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 반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반씨는 거제 반씨에서 분파된 성씨로, 시조는 남송의 문과 장원 출신인 반부이다. 반부의 7세손 반충이 조선 개국 후 광주백에 봉해지면서 광주 반씨로 분파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반충의 증손자 반석평, UN 사무총장을 역임한 반기문 등이 있으며, 충청북도 음성군, 괴산군, 전라북도 군산시 등에 집성촌이 형성되어 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조사에서 10,254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반씨 - 반기문
    반기문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제8대 유엔 사무총장으로, 외교관 생활을 거쳐 유엔 사무총장으로 재임하며 국제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 파리 기후 협정 체결을 이끌었으며 퇴임 후에도 국제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
  • 광주 반씨 - 반석평
    반석평은 조선 시대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조선 팔도 감사를 모두 역임한 인물이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15대조이다.
광주 반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광주 반씨
한국 씨족의 인장
한국 씨족의 인장
기본 정보
성씨광주 반씨
光州潘氏
나라한국
관향광주광역시
원시조반부(潘阜)
시조반충(潘忠)
집성촌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전라북도 군산시 옥산면
인물반석평, 반윤기, 반기문, 반석권, 반인후, 반윤위, 반계영, 반최영, 반영래, 반주석
년도2015
인구10,254명

2. 역사

거제 반씨(巨濟潘氏) 시조 반부(潘阜)의 7세손인 반충(潘忠)은 정헌대부 및 공조전서를 역임하고, 1392년(태조 1)에 개국원종공신에 녹훈(錄勳)되었고, 해양군(海陽君) 광주백(光州伯)에 봉군되면서 광주 반씨로 분파되었다.[1]

반충(潘忠)의 증손자 반서린(潘瑞麟)의 아들인 반석평(潘碩枰)은 1507년(중종 2) 문과에 급제한 후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광주(光州)는 대한민국 서남부에 있는 광역시이다. 본래 백제의 무진주(武珍州)였으며, 통일신라757년(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892년(진성여왕 6)에는 견훤(甄萱)이 후백제를 세워 도읍을 정하기도 하였으나, 940년(고려 태조 23) 왕건(王建)이 후백제를 정벌하고 군현을 정비하면서 광주(光州)로 개편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명칭과 행정 구역의 변화를 거쳐 1995년 광주광역시로 개편되었다.

1454년(단종 2)에 완성된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라도 장흥도호부 무진군의 토성(土姓)으로 (卓)·(李)·(金)·(蔡)·(盧)·장(張)·(鄭)·(朴)·진(陳)·허(許)·반(潘)·성(成)·(承) 13성이 기록되어 있다.[2]

2. 1. 시조 및 기원

거제 반씨(巨濟潘氏) 시조 '''반부'''(潘阜)는 남송(南宋) 이종(理宗) 때 문과에 장원하여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냈다. 그는 몽골 정벌을 간청하였으나 가사도(賈似道)가 그를 미워하여 몽골에 사신으로 보내 은밀히 죽이게 하였다. (元)의 세조(世祖)는 문무를 겸비한 그의 재주를 보고 죽이지 않고 벼슬을 내려 부하로 삼으려 하였으나, 그는 사양하였다. 그 무렵 고려 충렬왕이 세자로 몽골에 있었는데 그의 충의를 높이 사 입몽한 밀직부사 김방경(金方慶)에게 그를 고려로 데려가라고 부탁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뒤에 충렬왕비가 된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를 따라 고려로 오게 되었다. 원종과 충렬왕 때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내고, 명장(名將) 김방경을 따라 일본정벌에 공을 세워 시중(侍中)에 오르고 기성부원군(岐城府院君)에 봉해졌다.

반부의 7세손인 반충(潘忠)은 정헌대부 및 공조전서를 역임하고,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錄勳)되었고, 해양군(海陽君) 광주백(光州伯)에 봉해지면서 광주 반씨로 분파되었다. 반충(潘忠)의 자(字)는 평중(平重) 또는 공직(公直)이며,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2. 2. 분파 및 주요 인물

반부의 7세손 반충(潘忠)은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으로 녹훈(錄勳)되고, 해양군(海陽君) 광주백(光州伯)에 봉해지면서 광주 반씨로 분파되었다. 반충의 자(字)는 평중(平重) 또는 공직(公直)이며, 시호는 문헌(文憲)이다.[1]

반충(潘忠)의 증손자 반서린(潘瑞麟)의 아들 반석평(潘碩枰)은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생몰년주요 경력
반석평(潘碩枰)1472년 ~ 1540년1507년(중종 2) 문과 급제, 팔도 관찰사(觀察使),[3] 공조판서(工曹判書), 형조판서(刑曹判書). 시호 장절(壯節).[4]
반석권(潘碩權)1477년 ~ ?1507년(중종 2) 진사, 1560년(명종 15) 통정대부(通政大夫)
반인후(潘仁後)1555년 ~ ?1591년(선조 24) 생원, 임진왜란 의병장
반윤기(潘潤沂)1617년 ~ ?1646년(인조 24) 생원, 1648년(인조 26) 문과, 형조정랑(刑曹正郞)
반윤위(潘尹衛)1629년 ~ ?1690년(숙종 16) 문과, 성균관 전적(典籍)
반몽열(潘夢說)?1651년(효종 2) 무과
반계영(潘啓榮)1642년 ~ ?1678년(숙종 4) 진사
반최영(潘最榮)1654년 ~ ?1690년(숙종 16) 생원
반영래(潘榮來)1654년 ~ ?1690년(숙종 16) 생원
반주석(潘舟錫)1670년 ~ ?1690년(숙종 16) 생원
반기문(潘基文)1944년 ~반석평(潘碩枰)의 16세손, 제8대 UN 사무총장


3. 본관

반부의 7세손 반충(潘忠)은 1392년(태조 1) 개국원종공신에 녹훈(錄勳)되었고, 해양군(海陽君) 광주백(光州伯)에 봉군되면서 거제 반씨에서 분파되었다. 반충의 자(字)는 평중(平重) 또는 공직(公直)이며, 시호는 문헌(文憲)이다.[1]

광주(光州)는 대한민국 서남부에 있는 광역시이다. 본래 백제의 무진주(武珍州)였다. 통일신라757년(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치고 도독(都督)을 두었다. 892년(진성여왕 6) 견훤(甄萱)이 후백제를 세워 도읍을 정하기도 하였으나, 940년(고려 태조 23) 왕건이 후백제를 정벌하고 군현을 정비하면서 무진주를 광주(光州)로 개편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관제개혁 때 해양현(海陽縣)이라 불렀고, 1259년(고종 46) 기주(冀州)라 고쳤다가 1275년(충렬왕 1) 다시 무주로 개칭하였다. 1310년(충선왕 2) 화평부(化平府)로, 1362년(공민왕 11) 무진부(武珍府)로, 1373년(공민왕 22) 광주목(光州牧)으로 개편되었다. 1430년(세종 12)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가 1451년(문종 1) 다시 광주목이 되었고, 1489년(성종 20) 광주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501년(연산군 7) 광주목으로 환원되었다. 1624년(인조 2) 광산현(光山縣)으로 편입되었다가 1634년 다시 광주목으로 독립하였다.

1454년(단종 2) 완성된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라도 장흥도호부 무진군의 토성(土姓)으로 (卓)·(李)·(金)·(蔡)·(盧)·장(張)·(鄭)·(朴)·진(陳)·허(許)·반(潘)·성(成)·(承) 13성이 기록되어 있다.[2]

1895년(고종 32) 나주부(羅州府)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896년 13도제 실시로 전라남도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1935년 광주읍(光州邑)이 부(府)로 승격되었고, 광주군은 광산군(光山郡)이 되었다. 1949년 광주시, 1986년 광주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88년 송정시와 광산군을 흡수하여 광산구를 신설하였고, 1995년 광주광역시로 개편되었다.

4. 인물


  • 반기문(1944년 ~ ) : 반석평의 16세손으로, 제8대 UN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4. 1. 고려

거제 반씨(巨濟潘氏) 시조 '''반부'''(潘阜)는 남송(南宋) 이종(理宗) 때 문과에 장원하여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냈다. 그는 몽골 정벌을 간청하였으나 가사도(賈似道)가 그를 미워하여 몽골에 사신으로 보내 은밀히 죽이게 하였다. (元)의 세조(世祖)는 문무를 겸비한 그의 재주를 보고 죽이지 않고 벼슬을 내려 부하로 삼으려 하였으나, 그는 사양하였다. 그 무렵 고려 충렬왕이 세자로 몽골에 있었는데 그의 충의를 높이 사 입몽한 밀직부사 김방경(金方慶)에게 그를 고려로 데려가라고 부탁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뒤에 충렬왕비가 된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를 따라 고려로 오게 되었다. 원종과 충렬왕 때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내고, 명장(名將) 김방경을 따라 일본정벌에 공을 세워 시중(侍中)에 오르고 기성부원군(岐城府院君)에 봉해졌다.

반부의 7세손인 반충(潘忠)은 정헌대부 및 공조전서를 역임하고, 1392년(태조 1)에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개국원종공신에 녹훈(錄勳)되었고, 해양군(海陽君) 광주백(光州伯)에 봉군되면서 광주 반씨로 분파되었다. 반충(潘忠)은 자(字)는 평중(平重) 또는 공직(公直)이며, 시호는 문헌(文憲)이다.[1]

반충(潘忠)의 증손자 반서린(潘瑞麟)의 아들인 반석평(潘碩枰)이 1507년(중종 2) 문과에 급제한 후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4. 2. 조선

반부의 7세손인 반충(潘忠)은 정헌대부 및 공조전서를 역임하고, 1392년(태조 1)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개국원종공신에 녹훈(錄勳)되었고, 해양군(海陽君) 광주백(光州伯)에 봉군되면서 광주 반씨로 분파되었다. 반충(潘忠)의 자(字)는 평중(平重) 또는 공직(公直)이며, 시호는 문헌(文憲)이다.[1]

반충(潘忠)의 증손자 반서린(潘瑞麟)의 아들인 반석평(潘碩枰)은 1507년(중종 2) 문과에 급제한 후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조선시대 주요 인물'''

이름생몰년주요 경력
반석평(潘碩枰)1472년 ~ 1540년1507년(중종 2년) 문과 급제. 관찰사(觀察使),[3] 공조판서(工曹判書), 형조판서(刑曹判書). 시호 장절(壯節).[4]
반석권(潘碩權)1477년 ~ ?반석평의 아우. 1507년(중종 2) 진사, 1540년(중종 35) 율봉찰방, 1545년(인종 1) 사온직장, 1547년(명종 2) 내자시주부, 영춘현감(永春縣監, 거사비), 1552년(명종 7) 선공감주부(사양), 1560년(명종 15) 통정대부.
반인후(潘仁後)1555년 ~ ?반석권의 손자, 반사렴(潘士濂)의 아들. 1591년(선조 24) 생원, 임진왜란 의병, 호조정랑, 군자감첨정.
반윤기(潘潤沂)1617년 ~ ?반명익의 아들, 자는 도원(道源). 1646년(인조 24년) 생원, 1648년(인조 26) 식년 문과, 형조정랑(刑曹正郞).
반윤위(潘尹衛)1629년 ~ ?반진수의 아들. 1690년(숙종 16) 식년 문과, 성균관 전적(典籍), 1691년 제주교수(濟州敎授), 1696년 유곡찰방(幽谷察訪).
반몽열(潘夢說)?반계조(潘繼祖)의 아들, 옥구(沃溝) 출신. 1651년(효종 2년) 별시(別試) 무과 급제.
반계영(潘啓榮)1642년 ~ ?반윤기의 아들, 자는 중실(仲實). 1678년(숙종 4년) 진사.
반최영(潘最榮)1654년 ~ ?반계영의 동생, 음성(陰城) 출신, 자는 계실(季實). 1690년(숙종 16) 생원.
반영래(潘榮來)1654년 ~ ?반윤하(潘尹夏)의 아들, 전주(全州) 출신, 자는 인백(仁伯). 1690년(숙종 16) 생원.
반주석(潘舟錫)1670년 ~ ?반계영의 아들, 음성(陰城) 출신. 1690년(숙종 16) 생원.


4. 3. 현대


  • 반기문(1944년 ~ ): 반석평의 16세손으로, 제8대 UN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5. 인구 및 집성촌

광주 반씨는 1985년에 1,312가구 5,416명, 2000년에 2,031가구 6,660명, 2015년에는 10,254명(남자 5,110명, 여자 5,144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집성촌은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 상당리, 전라북도 군산시 옥산면,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등이다.

5. 1. 인구

연도가구 수인구 수남성여성
1985년1,312가구5,416명--
2000년2,031가구6,660명--
2015년-10,254명5,110명5,144명


5. 2. 집성촌

참조

[1] 두산백과 반충 https://terms.naver.[...]
[2] 실록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장흥도호부 무진군 http://sillok.histor[...]
[3] 문서
[4] 서적 강재집 권10, 증 장악원 정 반공 묘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