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조주의 언어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조주의 언어학은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저작을 바탕으로 시작되었으며, 현대 언어학과 기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언어 체계(langue)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개별 발화(parole)보다는 언어의 구조를 중시한다. 유럽에서는 제네바 학파, 프라하 언어학원, 코펜하겐 학파 등에 영향을 미쳤고, 미국에서는 빌헬름 분트의 구조 심리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에 기반한 언어학 학파가 '미국 구조주의'로 불리기도 했다. 구조주의 언어학은 기호, 패러다임 관계, 구문 관계를 핵심 개념으로 하며, 언어의 형식과 의미의 상호 작용을 탐구한다. 구조주의 언어학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순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지만, 통사 정보 없이는 형태론 기술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조주의 - 기표와 기의
    기표와 기의는 소쉬르가 제시한 기호의 두 요소로, 기표는 감각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 기의는 기표가 나타내는 개념이나 의미를 뜻하며, 이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구조주의 - 일반언어학 강의
    일반언어학 강의는 소쉬르의 제자들이 그의 강의 노트를 바탕으로 편집하여 출간한 책으로, 랑그와 빠롤, 기표와 기의, 공시태와 통시태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현대 언어학의 기초를 다지고 구조주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내용 정확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구조주의 언어학
개요
유형언어학의 한 분야
하위 분야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역사적 맥락
주요 인물페르디낭 드 소쉬르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
로만 야콥슨
레너드 블룸필드
루이 옐름슬레우
에밀 뱅베니스트
주요 사상언어는 자율적인 구조 체계이다.
언어 요소는 서로 관계를 맺으며 의미를 형성한다.
공시태 연구와 통시태 연구를 구분한다.
언어 기호는 기표와 기의의 자의적인 결합이다.
이론적 특징
핵심 개념기호
구조
체계
관계
공시태
통시태
랑그
파롤
기표
기의
분석 방법언어 요소를 최소 단위로 분해하여 분석한다.
언어 요소 간의 관계와 체계를 파악한다.
언어 현상을 공시적인 관점에서 기술한다.
특징언어의 내적인 구조와 체계에 집중한다.
언어의 사회적, 심리적 요인을 배제한다.
언어의 역사적인 변화보다 현재의 상태를 중시한다.
영향언어학 연구 방법론의 혁신을 가져왔다.
인접 학문 분야(인류학, 문학, 철학 등)에 영향을 미쳤다.
비판 및 한계
비판언어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간과한다.
언어 사용자의 능동적인 역할을 무시한다.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분석에 치중한다.
한계언어 변화와 발달 과정을 설명하기 어렵다.
실제 언어 사용 현상을 포착하기 어렵다.
언어의 창조성과 다양성을 설명하기 어렵다.
관련 분야
관련 분야기호학
인류학
문학 이론
철학
사회학

2. 역사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일반 언어학 강의''(1916)에서 시작된 구조주의 언어학은 유럽과 미국에서 각각 독립적인 전통으로 발전했다. 유럽에서는 제네바 학파, 프라하 언어학원, 코펜하겐 학파 등 다양한 학파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문학 전반에 걸쳐 구조주의 운동을 일으켰다.[11]

반면, 미국에서는 빌헬름 분트의 구조 심리학과 행동주의 심리학[13]에 기반한 '미국 구조주의'가 등장했다.[14] 레너드 블룸필드를 중심으로 분포주의, '미국 기술주의' 등으로 불렸으며, 의미론과 분리된 통사론의 자율성을 강조했다.[18] 노엄 촘스키는 블룸필드의 ''행동주의''에 반대하며 '구조주의'를 거부했다.[19]

인문학에서의 구조적 접근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철학에서 파생된 19세기 정신(Geist) 사상에서 비롯되었다.[21][15] 에밀 뒤르켐허버트 스펜서의 유기적 유추를 인문주의적으로 수정하여, 사회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기관)를 가진 유기체에 비유했다. 뒤르켐은 유기적 연대를 통한 인구 증가가 공동체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증가시켜 사회를 창출한다고 보았다.[23]

알프레드 레지날드 래드클리프브라운과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사회 인류학에서 구조주의적 언급은 필수적이 되었다.[6][24]

소쉬르는 언어학에서 아우구스트 슐라이허의 다윈식 유기적 유추를 수정하여 사용했다. 그의 개념인 ''랑그''(la langue)는 사회 유기체 또는 정신이다. 소쉬르는 언어 변화 연구를 통시적 분석으로, 언어 체계 연구를 공시적 분석으로 정의했다.

루이 옐름슬레우는 소쉬르의 구조적 설명을 발전시켜 언어가 내용과 표현의 구조화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2. 1. 구조주의 언어학의 기원

구조주의 언어학은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사후 출판된 저서인 ''일반 언어학 강의''(1916)에서 시작되었으며, 이 책은 그의 제자들이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편집했다.[10] 이 책은 현대 언어학과 기호학 모두에 기초를 제공하면서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10] 구조주의 언어학은 용어의 모호성 때문에 독립적인 유럽 및 미국 전통을 낳은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0] 일반적으로 구조주의 언어학은 소쉬르의 저작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는 빌헬름 분트의 구조 심리학에 기반한 미국의 언어학 학파에 의해 거부되었다.[10]

2. 2. 유럽 구조주의

유럽에서, 소쉬르는 알베르 세셰예와 샤를 발리의 제네바 학파, 프라하 언어학원, 루이 옐름슬레우의 코펜하겐 학파, 앙드레 마르티네와 알기르다스 율리엔 그레마스의 파리 학파, 시몬 디크의 네덜란드 학파에 영향을 미쳤다.[11] 구조 언어학은 인문학의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구조주의 운동을 일으켰다.

2. 3. 미국 구조주의 (기술주의)

191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빌헬름 분트의 구조 심리학과 행동주의 심리학[13]의 영향을 받은 미국의 언어학 학파는 '미국 구조주의'라고 불리기도 했다.[14] 이 학파는 언어를 의미와 표현의 상호작용으로 보지 않고, 문명화된 인간의 마음이 이진 분기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했다는 점에서 소쉬르식 구조주의와는 차이가 있었다.[10]

이 학파는 분포주의, '미국 기술주의', 또는 레너드 블룸필드의 이름을 따서 '블룸필드 학파'나 '포스트 블룸필드 학파'라고도 불린다.[10] 블룸필드는 자신의 접근 방식을 '기술적' 또는 '철학적-기술적'이라고 불렀다.[16] 그는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영감을 받아 언어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그 규칙성을 강조했다.[12]

미국 기술주의자들은 통사론의 자율성을 의미론으로부터 주장했다는 점에서, 기호학을 생리학과 분리된 것으로 간주하는 구조 언어학자들과는 달랐다.[18]

노엄 촘스키레너드 블룸필드의 1933년 교과서 ''언어''의 ''행동주의''에 반대하며 '구조주의'를 거부했다.[19]

문자가 없는 미지의 언어를 기술할 때, 구조주의 언어학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순서로 단계를 밟아 분석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각 단계가 완전히 독립적이지 않아 형태론 단계에서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3. 핵심 이론 및 방법

존 E. 조셉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5년 동안 등장한 구조주의의 몇 가지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체계적인 현상과 공시태적 차원''': 구조 언어학은 개별 발화(parole)보다는 언어 체계(langue)를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공시태적 차원을 강조한다. 심지어 parole를 연구하려는 시도조차 종종 langue의 영역에 요소를 통합한다.[4]
  • '''parole보다 langue의 우선성''': 구조주의자들은 간접적으로 관찰 가능하고 parole를 통해 재구성될 수 있는 langue의 가상적 체계가 실제 발화보다 더 근본적이고 "실재적"이라고 믿는다.[4]
  • '''의미보다 형식의 우선성''': 일부 예외도 있지만, 언어 형식은 의미보다 우선하며, 이는 신문법학파의 전통을 잇는 것이다.[4]
  • '''문어의 주변화''': 문어는 구어의 이차적인 표현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관점은 구조주의적 접근 방식에 따라 다르다.[4]
  • '''사회적, 행동적 또는 인지적 측면과의 연결''': 구조주의자들은 langue의 구조를 언어를 넘어 사회적, 행동적, 정신-인지적 측면을 포함한 더 광범위한 현상과 연결하려 한다.[4]


구조 언어학은 음운론을 먼저 정비하고, 형태론통사론으로 단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통사 정보 없이는 형태론을 제대로 기술할 수 없는 등, 단계가 일방향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이 점차 밝혀졌다.

루이 옐름슬레프는 자신의 저서 ''언어 이론 입문''에서 언어의 패러다임적 조직과 구문의 관계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이는 형식 언어학 탄생의 계기가 되었다. 옐름슬레프의 모델은 체계 기능 문법, 기능 담화 문법, 덴마크 기능 문법에 통합되었다.

3. 1. 기호 (기호학)

구조 언어학의 기초는 기호이며, 이는 기표와 기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기표"는 아이디어나 개념이며, "기호"는 기표를 표현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단어와 같은 "기호"는 기표와 기의의 결합된 연상이다. 기호의 가치는 다른 기호와 대조를 통해서만 정의될 수 있다. 이것은 나중에 기호학적 조직의 패러다임적 차원(서로 대립하는 용어와 용어 목록)의 기초를 형성한다. 이는 언어 구조가 의미와 분리되어 검토될 수 있다거나, 개념 시스템의 조직이 기표 시스템의 상응하는 조직 없이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과 극명하게 대조된다.

3. 2. 패러다임적 관계와 구문론적 관계

구조 언어학의 기초는 기호이며, 기표(아이디어나 개념)와 기의(기표를 표현하는 수단)로 구성된다. 기호의 가치는 다른 기호와의 대조를 통해서만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기호학적 조직의 패러다임적 차원의 기초가 된다.

패러다임 관계는 'cat, bat, hat, mat, fat'처럼 초기 소리가 바뀌면서 음운론적으로 구분되는 단어 집합이나, 'ran, run, running'처럼 형태론적으로 구분되는 단어 집합과 같이, 공통점을 가지면서도 서로 대조되는 단위들 사이의 관계이다. 세트는 항상 둘 이상의 단위로 구성되어야 한다.

구문 관계는 패러다임적 관계에서 선택된 단위들이 결합되어 구조를 이루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je dois|나는 해야 한다프랑스어와 dois je?|내가 해야 하나?프랑스어를 비교하면, 단어 순서를 바꾸는 것만으로 질문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조 언어학자는 이러한 패러다임적 관계와 구문론적 관계를 통해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예를 들어 형태론에서 'cat'과 'cats'는 'cat'이라는 단어 형태의 추상적인 패러다임을 만들고, 이를 통해 영어에서 복수형은 단어 끝에 -s를 붙이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3. 이중 분절

앙드레 마르티네는 언어가 이중 분절 체계라고 보았다. 이중 분절에서 '분절'은 '결합'을 의미한다. 언어의 첫 번째 분절 수준은 최소 의미 단위(단어 또는 형태소)를 포함하고, 두 번째 수준은 최소 구별적 무의미 단위(음소)를 포함한다. 이중 분절 덕분에, 소수의 음성 단위로 언어의 모든 필요한 단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의미는 무의미 단위의 조합과 연관된다.[27]

마르티네는 "자유롭게 결합 가능한 수천 개의 단위는, 분절되지 않은 수백만 개의 외침으로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라고 하였다.[28]

3. 4. 의미와 형식의 상호작용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언어가 형식과 의미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소쉬르는 기호(기표-기의)는 개념 체계가 물리적 현실과 구별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cat'이라는 기호는 실제 고양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k], [æ], [t] 소리의 조합과 고양이의 개념 간의 연관성을 의미한다. 개념 목록의 각 항목은 표현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 두 수준이 서로를 정의하고, 조직하고, 제한한다.[31]

음운 체계와 의미 체계 조직의 핵심 개념은 대립과 변별성이다. 각 음소는 주어진 언어의 음운 체계의 다른 음소와 구별된다. 변별성 개념은 프라하 언어학파에 의해 언어의 음운 조직을 설명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언어의 음성 체계를 연구하는 현대 음운론의 토대를 마련했다.[12] 또한 빌헬름 폰 훔볼트의 영향을 받았다.[32]

마찬가지로, 각 개념은 개념 체계의 다른 모든 개념과 구별되며, 다른 개념과의 대립으로 정의된다. 루이 옐름슬레프는 언어의 내용 수준이 표현 수준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는 그의 아이디어를 통해 구조 의미론의 기초를 다졌다.[33] 언어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방식이라는 의미에서 구조적 설명은 포스트구조주의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34]

4. 구조적 설명

구조주의에서 언어 요소는 서로 간의 관계 속에서 설명된다. 예를 들어, 한 문법적 격의 기능을 이해하려면 다른 모든 격, 더 나아가 언어의 다른 모든 문법 범주와 대조해야 한다.[20]

인문학에서 구조적 접근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철학에서 파생된 19세기의 정신(Geist) 사상에서 비롯되었다.[21][15] 이 이론에 따르면, 사회나 언어는 공동체의 집단적 정신에서 생겨나며, 이 정신은 때때로 '유기체'로 묘사된다.[22] 사회학에서 에밀 뒤르켐허버트 스펜서의 유기적 유추를 인문주의적으로 수정했다. 뒤르켐은 스펜서의 이론에 따라 사회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기관)를 가진 유기체에 비유했다. 뒤르켐에게 사회에 대한 구조적 설명은 유기적 연대를 통한 인구 증가(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동을 통해 일어난다고 믿는 스펜서와는 달리)가 공동체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증가시켜 사회를 창출한다는 것이다.[23]

언어학적 '구조주의'가 소쉬르의 사후 프라하 언어학원에 의해 확립되었을 때 구조적 설명에서 기능적 설명으로의 전환에 따라 구조주의적 언급은 필수적이 되었다. 이는 알프레드 레지날드 래드클리프브라운과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사회 인류학에서 나타났다.[6][24]

소쉬르는 언어학에서 아우구스트 슐라이허의 다윈식 유기적 유추를 수정하여 사용했다. 그의 개념인 ''랑그''(la langue)는 사회 유기체 또는 정신이다. 인문주의 언어학에서 구조주의와 기능주의는 몇 가지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명백히 반 다윈주의적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6] 이는 언어 구조가 경쟁을 통한 선택의 관점에서 설명되지 않으며, 생물학적 은유가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25] 더욱이 소쉬르는 진화 언어학을 완전히 포기하고,[7] 대신 공시적 분석을 언어 체계 연구로, 통시적 분석을 언어 변화 연구로 정의했다. 이러한 주의 사항과 함께, 언어에 대한 구조적 설명은 물질적 요인이나 실체와의 관계에서 구조를 설명하는 생물학의 구조주의와 유사하다.[26] 소쉬르의 설명에서 구조는 의미와 표현의 연관성의 체계적 결과에서 비롯된다.[9] 이는 언어의 구조를 공동체의 의사 소통적 필요에 대한 언어의 "적응"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기능적 설명과 대조될 수 있다.[25]

옐름슬레프는 소쉬르의 구조적 설명을 발전시켜 언어가 내용과 표현의 구조화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그는 언어의 본질은 언어 구조의 유형론적 연구를 통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옐름슬레프의 해석에서 언어가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물리적, 심리적 또는 다른 선험적 원칙은 없다. 표현 차원에서의 언어 간 유사성은 의미를 표현해야 할 필요성에 달려 있으며, 반대로 내용 차원에서의 언어 간 유사성은 표현의 필요성에 따라 의미 잠재력을 구조화해야 할 필요성에 달려 있다.

linguiste프랑스어(언어학자)는 언어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동일하게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는 동일한 것의 상호 보완적인 측면이다. 언어 간의 유사성은 그들의 바로 구조적 원리이며, 언어 간의 차이점은 그 원리를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언어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은 언어 자체의 내부 구조에 있으며, 언어 외적 요인에 기인하는 유사성이나 차이점은 없다.

— 루이 옐름슬레프, [17]

5. 구조주의 언어학의 현대적 의의 및 한계

생성 문법 학파는 구조주의적 접근 방식을 시대에 뒤떨어지고 대체된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미첼 마커스는 구조 언어학이 "자연어의 전체 범위를 처리하는 데 근본적으로 부적절했다"고 썼다.[41] 홀랜드는 촘스키가 "소쉬르를 결정적으로 반박했다"고 썼다.[42] 얀 코스터,[43] 마크 터너,[44] 사회생물학의 다른 옹호자들도 이와 유사한 견해를 표명했다.[45][46]

그러나 길버트 라자르와 같이 소쉬르의 사상과 구조주의적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학자들도 있다.[47] 라자르는 촘스키적 접근 방식을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일축하면서 언어학이 더욱 과학적이 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소쉬르 구조주의로의 복귀를 환영했다.[47] 매튜스는 "제안된 많은 정의에 따르면 구조주의자이지만, 스스로는 전혀 그렇지 않다고 강력하게 부인하는 많은 언어학자"의 존재를 언급하며 구조주의 패러다임의 지속성을 시사한다.[48]

1950년대에 소쉬르의 사상은 대륙 철학, 인류학 등 여러 분야의 저명인사들에게 차용되었고, 문학 이론으로 차용되어 소설 및 기타 텍스트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소쉬르의 사상이 대륙 철학자와 문학 이론가들에 의해 오해되거나 의도적으로 왜곡되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소쉬르 자신이 파롤(parole)의 범주로 굳게 위치시켜 자신의 이론적 구성에 적합하지 않다고 여겼을 텍스트 수준에는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는 비판도 있었다.[49][50]

5. 1. 과학적 타당성

소쉬르의 언어 발생 모델인 발화 회로는 '랑그'(언어 자체)가 뇌 외부에 존재하며, '파롤'(언어 사용)을 통해 수용된다고 설명한다. 소쉬르는 주로 상호작용 모델을 사용했지만, 발화 회로는 뇌가 언어에 의해 형성되지만 의미와 형식의 상호작용적 연관이 궁극적으로 뇌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언어가 뇌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신경영상 연구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개념과 대체로 일치한다. ERP 연구는 언어 처리가 선천적인 문법 구조가 아닌, 구문론과 의미론의 상호작용에 기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36][37] MRI 연구는 아이의 뇌가 첫 번째 언어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는 것을 발견했다.[38] 반대로, 연구 증거는 구문 구조가 뇌가 자연스럽게 구문 구조를 처리하는 방식을 반영한다는 역발상을 뒷받침하지 못했다.[39] 소쉬르에서 파생된 기능 문법은 뇌 연구와 언어 구조의 비교언어학적 연구에서 나타나는 언어관과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된다.[40]

5. 2. 생성 문법과의 관계

생성 문법 학파는 구조주의적 접근 방식을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41] 예를 들어, 미첼 마커스는 구조 언어학이 "자연어의 전체 범위를 처리하는 데 근본적으로 부적절했다"고 썼다.[41] 홀랜드는 촘스키가 "소쉬르를 결정적으로 반박했다"고 썼다.[42] 얀 코스터,[43] 마크 터너,[44] 사회생물학의 다른 옹호자들도 이와 유사한 견해를 표명했다.[45][46]

그러나 길버트 라자르와 같이 소쉬르의 사상과 구조주의적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학자들도 있다.[47] 라자르는 촘스키적 접근 방식을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일축하면서 언어학이 더욱 과학적이 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소쉬르 구조주의로의 복귀를 환영했다.[47] 매튜스는 "제안된 많은 정의에 따르면 구조주의자이지만, 스스로는 전혀 그렇지 않다고 강력하게 부인하는 많은 언어학자"의 존재를 언급하며 구조주의 패러다임의 지속성을 시사한다.[48]

노엄 촘스키레너드 블룸필드의 1933년 교과서 ''언어''의 ''행동주의''에 반대했는데, 이 과정에서 우연히 적절한 구조주의에도 반대하게 되었다.[19][12]

5. 3. 다른 학문에 미친 영향

알베르 세셰예와 샤를 발리의 제네바 학파, 프라하 언어학원, 루이 옐름슬레우의 코펜하겐 학파, 앙드레 마르티네와 알기르다스 율리엔 그레마스의 파리 학파, 시몬 디크의 네덜란드 학파 등 유럽의 여러 학파에 소쉬르는 영향을 미쳤다.[11] 구조주의 운동이 일어나면서 구조 언어학은 인문학의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주었다.

1950년대에 소쉬르의 사상은 대륙 철학, 인류학 등 여러 분야의 저명인사들에게 차용되었고, 문학 이론으로 차용되어 소설 및 기타 텍스트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소쉬르의 사상이 대륙 철학자와 문학 이론가들에 의해 오해되거나 의도적으로 왜곡되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소쉬르 자신이 파롤(parole)의 범주로 굳게 위치시켜 자신의 이론적 구성에 적합하지 않다고 여겼을 텍스트 수준에는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는 비판도 있었다.[49][50]

5. 4. 한계

구조주의 언어학은 음운론, 형태론 연구에 치중하고 통사론, 의미론 연구에는 어려움을 겪었다는 비판을 받는다.[19] 특히, 문자조차 없는 미지의 언어를 기술할 때, 소리 채취, 형태소 정리, 통사 기술, 의미 기술 단계를 따르는데, 구조주의 언어학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순서로 분석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통사 정보 없이는 형태론을 제대로 기술하기 어렵다는 점이 밝혀져 형태론 단계에서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19]

한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구조주의 언어학이 언어의 사회적 기능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제기하기도 한다.

6. 대표적인 구조주의 언어학자

참조

[1] 논문 Linguistique générale, linguistique structurale, linguistique fonctionnelle 1989
[2]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Open Court House
[4] 서적 From Whitney to Chomsky: Essays in the History of American Linguistics John Benjamins
[5] 서적 Biology as Society, Society as Biology: Metaphors Springer 2013
[6] 서적 Prague Linguistic Circle Papers, Vol. 3 John Benjamins
[7] 서적 On Looking into Words (and Beyond): Structures, Relations, Analyses https://langsci-pres[...] SUNY Press 2020-03-03
[8] 서적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3e éd.) https://gallica.bnf.[...] Payot
[9] 서적 History of Structuralism, Vol.1: The Rising Sign, 1945-1966; translated by Edborah Glassman https://monoskop.org[...]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7
[10] 서적 Western linguistics: An historical introduction Wiley-Blackwell
[11] 서적 Key Thinkers in Linguistics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2] 서적 History of Structuralism, Vol.2: The Sign Sets, 1967- Present; translated by Edborah Glassman https://monoskop.org[...]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7
[13] 서적 History of the Language Sciences: An International Handbook on the Evolution of the Study of Language from the Beginnings to the Present https://pure.mpg.de/[...] Walter de Gruyter 2020-06-28
[1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5] 논문 The mind of the nation: the debate about Völkerpsychologie https://discovery.uc[...] 2020-07-08
[16] 서적 Language Holt 1933
[17] 서적 Prolegomena to a Theory of Languag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9
[18] 논문 Structuralism and autonomy: from Saussure to Chomsky 2005
[19] 서적 Chomsky Noteboo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 논문 Modern linguistic typology
[21] 논문 Structuralism in modern linguistics 1945
[22] 서적 Philology: The Forgotten Origins of the Modern Humani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서적 Sociological Theory in the Classical Era:Text and Readings SAGE publications
[24] 서적 Functionalism in Linguistics John Benjamins 1987
[25] 서적 Markedness in synchrony and diachrony De Gruyter 1989
[26] 서적 Functionalism and Formalism in Linguistics, Vol. 1 John Benjamins
[27] 서적 The Routledge Encyclopedia of Film Theory Routledge
[28] 서적 Elements of General Linguistics Faber and Faber
[29] 서적 Prolégomènes à une théorie du langage Les éditions de minuit 1971
[30] 서적 The Port-Royal Grammar Mouton
[31] 서적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https://web.archive.[...] Philosophy Library 2020-06-16
[32] 서적 Stand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Stanford University 2020-08-23
[33] 서적 Trends in Structural Semantics Narr Verlag
[34] 서적 Understanding Poststructur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5] 서적 Éléments de syntaxe structurale Klincksieck
[36] 논문 Subjacency as a processing phenomenon http://kutaslab.ucsd[...] 1993-00-00
[37] 논문 Referential processing in the human brain: An Event-Related Potential (ERP) study http://kutaslab.ucsd[...] 2015-00-00
[38] 논문 Native language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connectome of the human brain 2023-02-19
[39] 논문 On the (non)universality of the preference for subject-object word order in sentence comprehension: A sentence-processing study in Kaqchikel Maya https://www.jstor.or[...] 2014-09-00
[40] 논문 Linguistic typology and theory construction: Common challenges ahead https://www.jstor.or[...] 2007-01-00
[41] 서적 Talking Minds: The Study of Language in Cognitive Science MIT P 1984-00-00
[42] 서적 The Critical I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2-00-00
[43] 서적 Language and Cognition Research Group for Linguistic Theory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of the University of Groningen 1996-00-00
[44] 서적 Death is the Mother of Beauty: Mind, Metaphor, Critic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00-00
[45] 논문 Saussure and literary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s 1988-00-00
[46] 서적 The Literary Animal: Evolution and the Nature of Narrative https://archive.org/[...]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05-00-00
[47] 논문 The case for pure linguistics 2012-00-00
[48] 서적 A Short History of Structural Linguistics Cambridge Univ. Press 2001-00-00
[49] 서적 Not Saussure: A Critique of Post-Saussurean Literary Theory Macmillan Press 1995-00-00
[50] 서적 Theorrhoea and After Macmillan 1998-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