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베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로베강은 도야마현과 나가노현의 경계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일본의 하천이다. 북알프스에서 시작하여 구로베 협곡을 지나 구로베 선상지를 형성하며, 풍부한 수량으로 명수 백선에 선정된 용수를 제공한다. 유역에는 도야마시, 구로베시 등 자치단체가 위치하며, 일본해형 기후로 다우다설 지역이다. 과거에는 다리가 없어 교통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현재는 여러 댐과 발전소가 건설되어 수력 발전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주요 교량으로는 아이모토 다리, 소에이 다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야마현의 강 - 진즈강
진즈강은 기후현에서 발원하여 도야마현을 거쳐 동해로 흘러가는 강으로, 과거에는 '진통천'으로 불렸으며 오랜 역사와 하천 개수 사업, 그리고 이타이이타이병과 관련된 공해 문제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도야마현의 자연경승지 - 다테야마산
다테야마산은 도야마현 도야마시 남동부에 위치하며 일본 알프스 북부에 솟아 있는 산으로, 웅장한 자연경관과 험준한 산세, 다테야마 구로베 알펜 루트의 출발점, 산악 신앙의 중심지로서 많은 관광객을 끌고 있다. - 도야마현의 자연경승지 - 쓰루기다케산
쓰루기다케산은 일본 북알프스에 위치하며, 1585년 처음 명칭이 언급되었고 산악 신앙의 대상이었으며, 1907년 육군 측량대에 의해 최초로 등정되었다. - 동해 수계 - 모가미강
모가미강은 야마가타현을 흐르는 일본의 대표적인 강으로, 빠른 유속과 수운, 농업용수, 치수 사업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해 왔으며, 현재는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고려한 하천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 동해 수계 - 라즈돌나야강
라즈돌나야강은 중국 지린성에서 발원하여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거쳐 아무르만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우수리스크 건설 지점이고 한반도와 연해주의 강들 중 넓은 유역 면적을 가지며, 현재 주변 지역의 경제 및 생태계와 중-러 교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구로베강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구로베강 |
원어 이름 | 黒部川 (구로베가와) |
어원 | 일본어 |
위치 | 도야마현 구로베시, 뉴젠정, 도야마시 |
수계 등급 | 1급 수계 |
수계 | 구로베강 |
종별 | 1급 하천 |
길이 | 85km |
유역 면적 | 667km² |
평균 유량 | 12.18m³/s (우나즈키 관측소, 1994년) |
지리 | |
발원지 | 와시바다케(도야마시) |
발원지 좌표 | 36°24′10″N 137°36′18″E |
발원지 고도 | 2,924m |
하구 | 일본해(구로베시, 뉴젠정) |
하구 좌표 | 36°55′17″N 137°25′28″E |
하구 고도 | 0m |
흐르는 지역 | 도야마현 |
이미지 | |
![]() |
2. 지리
도야마현과 나가노현의 경계인 히다 산맥(북알프스)의 와시바다케에서 발원하여 대체로 북쪽으로 흐른다. 강 전체 길이의 80%는 깊은 산지를 통과하며 구로베 협곡을 이룬다. 구로베 협곡 안에는 구모노다이라, 다카마가하라, 야쿠시미다이라, 탄보다이라, 우치쿠라노스케다이라, 가키노덴보와 같은 평탄지가 점재한다. 구로베시 아이모토 다리 부근에서 산지를 벗어나 1.2만 ha의 구로베강 선상지[1][2]를 흐르며, 이 선상지는 구로베시, 뉴젠정에 걸쳐 펼쳐져 있고 해저까지 뻗어 있다. 구로베강의 풍부한 수량으로 선상지에는 용수가 많아, 구로베강 선상지 용수군으로 명수 백선 중 하나로도 선정되어 있다. 본류는 하구 부근에서 구로베시와 뉴젠정의 경계가 되어 동해로 흘러든다.
도야마현의 7대 하천(구로베강, 가타카이강, 하야츠키강, 조간지강, 진즈강, 쇼강, 오야베강) 중 하나이다.
2. 1. 주요 지류
구로베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구로나기강 - 구로베강 4대 지류 중 하나이다.
- 코쿠로베다니 - 구로베강 4대 지류 중 하나이다.
- 츠루기사와 - 구로베강 4대 지류 중 하나로, 츠루기오오타키를 품고 있다.
- 히가시자와다니 - 구로베강 4대 지류 중 하나로, 제4기 홍적세 시대의 구로베강 본류로 여겨진다.
- 아카기사와 - 구로베강 지류 중에서도 특히 아름다운 계곡으로 꼽힌다.
- 오토다니
- 후카야
- 이시와다니
- 우나즈키다니
- 야타조다니
- 오누마다니
- 노보세다니
- 키키도다니
- 모리사와다니
2. 2. 유역의 자치단체
구로베강 유역에는 도야마현의 도야마시, 다테야마정, 구로베시, 뉴젠정, 아사히정이 있다.3. 자연
구로베강 하구 주변은 도야마현이 지정한 구로베강 하구 조수 보호구(조수 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다. 연계 배사 후 수질 오염이 있었지만, 국토교통성의 2006년 수질 조사 결과 8년 만에 수질 일본 1위를 회복했다.[1]
3. 1. 기후
구로베강 유역은 일본해형 기후이며, 일본에서도 손꼽히는 다우다설 지역이다.[1] 과거 10년간 평균 강수량은 상류로 갈수록 많아져, 구로베 시가지에서는 약 2000mm, 우나즈키에서는 약 3000mm, 더 상류의 협곡에 있는 선인계곡에서는 4000mm를 넘는다.[1]6월부터 7월에 걸쳐 장마전선에 의한 호우가 많아 홍수의 위험성이 높으며, 12월부터 3월에 걸쳐 강설이 많아 융설수에 의한 수자원이 풍부하다.[1]
구로베강 상류 유역은 남북으로 종주하는 다테야마 연봉과 고립산 연봉을 따라 편서풍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구름이 쓰루기 산・다테야마 등 해발이 높은 산에 부딪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강수량이 많다.[1]
매년 3월부터 5월 무렵에는 동해에 저기압이 발생하고 한랭 전선이 통과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따른 푄 현상의 발생도 보인다. 이 급격한 온도 상승이 유역의 눈사태나 산불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1]
유역 내의 연평균 기온은 선인계곡에서 9°C, 우나즈키에서 12°C, 구로베에서 14°C로, 상류 유역의 선인계곡이 3°C~5°C 낮다.[1]
4. 역사
에도 시대 이 지역을 다스린 마에다 씨는 방어와 기술상의 문제로 엣추 동부의 조간지 강, 하야츠키 강, 카타카이 강, 구로베강에 다리를 놓지 않았다. 당시 구로베 강은 부채꼴 모양의 지형 위에 여러 갈래로 나뉘어 흘렀으며, '구로베 48개 여울'[4][5] 및 '이로하 강'이라고 불렸다[5]。 어제 건널 수 있었던 곳도 오늘은 물줄기가 바뀌어 건널 수 없는 상황이 끊이지 않았으며, 호쿠리쿠 가도에서는 오야시라즈에 버금가는 난코스였다[4]。
구로베 강에 다리가 없는 것은 매우 불편했기 때문에, 1626년(간에이 3년)에 호쿠리쿠 가도를 크게 상류로 우회한 아이모토 지역에 처음으로 다리를 놓았다. 그러나 홍수가 날 때마다 다리가 유실되기를 반복했기 때문에, 마에다 쓰나노리는 1662년(간분 2년)에 교각이 없는 총 길이 63m의 하네바시를 만들게 했다. 이 아이모토 하네바시는 일본 3대 기교(기이한 다리) 중 하나로 꼽혔다고 한다.
1880년, 상류에서 오마치시와 도야마시를 잇는 다테야마 신도가 개통되어, 구로베 강은 배로 건너는 교통 시스템이 정비되었지만, 불과 2시즌 만에 폐지되었다[6]。 1971년, 다테야마 구로베 알펜 루트가 개통되자 관광객들이 구로베 댐의 둑 위를 왕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댐의 상류 쪽 구로베 호수에는 '타이라의 나룻배'라는 나룻배가 있지만, 댐 호수가 생기기 전에 구로베 강에 놓여 있던 다리의 기능을 대신하여 운행되고 있다.
1970년 4월 1일, 일급 하천으로 지정되었다[7]。
5. 명칭의 유래
구로베강이라는 이름에는 크게 3가지 설이 있다.
6. 수자원 이용
구로베강은 수량이 많고 고저차가 커서 수력 발전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다이쇼 시대부터 일본 전력(현재의 간사이 전력)에 의해 수력 발전 개발이 시작되었다. 특히 상류부에서는 급준한 산악 지대를 배경으로 구로베 댐(쿠로욘), 구로베가와 제4 발전소, 간덴 터널 등 대규모 전원 개발 사업이 진행되었다. 구로베가와 제3 발전소 건설 과정에서는 조선인 노동자를 포함해 300명 이상이 희생되었다.[11]
하류의 선상지에서도 다이쇼 시대부터 관개 용수 등을 활용한 발전소 건설이 진행되어, 전국에서도 드문 저낙차 발전을 하고 있다.
6. 1. 하천 시설
구로베강에는 우나즈키 댐, 다시히라 댐, 코야다이라 댐, 센닌다니 댐, 구로베 댐 등 여러 댐이 건설되어 있다.6. 2. 연계 배사
구로베강 상류는 토사 붕괴가 심해 댐에 토사가 빠르게 쌓이는 문제가 있다. 다시히라 댐에 배사 게이트를 설치하여 1991년 12월 첫 배사를 실시했지만, 흘러나온 헤드로 인해 어업 피해가 발생, 공해 소송으로 이어졌다. 이는 댐 호수에 오래 축적되어 변질된 퇴적물을 물이 적은 겨울에 한꺼번에 방류한 것이 원인으로 지적되었다.[1]이후 하류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검토되었고, 1995년 7월 11일 폭우로 많은 양의 토사가 유출되면서 3년간 3번의 증수 시 배사 방류를 실시했다. 증수 시 배사를 통해 하류 영향을 줄이는, 자연 상태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1]
우나즈키 댐 완공 후 2001년부터 연계 배사를 실시했다. 장마나 태풍으로 인한 증수 시 다시히라 댐에서 배사 방류를 하고, 우나즈키 댐은 홍수 조절을 실시, 홍수 정점이 지나면 우나즈키 댐도 배사를 하는 방식이다.[1]
간사이 전력과 행정은 "댐 호수 유입 토사량의 90% 이상이 증수 시 발생하며, 구로베강 증수 시마다 (첫 증수에 맞춰) 연계 배사, 이후 증수 시 연계 통사를 실시하여 댐 호수에 토사를 축적하지 않고 흘려보내고 있다. 자연 상태의 토사 이동에 가깝도록, 자연과의 공존을 위해 운영 개선 노력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
6. 3. 간사이 전력 발전소
간사이 전력은 구로베강에 다음과 같은 발전소들을 운영하고 있다.발전소 이름 | 최대 출력 | 사용 수량 | 유효 낙차 | 발전 개시일 | 비고 |
---|---|---|---|---|---|
아이모토 발전소 | 50m3/s | 71.5m | 1936년 6월 4일 | 간사이 전력 발전소 중 최하류. (개설 당시 구 토야마현 전기국, 현재 토야마현 기업국) | |
오토자와 발전소 | 124000kW | 74m3/s | 193.5m | 1985년 7월 18일 | 다시히라 댐에서 취수[10] |
구로베가와 제2 발전소 | 72000kW | 47.2m3/s | 177m | 1936년 10월 30일 | (구) 야나기하라 발전소, 아이모토 발전소에 이어 건설. 구로베 협곡 철도 네코마타역 부근. 고야다이라 댐에서 취수. |
구로베가와 제3 발전소 | 81000kW | 33.6m3/s | 278.3m | 1940년 11월 22일 | 구로베 협곡 철도 케야키다이라역 인접. 센닌다니 댐에서 취수. 건설 과정은 소설 『고열 터널』, 영화 『구로베의 태양』의 소재. 건설 중 조선인 노동자 포함 300명 이상 희생[11] |
구로나기 제2 발전소 | 7600kW | 6.2m3/s | 152.6m | 1947년 12월 26일 | 구로베 강 지류 구로나기 강에 건설. 기타마타 언제에서 취수. |
구로베가와 제4 발전소 | 구로베가와 제4 발전소 문서 참조 | ||||
신구로베가와 제3 발전소 | 105000kW | 46m3/s | 269m | 1963년 10월 7일 | 구로베가와 제4 발전소에서 이용한 물 일부 재이용. 센닌다니 댐에서도 취수. |
신구로베가와 제2 발전소 | 74200kW | 46m3/s | 189.8m | 1966년 9월 29일 | 신구로베 제3 발전소에서 이용한 물 직접 재이용. 발전 시설 모두 지하. |
신야나기하라 발전소 | 41200kW | 50.9m3/s | 93.2m | 1993년 4월 1일 | 우나즈키 댐으로 (구) 야나기하라 발전소 수몰, 대체로 건설. 다시히라 댐 등에서 취수. |
우나즈키 발전소 | 20000kW | 70m3/s | 34.5m | 2000년 5월 17일 | 우나즈키 댐에서 취수. |
6. 4. 호쿠리쿠 전력 발전소
호쿠리쿠 전력은 구로베강 하류에 다음과 같은 소규모 발전소들을 운영하고 있다.발전소 이름 | 최대 출력 |
---|---|
구로히가시 제1발전소 | 5300kW |
구로히가시 제2발전소 | 10400kW |
구로히가시 제3발전소 | 7200kW |
구로니시 제1발전소 | 6800kW |
구로니시 제2발전소 | 2200kW |
구로니시 제3발전소 | 1300kW |
7. 주요 교량
- 오쿠가네 다리
- 가네쓰리 다리 - 구로베 협곡 철도 본선
- 메구로 다리 - 피렌딜 다리
- 호면교
- 신야마비코 다리 - 구로베 협곡 철도 본선
- 야마비코 다리 - 구로베 협곡 철도 본선 구교
- 소에이 다리 - 도야마현도 13호 아사히우나즈키선
- 오토자와 다리 - 구로베시 시도 오토자와 1호선
- 오토자와 대교 - 도야마현도 13호 아사히우나즈키선
- 아이모토 다리 - 도야마현도 13호 아사히우나즈키선
- 신카와 구로베 다리 - 신카와 광역 농도
- 곤조 다리 - 도야마현도 45호 구로베 아사히 공원선
- 구로베강 교량 - 호쿠리쿠 신칸센
- 구로베강 다리 - 호쿠리쿠 자동차도
- 구로베 대교 - 도야마현도 150호 우오즈 뉴젠선
- 요시하치카세 대교 - 국도 8호 뉴젠 구로베 바이패스
- 구로베강 교량 - 아이노카제 토야마 철도선
- 시모구로베 다리 - 도야마현도 2호 우오즈 이키 뉴젠선
참조
[1]
뉴스
北日本新聞『立山・黒部 世界へ発信』
http://www.kitanippo[...]
北日本新聞
[2]
문서
他に大型扇状地として[[那須野が原]]扇状地(4万ha)、[[奥州市#地理|胆沢扇状地]](2万ha)などがある。
[3]
웹사이트
黒部川流域の概要
https://www.hrr.mlit[...]
国土交通省河川局
2019-08-16
[4]
서적
宇奈月町史
宇奈月町
[5]
서적
愛本橋周辺 -その見どころ-
[6]
문서
「大山町史」第6章 交通・通信の発達
大山町史編纂委員会編
[7]
서적
目で見る 魚津・黒部・下新川の100年
郷土出版社
1993-07-24
[8]
웹사이트
河川事業-事業について|国土交通省 北陸地方整備局 黒部河川事務所
https://www.hrr.mlit[...]
2019-09-06
[9]
뉴스
ふるさと人物探訪2
北日本新聞
2017-08-13
[10]
문서
この発電所を最後に電力開発事業は終了している。なお、柳川発電所で使われた水車等が展示されている。
[11]
웹사이트
高熱隧道
https://www.shinchos[...]
新潮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