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산 탁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산 탁씨는 고려 선종 때 학행으로 한림학사에 천거되어 태사까지 오른 탁지엽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탁지엽의 후손들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걸쳐 고위 관료를 배출하며 명문 세족으로 번성했다. 주요 인물로는 탁사정, 탁광무, 탁신 등이 있으며, 과거 급제자를 다수 배출했다. 광산은 광주광역시의 옛 지명이며, 안동 세덕사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2015년 인구 조사에서 광산 탁씨와 광주 탁씨를 합하여 총 19,551명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산 탁씨 - 탁명환
    탁명환은 한국의 종교 연구가이자 저술가로, 신흥종교 및 기독교 이단 연구와 비판 활동, 특히 오대양 집단자살사건 진실 규명에 힘썼으나 평강제일교회 신도에 의해 살해당했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종교 문제와 진실 규명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 광산 탁씨 - 탁재인
    탁재인은 MBC에서 애니메이션과 외화 더빙에 활발히 참여하며 《바람돌이 소닉》의 로보트닉, 《피터팬의 모험》의 후크 선장, 《컴퓨터 형사 가제트》의 클로우 박사 등 다양한 배역을 소화했고, 영화 《리썰 웨폰 3》 특정 배우 전담 성우, KBS, SBS 영화 더빙 등 다양한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광산 탁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광산 탁씨 (光山 卓氏)
이칭광주 탁씨 (光州 卓氏)
관향광주광역시
시조탁지엽
전자 족보광산 탁씨 전자 족보
역사
창시자탁지엽
봉군포덕후 (布德侯)
광산군 (光山君)
인구 통계
2015년 인구19,551명
주요 인물
인물탁명환
탁원제
웹사이트
홈페이지광산 탁씨 홈페이지

2. 역사

광산 탁씨는 고려 선종 때 학행으로 천거되어 한림학사를 지내고 태사(太師)에 이르러 광산군에 봉해진 탁지엽(卓之葉)을 시조로 한다. 탁지엽은 문성(文成)이란 시호를 받았으며, 자는 옥립(玉立), 호는 학포(學圃)이다. 이후 광산 탁씨는 명문 세족으로 번영하였다.

탁지엽의 장남 탁도민(卓道敏)은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대제학을 거쳐 좌정승에 이르렀고, 차남 탁도집(卓道集)은 이부상서를 역임했다. 탁도민의 아들 탁원광(卓元光)은 인종 때 문과에 급제, 참지정사에 이르렀고 선종의 부마가 되어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다. 탁원광의 4세손 탁사정(卓思政)은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에 올랐다.

탁원광의 손자 탁종성(卓宗成)은 신종 때 보문각 대제학을 역임하고 해양군(海陽君)에 추봉되었다. 탁종성의 증손 탁광무(卓光茂)는 공민왕 때 좌간의대부를 거쳐 예의판서에 올랐다. 탁광무의 아들 탁신(卓愼)은 태종 때 예조참판, 이조참판, 예문관제학, 의정부참찬 등을 역임했다.[3]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고려 선종 때 학행으로 천거되어 한림학사가 되고 뒤에 태사(太師)에 이르러 광산군에 봉해지고 문성(文成)이란 시호를 받은 탁지엽(卓之葉)이 광산 탁씨의 시조이다. 탁지엽의 자는 옥립(玉立), 호는 학포(學圃)이다. 이후 광산 탁씨는 명문 세족으로 대를 이어 번영하였다.

탁지엽의 장남 탁도민(卓道敏)은 선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보문각 대제학을 지낸 후 좌정승에 이르렀다. 차남 탁도집(卓道集)은 이부상서를 역임하여 크게 가문을 중흥시켰다.

탁도민의 아들 탁원광(卓元光)은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참지정사에 이르렀고, 선종의 부마가 되어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다. 4세손 탁사정(卓思政)은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에 올랐다.

탁원광의 손자 탁종성(卓宗成)은 신종 때 보문각 대제학을 역임하고 해양군(海陽君)에 추봉되었다. 탁종성의 증손인 탁광무(卓光茂)는 공민왕 때 좌간의대부를 거쳐 예의판서에 올랐다.

탁광무의 아들 탁신(卓愼)은 조선 태종 때 예조참판과 이조참판 등을 지내고 예문관제학을 거쳐 의정부참찬에 올랐다.[3]

2. 2. 고려 말 ~ 조선 초

고려 선종 때 학행으로 천거되어 한림학사가 되고 뒤에 태사(太師)에 이르러 광산군에 봉해진 시조 탁지엽(卓之葉) 이후, 광산 탁씨는 명문 세족으로 대를 이어 번영하였다. 탁지엽의 자는 옥립(玉立), 호는 학포(學圃)이다.

탁지엽의 장남 탁도민(卓道敏)은 선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보문각 대제학을 지낸 후 좌정승에 이르렀다. 탁지엽의 차남 탁도집(卓道集)은 이부상서를 역임하여 크게 가문을 중흥시켰다.

탁도민의 아들 탁원광(卓元光)은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참지정사에 이르렀고, 선종의 부마가 되어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다. 탁원광의 4세손 탁사정(卓思政)은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에 올랐다.

탁원광의 손자 탁종성(卓宗成)은 신종 때 보문각 대제학을 역임하고 해양군(海陽君)에 추봉되었다. 탁종성의 증손인 탁광무(卓光茂)는 공민왕 때 좌간의대부를 거쳐 예의판서에 올랐다.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탁신(卓愼)은 태종 때 예조참판과 이조참판 등을 지내고 예문관제학을 거쳐 의정부참찬에 올랐다.[3]

3. 주요 인물


  • '''탁사정'''(卓思政) : 1009년(고려 목종 12년) 중랑장을 거쳐 급사중(給事中)이 되었고, 1010년(현종 1) 동북계도순검사(東北界都巡檢使)로서 거란의 침입을 격파하였으며, 1011년(현종 2)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에 올랐다.
  • '''탁광무'''(卓光茂, 1330년 ~ 1410년) : 자는 겸부(謙夫), 호는 경렴정(景濂亭). 평장사 탁영(卓英)의 손자이자 제학(提學) 탁문신(卓文信)의 아들이다. 1331년(충혜왕 1) 국자감시(國子監試)에 급제하였고, 1365년(공민왕 14) 내서사인(內書舍人)을 거쳐 이듬해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에 임명되었다. 이어 우사의대부로 있을 때 신돈의 심복인 홍영통(洪永通)이 별군을 시켜 좌사의대부 신덕린(申德隣)과 헌납 박진록(朴晉祿) 등의 간관을 구타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그는 홍영통(洪永通)을 폐하여 서인(庶人)으로 삼고 가산을 적몰하도록 탄핵하였으나, 오히려 신돈의 모함을 받아 파직되었다. 그 뒤 사면되어 중정우사간대부 진현관제학 지제교(中正右司諫大夫進賢館提學知製敎)와 예의판서(禮儀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이제현(李齊賢)·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 《경렴정집》이 있다.[4]
  • '''탁신'''(卓愼, 1367년 ∼ 1426년) : 탁광무의 아들. 1389년(고려 공양왕 1) 생원으로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태종조에 사헌부집의를 거쳐 1418년(세종 즉위년) 예조참판, 1419년 예문관제학을 지내고, 1423년 의정부참찬에 올랐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3]
  • '''탁종술'''(卓宗述, 1790년 ~ ?) : 1831년(순조 31년) 식년 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1870년(고종 7)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을 역임하고,[5] 1872년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올랐다.
  • '''탁관철'''(卓寬哲, 1949년 ~ ) : 연세대학교 의학과 교수
  • '''탁민제'''(卓民濟, 1954년 ~ ) :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 교수

4. 과거 급제자

광산 탁씨는 고려, 조선시대에 걸쳐 문과 9명, 무과 2명, 생원 1명, 진사 6명, 음관 5명 등 총 23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다.[6]

광산 탁씨 과거 급제자
구 분이름
문과탁광무(卓光茂)
무과탁천악(卓千岳)
생원시탁중(卓中)
진사시탁경안(卓景顔)
음관탁경수(卓景秀)


4. 1. 고려


  • '''탁사정'''(卓思政) : 1009년(고려 목종 12년) 중랑장을 거쳐 급사중(給事中)이 되었고, 1010년(현종 1) 동북계도순검사(東北界都巡檢使)로서 거란의 침입을 격파하였으며, 1011년(현종 2)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에 올랐다.
  • '''탁광무'''(卓光茂, 1330년 ~ 1410년) : 자는 겸부(謙夫), 호는 경렴정(景濂亭). 평장사 탁영(卓英)의 손자이자 제학(提學) 탁문신(卓文信)의 아들이다. 1331년(충혜왕 1) 국자감시(國子監試)에 급제하였고, 1365년(공민왕 14) 내서사인(內書舍人)을 거쳐 이듬해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에 임명되었다. 이어 우사의대부로 있을 때 신돈의 심복인 홍영통(洪永通)이 별군을 시켜 좌사의대부 신덕린(申德隣)과 헌납 박진록(朴晉祿) 등의 간관을 구타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그는 홍영통(洪永通)을 폐하여 서인(庶人)으로 삼고 가산을 적몰하도록 탄핵하였으나, 오히려 신돈의 모함을 받아 파직되었다. 그 뒤 사면되어 중정우사간대부 진현관제학 지제교(中正右司諫大夫進賢館提學知製敎)와 예의판서(禮儀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이제현(李齊賢)·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 《경렴정집》이 있다.[4]
  • '''탁신'''(卓愼, 1367년 ∼ 1426년) : 탁광무의 아들. 1389년(고려 공양왕 1) 생원으로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3]


고려시대 과거 급제자
문과사마
탁광무(卓光茂) 탁신(卓愼)탁광무(卓光茂)


4. 2. 조선


  • '''탁광무'''(卓光茂, 1330년 ~ 1410년) : 1331년(충혜왕 1) 국자감시에 급제하였고, 1365년(공민왕 14) 내서사인을 거쳐 이듬해 좌사의대부에 임명되었다. 우사의대부로 있을 때 신돈의 모함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사면되어 중정우사간대부 진현관제학 지제교와 예의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정몽주 등과 교유하였으며, 저서로 《경렴정집》이 있다.[4]
  • '''탁신'''(卓愼, 1367년 ∼ 1426년) : 탁광무의 아들. 1389년(고려 공양왕 1) 생원으로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태종조에 사헌부집의를 거쳐 1418년(세종 즉위년) 예조참판, 1419년 예문관제학을 지내고, 1423년 의정부참찬에 올랐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3]
  • 탁종술(卓宗述, 1790년 ~ ?) : 1831년(순조 31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870년(고종 7) 종2품 가선대부로 한성부 우윤을 역임하고,[5] 1872년 병조참판에 올랐다.


광산 탁씨(광주 탁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9명을 배출하였다.[6]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탁감(卓瑊)탁경수(卓景秀)탁석행(卓碩行)탁운한(卓雲翰)탁장호(卓章昊)탁종술(卓宗述)탁함(卓諴)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탁천악(卓千岳)탁환득(卓桓得)



조선시대 생원시 합격자
탁중(卓中)



조선시대 진사시 합격자
탁경안(卓景顔)탁계주(卓桂胄)탁용우(卓龍)탁화제(卓華齊)탁정립(卓廷立)탁두원(卓斗元)



조선시대 음관
탁경수(卓景秀)탁석행(卓碩行)탁운한(卓雲翰)탁장호(卓章昊)탁종술(卓宗述)


5. 항렬자

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
동(東), 병(秉)형(炯), 훈(勳)규(圭), 재(載)현(鉉), 균(鈞)태(泰), 제(濟)모(模), 학(學)희(熙), 병(炳)철(喆), 원(遠)종(鍾), 용(熔)순(淳), 호(浩)주(株), 상(相)환(煥), 섭(燮)시(時), 중(重)진(鎭), 용(鏞)영(永), 문(汶)


6. 본관

광산(光山)은 광주광역시의 옛 이름이다. 본래 백제의 무진주(武珍州)였으며, 신라가 점령한 후 757년(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견훤후백제를 세워 도읍을 정했으나, 940년(고려 태조 23)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하고 무진주를 광주(光州)로 개편했다. 995년(성종 14) 해양도(海陽道) 소속이 되었다가 1259년(고종 46) 기주(冀州)라 고쳤고, 1309년(충선왕 원년) 화평부(化平府)로 강등되었다가 1362년(공민왕 11년) 무진부(茂珍府)로 고쳤고, 1374년(공민왕 23년) 광주목(光州牧)으로 승격되었다. 1430년(세종 12)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가 성종 때에는 광산현으로 강등되었고, 연산군 때 주(州)로 환원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라도 무진군(茂珍郡)의 토성(土姓)으로 탁(卓)·(李)·(金)·(蔡)·(盧)·장(張)·(鄭)·박(朴)·진(陳)·허(許)·(潘)·성(成)·승(承) 13성이 기록되어 있다.[7]

6. 1. 세거지

광주광역시의 옛 이름은 광산(光山)이다. 본래 백제의 무진주(武珍州)였다. 신라가 점령한 후 도독(都督)을 두었으며 757년(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견훤후백제를 세워 도읍을 정하였으나, 940년(고려 태조 23)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하고 군현을 정비하면서 무진주를 광주(光州)로 개편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해양도(海陽道) 소속이 되었다가 1259년(고종 46) 기주(冀州)라 고쳤다. 1309년(충선왕 원년) 화평부(化平府)로 강등되었다가 1362년(공민왕 11년) 무진부(茂珍府)로 고쳤고, 1374년(공민왕 23년) 광주목(光州牧)으로 승격되었다. 1430년(세종 12)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가 성종 때에는 광산현으로 강등되었고, 연산군 때 주(州)로 환원되었다.

1895년(고종 32)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935년 광주읍(光州邑)이 부(府)로 승격됨에 따라 광산군(光山郡)이 되었다. 1988년 광주직할시로 승격되고, 1995년 광주광역시 광산구로 개편되었다.[7]

7. 문화재

안동 세덕사는 1982년 12월 1일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37호로 지정되었다. 1699년(숙종 25년)에 건립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훈련대장을 지낸 행정(杏亭) 탁순창(卓順昌)이 낙향하여 조상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낸 사당이다. 탁순창의 6대조 경렴정(景濂亭) 탁광무와 5대조 죽정공(竹亭公) 탁신 부자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정문인 입도문(入道門)을 들어서면 강당인 오계서당이 있고 뒤쪽에 사당인 세덕사 등 건물 3동이 있다. 정문격인 협문을 들어서면 세덕사가 있고 뒤쪽으로 추원당이 있다. 세덕사는 납도리 홑처마의 팔작지붕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一자형 집이며, 추원당은 一자형 맞배지붕의 민도리집의 겹처마로 정면 3칸, 측면 2칸이다. 1986년 보수하여 부식된 목재와 풍화된 기와를 교체하였으며, 퇴락한 협문을 해체하고 양식상의 변화없이 한식기와로 보수하였다. 현재 광산 탁씨의 후손 탁성균(卓成均)이 소유·관리하고 있다.[8]

8. 인구

1985년에는 광산 탁씨가 3,676가구 15,201명, 광주 탁씨가 232가구 1,057명으로 총 16,258명이었다.[1] 2000년에는 광산 탁씨가 4,891가구 15,691명, 광주 탁씨가 490가구 1,631명으로 총 17,322명이었다.[1] 2015년에는 광산 탁씨가 15,901명, 광주 탁씨가 3,650명으로 총 19,551명으로 조사되었다.[1]

광산 탁씨 인구
연도광산 탁씨 (가구)광산 탁씨 (명)광주 탁씨 (가구)광주 탁씨 (명)합계 (명)
1985년3,67615,2012321,05716,258
2000년4,89115,6914901,63117,322
2015년15,9013,65019,551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광산탁씨 光山卓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7
[3] 문서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1월 18일 계축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두산백과 탁광무 -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5] 문서 고종실록 7권, 고종 7년 2월 9일 을사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7] 문서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장흥 도호부 무진군 http://sillok.histor[...]
[8] 두산백과 두산백과 - 안동 세덕사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