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서는 조선 시대 각 부(部)의 수장인 판서의 역대 인물들을 기록한 문서이다.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 등 각 조의 판서 명단과 재임 기간, 주요 인물 정보를 제공한다. 태종부터 중종 시대까지의 이조판서,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 판서 명단을 연대기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2. 역대 이조판서

조선 시대 역대 이조판서 명단이다. 이조판서는 조선시대 이조의 으뜸 벼슬로, 오늘날의 인사혁신처장 겸 행정안전부 장관에 해당한다.

2. 1. 태종

이름재임 기간
이직1405년(태종 5년) 음력 1월 15일 ~ 1406년(태종 6년) 음력 8월 11일
남재1406년(태종 6년) 음력 8월 11일 ~ 1408년(태종 8년) 음력 2월 4일
성석린1408년(태종 8년) 음력 2월 4일 ~ 1408년(태종 8년) 음력 2월 11일(좌정승 겸 판이조사)
이직1408년(태종 8년) 음력 2월 11일 ~ 1408년(태종 8년) 음력 12월 15일
남재1408년(태종 8년) 음력 12월 15일 ~ 1409년(태종 9년) 음력 3월 4일
류량1409년(태종 9년) 음력 3월 4일 ~ 1409년(태종 9년) 음력 8월 10일
윤저1409년(태종 9년) 음력 8월 10일 ~ 1411년(태종 11년) 음력 4월 7일
이직1411년(태종 11년) 음력 4월 7일 ~ ?
류정현1412년(태종 12년) 음력 8월 21일 ~ ?
이천우1413년(태종 13년) 음력 4월 16일 ~ ?
한상경1413년(태종 13년) 음력 10월 22일 ~ ?
황희1415년(태종 15년) 음력 5월 17일 ~ ?
박은1415년(태종 15년) 음력 6월 19일 ~ ?
황희1416년(태종 16년) 음력 3월 16일 ~ ?
박신1416년(태종 16년) 음력 11월 2일 ~ ?
심온1417년(태종 17년) 음력 6월 16일 ~ ?
이원1418년(태종 18년) 음력 6월 2일 ~ ?
심온1418년(태종 18년) 음력 6월 5일 ~ ?
정역1418년(태종 18년) 음력 7월 8일 ~ ?


2. 2. 세종

임명일이름비고
세종 1년 3월 5일박신(朴信)
세종 1년 4월 17일맹사성(孟思誠)
세종 1년 9월 25일윤곤(尹坤)
세종 2년 윤1월 29일맹사성(孟思誠)
세종 2년 10월 17일맹사성(孟思誠)
세종 3년 1월 16일허지(許遲)
세종 3년 12월 7일허지(許遲)
세종 4년 9월 25일허조(許稠)
세종 8년 2월 10일황희(黃喜)
세종 8년 3월 17일황희(黃喜)
세종 8년 5월 13일이맹균(李孟畇)
세종 8년 11월 25일허조(許稠)
세종 10년 4월 24일이맹균(李孟畇)
세종 11년 5월 30일이맹균(李孟畇)
세종 11년 7월 5일이맹균(李孟畇)
세종 12년 1월 8일권진(權軫)
세종 12년 1월 24일이수(李隨)
세종 12년 5월 27일권진(權軫)
세종 13년 9월 3일조계생(趙啓生)
세종 14년 6월 9일허조(許稠)
세종 15년 11월 13일신개(申槪)
세종 16년 4월 2일신개(申槪)
세종 17년 3월 27일이맹균(李孟畇)
세종 17년 6월 9일이맹균(李孟畇)
세종 17년 12월 3일권도(權蹈)
세종 18년 4월 14일권도(權蹈)
세종 18년 6월 3일권도(權蹈)
세종 19년 8월 17일이맹균(李孟畇)예문관 대제학 겸 판이조사
세종 19년 8월 17일하연(河演)
세종 21년 1월 13일허성(許誠)
세종 22년 8월 12일최부(崔府)
세종 25년 1월 11일박안신(朴安臣)
세종 27년 6월 15일한확(韓確)
세종 29년 3월 10일박종우(朴從愚)
세종 29년 6월 10일박종우(朴從愚)좌찬성 겸 판이조사
세종 29년 6월 10일정인지(鄭麟趾)
세종 31년 12월 26일정분(鄭苯)좌참찬 겸 판이조사
세종 31년 12월 26일이견기(李堅基)


2. 3. 문종

인물사건
권맹손(權孟孫)문종 즉위년 7월 6일
정갑손(鄭甲孫)문종 즉위년 10월 6일 좌참찬 겸 판이조사
이사철(李思哲)문종 1년 7월 13일, 문종 2년 2월 3일


2. 4. 단종


  • 민신(閔伸): 단종 즉위년(1452년) 10월 1일
  • 허후(許詡): 단종 1년(1453년) 7월 1일 좌참찬 겸 판이조사
  • 정창손(鄭昌孫): 단종 1년(1453년) 10월 11일, 11월 8일

2. 5. 세조

이름판서 시기비고
박중손(朴仲孫)세조 1년 윤6월 23일
권람(權擥)세조 2년 2월 17일
권람(權擥)세조 2년 7월 5일수충위사협책정난동덕좌익공신 이조판서 집현전대제학 지경연 춘추관사 길창군
한명회(韓明澮)세조 3년 8월 14일
성봉조(成奉祖)세조 4년 12월 7일
구치관(具致寬)세조 5년 7월 3일
최항(崔恒)세조 7년 6월 3일
이극배(李克培)세조 8년 1월 5일
박원형(朴元亨)세조 8년 7월 26일
어효첨(魚孝瞻)세조 9년 3월 14일
김담(金淡)세조 9년 8월 29일
한계미(韓繼美)세조 10년 6월 5일
양성지(梁誠之)세조 10년 9월 8일
한계희(韓繼禧)세조 11년 3월 9일
한계희(韓繼禧)세조 12년 10월 6일숭정대부 행 이조판서
성임(成任)세조 13년 9월 22일


2. 6. 예종


  • 홍응 : 예종 1년 윤2월 10일
  • 한계미 : 예종 1년 8월 7일 우찬성 겸 이조판서

2. 7. 성종

재임 기간이름비고
1469년(성종 즉위년) 음력 12월 29일 ~ 1470년(성종 1년) 음력 1월 9일권감
1470년(성종 1년) 음력 1월 9일 ~ 1473년(성종 4년) 음력 5월 25일이극중
1473년(성종 4년) 음력 5월 25일 ~ 1474년(성종 4년) 음력 4월 28일한계순
1470년(성종 1년) 음력 1월 9일 ~ 1473년(성종 4년) 음력 8월 3일노사신숭록 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이조 판서
1473년(성종 4년) 음력 8월 3일 ~ 1474년(성종 5년) 음력 10월 22일윤필상숭록 대부 의정부 우찬성 겸 이조 판서
1474년(성종 5년) 음력 4월 28일 ~ 1475년(성종 6년) 음력 12월 16일정효상
1475년(성종 6년) 음력 12월 16일 ~ 1477년(성종 8년) 음력 윤2월 21일홍응
1477년(성종 8년) 음력 윤2월 21일 ~ 1478년(성종 9년) 음력 10월 4일강희맹
1478년(성종 9년) 음력 10월 4일 ~ 1479년(성종 10년) 음력 11월 10일박중선확실치 않음
1479년(성종 10년) 음력 11월 10일 ~ 1480년(성종 11년) 음력 12월 15일서거정확실치 않음
1480년(성종 11년) 음력 12월 15일 ~ 1480년(성종 11년) 음력 12월 28일이승소
1480년(성종 11년) 음력 12월 28일 ~ 1481년(성종 12년) 음력 8월 25일한치례
1481년(성종 12년) 음력 8월 25일 ~ 1481년(성종 12년) 음력 11월 16일어유소
1481년(성종 12년) 음력 11월 16일 ~ 1482년(성종 13년) 음력 3월 2일이승소
1482년(성종 13년) 음력 3월 2일 ~ 1484년(성종 15년) 음력 3월 11일정괄
1484년(성종 15년) 음력 3월 11일 ~ 1485년(성종 16년) 음력 12월 28일이숭원
1485년(성종 16년) 음력 12월 28일 ~ 1486년(성종 17년) 음력 9월 29일정난종
1486년(성종 17년) 음력 9월 29일 ~ 1487년(성종 18년) 음력 7월 12일신준파직
1487년(성종 18년) 음력 7월 13일 ~ 1488년(성종 19년) 음력 10월 13일허종확실치 않음
1488년(성종 19년) 음력 10월 13일 ~ 1490년(성종 21년) 음력 1월 6일성준
1490년(성종 21년) 음력 1월 6일 ~ 1490년(성종 21년) 음력 7월 26일정문형
1490년(성종 21년) 음력 7월 26일 ~ 1491년(성종 22년) 음력 4월 12일노공필
1491년(성종 22년) 음력 4월 12일 ~ 1491년(성종 22년) 음력 6월 28일이극균
1491년(성종 22년) 음력 6월 28일 ~ 1491년(성종 22년) 음력 12월 16일성건
1491년(성종 22년) 음력 12월 16일 ~ 1492년(성종 23년) 음력 11월 3일신승선사직
1492년(성종 23년) 음력 11월 4일 ~ 1493년(성종 24년) 음력 10월 6일홍귀달파면
1493년(성종 24년) 음력 10월 8일 ~ 1495년(연산군 1년) 음력 8월 9일이극돈


2. 8. 연산군

이름재임 기간
유순1495년(연산군 1년) 8월 9일 ~ 1497년(연산군 3년) 7월 24일
이세좌1497년(연산군 3년) 7월 24일 ~ 1498년(연산군 4년) 7월 28일
신수근1498년(연산군 4년) 7월 28일 ~ 1500년(연산군 6년) 3월 11일
강귀손1500년(연산군 6년) 3월 11일 ~ 1502년(연산군 8년) 6월 15일
허침1502년(연산군 8년) 6월 16일 ~ 1504년(연산군 10년) 1월 13일
김수동1504년(연산군 10년) 1월 13일 ~ 1506년(연산군 12년) 4월 6일
임사홍1506년(연산군 12년) 4월 6일 ~ 1506년(연산군 12년) 7월 24일
유순정1506년(연산군 12년) 7월 24일 ~ 1506년(중종 1년) 9월 13일


2. 9. 중종

이름재임 기간
성희안1506년(중종 1년) 음력 9월 13일 ~ 1507년(중종 2년) 음력 9월 19일
유빈1507년(중종 2년) 음력 9월 19일 ~ 1507년(중종 2년) 음력 11월 23일
안윤덕1507년(중종 2년) 음력 11월 23일 ~ 1507년(중종 2년) 음력 11월 27일
유빈1507년(중종 2년) 음력 11월 27일 ~ 1508년(중종 3년) 음력 1월 22일
이집1508년(중종 3년) 음력 1월 22일 ~ 1508년(중종 3년) 음력 7월 4일
김응기1508년(중종 3년) 음력 7월 4일 ~


3. 역대 호조판서

4. 역대 예조판서


  • 이자영(李自英): 고려 고종 때 정순대부(正順大夫) 검교장군(檢校將軍) 진위군(振威君)을 지냈다.
  • 용희수(龍希壽): 자(字)는 충일(忠一), 호(號)는 잠재(潛齋), 시호(諡號)는 문효(文孝)이다. 이태조가 즉위하기 전 오랫동안 시종(侍從)한 공으로 개국공신이 되었고, 자헌대부(資憲大夫)·검교(檢 校)·공조 판서(工曹判書)·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그가 죽자 이태조가 제문을 내렸고, 1923년 8월 서울 옥수동에 대형 도통비(道統碑)가 세워졌다.
  • 이문화(李文和)
  • 이지(李至): 태종 8년 9월 4일
  • 이위(李渭)
  • 하위지(河緯地)
  • 홍윤성(洪允成)

5. 역대 병조판서


6. 역대 형조판서

7. 역대 공조판서

이름재임 기간비고
이임(李林)고려공조전서(工曹典書)
용희수(龍希壽)조선 태조자(字)는 충일(忠一), 호(號)는 잠재(潛齋), 시호(諡號)는 문효(文孝). 개국공신. 자헌대부(資憲大夫)․검교(檢 校)․공조 판서(工曹判書)․예조 판서(禮曹判書) 역임. 태조가 제문(祭文)을 내림. 1923년 8월 서울 옥수동에 대형 도통비(道統碑) 건립.
용천기(龍天奇)조선 정종 1년 (1399년)자(字)는 흥운(興雲), 호(號)는 만헌(晩軒), 시호(諡號)는 충의(忠毅). 승정원(承政院) 부승지(副承旨) 역임, 개국공신.
이지(李至)조선 태조 2년 (1393년) 7월 22일공조전서(工曹典書)
기면(奇勉)?공조전서(工曹典書)
이지공(李之恭)?
이화상(李和尙)?
최이?
이내?
정구(鄭矩)?
류용생?
양정 (楊汀)?
남이(南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