국가에 제공되는 원조로, ODA의 요건을 충족한다.
- '''기타 공적 흐름(OOF)''': 개발을 주된 목표로 하지 않거나, 무상 요소가 25% 미만인 공공 부문의 거래.
예를 들어, 아프가니스탄에 제공되는 무상 원조나 양허성 차관은 ODA, 바레인에 제공되는 경우는 OA로 분류된다. 군사 원조는 개발을 목표로 하지 않으므로 OOF로 분류된다.
ODA의 정의는 DAC 회원국 간의 합의를 통해 만들어졌지만, 대출의 양허율과 적용 할인율 결정 등에서 임의성이 존재한다는 비판도 있다.[26] 또한, ODA가 "경제 개발과 복지"에 기여해야 한다는 기준은 다양한 우선순위와 개발 효과에 대한 견해 차이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한다.[25]
ODA는 공여국의 이익이나 국제법적 의무에 포함된 지출(연계 원조, 행정 비용, 공여국 내 외국인 학생 교육 비용, 난민 생계비, 개발 인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는 비판도 받는다.[26]
2. 1. ODA의 종류
공적개발원조(ODA)는 크게 양자 간 원조와 다자간 원조 두 가지로 나뉜다.- 양자 간 원조: 원조를 제공하는 국가가 개발도상국에 직접 자금이나 기술 등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 유상 자금 협력: 개발도상국 정부에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주는 방식(차관)이다. 그랜트 엘리먼트(증여 요소)가 25% 이상인 대출이 이에 해당한다.
- 무상 자금 협력: 개발도상국에 상환 의무 없이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 기술 협력: 개발도상국의 인재 육성과 기술 이전을 돕는 방식이다. 연수생을 받거나 전문가를 파견하고, 개발 조사를 지원하며, 최신 기재를 제공한다.
- 다자간 원조: 유럽 연합, 국제 개발 협회(IDA), 유엔 등 국제기구를 통해 여러 국가가 함께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2019년에는 전체 ODA의 28%가 다자간 원조였다.[18]
일본은 국제협력기구(JICA)를 통해 양자 간 원조(유상 및 무상 자금 협력, 기술 협력)를 제공하고 있으며, 유엔 세계 식량 계획(WFP),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아동 기금(UNICEF), 세계 은행(IBRD), 아시아 개발 은행(ADB) 등 국제기구에 자금을 출연하여 다자간 원조도 실시하고 있다.
과거 일본은 중국에 많은 ODA를 제공했으나,[39][40] 중국의 경제 발전으로 인해 2018년에 종료되었다.[43][44]
2. 2. ODA의 변천
1969년 경제협력개발기구 개발원조위원회(OECD DAC)에서 공적개발원조(ODA) 개념을 채택하면서 국제 원조의 기준이 만들어졌다. 이는 이전의 원조 또는 개발 지원 개념을 명확히 한 것으로, 일부 보조금과 대출은 "기타 공적 자금(OOF)"으로 분류되었다.[5]1970년 유엔 총회에서는 선진국들이 국민총소득(GNI)의 0.7%를 국제 원조에 할애해야 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5][6] 이 목표는 1970년 10월 24일 UN 총회 결의안을 통해 공식화되었으며, 스웨덴과 네덜란드가 1974년에 처음으로 이 목표를 달성했다.[8]
1972년에는 ODA의 정의가 더욱 확고해져 적격 대출은 최소 25%의 보조금 요소를 가져야 한다고 명시되었다. 또한, 기증국(이탈리아 제외)은 전체 ODA의 최소 84%가 상업적으로 상환 가능한 대출이 아닌 보조금 또는 보조금 요소로 계산되어야 한다는 목표를 채택했으며, 이 비율은 1978년에 86%로 증가했다.[5][6]
1992년 DAC는 ODA에 대한 규칙을 채택하여 연계 원조를 저소득 국가 및 덜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프로젝트로 제한했다. 이는 미국이 세계 무역 시스템의 보호주의를 줄이기 위해 추진했던 제한이었다.[5][6]
2014년 DAC 기증국은 ODA가 대출 시점에 추정된 대출의 "보조금 등가"를 측정해야 한다고 합의했다.[7] 2019년 DAC는 ODA 대출의 주요 보고를 보조금 등가 기준으로 전환했지만, ODA 내 부채 탕감 회계에 문제를 야기하여 2020년에야 이에 대한 처리 방법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7]
3. 세계의 ODA 현황
2019년, 공적개발원조(ODA)로 집계된 국가 공여 원조의 연간 총액은 1.68조달러였으며, 이 중 1.52조달러가 개발원조위원회(DAC) 공여국에서 나왔다.[12][2]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 연평균 ODA는 1.515조달러(2018년 가격 기준)였다.[11]
역사적으로 ODA의 연간 지출액은 1960년부터 60년 동안 실질 가치로 약 4배 증가했다. 1973년까지는 다소 정체되었으나, 1973년부터 1992년까지는 일반적으로 증가했으며, 1997년까지 감소한 후 다시 증가했다.[12]
DAC 공여국의 ODA 지출액이 국민총소득(GNI)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61년 0.5% 이상에서 1973년 0.3% 미만으로 감소했다. 이후 공여국의 소득이 계속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ODA 수준은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 잠시 그 수준 이하로 떨어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0.3~0.35% 수준을 유지했다. 경제 규모가 가장 큰 공여국인 미국은 1966년 이전에 GNI의 0.5% 이상을 ODA에 지출했으나, 이 비율은 점차 감소하여 1990년대 후반 0.1%까지 떨어졌고, 2019년에는 0.15%를 기록했다.[13]
1960년 이후 ODA의 5대 공여국은 미국, 독일, 영국, 일본, 프랑스였다.
2019년 ODA의 상위 10개 공여국(이전된 절대 금액 기준)은 다음과 같다.
순위 | 국가 | ODA (2019년 가격, 10억 달러) |
---|---|---|
1 | 미국 | 33.0 |
2 | 독일 | 24.1 |
3 | 영국 | 19.4 |
4 | 프랑스 | 12.0 |
5 | 일본 | 11.7 |
6 | 튀르키예 | 8.7 |
7 | 네덜란드 | 5.3 |
8 | 스웨덴 | 5.2 |
9 | 캐나다 | 4.5 |
10 | 이탈리아 | 4.3 |
이 중 튀르키예는 DAC의 유일한 비회원국이다. 튀르키예의 대규모 ODA 기여는 튀르키예 내 시리아 난민의 많은 수와 관련이 있다.[14]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는 국민 총소득 대비 공적 개발 원조의 비율로 국가 순위를 매긴다. 2019년에는 6개 국가가 ODA/GNI 비율 0.7%에 대한 유엔의 오랜 목표를 달성했다.
2019년 ODA/GNI 비율이 높은 상위 5개 국가와 주요 5개 공여국의 ODA/GNI 비율은 다음과 같다.
순위 | 국가 | ODA/GNI (%) |
---|---|---|
1 | 튀르키예 | 1.15 [17] |
2 | 노르웨이 | 1.03 |
3 | 룩셈부르크 | 1.03 |
4 | 스웨덴 | 0.96 |
5 | 덴마크 | 0.72 |
6 | 영국 | 0.70 |
7 | 독일 | 0.61 |
8 | 프랑스 | 0.44 |
9 | 일본 | 0.30 |
10 | 미국 | 0.15 |
2021년, 영국은 연간 원조 예산을 국민 총소득의 0.7%에서 0.5%로 줄였다.
2019년, 시리아는 1030억달러로 다른 어떤 국가보다 많은 ODA의 초점이었다. 그 다음으로 에티오피아(480억달러), 방글라데시(450억달러), 예멘(440억달러), 아프가니스탄(430억달러) 순이었다.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은 ODA 수령액이 마이너스였는데, 과거 ODA 대출 상환액이 새로운 수령액보다 높았기 때문이다.[18]
OECD가 2014년에 추정한 바에 따르면, 약 20억 명의 인구를 가진 28개국이 2030년까지 ODA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다. 여기에는 중국,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말레이시아, 태국, 튀르키예와 같은 신흥 시장이 포함된다.[19]
대부분의 공적개발원조(ODA)는 양자 원조인데, 이는 원조를 제공하는 국가가 수혜자에게 원조를 전달하는 시점에 식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다자간 ODA는 중간 기구에 의해 관리되는 풀에 제공되는 원조이므로, 제공된 원조가 특정 원래의 국가 기부에 더 이상 귀속될 수 없다. 2019년에 전체 ODA의 28%가 다자간 원조였다. 다자간 ODA의 주요 기구는 유럽 연합, 국제 개발 협회(IDA, 세계 은행의 양허성 대출 부문), 지역 개발 은행 및 유엔 기구였다.[18]
일본은 유엔 세계 식량 계획(WFP),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아동 기금(UNICEF), 세계 은행(IBRD), 아시아 개발 은행(ADB) 등 국제기구에 자금을 출연하여 다자간 원조를 실시하고 있다.
4. 한국의 ODA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으로서 공적개발원조(ODA)를 제공하고 있다. 원문에는 한국의 ODA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일본의 사례를 통해 간접적으로 비교해 볼 수 있다.
2018년 일본의 ODA 실적은 141.6707억달러로 세계 4위였으며, 국민총소득(GNI) 대비 ODA 비율은 0.28%로 29개국 중 16위였다.[37] 2022년에는 174.75330000000002억달러로 ODA 실적이 감소했는데, 이는 엔화 약세의 영향으로 보인다. 국가별 순위는 미국, 독일에 이어 3위를 유지했으나, GNI 대비 ODA 비율은 0.39%로 15위를 기록했다.[38]
4. 1. 한국 ODA의 역사
ODA영어의 개념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미국의 마셜 플랜을 통해 처음 등장했다. 당시 한국은 미국의 원조를 받으며 경제 재건에 힘썼다.[12][2]1960년대 한국은 고도 경제 성장을 이루면서 원조를 받는 국가에서 원조를 제공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기 시작했다. 1961년 미국 주도로 설립된 개발 원조 위원회(DAC)에 1963년 참가했고, 1964년에는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했다.[12] 1966년에는 아시아 개발 은행 발족에 참여했고, 1974년에는 국제 협력 기구(JICA)가 설립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은 본격적으로 ODA영어 공여를 시작했다. 1991년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설립하여 ODA영어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1992년에는 ODA 대강이 각의 결정되었다.
2000년 유엔 밀레니엄 정상 회담에서는 극심한 빈곤과 기아 퇴치를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하루 1USD 미만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수를 2015년까지 절반으로 줄이기로 약속했다. 당시 한국의 ODA영어 공여액은 약 135억달러로 세계 1위였다.
2007년 한국의 ODA영어 공여액은 약 77억달러 (약 7,800억 엔)으로, 금액 기준으로는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에 이어 세계 5위였다. 그러나 국민 총소득(GNI) 대비 ODA영어 공여액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2010년 한국은 OECD DAC에 가입하여 국제사회의 ODA영어 책임 분담에 동참하고 있다.
동일본 대지진 당시 한국은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으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았다.[58] 이는 한국의 ODA영어 성과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ODA영어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되는 계기가 되었다.[52][59] 2011년 10월 28일 발족한 국가전략회의에서도 ODA영어의 전략적 활용이 강조되었다.[60]
4. 2. 한국 ODA의 특징
한국의 ODA는 경제 개발 경험 공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인프라 구축, 교육, 보건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하며, 아시아 지역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지만, 아프리카 등 다른 지역으로도 확대하고 있다.4. 3. 한국 ODA의 문제점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는 국민 총소득(GNI) 대비 낮은 수준이다. 2019년 기준으로 UN 목표치인 0.7%를 달성한 국가는 6개국에 불과하며,[16] 2021년 영국은 원조 예산을 GNI의 0.7%에서 0.5%로 줄이기도 했다.[16]일본 ODA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 공여 대상이 일본과 무역, 직접 투자 관련이 깊은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국가에 편중되어 있어, 빈곤 감소를 목표로 하면서도 최빈국이 많은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원조액은 적다.
- 전년도 예산을 승계하는 경향이 강해 ODA 예산 결정 방식이 유동적이지 않다.
- 재무성이나 후생노동성 등 외교와 관련이 적은 부처도 관여하고 있다.
- ODA 활동과 그로 인해 건설된 건축물 등이 ODA에 의한 것임을 인지하는 사람이 적어 올바른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 오랜 기간 막대한 원조를 했음에도 반일 교육으로 인해 중국인의 일본에 대한 증오심만 높아졌다. 일본 내에서도 ODA 예산 삭감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 ODA로 인프라를 정비해도 유지 보수 인력이나 설비 부족으로 쓸모없게 되는 사례가 있다.
- ODA 위탁 비용 부정 유용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오사카 시립 환경 과학 연구소의 경우, 2000년~2003년 사이 위탁 비용 2740000JPY을 부정 유용했다.[48]
동일본 대지진 당시 일본은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으로부터 막대한 지원을 받았고,[58] 이는 일본 ODA의 성과로 긍정적으로 재평가되었다.[52][59] 2011년 국가전략회의에서도 ODA의 중요성이 지적되었고,[60] "일본 재생의 기본 전략"에서는 ODA의 전략적,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었다.[61] 그러나, 아시아 중심의 해외 전개와 아프리카로의 ODA 전환 방침 간의 불일치 문제가 존재한다.[60][61][62]
5. 무역을 위한 원조 (Aid for Trade, AfT)
'''무역을 위한 원조'''(Aid for Trade, AfT)는 공적개발원조(ODA)의 한 분야이다. 개발도상국이 무역과 관련하여 겪는 여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하며, 개도국의 시장 개방 확대와도 연결되어 있다. 2005년 12월 홍콩에서 열린 WTO 각료회의에서 처음으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었다.[30]
개발 공약 지수는 원조의 질(예: 연계 원조에 대해 국가에 더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개발 친화적" 정책에 따라 주요 공여국 순위를 매기는 척도이며, 무역, 이주 및 국제 안보와 같은 문제에 대한 국가 정책도 고려한다.
5. 1. AfT의 분류
WTO 대책반에서는 무역을 위한 원조(AfT)를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63]분류 | 내용 |
---|---|
무역 정책 및 제도 | |
무역 개발 | |
무역 관련 기반구조 | |
생산 역량 배양 | |
무역 관련 조정 | |
기타 무역 관련 필요 |
이 중 개도국을 대상으로 하는 관세 인하, 관세 철폐, 특혜 관세 제도 등이 구체적인 예이다.
6. ODA 관련 논쟁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서는 조건부 공적개발원조(ODA)의 정당성에 대한 논쟁이 오랫동안 이어져 왔다.[5] 조건부 원조는 원조 자금을 공여국이나 특정 국가의 상품 및 서비스 구매에 사용하도록 하는 조건을 전제로 제공되는 원조이다.
이러한 조건부 원조를 줄이기 위해 2005년 파리 선언[20], 1998년 DAC의 무조건부 원조에 관한 "권고"[21] 등의 목표가 설정되었다. 그러나 OECD가 언급하는 '사실상의' 조건부 비율과 공여국 보고 내용 간의 불일치로 인해 공식적인 모니터링은 어려운 상황이다.[21]
2009년 파리 선언 목표 검토 결과, 계약 가치의 51%가 공여국에서 지출되었지만, 공여국은 원조의 14%만을 조건부 원조로 보고했다.[20] 대부분의 DAC 회원국은 계약 입찰을 공개 게시판에 알리지 않았다.[20] 2020년 OECD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는 여전히 만연하다.[23] 따라서 조건부 ODA에 대한 공식 통계는 신중하게 다루어야 한다.
2019년, 5개 DAC 회원국은 ODA의 절반 이상을 조건부 원조 형태로 제공했다고 밝혔다(그리스 100%, 헝가리 78%, 폴란드 75%, 슬로베니아 74%, 오스트리아 55%). 최대 공여국인 미국은 ODA의 약 40%(110억달러)를 조건부 원조로 제공했다. 2019년 DAC 공여국은 ODA의 약 20%(221억달러)를 조건부 원조로 보고했다.[22] 2005년 파리 선언에서 원조 조건 완화에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20] 조건부 원조 보고 비율은 1979년 약 50%에서 2003년 10% 미만으로 감소했다가 2007년과 2019년 사이에는 15%~20% 사이에서 변동했다.
DAC "권고"는 저소득 국가 등에만 적용된다.[21] 2018년에는 이들 국가에 대한 DAC ODA의 87%가 무조건부로 보고되었다. 30개 DAC 회원국 중 19개국이 ODA의 90% 이상을 무조건부로 했다고 주장했지만, 평균은 주로 미국에 의해 낮아졌다. 미국은 이들 국가에 대한 원조의 64%만을 무조건부로 보고했다. (미국은 무조건부 원조 공개 입찰을 게시판에 체계적으로 게시한 몇 안 되는 DAC 국가 중 하나였다.)[23]
타이드 원조(Tied Aid)는 원조국이 인프라 정비 등 개발 프로젝트와 같은 ODA 사업에서 자재 조달처나 서비스 등을 일본 기업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조건부 원조'라고도 한다.
ODA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공적 자금 흐름은 OOF로 분류된다.[3] 개발이 주된 목표가 아니거나 무상 요소가 25% 미만인 공공 부문 거래가 해당한다.[3] 군사 원조는 개발을 목표로 하지 않아 OOF에 해당하며,[3] 수출 신용 등도 OOF에 포함된다.
6. 1. 조건부 원조 (Tied Aid)
조건부 원조는 원조 자금을 공여국 또는 극히 제한된 국가 그룹의 상품 및 서비스 구매에 사용하도록 하는 조건을 전제로 제공되는 원조이다. 조건부 공적개발원조(ODA)의 정당성은 오랫동안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5] 조건부 원조 감축을 위한 목표가 설정되었는데, 예를 들어 2005년 파리 선언[20]과 1998년에 처음 합의되어 개정된 형태로 유지된 DAC의 무조건부 원조에 관한 "권고"가 있다.[21]그러나 이러한 목표에 대한 성과를 공식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OECD가 말하는 ''사실상의'' 조건부 비율과 ''사실상의'' 조건부 비율, 즉 공여국이 보고하는 내용과 실제 행동 간의 불일치로 인해 훼손된다.[21] 파리 선언 목표에 대한 주요 검토 결과, 2009년에는 계약 가치의 51%가 공여국에서 지출되었으며, 공여국은 원조의 14%만을 조건부 원조로 보고했다. 보고서는 대부분의 DAC 회원국이 계약 입찰을 광고하기 위해 공개 게시판을 사용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20] OECD의 2020년 조건부 원조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실패가 여전히 널리 퍼져 있다.[23] 따라서 조건부 ODA에 대한 공식 통계는 신중하게 취급해야 한다.
2019년에는 5개 DAC 회원국이 ODA의 절반 이상을 조건부 원조 형태로 제공했다고 밝혔다(그리스 100%, 헝가리 78%, 폴란드 75%, 슬로베니아 74%, 오스트리아 55%). 최대 공여국인 미국은 ODA의 거의 40%를 조건부 원조로 제공했으며, 이는 110억달러에 달했다. 전반적으로 2019년 DAC 공여국은 ODA의 약 20%인 221억달러를 조건부 원조로 보고했다.[22] 역사적으로 조건부 원조의 보고 비율은 1979년 약 50%에서 2003년 10% 미만으로 떨어졌지만, 다시 증가하여 2007년과 2019년 사이에 15%와 20% 사이에서 변동했다. 이는 2005년 파리 선언에서 공여국들이 원조의 조건을 더 줄이기로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20]
마지막 단락에서는 전체 ODA에서 조건부 원조의 비율을 언급하지만, 무조건부 원조에 관한 DAC "권고"는 저소득 국가와 몇몇 다른 국가에만 적용된다.[21] 2018년에는 이러한 국가에 대한 모든 DAC ODA의 87%가 무조건부로 보고되었다. 30개 DAC 회원국 중 19개국이 이러한 국가에 대한 ODA의 90% 이상을 무조건부로 했다고 주장했지만, 평균은 주로 미국에 의해 낮아졌는데, 미국은 이러한 수혜국에 대한 원조의 64%만을 무조건부로 보고했다. (그러나 미국은 무조건부 원조에 대한 공개 입찰을 공개 게시판에 체계적으로 게시한 몇 안 되는 DAC 국가 중 하나였다.)[23]
타이드 원조(Tied Aid)는 원조국이 인프라 정비 등 개발 프로젝트와 같은 ODA 사업과 관련하여, 자재 조달처나 서비스 등 공사 사업을 일본 기업으로 한정하는 것이다. '조건부 원조'라고도 한다.
6. 2. ODA와 기타 공적 흐름 (OOF)
OOF는 공적개발원조(ODA)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공적 자금 흐름이다. 개발을 주된 목표로 하지 않거나, 무상 요소가 25% 미만인 공공 부문의 거래는 OOF로 분류된다.[3] 예를 들어, 군사 원조는 개발을 목표로 하지 않기 때문에 OOF에 해당한다.[3] 수출 신용 등도 OOF에 포함된다.7. 결론 및 향후 과제
한국은 공적개발원조(ODA)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그 질적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국제사회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기여해야 하며, 특히 기후변화, 팬데믹 등 글로벌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ODA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인도적 지원, 보건 의료, 교육 등 사회 분야의 ODA를 확대하고, 취약 국가 및 분쟁 지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것을 주장한다.
동일본 대지진 당시 일본은 세계 각국으로부터 막대한 지원을 받았는데[58], 이는 일본의 ODA 성과로 긍정적으로 재검토·평가되었다[52][59]. 2011년 10월 28일에 발족한 국가전략회의에서도 ODA의 중요성이 지적되었다[60].
2011년 12월 24일 각의 결정된 "일본 재생의 기본 전략"은 ODA의 전략적·효과적인 활용을 중점 시책으로 내걸고, "강력한 인프라 정비", "개발도상국 등의 경제를 지원하는 인재 육성", "기초 교육 지원", "보건·의료·위생 개선", "재해 대책 지원", "농업·식량 분야 지원", "법 제도 정비 지원" 등을 명시했다[61].
개발 공약 지수는 원조의 질(예: 연계 원조에 대해 국가에 더 적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개발 친화적" 정책에 따라 주요 공여국을 순위를 매기는 척도이며, 무역, 이주 및 국제 안보와 같은 문제에 대한 국가 정책도 고려한다.
참조
[1]
웹사이트
OECD Statistics
https://stats.oecd.o[...]
2022-05-19
[2]
웹사이트
COVID-19 spending helped to lift foreign aid to an all-time high in 2020: Detailed note
https://www.oecd.org[...]
2021-04-15
[3]
웹사이트
OECD Glossary of statistical term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http://stats.oecd.or[...]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oecd.org/[...]
2014-06-05
[5]
웹사이트
The story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https://www.oecd.org[...]
2021-03-22
[6]
웹사이트
The DAC: 50 years, 50 highlights
https://www.oecd.org[...]
2021-03-26
[7]
웹사이트
Modernisation of the DAC statistical system
https://www.oecd.org[...]
2021-03-26
[8]
웹사이트
The 0.7% ODA/GNI target - a history - OECD
https://www.oecd.org[...]
2022-10-30
[9]
간행물
Inter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Second United Nations Development Decade
https://documents-dd[...]
[10]
문서
[11]
웹사이트
Statistics on resource flows to developing countries: Table 6
http://www.oecd.org/[...]
2021-03-30
[12]
웹사이트
OECD.Stat
https://stats.oecd.o[...]
2021-03-13
[13]
웹사이트
OECD.Stat
https://stats.oecd.o[...]
2021-03-13
[14]
웹사이트
OECD.Stat
https://stats.oecd.o[...]
OECD
2021-03-19
[15]
뉴스
Foreign aid: Who will be hit by the UK government cuts?
https://www.bbc.com/[...]
2022-06-26
[16]
웹사이트
OECD.Stat
https://stats.oecd.o[...]
[17]
문서
[18]
웹사이트
OECD.Stat (Table DAC1)
https://stats.oecd.o[...]
OECD
2021-03-19
[19]
웹사이트
Beyond the threshold
https://www.dandc.eu[...]
2019-07-31
[20]
웹사이트
Aid Effectiveness 2011: Progress in Implementing the Paris Declaration
https://read.oecd-il[...]
2021-04-21
[21]
웹사이트
Revised DAC recommendation on untying ODA
https://one.oecd.org[...]
2021-03-31
[22]
웹사이트
Statistics on resource flows to developing countries: Tables 23 and 24
http://www.oecd.org/[...]
2021-03-31
[23]
웹사이트
2020 Report on the DAC Recommendation on Untying ODA
https://one.oecd.org[...]
2021-03-15
[24]
웹사이트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definition and coverage
https://www.oecd.org[...]
2021-04-17
[25]
웹사이트
The End of ODA: Death and Rebirth of a Global Public Policy
http://www.cosv.org/[...]
1999
[26]
논문
The Evolution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Achievements, Criticisms and a Way Forward
https://www.oecd-ili[...]
2013-12-01
[27]
웹사이트
What is ODA?
https://www.oecd.org[...]
2021-04
[28]
웹사이트
Why the DAC's latest move is bad for global development
https://www.one.org/[...]
2020-08-13
[29]
웹사이트
Measuring ODA: Four Strange Features of the New DAC Debt Relief Rules
https://www.cgdev.or[...]
2020-09-09
[30]
웹사이트
Total Official Suppor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SSD) -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ttps://www.tossd.or[...]
2022-05-19
[31]
간행물
Work of the Statistical Commission pertaining to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undocs.org/A[...]
[32]
웹사이트
対中で重要性増すODA 減額圧力に外務省反論躍起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1-12-05
[33]
문서
DAC Members' Ne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2009
http://www.oecd.org/[...]
OECD
2011-08-06
[34]
웹사이트
国際貢献のイリュージョン
http://globalnewsvie[...]
Virgil Hawkins, Global News View (GNV)
2019-05-29
[35]
문서
Aid statistics: Statistics on resource flows to developing countries
http://www.oecd.org/[...]
OECD
[36]
간행물
世界のODAの趨勢と日本
https://ndlsearch.nd[...]
東京 : 参議院事務局
2007-04
[37]
웹사이트
日本のODA、世界4位 2018年は1兆5千億円
https://www.asahi.co[...]
2019-04-11
[38]
웹사이트
日本のODA、22年2.3兆円 円安で目減りしたが米独に次ぐ3位: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04-14
[39]
문서
中華人民共和国国別データブック
https://www.mofa.go.[...]
国際協力機構公式サイト
[40]
문서
李肇星外相「中国国民は自分の智恵、力と決意で、国を発展させて行くことができる。もちろん、友人からの助けに感謝しています」2004年東南アジア諸国連合会議でのインタビュー
新華社
[41]
웹사이트
丹羽大使の対中ODA増額要求 経済・軍事大国への支援 国民理解は困難 (1/2ページ) - MSN産経ニュース
http://sankei.jp.msn[...]
2010-12-22
[42]
웹사이트
http://sankei.jp.msn[...]
2010-12-20
[43]
뉴스
中国へのODA終了へ 40年で3兆円、近代化支える
https://www.asahi.co[...]
2018-10-23
[44]
뉴스
政府、対中ODAを終了へ 第三国支援で会議新設
https://www.nikkei.c[...]
2018-10-23
[45]
문서
対中国ODAに関する基礎資料
http://www.mofa.go.j[...]
[46]
문서
2012年版 政府開発援助(ODA)白書 日本の国際協力 p.193
https://www.mofa.go.[...]
[47]
웹사이트
ODAの定義(英語版)
http://www.oecd.org/[...]
OECD
[48]
뉴스
日本が比軍に自衛隊機を貸与へ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6-05-02
[49]
간행물
国際社会とアメリカの占領期対日経済援助― ガリオア・エロア援助を中心として―
https://chuo-u.repo.[...]
法学新報編集委員会
2015-03
[50]
문서
ECD/DACにおけるODA実績
https://www.mofa.go.[...]
[51]
서적
ODA(政府開発援助)
中公新書
2003
[52]
뉴스
「恩義を返される国」が揺らいでいる 大震災で「好意のリアクション」が起きたわけ
http://business.nikk[...]
日経BP
2011-06-13
[53]
웹사이트
http://www.guardian.[...]
[54]
웹사이트
https://www.mofa.go.[...]
[55]
뉴스
対中ODAが今月末で終了 「日本の支援、中国で知られず」批判も
https://www.asahi.co[...]
2022-03-31
[56]
서적
派遣議員団としての所見
https://www.sangiin.[...]
参議院
2022-04-03
[57]
뉴스
海外主要メディアの日本関連報道(9月21日~9月27日)
http://www.mofa.go.j[...]
外務省
2012-09-27
[58]
웹사이트
がんばれ日本!世界は日本と共にある
https://www.mofa.go.[...]
[59]
웹사이트
みずほ総合研究所アジア調査部長・平塚宏和「東日本大震災後の日本とアジアの関係-難局が生んだ連帯感を絶やすべきでない-」
https://www.mizuho-r[...]
[60]
웹사이트
第3回国家戦略会議議事要旨
http://www.npu.go.jp[...]
[61]
웹사이트
日本再生の基本戦略~危機の克服とフロンティアへの挑戦~
http://www.npu.go.jp[...]
[62]
웹사이트
第1回国家戦略会議議事要旨
http://www.npu.go.jp[...]
[63]
문서
조미진, 무역과 개발, 2008.05.15., ODA 연구회 발표자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