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화후는 고려 시대의 왕족으로, 1126년에 태어나 1186년에 사망했다. 조선공의 손자이자 강릉공 온의 장남이며, 인종의 딸인 승경궁주와 결혼하여 공화백에 봉해졌다. 명종 즉위 후 후로 승진했으며, 말년에 불교를 독실하게 믿었다. 사후에는 정의공으로 추증되었다. 승경궁주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으며, 장남은 광릉공 면, 장녀는 왕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26년 출생 - 안바리
12세기 호라산에서 태어난 페르시아 시인 안와리는 셀주크 왕조 술탄 산자르의 궁정 시인으로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고, 사회 비판적 시각과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담은 《디반》과 대표작 《호라산의 눈물》로 페르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126년 출생 - 미에슈코 3세
미에슈코 3세는 폴란드 분열 시대에 비엘코폴스카 공작이었고, 형의 죽음으로 폴란드 대공이 되었지만, 아들 오돈의 반란과 잦은 폐위로 권력 유지가 불안정했으며, 여러 번의 복위 시도 끝에 사망했다. - 1186년 사망 - 미나모토노 유키이에
미나모토노 유키이에(源 行家)는 헤이안 시대 말기의 무장으로, 미나모토노 타메요시의 10남이며 겐지 가문의 일원으로서 요리토모의 거병을 촉구하고 독자적인 세력 구축을 지향했으나, 요시나카와의 불화, 요리토모와의 대립 등으로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 참수된 인물이다. - 1186년 사망 - 조프루아 2세 드 브르타뉴 공작
조프루아 2세 드 브르타뉴 공작은 헨리 2세의 아들이자 브르타뉴 공작이었으며, 아버지에게 반란을 일으키고 프랑스 왕과 동맹을 맺었으나, 27세에 사망하였다. - 고려의 백작 - 태조 (조선)
고려 말 무신으로서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뛰어난 리더십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왕위 계승 갈등으로 인해 상왕으로 물러났다. - 고려의 백작 - 윤관
고려 시대 윤관은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한 무신이자 정치가로, 숙종 대 왕권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여진 정벌을 주도하여 동북 9성을 축조했으나, 정치적 음모로 실각한 후 그의 묘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공화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공화백 |
작위 | 백, 후 |
별칭 | 공화후(恭化侯), 자는 현허(玄虛) |
휘 | 왕영(王瑛) |
출생일 | 1126년 |
사망일 | 1186년 음력 10월 10일 |
국적 | 고려 |
가문 | |
왕조 | 고려 왕조 |
아버지 | 강릉공 온(江陵公 溫) |
친척 | 광평공(백부), 안수궁주(백모), 장경왕후(누나), 광정태후(누나), 선정태후(누나) 등 다수 |
가족 관계 | |
자녀 | 왕면, 왕씨(王氏, 1150~1185) |
2. 생애
공화후 왕영은 1126년 조선공(朝鮮公)의 손자이자 강릉공 온(江陵公 溫, ?~1146)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자는 현허(玄虛)이다. 인종의 딸인 승경궁주(承慶宮主)와 혼인하여 공화백(恭化伯)에 봉해졌고, 명종 즉위 후 후(侯)로 승진되었다. 1186년 61세로 사망하였으며, 시호는 정의(定懿)이고, 사후 공(公)으로 추증되어 정의공(定懿公)이 되었다.[2]
승경궁주(承慶宮主)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장남은 광릉공 면(廣陵公 沔, ?~1218)이고, 장녀 왕씨(王氏, 1150~1185)는 아버지를 모시다가 36세에 병으로 사망하였다.[1]
2. 1. 초기 생애와 혼인
1126년 조선공(朝鮮公)과 인주 이씨의 손자이자 강릉공 온(江陵公 溫, ?~1146)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자는 현허(玄虛)로 성품이 침착하고 조용하며 물욕이 적고 공부에 큰 열의를 보였다고 한다. 의종 초에는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가 되어 과거에 응시하겠다고 주청하자, 왕은 그 뜻을 가상히 여기면서도 후(侯) 작위를 받은 종실의 자제가 몸을 낮추어 공사(貢士)가 된 전례가 없음을 들어 윤허하지 않았다. 인종의 딸인 승경궁주(承慶宮主)에게 장가들어 공화백(恭化伯)으로 책봉되었으며 왕은 그에게 큰 은택을 베풀었다.[1]2. 2. 명종 대의 활동과 사망
1126년 조선공(朝鮮公)과 인주 이씨의 손자이자 강릉공 온(江陵公 溫, ?~1146)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자는 현허(玄虛)로 성품이 침착하고 조용하며 물욕이 적고 공부에 큰 열의를 보였다고 한다. 명종 즉위 후 후(侯)로 승진되었고, 말년에는 불교를 독실하게 믿었다. 1186년 61세로 사망하였으며, 시호는 정의(定懿)이다.[1]승경궁주(承慶宮主)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장남은 광릉공 면(廣陵公 沔, ?~1218)으로 의종의 딸인 화순궁주(和順宮主)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었고, 장녀 왕씨(王氏, 1150~1185)는 혼인하지 않고 아버지를 모시다가 36세에 병으로 사망하였다.[1]
사후 공(公)으로 추증되어 정의공(定懿公)이 되었다.[2]
2. 3. 사후
1186년 61세로 사망하였다. 시호는 정의(定懿)이며,[1] 사후 공(公)으로 추증되어 정의공(定懿公)이 되었다.[2]승경궁주(承慶宮主)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장남은 광릉공 면(廣陵公 沔, ?~1218)으로 의종의 딸 화순궁주(和順宮主)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었고, 장녀 왕씨(王氏, 1150~1185)는 혼인하지 않고 아버지를 모시다가 36세에 병으로 사망하였다.[1]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문종 | 고려 제11대 왕 |
증조모 | 인경현비 이씨 | |
조부 | 조선공 증 양헌왕 도 | |
조모 | 인주 이씨 | |
백부 | 검교태사 수사공 자 | |
백부 | 광평공 원 | |
백모 | 안수궁주 | 숙종의 3녀 |
아버지 | 강릉공 온 | |
어머니 | 미상 | |
장인 | 인종 | 고려 제17대 왕 |
장모 | 공예왕후 임씨 | |
부인 | 승경궁공주 왕씨 | |
장녀 | 왕씨 | 1150~1185 |
장남 | 광릉공 면 | |
며느리 | 화순궁주 | 의종의 딸 |
- 누나: 의종의 정비 장경왕후 김씨[3]
- : 조카: 화순궁주
- 동생: 인종의 차남 대령후 왕경의 부인[3]
- 동생: 명종의 정비 광정태후 김씨[3]
- : 조카: 고려 제22대 강종
- 동생: 신종의 정비 선정태후 김씨[3]
- : 조카: 고려 제21대 희종
3. 1. 부계
共和侯중국어의 증조부는 문종이며, 증조모는 인경현비 이씨이다. 조부는 조선공 증 양헌왕 도(燾)이며, 조모는 인주 이씨이다. 백부는 검교태사 수사공 자(滋)와 광평공 원(源)이며, 백모는 숙종의 3녀 안수궁주이다.아버지는 강릉공 온(溫)이며, 어머니는 미상이다. 누나는 의종의 정비 장경왕후 김씨이고, 조카는 화순궁주이다. 여동생은 인종의 차남 대령후 왕경(王暻)의 부인, 명종의 정비 광정태후 김씨, 신종의 정비 선정태후 김씨이다. 조카는 고려 제22대 왕 강종과 고려 제21대 왕 희종이다.
장인은 인종이며, 장모는 공예왕후 임씨이다. 부인은 승경궁공주 왕씨이며, 장녀는 왕씨(1150~1185), 장남은 광릉공 면(沔)이다. 며느리는 의종의 딸 화순궁주이다.[3]
3. 2. 형제자매
3. 3. 처가
공화후의 장인은 인종이고, 장모는 공예왕후 임씨이다. 부인은 승경궁공주 왕씨이다.[3]
3. 4. 자녀
王珙|왕공중국어의 장녀는 1150년에 태어나 1185년에 사망하였다.[3] 장남은 광릉공 면(廣陵公 沔)이며, 며느리는 의종의 딸 화순궁주이다.[3]참조
[1]
금석문
왕영녀왕씨묘지명(王瑛女王氏墓誌銘)
http://gsm.nricp.go.[...]
[2]
문서
왕영묘지명 (王瑛墓誌銘)
[3]
금석문
왕영묘지명(王瑛墓誌銘)
http://gsm.nricp.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