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쿠리쿠 자동차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쿠리쿠 자동차도는 일본 혼슈 북중부의 호쿠리쿠 지방을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1960년대에 건설이 시작되어 1988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으며, 대부분 구간이 4차선으로 운영된다. 호쿠리쿠 본선과 국도 8호선과 평행하게 지나가며, 시가현, 후쿠이현, 이시카와현, 도야마현, 니가타현을 경유한다. 주요 경유지로는 쓰루가, 가나자와, 도야마, 조에쓰, 니가타 등이 있으며, 여러 분기점 및 나들목을 통해 주변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일본 고속도로 - 도메이 고속도로
도메이 고속도로는 도쿄와 나고야를 연결하는 총연장 346.7km의 일본 고속도로로서,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의 일부이며 수도권 교통량 해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1969년 개통되었고, 험준한 지형과 토지 수용 문제, 혼잡 문제 해결을 위한 확장 및 개선 공사를 거쳐 현재는 신토메이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 중일본 고속도로 - 수도권 중앙 연락 자동차도
수도권 중앙 연락 자동차도는 도쿄 도심에서 40~60km 떨어진 도시들을 연결하는 총연장 340.6km의 순환도로로, 수도권 3환상 도로망의 일부이며, 일부 구간은 개통되었으나 완전 개통을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다. - 긴키 지방의 도로 - 국도 제2호선 (일본)
국도 제2호선은 오사카에서 기타큐슈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675km의 일본 국도로,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고대 산요도로의 역사를 잇고, 고속도로와 병행하는 구간이 있으며, 혼슈와 규슈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긴키 지방의 도로 - 국도 제26호선 (일본)
국도 제26호선은 오사카에서 와카야마를 잇는 총연장 약 71.8km의 간선도로로, 여러 도시를 경유하며 다양한 국도와 교차하고, 기슈 가도와 효시고에 가도의 일부를 계승했으나, 교통 체증, 시설 노후화, 폭주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동일본 고속도로 - 게이요 도로
게이요 도로는 도쿄와 지바를 연결하는 일본의 유료 도로이며, 국도 14호선과 16호선을 포함하고 자동차 전용도로와 일반 도로 구간으로 나뉘며 동일본 고속도로가 관리한다. - 동일본 고속도로 - 반에쓰 자동차도
반에쓰 자동차도는 후쿠시마현 이와키시와 니가타현 니가타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며, 태평양과 동해를 횡단하는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한다.
호쿠리쿠 자동차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호쿠리쿠 자동차도 |
다른 이름 | [[파일:JP Expressway E8.svg|48px|link=|alt=E8]] 호쿠리쿠도 |
로마자 표기 | Hokuriku Jidōsha-dō |
노선 번호 | E8 |
노선 종류 | 고속자동차국도 |
요금 징수 | 유료 |
총 연장 | 476.5 km |
개통 연도 | 1972년 |
개통일 | 1972년 (쇼와 47년) - 1997년 (헤이세이 9년) |
노선 정보 | |
기점 | 니가타현 니가타시 고난구 (니가타추오 분기점) |
주요 경유 도시 | 나가오카시 조에쓰시 도야마시 도나미시 가나자와시 고마쓰시 후쿠이시 쓰루가시 나가하마시 |
종점 | 시가현 마이바라시 (마이바라 분기점) |
연결 도로 | |
연결 도로 | 니혼카이 도호쿠 자동차도 반에쓰 자동차도 간에쓰 자동차도 조신에쓰 자동차도 도카이 호쿠리쿠 자동차도 노에쓰 자동차도 주부 종관 자동차도 마이즈루 와카사 자동차도 메이신 고속도로 |
관리 | |
관리 기관 | 동일본 고속도로 주식회사 중일본 고속도로 주식회사 서일본 고속도로 주식회사 |
기타 정보 | |
일본 국내 고속도로 길이 순위 | 3위 |
2. 역사
호쿠리쿠 자동차도는 1961년 10월 27일 호쿠리쿠 종관 고속자동차도 건설에 관한 국도 개발 종관 자동차도 건설법 일부 개정 법률안이 가결되면서 계획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니가타시에서 오쓰시까지를 노선 기준으로 정했다.[23] 1966년 7월 1일, 니가타시에서 시가현 요네하라시(당시 사카타군 요네하라마치)까지의 구간이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예정 노선으로 지정되었고, 건설대신의 시행 명령을 받아 건설에 착수했다.[26] 1968년 9월 11일에는 이시카와현 노미시(당시 노미군 네가미정)에서 기공식이 열렸다.[28]
최초 구간인 가나자와니시IC - 고마쓰IC는 1972년 10월 18일 일본도로공단에 의해 개통되었으며[31], 이후 단계적으로 건설이 진행되어 1988년 7월 20일 아사히IC - 나다타니하마IC 구간 개통으로 1차 전선 개통이 이루어졌다.[31][38][53][54][55] 최종적으로는 1997년 11월 13일 니가타가메다IC - 니가타공항IC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성되었다.[38]
개통 초기에는 나가오카JCT에서 마이바라 방면은 니시야마IC부터의 번호(1~33)를, 나가오카JCT에서 니가타쿠로사키IC 방면은 간에쓰 자동차도 네리마IC부터의 연속 번호(22~26)를 사용했다. 킬로포스트 역시 나가오카JCT 기점과 아사히IC 부근 기점 두 종류가 혼재했다. 전 구간 개통에 맞춰 1987년과 1988년 두 차례에 걸쳐 킬로포스트와 IC 번호 체계를 정비하여, 마이바라JCT를 기점으로 니가타 방면을 하행선으로 통일하고 IC 번호도 연속적으로 부여했다.[22][50][52]
1988년 전선 개통을 기념하여 마지막으로 완성된 나다타니하마SA에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원래 국도 116호 니가타니시 바이패스의 니가타니시IC - 쿠로사키IC 구간도 호쿠리쿠 자동차도로 건설되었으나, 1989년 6월 1일 일반 국도의 자동차 전용도로로 변경되어 무료 개방되었다.[57] 또한, 현재 간에쓰 자동차도의 나가오카JCT - 나가오카IC 구간과 니혼카이 도호쿠 자동차도의 니가타추오JCT - 니가타공항IC 구간도 처음에는 호쿠리쿠 자동차도로 개통되었으나, 각각 간에쓰 자동차도(1980년 9월 27일)와 니혼카이 도호쿠 자동차도(2002년 5월 26일)의 연장 개통 및 노선 조정에 따라 해당 노선으로 편입되었다.
2005년 10월 1일 도로 관계 4공단 민영화에 따라[4], 호쿠리쿠 자동차도의 관리 업무는 아사히IC를 경계로 동쪽(니가타 방면)은 동일본 고속도로(NEXCO 동일본)가, 서쪽(마이바라 방면)은 중일본 고속도로(NEXCO 중일본)가 담당하게 되었다.[5]
2000년 10월 3일 오야지부시IC - 이토이가와IC 구간의 4차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전 구간 4차선화가 이루어졌다.[60] 이후 스마트IC 설치, 다른 고속도로와의 연결(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 노에쓰 자동차도, 반에쓰 자동차도, 조신에쓰 자동차도, 마이즈루와카사 자동차도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자연재해로 인한 통행 제한도 여러 차례 발생했다. 2004년 니가타현 중월지진, 2007년 2007년 노토반도 지진 및 니가타현 중월 앞바다 지진, 2018년 헤이세이 30년 폭설, 2022년 레이와 4년 8월 호우, 2024년 2024년 노토반도 지진 등으로 인해 일부 구간의 통행이 제한되거나 무료 통행 조치가 시행되기도 했다.[82][83][90][96][97]
=== 연도별 개통 구간 ===
연도 | 개통 구간 |
---|---|
1972년 | 10월 18일: 가나자와니시IC - 고마쓰IC[31] |
1973년 | 10월 16일: 고스기IC - 토이나미IC[31] 10월 17일: 고마쓰IC - 마루오카IC[31] |
1974년 | 10월 29일: 토이나미IC - 가나자와히가시IC[31][34] |
1975년 | 9월 9일: 마루오카IC - 후쿠이IC[31] 10월 4일: 도야마IC - 고스기IC[31] |
1976년 | 11월 2일: 후쿠이IC - 무생IC[31] |
1977년 | 12월 8일: 무생IC - 쓰루가IC (일부 임시 2차선)[31][37] |
1978년 | 9월 21일: 니가타쿠로사키IC(당시) - 나가오카IC[38] 10월 12일: 가나자와히가시IC - 가나자와니시IC[31] |
1980년 | 4월 7일: 쓰루가IC - 요네하라JCT[31][40] 9월 27일: 나가오카JCT - 니시야마IC[38] 12월 19일: 나메리카와IC - 도야마IC[31][43] |
1981년 | 10월 29일: 니시야마IC - 카시와자키IC[38] |
1982년 | 11월 17일: 카시와자키IC - 요네야마IC[38] |
1983년 | 11월 9일: 요네야마IC - 조에쓰IC[38][46][47] 12월 13일: 아사히IC - 나메리카와IC[31][48][49] |
1987년 | 7월 21일: 나다타니하마IC - 조에쓰IC (임시 2차선)[38] |
1988년 | 7월 20일: 아사히IC - 나다타니하마IC (임시 2차선)[31][38][53][54][55] (1차 전선 개통) |
1989년 | 3월 23일: 니가타니시IC 개통[52] |
1994년 | 7월 28일: 니가타니시IC - 니가타가메다IC 개통[38][61] (반에쓰 자동차도와 연결) |
1997년 | 11월 13일: 니가타가메다IC - 니가타공항IC 개통[38] (최종 전선 개통) |
=== 주요 사건 및 변경 사항 ===
- 1980년 6월 13일: 이마죠IC - 쓰루가IC 4차선화 공사 완료[41].
- 1980년 9월 27일: 나가오카JCT - 나가오카IC 구간을 간에쓰 자동차도로 편입.
- 1989년 6월 1일: 니가타쿠로사키IC - 니가타니시IC 구간을 국도 116호 니가타니시 바이패스에 편입하고 무료화[57].
- 1992년 3월 28일: 오야베토이나미JCT 개통으로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와 연결[59].
- 1993년 7월 23일: 이토이가와IC - 나다타니하마IC 4차선화 완료[60].
- 1996년 3월 28일: 오야베토이나미JCT에서 노에쓰 자동차도와 연결[63].
- 1999년 10월 30일: 조에쓰JCT 개통으로 조신에쓰 자동차도와 연결[38]. 나다타니하마IC - 조에쓰IC 4차선화 완료[60].
- 2000년 10월 3일: 오야지부시IC - 이토이가와IC 4차선화 완료로 전 구간 4차선화 달성[60].
- 2001년 6월 4일: 요네하라(마이바라)JCT/IC 명칭을 요네하라(마이하라)JCT/IC로 변경.
- 2002년 5월 26일: 니혼카이 도호쿠 자동차도 니가타공항IC 이북 구간 개통과 함께, 니가타추오JCT - 니가타공항IC 구간을 호쿠리쿠 자동차도에서 니혼카이 도호쿠 자동차도로 변경[38].
- 2004년 10월 23일: 니가타현 중월지진 발생으로 캇키자키IC - 산조쓰바메IC 일시 통행 제한.
- 2005년 10월 1일: 민영화로 관리 주체가 동일본 고속도로와 중일본 고속도로로 분할[4][5].
- 2006년 10월 1일: 쿠로사키 스마트IC[38], 이리젠 스마트IC[31][68], 도쿠코우 스마트IC[31][69] 본격 운용 개시. (이후 다수의 스마트IC 추가 개통 및 24시간 운영 확대)
- 2007년 3월 25일: 2007년 노토반도 지진 발생으로 가가IC - 도야마IC 일시 통행 제한.
- 2007년 7월 16일: 니가타현 중월 앞바다 지진 발생으로 이토이가와IC - 니가타니시IC 일시 통행 제한.
- 2014년 7월 20일: 쓰루가JCT 개통으로 마이즈루와카사 자동차도와 연결[76][77].
- 2015년 3월 1일: 주부종관 자동차도 연결에 따라 후쿠이키타IC를 후쿠이키타JCT・IC로 개칭[79].
- 2018년 2월 7일: 헤이세이 30년 폭설로 인한 국도 8호선 정체 해소를 위해 마루오카IC - 가가IC 구간 무료 개방 조치 시행[82][83].
- 2022년 8월 5일: 레이와 4년 8월 호우로 쓰루가 터널 부근 토사 유입 발생, 쓰루가IC - 이마죠IC 통행 제한[90].
- 2023년 8월 31일: 마루오카IC, 미카와IC, 다테야마IC가 ETC 전용으로 변경[95]. (이후 다른 IC들도 순차적으로 ETC 전용으로 변경)
- 2024년 1월 1일: 2024년 노토반도 지진 발생으로 마루오카IC 동쪽 구간 일시 통행 제한[96]. 국도 8호선 통행 제한에 따라 노쇼IC - 조에쓰IC 등 대체 경로 무료 조치 시행[97].
3. 노선 특징
호쿠리쿠 자동차도는 니가타현에서부터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시가현에 이르는 고속도로로, 호쿠리쿠 지방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한다. 도호쿠 자동차도, 주고쿠 자동차도에 이어 일본에서 세 번째로 긴 고속도로 노선이며, 전 구간이 국도 제8호선과 거의 나란히 달린다. 고속도로 넘버링은 '''E8'''이다.
2005년 10월 1일 도로 관계 4공단 민영화 이후[4], 아사히 나들목을 경계로 동쪽 구간(니가타추오 분기점 - 아사히 나들목)은 동일본 고속도로(NEXCO 동일본)가, 서쪽 구간(아사히 나들목 포함 - 마이바라 분기점)은 중일본 고속도로(NEXCO 중일본)가 관리하고 있다.[5] NEXCO 중일본 관할인 아사히 나들목 - 마이바라 분기점 구간은 가나자와시를 상징하는 벵갈라 색을 도로 색상으로 사용한다.[7]
=== 지형 및 구조물 ===
쓰루가 나들목(IC)과 쓰루가 터널 부근은 토지 이용 문제로 상행선과 하행선이 완전히 다른 경로로 건설되었다. 이 구간 일부는 과거 일본국유철도 호쿠리쿠 본선의 폐선 부지를 활용했으며, 스기츠 휴게소(PA) 상행선 시설은 스기츠 역의 폐역 부지에 세워졌다. 쓰루가 분기점 부근에서는 남쪽 방향 차선이 북쪽 방향 차선 위로 교차하며 잠시 분리되었다가 스기츠 휴게소(PA) 부근에서 다시 합류한다.
산악 지형과 해안 절벽을 통과하는 구간이 많아 터널과 교량이 다수 존재한다. 특히 기노모토 나들목(IC) - 다케후 나들목(IC) 구간에는 14개의 터널(이 중 2개는 길이 2000m 이상)이, 아사히 나들목(IC) - 조에쓰 나들목(IC) 구간에는 26개의 터널(이 중 8개는 길이 2000m 이상)이 연속된다. 아사히 - 조에쓰 구간은 일본해로 이어지는 히다산맥(북알프스)의 험준한 절벽을 통과하며, 각 터널 입구에는 몇 번째 터널인지 표시하는 표지판이 있다. 과거 교통의 난소로 알려진 오야시라즈 부근은 좁은 평지를 피해 바다 위로 도로 교량을 건설하여 통과하며, 중간에 국도 8호선과 연결되는 오야시라즈 나들목(IC)이 있다.
기노모토 나들목 - 다케후 나들목 구간은 겨울철 눈보라로 인한 시야 불량이나 강설로 인한 미끄럼 사고 등 교통 장애가 자주 발생한다. 이 때문에 '산악 고속도로', '이곳부터 산악 지대 커브 많음' 등의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체인 탈착장도 여러 곳에 마련되어 있다. 특히 쓰루가 나들목 - 쓰루가 터널 구간은 상하행선 분리 구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일반적인 방식(반대 차선 이용)으로 장비 투입이 어려워[8], 겨울철에는 기노모토 나들목 이북 구간에 미끄럼 방지 장치 착용 규제가 자주 발령된다.
==== 주요 터널 및 교량 ====
구간 | 구조물명 | 길이 | |
---|---|---|---|
상행선 | 하행선 | ||
센가다케 휴게소(賤ヶ岳SA) - 도네 휴게소(刀根PA) | 야나가세 터널 | 1272m | 1322m |
도네 휴게소(刀根PA) - 츠루가 분기점(敦賀JCT) | 코가와 터널(小河トンネル) | 1125m | 1163m |
츠루가 나들목(敦賀IC) - 스기츠 휴게소(杉津PA) | 코시사카 터널(越坂トンネル) | 1862m | style="text-align:right" | |
하바라 터널(葉原トンネル) | 1070m | 900m | |
스기츠 터널(杉津トンネル) | 462m | 1155m | |
스기츠 휴게소(杉津PA) - 이마죠 나들목(今庄IC) | 쓰루가 터널 | 3225m | 2925m |
이마죠 터널(今庄トンネル) | 2755m | 2756m | |
난죠 휴게소(南条SA) - 무세 나들목(武生IC) | 히노야마 터널(日野山トンネル) | 1556m | 1362m |
후쿠이키타 나들목(福井北IC) - 마루오카 나들목(丸岡IC) | 구즈류가와교 | 460m | 460m |
노미네가미SIC(能美根上SIC) - 미카와 나들목(美川IC) | 데토리가와교 | 550m | 550m |
타카오카토나미SIC(高岡砺波SIC) - 타카오카 휴게소(高岡PA) | 쇼가와교 | 550m | 550m |
토야마니시 나들목(富山西IC) - 토야마 나들목(富山IC) | 진즈가와교 | 590m | 590m |
류스기 휴게소(流杉PA) - 다테야마 나들목(立山IC) | 조간지가와교 | 850m | 850m |
쿠로베 나들목(黒部IC) - 이리젠 휴게소(入善PA) | 구로베가와교 | 770m | 770m |
아사히 나들목(朝日IC)-에치추쿄 휴게소(越中境PA) | 시로야마 터널(城山トンネル) | 1560m | 1578m |
에치추쿄 휴게소(越中境PA) - 오야시라즈 나들목(親不知IC) | 사카이 터널 (도야마현) | 2303m | 2211m |
이치부리 터널(市振トンネル) | 3342m | 3326m | |
오야시라즈 터널(親不知トンネル) | 2224m | 2268m | |
에치추쿄 휴게소(越中境PA) - 오야시라즈 나들목(親不知IC) - 이토이가와 나들목(糸魚川IC) | 오야시라즈 해안 고가교 | [102]3373m | [102]3386m |
오야시라즈 나들목(親不知IC) - 이토이가와 나들목(糸魚川IC) | 코시지나시 터널 | 4557m | 4563m |
테라지 터널(寺地トンネル) | 1215m | 1242m | |
이와기 터널(岩木トンネル) | 1665m | 1638m | |
렌다이지 휴게소(蓮台寺PA) - 노쇼 나들목(能生IC) | 가나야마 터널(金山トンネル) | 1263m | 1246m |
타카노미네 터널(高の峰トンネル) | 3129m | 3097m | |
오히라이지 터널(大平寺トンネル) | 1140m | 1221m | |
노쇼 나들목(能生IC) - 나다타니하마 나들목/휴게소(名立谷浜IC/SA) | 노쇼 터널(能生トンネル) | 2985m | 2992m |
산노 터널(山王トンネル) | 2229m | 2216m | |
츠츠이시 터널(筒石トンネル) | 2044m | 2028m | |
토쿠아이 터널(徳合トンネル) | 1148m | 1178m | |
나다타 터널(名立トンネル) | 1386m | 1397m | |
나다타니하마 나들목/휴게소(名立谷浜IC/SA) - 조에쓰 분기점(上越JCT) | 하나다테 터널(花立トンネル) | 1012m | 944m |
야쿠시 터널(薬師トンネル) | 1471m | 1400m | |
카스가야마 터널 | 1029m | 1021m | |
카키자키 나들목(柿崎IC) - 요네야마 나들목/휴게소(米山IC/SA) | 요네야마 터널(米山トンネル) | 1593m | 1616m |
니시야마 나들목(西山IC) - 오오츠미 휴게소(大積PA) | 신지조 터널(新地蔵トンネル) | 1517m | 1481m |
나가오카키타SIC(長岡北SIC) - 나카노시마미부케 나들목(中之島見附IC) | 시나노가와교(나가오카시) | 963m | 963m |
니가타니시 나들목(新潟西IC) - 니가타추오 분기점(新潟中央JCT) | 토키메키다리 | 373m | 373m |
=== 차선 및 최고 속도 ===
대부분의 구간이 왕복 4차선으로 건설되었으나, 일부 구간은 6차선(쓰루가 분기점 - 쓰루가 나들목) 또는 5차선(마이바라 분기점 - 마이바라 나들목 상행선 3차선, 하행선 2차선)으로 운영된다. 최고 속도는 구간별 지형과 터널 유무에 따라 80 km/h 또는 100 km/h로 지정되어 있다. 강우, 강설, 안개, 태풍 등 악천후 시나 교통사고, 공사 시에는 50~80 km/h로 속도 제한이 시행될 수 있다.
구간 | 차선 | 최고속도 (km/h) | 비고 | |||
---|---|---|---|---|---|---|
상하행선 합계 | 상행선 | 하행선 | 대형화물차 등 삼륜차・견인차 | 그 외 차량 | ||
마이바라 분기점 - 마이바라IC | 5 | 3 | 2 | 60 (지정) | ||
마이바라IC - 칸다 PA | 4 | 2 | 2 | 80 | 100 (법정) | |
칸다 PA - 키노모토IC | 120 (법정, 2023년 이후 시범 운영) | |||||
키노모토IC - 츠루가 분기점 | 4 | 2 | 2 | 80 (지정) | ||
츠루가 분기점 - 츠루가IC | 6 | 3 | 3 | 80 (지정) | ||
츠루가IC - 무사시IC | 4 | 2 | 2 | 80 (지정) | ||
무사시IC - 마루오카IC | 100 (법정) | |||||
마루오카IC - 니미마에SA | 80 (지정) | |||||
니미마에SA - 가나자와모리모토IC | 100 (법정) | |||||
가나자와모리모토IC - 오야베IC | 80 (지정) | |||||
오야베IC - 아사히IC | 100 (법정) | |||||
아사히IC - 조에쓰 분기점 | 80 (지정) | ※1 | ||||
조에쓰 분기점 - 가키자키IC | 4 | 2 | 2 | 100 (법정) | ||
가키자키IC - 가미카타 BS | 80 | 80 (지정) | ||||
가미카타 BS - 신지조 터널 | 80 | 100 (법정) | ||||
신지조 터널 내 | 80 (지정) | |||||
신지조 터널 - 나가오카 분기점 | 100 (법정) | |||||
나가오카 분기점 램프 내 | 3 | 2 | 1 | 70 (지정) | ||
나가오카 분기점 - 나가오카키타 BS | 4 | 2 | 2 | 80 | 80 (지정) | |
나가오카키타 BS - 니가타니시IC | 100 (법정) | |||||
니가타니시IC - 니가타추오 분기점 | 80 (지정) |
- ※1 : 터널 26개 연속 구간.
=== 휴게 시설 ===
노선 상에는 서비스 에리어(SA)와 파킹 에리어(PA)가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편의점은 모든 SA와 절반 이상의 PA에 입점해 있으며, 주유소는 모든 SA와 구로사키 PA에 설치되어 24시간 운영된다. 레스토랑은 오야베가와 SA, 아리소우미 SA 하행선, 나리타니하마 SA를 제외한 모든 SA에서 이용할 수 있다.
=== 도로 관리 ===
호쿠리쿠 자동차도의 관리는 구간별로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중일본 고속도로 나고야 지사'''
- * 히코네 보전·서비스센터: 마이바라 분기점 - 기노모토 나들목 (기노모토 나들목 포함)
- '''중일본 고속도로 가나자와 지사'''
- * 쓰루가 보전·서비스센터: 기노모토 나들목 - 이마죠 나들목
- * 후쿠이 보전·서비스센터: 이마죠 나들목 - 가가 나들목
- * 가나자와 보전·서비스센터: 가가 나들목 - 오야베 나들목
- * 도야마 고속도로 사무소: 오야베 나들목 - 아사히 나들목 (아사히 나들목 포함)
- '''동일본 고속도로 니가타 지사'''
- * 조에쓰 관리사무소: 아사히 나들목 - 가키자키 나들목
- * 나가오카 관리사무소: 가키자키 나들목 - 산조쓰바메 나들목
- * 니가타 관리사무소: 산조쓰바메 나들목 - 니가타추오 분기점
4. 주요 경유지
현 | 주요 경유지 |
---|---|
시가현 | 마이바라시 - 나가하마시 |
후쿠이현 | 쓰루가시 - 난조군 미나미에치젠정 - 에치젠시 - 사바에시 - 후쿠이시 - 요시다군 에이헤이지정 - 사카이시 - 아와라시 |
이시카와현 | 가가시 - 고마쓰시 - 노미시 - 하쿠산시 - 가나자와시 |
도야마현 | 오야베시 - 도나미시 - 다카오카시 - 이미즈시 - 도야마시 -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 - 가미이치정) - 나메리카와시 - 우오즈시 - 구로베시 - 시모니카와군 (뉴젠정 - 아사히정) |
니가타현 | 이토이가와시 - 조에쓰시 - 가시와자키시 - 가리와군 가리와촌 - 나가오카시 - 미쓰케시 - 산조시 - 쓰바메시 - 니가타시 (니시칸구 - 니시구 - 고난구) |
5. 접속 도로
- 일본해 동북 자동차도 (니가타추오 분기점 新潟中央JCT|일본어에서 직결)
- 반에쓰 자동차도 (니가타추오 분기점 新潟中央JCT|일본어에서 연결)
- 니가타 서부 우회도로 (니가타니시 나들목 新潟西IC|일본어에서 연결)
- 간에쓰 자동차도 (나가오카 분기점 長岡JCT|일본어에서 직결)
- 조신에쓰 자동차도 (조에쓰 분기점 上越JCT|일본어에서 연결)
- 도카이 호쿠리쿠 자동차도 (오야베토나미 분기점 小矢部砺波JCT|일본어에서 연결)
- 노에쓰 자동차도 (오야베토나미 분기점 小矢部砺波JCT|일본어에서 연결)
- 주부 종관 자동차도 (후쿠이키타 분기점 · 나들목 福井北JCT・IC|일본어에서 연결)
- 마이즈루 와카사 자동차도 (쓰루가 분기점 敦賀JCT|일본어에서 연결)
- 메이신 고속도로 (마이바라 분기점 米原JCT|일본어에서 연결)
6. 나들목 · 분기점
시설란의 배경색이 ■인 구간은 미개통 구간 또는 미공용 시설에 해당한다.
- 스마트 IC(SIC)는 배경색 ■으로 표시한다.
- 노선명의 특기가 없는 것은 시정촌도.
- 버스 정류장(BS) 중, ○/●는 운용 중, ◆는 휴지 중인 시설. 무표시는 BS 없음.
후쿠이키타JCT・IC와 타카오카토나미SIC, 조에쓰IC의 BS는 인터체인지 시설 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 하고 있다. - 약어는 다음 항목을 나타낸다.
- : IC:나들목, SIC:스마트 나들목, JCT:분기점, SA:휴게소, PA:간이 휴게소, TB:요금소, BS:버스 정류장, TN:터널, CB:체인베이스(체인 장착 해제장)
7. 향후 계획
호쿠리쿠 자동차도에서 현재 공사 중이거나 계획 중인 분기점(JCT), 나들목(IC)은 다음과 같다.
8. 기타
호쿠리쿠 자동차도의 일부 구간에서는 하이웨이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방송 제공 구간은 다음과 같다.
- 나가하마(나가하마IC - 기노모토IC)
- 야나가세(기노모토IC - 쓰루가 분기점 야나가세 터널 내)
- 이마조(쓰루가IC - 이마조IC 마이바라 방면 이마조 터널 내)
- 사바에(다케후IC - 사바에IC)
- 후도지(가나자와모리모토IC - 오야베IC)
- 다카오카(도나미IC - 다카오카토나미SIC)
- 아리소우미(아리소우미SA - 우오즈IC)
- 나다치타니하마(노IC - 나다치타니하마SA)
- 조에쓰(조에쓰IC - 가키자키IC)
- 요네야마(가키자키IC - 요네야마IC)
- 사카에(나카노시마미쓰케IC - 산조쓰바메IC)
- 마키가타히가시(마키가타히가시IC - 구로사키PA)
과거에는 도야마니시IC - 도야마IC 구간에 도야마국이 있었으나, 2009년 아리소우미국의 개국에 맞춰 폐지되었다.
일본도로공단 시절에는 나가하마국에서는 간사이 지사의 후쿠이 관리사무소 방송을, 사바에국 이동 구간에서는 후쿠이 관리사무소와 같은 음성의 방송을 사용했다. 민영화 후, 중일본고속도로 관할이 된 나가하마국은 이치노미야 관리사무소로 이관되었고, 사바에국과 (폐지 전) 도야마국은 이치노미야 관리사무소와 같은 방송 형태로 변경되었다. 또한, 중일본고속도로 관내에는 야나가세, 이마조, 후도지, 다카오카, 아리소우미 방송국이 신설되었다. 한편, 동일본고속도로 관할이 된 나다치타니하마국 이동 구간에서는 기존과 같은 형태의 방송이 2013년 10월까지 계속되었다. 현재 방송 형식은 중일본고속도로와 동일본고속도로의 관할 경계인 아사히IC를 기준으로 서쪽(아리소우미국 이서)과 동쪽(나다치타니하마국 이동)이 다르다.
개통 당시 호쿠리쿠 자동차도는 나가오카 분기점(JCT)에서 마이바라 방면으로는 니시야마 나들목(IC)부터 순서대로 번호(1~33)를 부여했고, 나가오카 JCT에서 니가타쿠로사키 나들목 방면으로는 관에쓰 자동차도의 네리마 나들목부터 이어지는 번호(22~26)를 사용했다. 이때 킬로포스트는 나가오카 JCT를 기점으로 아사히 나들목 방면으로 가는 것과 아사히 IC 부근을 기점으로 마이바라 방면으로 가는 것 두 종류가 있어, 같은 노선에 동일한 거리 표시 값이 존재하는 임시적인 상태였다. 전 구간 개통에 맞춰 이를 정리 및 통합하여, 병행하는 JR 호쿠리쿠 본선처럼 마이바라 방면을 “상행선”, 니가타 방면을 “하행선”으로 정하고, 킬로포스트도 '''마이바라 JCT 기점, 니가타쿠로사키 IC 종점'''으로 변경되었다.[22] IC 번호 역시 마이바라 IC부터 니가타 방면으로, 오야베토나미 JCT 등의 건설 예정 분기점 및 나들목을 포함하여 연속 번호로 바꾸었다. 이러한 킬로포스트 및 IC 번호 변경에 따라 안내 표지 등은 1987년 5월부터 7월[22][50], 그리고 1988년 7월 중순까지[52] 두 차례에 걸쳐 교체 작업이 이루어졌다.
참고로, 나가오카 JCT의 구조는 호쿠리쿠 자동차도 니가타 방면에서 관에쓰 자동차도 도쿄 방면이 본선이며, 호쿠리쿠 자동차도 도야마 방면은 이것에 분기·합류하는 램프가 되어 있다.
1988년 (쇼와 63년)의 전선 개통 시, 마지막으로 완성된 서비스 에리어(SA)인 나다치타니하마 SA에는 전선 개통 기념비가 건립되어 있다. 또한, 호쿠리쿠 자동차도의 전 IC와 JCT의 형상을 그린 타일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2017년의 타일 교체 시에 철거되었다.
현재의 국도 116호니가타 서쪽 우회도로니가타 서쪽 나들목 - 쿠로사키 나들목(당시는 니가타 쿠로사키 IC)도 호쿠리쿠 자동차도로서 건설·개통되었지만, 그 이후의 호쿠리쿠 자동차도 연장 공사에 따라 고속 자동차 국도에서 일반 국도(자동차 전용도로)로 강등되어 무료 개방되었다. 또한, 현재의 관에쓰 자동차도 나가오카 JCT - 나가오카 IC, 니혼카이토호쿠 자동차도 니가타 중앙 JCT - 니가타 공항 나들목도 호쿠리쿠 자동차도로서 건설·개통되었지만, 전자는 관에쓰 자동차도 나가오카 IC 이남 구간의 개통 시에, 후자는 니혼카이토호쿠 자동차도 니가타 공항 IC 이북 구간이 연장 개업했을 때 호쿠리쿠 자동차도에서 분리되어 현재의 명칭이 되었다. 이러한 경위에서 고속 자동차 국도의 노선명으로서의 호쿠리쿠 자동차도에는 니가타 중앙 JCT - 니가타 공항 IC와 나가오카 IC - 나가오카 JCT도 포함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oad Timetable
http://www.kkr.mlit.[...]
2008-04-16
[2]
웹사이트
Expressway Opening Dates
http://www2.tokai.or[...]
2008-04-16
[3]
웹사이트
Oyashirazu Pia Park Profile
http://www.hrr.mlit.[...]
2008-04-16
[4]
학회발표
Privatization of the Japan Highway Public Corporation: Policy Assessment
http://www-sre.wu-wi[...]
2008-04-11
[5]
웹사이트
NEXCO-Central Business Outline
http://www.c-nexco.c[...]
2008-04-13
[6]
웹사이트
Japan's Expressway Numbering System
https://www.mlit.go.[...]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22-04-04
[7]
웹사이트
みちのつぶやき~NEXCO中日本~ (@cnexco_official)の2021年10月25日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21-10-25
[8]
문서
상하선이 떨어져 있고, 좌우도 반대이기 때문이다.
[9]
웹사이트
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の高速道路会社への事業許可および準備段階調査着手について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도로국
2022-09-30
[10]
웹사이트
近畿地方整備局管内 地域高規格道路網図
http://www.kkr.mlit.[...]
국토교통성 근기지방정비국
2017-06-12
[11]
웹사이트
この道が滋賀の未来をつくる
https://www.kkr.mlit[...]
국토교통성 근기지방정비국 시가국도사무소
2017-06-12
[12]
문서
2023년 12월 1일부터 인근 [[에치젠타케후역]] 버스 정류장을 사용하고 있다.
[13]
웹사이트
地域高規格道路 福井港丸岡インター連絡道路
http://www.pref.fuku[...]
후쿠이현 미쿠니토보쿠사무소
2017-06-12
[14]
서적
北陸自動車道20周年記念誌
일본도로공단 가나자와관리국
[15]
웹사이트
地域高規格道路について - 福井加賀道路
http://www.pref.fuku[...]
후쿠이현
2017-05-28
[16]
서적
북륙자동차도
일본도로공단 고속도로 가나자와건설국
[17]
웹사이트
북륙도의 미성 버스정류장
https://morisake.web[...]
2024-06-28
[18]
웹사이트
地域高規格道路『松本糸魚川連絡道路』について
http://www.pref.naga[...]
나가노현
2017-06-02
[19]
뉴스
니가타현, 국가에 IC 정비 요망 원전 사고시 피난 정체 완화로
https://www.nikkei.c[...]
[20]
웹사이트
고속도로회사에의 사업허가 및 스마트인터체인지의 준비단계조사에의 채택등을 실시했습니다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도로국
2020-10-23
[21]
웹사이트
니가타 중앙순환도로
https://www.city.nii[...]
니가타시
2017-06-09
[22]
뉴스
일본도로공단, 북륙도의 니가타쿠로사키-조에쓰간 거리표 변경
1987-04-21
[23]
서적
도야마시사 제4권
도야마시
1969-12-20
[24]
뉴스
알고보니! 도야마의 고속도로・12 왜 도카오카를 통과하지 않는가 주택을 피해 산쪽으로
2019-10-03
[25]
서적
후루사토 이시카와 역사관
호쿠리쿠신문사
2002-06-10
[26]
서적
각화일본지명대사전 16 도야마현
각화서점
1979-10-08
[27]
서적
토이나마시 50년사
토이나마시
2004-03-25
[28]
뉴스
북륙자동차도 오늘 건설의 첫걸음, 북륙자동차도 어제 기공식
1968-09-11
[29]
서적
구로베시사 역사민속편
구로베시
1992-03-25
[30]
웹사이트
NEXCO중일본 가나자와지사관내 개통상황
https://hokuriku-inf[...]
중일본고속도로
2022-01-22
[31]
잡지
민영의 현정
도야마현 총무부 현민과 기획・발행
1972-12
[32]
잡지
민영의 현정
도야마현 총무부 현민과 기획・발행
1973-12
[33]
뉴스
북륙자동차도・토이나마-가나자와히가시간 화려하게 개통식
1974-10-30
[34]
뉴스
북륙자동차도・도야마-고스기간 숙원의 개통, 3현도 연결
1975-10-04
[36]
서적
立山町史 下巻
立山町
1984-02-15
[37]
서적
北陸自動車道20周年記念誌
日本道路公団金沢管理局
[38]
웹사이트
新潟県の道路建設のあゆみ
https://www.pref.nii[...]
新潟県土木部道路建設課
2022-01-22
[39]
뉴스
北陸ハイウエー 富山 - 敦賀間ノンストップ 金沢東 - 西IC間開通 55年春には名神直結
1978-10-13
[40]
뉴스
北陸自動車道、名神と直結――道路公団大阪が敦賀―米原間を完成、4月7日に開通
1980-03-08
[41]
서적
北陸自動車道20周年記念誌
日本道路公団金沢管理局
[42]
서적
北陸自動車道20周年記念誌
日本道路公団金沢管理局
[43]
뉴스
新川地区まで延びる 北陸自動車道富山-滑川間が開通
1980-12-20
[44]
뉴스
さあ来月12日着工だ 親不知トンネル 完成は60年3月 北陸自動車道 市振トンネルも計画
1982-10-29
[45]
서적
北陸自動車道20周年記念誌
日本道路公団金沢管理局
[46]
뉴스
道路公団新潟建設局、北陸自動車道米山―上越間を来月9日開通
1983-10-08
[47]
서적
上越市史 通史編6 現代
上越市
2002-03-31
[48]
뉴스
北陸自動車道 県内を“全通” 滑川以東、6年ぶり完成
1983-12-14
[49]
뉴스
北陸自動車道、滑川―朝日間きょう開通――富山県を貫通
1983-12-13
[50]
서적
北陸自動車道20周年記念誌
日本道路公団金沢管理局
[51]
뉴스
北陸自動車道 親不知海岸高架橋が連結 "日本最長"の3374メートル 来春開通 米原 - 新潟つながる
1987-11-13
[52]
서적
北陸自動車道20周年記念誌
日本道路公団金沢管理局
[53]
뉴스
北陸道が全線開通 朝日-名立谷浜間59.5キロ
1988-07-21
[54]
뉴스
名立谷浜―朝日、北陸道7月20日全通――工期2年短縮
1988-05-21
[55]
뉴스
新潟のご当地アイドルNegiccoが高速道開通40年祝う SAイチ押しは「南蛮えび煎餅」
https://www.sankei.c[...]
2022-08-28
[56]
서적
北陸自動車道20周年記念誌
日本道路公団金沢管理局
[57]
서적
北陸自動車道20周年記念誌
日本道路公団金沢管理局
1993-03
[58]
서적
北陸自動車道20周年記念誌
日本道路公団金沢管理局
1993-03
[59]
뉴스
東海北陸道 日本海側初の開通 福光-小矢部砺波11.1キロ
1992-03-29
[60]
서적
糸魚川市史 昭和編 資料集
糸魚川市役所
2007-03-31
[61]
뉴스
磐越、北陸道28日一部開通
交通新聞社
1994-07-12
[62]
간행물
北陸自動車道 上越・朝日間 4車線化
朝日町役場
1993-11
[63]
뉴스
能越道が部分開通 小矢部砺波JCT-福岡IC間
1996-03-29
[64]
서적
新聞に見る20世紀の富山 第3巻
北日本新聞社
2000-11-26
[65]
웹사이트
広報はくさん 第2号
https://www.city.hak[...]
白山市市民生活部広報広聴課
2021-01-05
[66]
웹사이트
2005_04.pdf
https://www.town.nyu[...]
入善町
2021-05-18
[67]
웹사이트
広報南えちぜん 平成17年(2005年)12月号
https://www.town.min[...]
南越前町企画財政課情報政策室
2020-10-14
[68]
웹사이트
2006_11.pdf
https://www.town.nyu[...]
入善町
2021-05-18
[69]
웹사이트
広報はくさん 第21号
https://www.city.hak[...]
白山市市民生活部広報広聴課
2021-01-05
[70]
웹사이트
高速自動車国道へのインターチェンジの追加設置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7-06-12
[71]
웹사이트
高速道路への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の追加設置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7-06-12
[72]
웹사이트
高速自動車国道へのインターチェンジの追加 〜小谷城、宝塚北及び敦賀南スマートIC、すさみ西ICの追加を決定〜
https://www-1.kkr.ml[...]
国土交通省 近畿地方整備局
2013-12-26
[73]
웹사이트
広報はくさん 第87号
https://www.city.hak[...]
白山市市民生活部広報広聴課
2020-01-05
[74]
웹사이트
インターチェンジの追加設置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7-06-12
[75]
웹사이트
新道路管制センターを公開、10月中旬運用開始― NEXCO東日本新潟支社
http://www.kensetuso[...]
株式会社 建設速報社
2017-06-12
[76]
웹사이트
舞鶴若狭自動車道 小浜IC〜敦賀JCTは7月中の開通を目指します 〜インターチェンジなどの名称も決定〜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7-06-12
[77]
웹사이트
舞鶴若狭自動車道 小浜IC〜敦賀JCTが7月20日(日)15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7-06-12
[78]
웹사이트
3月1日(日)から北陸自動車道高岡砺波スマートICおよび東海北陸自動車道南砺スマートICがご利用いただけます
http://www.c-nexco.c[...]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7-06-12
[79]
웹사이트
中部縦貫自動車道 3月1日(日)福井北JCT・IC〜松岡ICが開通します! 〜中部縦貫自動車道と北陸自動車道が接続〜
http://www.c-nexco.c[...]
国土交通省 近畿地方整備局/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7-06-12
[80]
웹사이트
企業誘致や広域交流を促進! 北陸自動車道 長岡北スマートICが3月25日(土)14時に開通
https://www.e-nexco.[...]
長岡市 土木部 土木政策調整課/東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新潟支社/新潟県長岡地域振興局
2017-02-17
[81]
웹사이트
北陸自動車道「小谷城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の開通について
https://www.c-nexco.[...]
滋賀県/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名古屋支社/長浜市
2017-06-12
[82]
웹사이트
国道8号大雪通行止めに伴う北陸自動車道(丸岡⇔加賀間)の代替路(無料)措置について
https://www.c-nexco.[...]
福井県/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金沢支社/坂井市
2018-02-07
[83]
뉴스
NEXCO中日本、北陸道 福井IC-加賀ICを代替路として無料開放…国道8号 大雪通行止
https://response.jp/[...]
Response.
2020-10-30
[84]
웹사이트
E8 北陸道 能美根上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が 2018年3月25日(日)15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能美市・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7-12-27
[85]
서적
北國新聞で見る 平成いしかわの30年
北國新聞社
2019-08-05
[86]
웹사이트
E8 北陸道 南条スマートICが24時間ご利用いただけます 〜2018年3月28日(水)午前6時より〜
https://www.c-nexco.[...]
南越前町・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8-03-02
[87]
웹사이트
E8 北陸道 安宅スマートICが24時間ご利用可能となります 〜2020年3月29日(日)午前6時より〜
https://www.c-nexco.[...]
石川県・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20-02-20
[88]
뉴스
NEXCO中日本、北陸道 安宅スマートICを3月29日から24時間化。小松空港の運用時間延長に対応
https://travel.watch[...]
トラベルWatch
2020-10-14
[89]
웹사이트
E8 北陸道「上市スマートIC」が2020年12月13日(日)11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富山県上市町・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20-11-12
[90]
뉴스
通行止めの北陸自動車道・敦賀―今庄IC 下り復旧は8月末
https://www.kyoto-np[...]
京都新聞
2022-08-08
[91]
뉴스
北陸道上り線の通行止めは8月10日午前0時解除 一部区間を無料化
https://www.fukuishi[...]
福井新聞ONLINE
2022-08-09
[92]
뉴스
北陸道下り線、敦賀IC―今庄IC間の通行止め解除 8月27日ネクスコ中日本、大雨被害から3週間ぶり復旧
https://www.fukuishi[...]
福井新聞ONLINE
2022-08-27
[93]
웹사이트
E8北陸自動車道 大潟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 令和5年3月1日(水)午前6時から24時間の利用が可能となります
https://www.city.joe[...]
上越市・東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23-03-02
[94]
보도자료
【E8】北陸自動車道 黒埼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 令和5年3月25日(土)から運用形態が変更となります 〜車種制限の解除及び24時間の利用が可能に〜
https://www.e-nexco.[...]
新潟市土木部道路計画課・東日本高速道路新潟支社
2023-03-25
[95]
뉴스
立山IC ETC専用に 8月31日から 丸岡・美川ICも
북일본신문
2023-06-24
[96]
뉴스
【地震による交通への影響】北陸自動車道・東海北陸道の一部区間で通行止め
https://newsdig.tbs.[...]
TBS NEWS DIG
2024-05-18
[97]
웹사이트
国道8号災害通行止に伴い 北陸自動車道・上信越自動車道を代替路(通行無料)として活用
https://www.e-nexco.[...]
東日本高速道路
2024-01-12
[98]
뉴스
【能登半島地震】北陸自動車道の通行止め解除 1月2日21時
https://www.fukuishi[...]
福井新聞ONLINE
2024-01-12
[99]
보도자료
国道8号上越市茶屋ヶ原地先 通行止めを解除します(終報)
https://www.hrr.mlit[...]
국토교통성 북륙지방정비국 다카다하천국도사무소
2024-01-27
[100]
웹사이트
2024年12月5日(木)からE8北陸道の3料金所がETC専用料金所になります 〜ETC専用料金所では、ETC車でのご利用をお願いします〜
https://www.c-nexco.[...]
중일본고속도로주식회사
2024-12-05
[101]
뉴스
福井県の福井北ICと鯖江IC、12月5日からETC専用に 北陸自動車道の料金所、富山西ICも
https://www.fukuishi[...]
福井新聞
2024-12-05
[102]
웹사이트
天嶮に架かる橋 北陸自動車道・親不知海岸高架橋(糸魚川市)
http://jsce-niigata.[...]
토목학회관동지부니가타회
2016-03-17
[103]
웹사이트
令和2年度全国道路・街路交通情勢調査の延期について
https://www1.mlit.go[...]
국토교통성 도로국
2021-04-04
[104]
문서
본선상에 시정촌명의 간판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