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마르티노 4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마르티노 4세는 1281년부터 1285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프랑스 출신으로, 파리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법학을 공부했으며, 루이 9세의 재상과 추기경을 거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카를로 1세를 지지하며 동로마 제국 황제를 파문하고 아라곤 왕국에 십자군을 선포하는 등 정치적 활동을 펼쳤으나, 시칠리아 만종 사건 이후 영향력을 잃었다. 마르티노 4세는 오르비에토에서 대관식을 치르고 로마를 방문하지 못했으며, 1285년 페루자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재상 - 미셸 드 로피탈
미셸 드 로피탈은 프랑수아 1세부터 샤를 9세 시대에 프랑스 대법관을 지낸 법률가이자 정치가로, 종교적 관용 정책 추진, 스토아 철학 심취, 삼부회 옹호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몽테뉴로부터 훌륭한 재상으로 평가받았다. - 프랑스 재상 - 교황 실베스테르 2세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반에 활동한 프랑스 출신의 학자이자 교사이며 교황(재위 999년~1003년)인 실베스테르 2세는 당대 최고의 지식인 중 한 명으로, 수학, 천문학 등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유럽에 아라비아 숫자를 소개하고 주판을 재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교회 개혁과 동유럽 선교에 힘썼다. - 1210년 출생 - 아폰수 3세 (포르투갈)
아폰수 3세는 1248년부터 1279년까지 포르투갈을 통치한 국왕으로, 평민의 정치 참여를 이끌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수도를 리스본으로 이전하고 카스티야와의 국경을 확정했다. - 1210년 출생 - 교황 호노리오 4세
교황 호노리오 4세는 사벨리 가문 출신으로 추기경이자 외교관으로 활동하다 1285년부터 1287년까지 재임하며 시칠리아 왕국 문제 개입,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 개선, 교황령 내 평화 유지, 학문 및 수도회 활동 지원에 힘쓴 제190대 교황이다. - 센에마른주 출신 - 폴 포그바
프랑스 출신 축구 선수 폴 포그바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유소년팀, 유벤투스에서의 성공적인 활약, 프랑스 국가대표팀에서의 월드컵 우승, 그리고 잦은 부상과 도핑 징계로 인한 유벤투스 계약 해지 등의 다사다난한 경력을 가진 중앙 미드필더이다. - 센에마른주 출신 -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프랑스 사진가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은 '결정적 순간'이라는 사진 철학으로 유명하며, 35mm 라이카 카메라로 20세기 주요 사건과 인물을 기록하고 매그넘 포토스를 설립하여 포토저널리즘 발전에 기여, 다큐멘터리 사진과 스트리트 포토그래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교황 마르티노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르티노 4세 |
로마자 표기 | Martinus Ⅳ |
직함 | 로마 주교 |
교회 | 가톨릭교회 |
재임 시작 | 1281년 2월 22일 |
재임 종료 | 1285년 3월 28일 |
서임 | 1281년 3월 23일 |
서임자 | 라티노 말라브란카 오르시니 |
추기경 임명 | 1261년 12월 17일 |
추기경 임명자 | 우르바노 4세 |
이전 직책 | 산타 체칠리아 성당 추기경 (1261년–1281년) |
출생 이름 | 시몽 드 브리옹 |
이전 교황 | 니콜라오 3세 |
다음 교황 | 호노리오 4세 |
출생일 | 1210년경–1220년경 |
출생지 | 프랑스, 투렌 |
사망일 | 1285년 3월 6일 |
사망지 | 교황령, 페루자 |
문장 | [[파일:C o a Martino IV.svg|마르티노 4세 문장]] |
기타 정보 | |
라틴어 이름 | Martinus IV |
2. 생애 초기
시몽 드 브리옹은 1210년경 프랑스 일드프랑스에서 장 드 브리옹의 아들로 태어났다.[48] 그의 형제 질로는 사스 교구의 기사였다.[49] 브리옹 가문은 쥬와늬 인근의 브리옹에서 유래한 것이다.[4] 그는 파리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5] 이후 파도바와 볼로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고 한다.
1261년 12월 17일, 프랑스 출신 새 교황 우르바노 4세는 프랑스 상서국장 시몽을 산 체칠리아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서임했다.[52] 시몽은 로마에 거주해야 했지만, 우르바노 4세는 프랑스 왕 루이 9세와 그의 동생 샤를을 상대하기 위해 고위급 대리인을 프랑스에 파견해야 했다. 시몽은 프랑스 궁정에서의 경력을 바탕으로 교황 대리인으로 적합한 인물이었다.
1280년 8월 22일 교황 니콜라오 3세가 사망한 후 콘클라베가 열렸지만, 1281년 2월까지 반년이 지나도록 차기 교황이 결정되지 않자 격분한 로마 시민들이 난입하여 추기경들을 연행하는 소동으로 발전했다. 시칠리아 왕 샤를 1세가 이를 진압하고, 22일에 시몬이 교황으로 선출되어 마르티노 4세로 명명되었다.[64]
교황 니콜라오 3세가 선종한 후, 1280년부터 1281년까지 반년 간 이어진 콘클라베는 로마 시민들이 난입하여 추기경들을 연행하는 소동으로 이어졌다.[37] 시칠리아 왕 샤를 1세가 이 소동을 진압한 후, 1281년 2월 22일 시몬이 교황으로 선출되어 마르티노 4세로 명명되었다.[38]
1238년 교황의 총애를 받아 생캉탱의 의전참사회원이 되었으며, 1248년부터 1259년까지 루앙 대성당의 의전참사회원을 지내다가 나중에 수석부제가 되었다.[6] 동시에 그는 프랑스 왕 루이 9세에 의해 투르에 있는 생마르탱 성당의 회계원으로 임명되어,[7] 1281년 교황으로 선출될 때까지 지냈다.
1255년부터 1259년까지, 루이 9세는 롱샹에 클라라회 수녀원을 세우고, 여동생 이사벨 공주를 후견인으로, 시몽 드 브리옹을 보호자로 임명했다.[9] 1260년 시몽 드 브리옹은 루이 9세의 측근으로서 국정에 참여할 수 있는 상서국장으로 등용되었다.[51] 그는 프랑스의 루이 9세의 재상(1260–1261)이 되었다.[10]
3. 추기경
시몽 추기경은 우르바노 4세와 그의 후임 교황 클레멘스 4세에 의해 교황 특사로 임명되어 프랑스로 돌아갔다.[52] 1264년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 전날, 파리에서 시노드를 소집했다.[53] 1274년 8월 1일 교황 그레고리오 10세에 의해 다시 교황 특사로 임명되어 1279년까지 프랑스에 머물렀다.[54] 그는 호엔슈타우펜 왕가의 만프레디에 맞선 십자군 원정을 위한 자금과 지원군을 모집하는 임무를 맡았다.[54] 그는 앙주의 샤를이 카를로 1세로서 시칠리아 왕위에 오르도록 지원했다. 특사로서 그는 개혁을 위한 시노드를 몇 차례 주재하고 그레고리오 10세의 십자군 기금 모금에 나섰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시노드는 1276년 9월 13일 부르주에서 열렸다.[55]
시몽은 교황 특사로 프랑스에 머물렀기 때문에 교황 인노첸시오 5세, 교황 하드리아노 5세, 교황 요한 21세, 교황 니콜라오 3세 선출 콘클라베에 참석할 수 없었다. 니콜라오 3세는 선출 일주일 후 시몽에게 친서를 보내 필리프 3세와 알폰소 10세의 화해를 주선하도록 했다.[56] 페드로 3세가 카를로 1세와 대립하고 있었기 때문에, 교황의 평화 촉구는 카를로 1세를 위협하는 것이었다. 1279년 4월 22일 니콜라오 3세는 시몽에게 필리프 3세에 관한 친서를 보냈다. 교황의 마상 시합 금지령에도 불구하고 필리프 3세와 프랑스 귀족들은 이를 어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시몽은 금지령을 어긴 프랑스 왕을 파문하라는 지시를 받았다.[57] 니콜라오 3세는 앙주 가문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자 추기경 10명을 추가로 서임하고 수도회, 특히 프란치스코회의 비중을 늘렸다.
1279년 10월 19일, 시몽 드 브리옹은 니콜라오 3세에 의해 이탈리아로 소환되었다.[58]
4. 교황 선출
마르티노 4세는 로마에서 대관식을 가지려고 했으나, 로마는 프랑스인을 교황으로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았다. 그러자 마르티노 4세는 라티노 오르시니 추기경과 조프레도 다 알라트리 추기경을 친서와 함께 로마로 보내 로마에 들어가서 사순 제1주일에 대관식을 갖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했다.[64] 하지만 로마 시민들은 로마에서 새 교황의 대관식이 열리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대신에 그들은 시민회의를 소집해 순전히 개인적 역량만 보고 조반니 가에타니 오르시니를 자신들을 대변하는 원로원 의원으로 뽑고 조반니에게 그의 대리인을 임명할 권한까지 주었다. 결국 마르티노 4세는 1281년 3월 23일 오르비에토에서 대관식을 가졌다.[65] 그는 재임기간 동안 평생 로마 땅을 밟지 못했다.
5. 교황
마르티노 4세는 로마가 아닌 오르비에토에서 대관식을 가졌는데, 이는 로마 시민들이 프랑스인 교황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64] 그는 재위 기간 동안 로마 땅을 밟지 못했다.[65]
5. 1. 정책
교황 니콜라오 3세가 선종한 후, 1280년부터 1281년까지 반년 동안 이어진 콘클라베에서 로마 시민들이 난입하여 추기경들을 연행하는 소동이 발생했다.[37] 시칠리아 왕 샤를 1세가 이 소동을 진압하고, 1281년 2월 22일 시몬이 교황으로 선출되어 마르티노 4세로 명명되었다.[38]
마르티노 4세는 즉위 후 샤를 1세에게 크게 의존하여 그를 로마 원로원 의원으로 임명했다.[42] 또한 샤를 1세의 요청에 따라 동로마 제국 황제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를 파문하여,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 이루어진 동서 교회의 불안정한 연합을 파기했다.[42]
1282년, 시칠리아 만종 사건으로 샤를 1세는 시칠리아 섬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했다.[43] 시칠리아 주민들은 아라곤의 페드로 3세를 왕으로 추대하고 교황에게 승인을 요청했으나, 마르티노 4세는 이를 거부했다. 오히려 마르티노 4세는 페드로 3세를 파문하고 아라곤 왕국을 몰수했으며, 그를 토벌하기 위한 십자군 원정을 선포했다.[44]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샤를 1세는 시칠리아를 되찾지 못했다.
게르프와 기벨린 간의 다툼으로 인해 마르티노 4세는 오르비에토에 머물 수 없게 되었다.[45] 1284년 6월 26일, 교황청을 페루자로 옮겼으며,[46] 1285년 3월 28일 그곳에서 선종했다.[46]
5. 2. 시칠리아 만종 사건과 몰락
마르티노 4세는 샤를 1세에게 크게 의존했다. 그는 샤를 1세를 로마 원로원 의원으로 임명했고,[65] 동로마 제국의 황제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를 파문했다.[42] 이는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 이루어졌던 동서 교회의 일치를 파탄내는 행위였다.[42]
1282년, 시칠리아 만종 사건으로 샤를 1세는 시칠리아 섬에 대한 지배력을 잃었다.[66] 시칠리아 주민들은 아라곤 왕국의 페드로 3세를 왕으로 추대하고 교황에게 승인을 요청했지만, 마르티노 4세는 이를 거부했다.[67] 오히려 그는 페드로 3세를 파문하고 아라곤 왕국을 몰수했으며, 그를 토벌하기 위한 십자군 원정을 선포했으나 모두 헛수고였다.[67]
구엘프와 기벨린 간의 다툼으로 인해 마르티노 4세는 오르비에토에 더 이상 머무를 수 없었다.[68] 그는 1284년 6월 26일 교황청을 이끌고 오르비에토를 떠나 10월 4일 페루자에 도착했다.[69]
마르티노 4세는 1285년 3월 28일 페루자에서 선종하였다.[69]
5. 3. 죽음
마르티노 4세는 1285년 3월 25일 주님 부활 대주일에 페루자 대성당에서 장엄 미사를 집전했다. 미사를 마치고 평소처럼 교황 전속 사제들과 함께 점심 식사를 하던 중 갑자기 병에 걸려 3월 28일 새벽 5시경에 선종하였다.[69] 그의 유해는 페루자에 있는 산 로렌초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그의 후임자는 그가 선종한 지 4일이 지난 4월 2일에 선출되었다.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서는 볼세나 호산 장어를 베르나차 와인에 절여 구운 것을 과식하여 죽은 후 연옥에서 속죄의 날들을 보내는 것으로 묘사된다.[47] 이 이야기 때문에 장어와 화이트 와인을 함께 먹는 것을 꺼리는 속설이 이탈리아 요리에서 전해져 내려온다.
6. 유산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서는 마르티노 4세가 볼세나 호산 장어를 베르나차 와인에 절여 구운 것을 과식하여 죽은 후 연옥에서 속죄의 날들을 보내는 것으로 묘사된다[47]. 이 이야기 때문에 이탈리아 요리에서 장어와 화이트 와인을 함께 먹는 것을 꺼리는 속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참조
[1]
웹사이트
BRION, Simon de (ca. 1210/1230-1285)
https://cardinals.fi[...]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2]
간행물
Kardinal Simon de Brion
Breslau
[3]
서적
Preuves de l' histoire de tous les cardinaux françois
Paris
[4]
문서
The Brie champenoise
[5]
서적
Historia Universitatis Parisiensis
Paris
[6]
문서
As Magister Simon de Meinpiciaco
[7]
서적
Preuves de l' histoire de tous les cardinaux françois
Paris
[8]
서적
Holy Rulers and Blessed Princesses: Dynastic Cults in Medieval Central Europe
Cambridge: CUP
[9]
서적
Rome before Avignon: A Social History of Thirteenth Century Rome
Berkeley-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서적
Histoire des chanceliers et gardes des sceaux de France
Paris
[11]
문서
Date as given by Mann and Hollnsteiner 1932. Conrad Eubel,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Monasterii
[12]
문서
A large collection of letters from Urban IV and from Clement IV to Cardinal Simon can be found in
[13]
서적
Preuves de l' histoire de tous les cardinaux françois
Paris
[14]
문서
Martene and Durand, p. 114, Epistle 32
[15]
문서
Memorie storiche de' Cardinali della Santa Romana chiesa
[16]
문서
Epistole et dictamina Clementis pape quarti
[17]
문서
Epistole et dictamina Clementis pape quarti
[18]
웹사이트
Sede Vacante and Conclave, 1268–1271 (Dr. J. P. Adams).
http://www.csun.edu/[...]
[19]
문서
Il conclave del MCCLXX in Viterbo
Roma-Siena-Viterbo
[20]
문서
Le tombe dei pape in Viterbo
Siena
[21]
문서
Caesaris S.R.E. Card. Baronii Annales Ecclesiastici
Bar-le-Duc
[22]
웹사이트
Conclave of 20–21 January 1276 (Dr. J. P. Adams).
http://www.csun.edu/[...]
[23]
웹사이트
Conclave of 2–11 July 1276 (Dr. J. P. Adams).
http://www.csun.edu/[...]
[24]
웹사이트
Conclave of September, 1276 (Dr. J. P. Adams).
http://www.csun.edu/[...]
[25]
문서
Registre de Jean XXI
[26]
웹사이트
Sede Vacante and Conclave of 1277 (Dr. J.P. Adams).
http://www.csun.edu/[...]
[27]
문서
History of Rome in the Middle Ages
London: George Bell
[28]
문서
Annales Placentini Ghibellini
[29]
문서
Eine Pamphlet Karls I. von Anjou zur Wahl Papst Nikolaus III.
Munich
[30]
문서
Analecta Vaticana
Oeniponti: Libraria Academica Wagneriana
[31]
문서
Caesaris S. R. E. Cardinalis Baronii, Od. Raynaldi et Jac. Laderchii Annales Ecclesiastici
Barri-Ducis: Ludovicus Guerin
[32]
문서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Monasterii
[33]
문서
Chartularium Universitatis Parisiensis
Paris
[34]
문서
Vita Nicolai III
Milan
[35]
문서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Monasterii
[36]
간행물
Gregorovius, Volume V, part 2, pp. 491–492.
[37]
간행물
Giovanni Villani, Cronica Book VII, chapter 58 (ed. Dragomanni) Tome I (Firenze 1844), pp. 391–392.
[38]
간행물
Popes Marinus I and Marinus II, by an old error of the papal chancery, were counted as "Martins" II and III. (Encyclopædia Britannica 1911, s.v., "Brie")
[39]
간행물
Theiner, Caesaris S.R.E. Card. Baronii Annales Ecclesiastici 22, under the year 1280, § 5, pp. 483–484. Gregorovius, Volume V, part 2, pp. 493–495.
[40]
간행물
Bernardus Guidonis, "Vita Martini IV" in Ludovico Muratori, Rerum Italicarum Scriptores III. 1 (Milan 1733), p. 608.
[41]
간행물
Gregorovius, Volume V, part 2, p. 494.
[42]
간행물
Robert Brentano, Rome before Avignon: A Social History of Thirteenth Century Rome (Berkeley-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pp. 96–99; 120–125. Friedrich Bock, "Le trattive per la senatoria di Roman e Carlo d'Angiò", Archivio della Società romana di storia patria 78 (1955), 69–105. Franco Bartolini, "Per la storia del Senato Romano nel secoli XII e XIII," Bullettino dell'Istituto Storico Italiano per il Medioevo e Archivio Muratoriano, 60 (1946), 1–108. Luigi Pompili Olivieri, Il senato Romano I (Roma 1886), pp. 201–202.
[43]
간행물
Steven Runciman, The Sicilian Vespers: A History of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Later Thirteenth Century (Cambridge, England: University Pres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8). I papi ed i vespri siciliani. Con documenti inediti (Roma, Stamperia vaticana, 1882). Michele Amari, La Guerra del vespro siciliano seconda edizione (Paris 1843). F. Soldevila, História de Catalunya (Barcelona 1962), I, pp. 377–402.
[44]
서적
The Capetians: Kings of France, 987–1328
Continuum Press
[45]
간행물
A. Theiner, Caesaris S.R.E. Card. Baronii Annales Ecclesiastici 22 (Bar-le-Duc 1870), p. 537, under the year 1284, no. 17.
[46]
간행물
Edith Pasztor, "Per la storia dell'amministrazione dello stato pontificio sotto Martino IV." Miscellanea in onore di Monsignor Martino Giusti, Vol. 2 (Vatican City, 1978), pp. 181–194.
[47]
문서
"ダンテ 『神曲』煉獄編 XXIV, 21-24"
[48]
저널
Martin IV and the Fugitive Bishop of Bayeux
[49]
간행물
F. Duchesne, Preuves de l' histoire de tous les cardinaux françois (Paris 1660) p. 220.
[50]
간행물
F. Duchesne, Preuves de l' histoire de tous les cardinaux françois (Paris 1660) pp. 218-219.
[51]
간행물
F. Duchesne, Histoire des chanceliers et gardes des sceaux de France (Paris 1680), 234-236.
[52]
간행물
우르바노 4세 및 클레멘스 4세와 시몽 추기경 간에 주고받은 서신들은 다음 책에서 확인할 수 있다. Edmund Martène and Ursine Durand, Thesaurus novus anecdotorum Tomus Secundus (Paris 1717), 1-636.
[53]
간행물
F. Duchesne, Preuves de l' histoire de tous les cardinaux françois (Paris 1660) p. 219.
[54]
간행물
Martene and Durand, p. 114, Epistle 32.
[55]
간행물
Lorenzo Cardella, Memorie storiche de' Cardinali della Santa Romana chiesa I. 2 (Roma 1792), p. 304; Adolphe-Charles Peltier, Dictionnaire universel des conciles I (Paris 1847), 358. Carl Joseph von Hefele, Conciliengeschichte nach dem Quellen bearbeitet second edition Volume VI (Freiburg im Breisgau: Herder 1890) 176-177.
[56]
간행물
Otto Posse, Analecta Vaticana (Oeniponti: Libraria Academica Wagneriana 1878) #898.
[57]
간행물
Augustinus Theiner (Editor), Caesaris S. R. E. Cardinalis Baronii, Od. Raynaldi et Jac. Laderchii Annales Ecclesiastici Tomus Vigesimus Secundus 1257-1285 (Barri-Ducis: Ludovicus Guerin 1870), under the year 1279, § 17, p. 454. August Potthast,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II (Berlin 1875), p. 1742, no. 21567.
[58]
간행물
H. Denifle, Chartularium Universitatis Parisiensis I (Paris 1889), p. 578. Lorenzo Cardella, Memorie storiche de' Cardinali della Santa Romana chiesa I. 2 (Roma 1792), p. 304
[59]
간행물
Bernardus Guidonis, "Vita Nicolai III" in Ludovico Muratori, Rerum Italicarum Scriptores III. 1 (Milan 1733), p. 606-607.
[60]
간행물
Conrad Eubel,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I editio altera (Monasterii 1913), p. 10 note 3.
[61]
간행물
Gregorovius, Volume V, part 2, pp. 491-492.
[62]
간행물
Giovanni Villani, Cronica Book VII, chaper 58 (ed. Dragomanni) Tome I (Firenze 1844), pp. 391-392.
[63]
문서
원래대로 하자면 교황은 마르티노 2세라는 이름을 선택해야만 했다. 그러나 당시 교황 인명록에서 교황 마리노 1세와 교황 마리노 2세가 마르티노 2세와 마르티노 3세라는 이름으로 잘못 기록되어 있었기 때문에, 교황은 마르티노 4세라는 이름을 선택하였다.
[64]
간행물
Theiner, Caesaris S.R.E. Card. Baronii Annales Ecclesiastici 22, under the year 1280, § 5, pp. 483-484. Gregorovius, Volume V, part 2, pp. 493-495.
[65]
간행물
Gregorovius, Volume V, part 2, p. 494.
[66]
간행물
Steven Runciman, The Sicilian Vespers: A History of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Later Thirteenth Century (Cambridge, England: University Pres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8). I papi ed i vespri siciliani. Con documenti inediti (Roma, Stamperia vaticana, 1882). Michele Amari, La Guerra del vespro siciliano seconda edizione (Paris 1843). F. Soldevila, História de Catalunya (Barcelona 1962), I, pp. 377-402.
[67]
서적
The Capetians: Kings of France, 987–1328
Continuum Press
[68]
간행물
A. Theiner, Caesaris S.R.E. Card. Baronii Annales Ecclesiastici 22 (Bar-le-Duc 1870), p. 537, under the year 1284, no. 17.
[69]
간행물
Edith Pasztor, "Per la storia dell'amministrazione dello stato pontificio sotto Martino IV." Miscellanea in onore di Monsignor Martino Giusti, Vol. 2 (Vatican City, 1978), pp. 181-1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