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라마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어라마자는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중 하나로, 중화민국에서 표준어인 국어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928년 "국음자모 제2식"으로 공식 채택되었으며, 성조를 표기에 반영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한어 병음이 사용되면서 쇠퇴했고, 대만에서도 주음 부호 제2식으로 대체되어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국어라마자는 자오위안런 등 언어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개발되었으며, 일부 고유명사 표기나 학술 연구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 광둥어 예일 로마자 표기법
광둥어 예일 로마자 표기법은 19개의 성모와 53개의 운모를 사용하여 광둥어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분음 부호와 문자 'h'를 조합한 성조 표기가 특징이며 학습자에게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 한어병음
한어병음은 중국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1950년대에 개발되어 1958년 공식 채택되었으며 표준 중국어 교육 및 문맹 퇴치에 널리 사용되고, 성모와 운모의 조합 및 성조 부호로 구성되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 국어라마자 | |
|---|---|
| 명칭 | |
| 한국어 | 국어 로마자 |
| 원어명 | |
| 로마자 표기 | Gugeo Romaja |
| 다른 이름 | Gwoyeu Romatzyh |
| 개요 | |
| 종류 | 알파벳 로마자 표기법 |
| 대상 언어 | 표준 중국어 |
| 제정 | 1925년–1926년 |
| 창시 | 국어통일위원회 |
| 관련 인물 | 자오위안런 린위탕 리진시 첸쉬안퉁 왕이 () |
| 공식 문자 | 중화민국 (1928–1986) |
2. 역사
중화민국에서는 표준어 "국어"와 표준음 "국음" 보급에 힘썼으나, 1918년 공포된 국음 발음 기호는 "국음 자모"(주음 부호로 개칭)라는 독특한 문자였다. 첸쉬안퉁은 국음 자모에 로마자 표기를 추가할 것을 제안했고, 이후 자오위안런, 류푸, 리진시, 왕이 등이 국어 로마자를 만들었다. 국민 혁명 이후 1928년 국어 로마자는 "국음 자모 제2식"으로 정식 인정되었다. 1930년 국음 자모가 "주음 부호"로 개칭되면서 국어 로마자도 "주음 부호 제2식"으로 불렸다. 『국음 상용 자휘』(1932년)나 『국어 사전』(1945년)에는 주음 부호(제1식)와 함께 국어 로마자가 기재되었다.
린위탕이 성조 표기 방식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한어 병음(병음)을 정식 로마자 표기로 정하면서 국어 로마자는 사용되지 않았다.
대만에서는 형식적으로 주음 부호 제2식으로 남아 있었으나,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1986년 국어 로마자의 성조 표기 구분을 없애고(병음과 같은 방식), 운의 표기법을 일부 수정한 "주음 부호 제2식"이 제정되면서 국어 로마자는 정식으로 폐지되었다. 이후 주음 부호 제2식도 널리 보급되지 않아 2002년 통용 병음으로 대체되었고, 2008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과 같은 병음을 사용하게 되었다.
2. 1. 배경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한 후, 중화민국은 근대화를 위해 언어 개혁을 추진하였다. 당시 중국은 문언문이라는 어려운 고어체 문어와 지역별로 다양한 중국어 방언을 사용하고 있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국민 통합을 이루기 위해 표준어 제정이 필요했다.[2]린위탕 등 지식인들은 발음 통일을 위해 노력했다. 1913년 발음 통일 위원회에서는 여러 방언의 특징을 결합한 인공적인 "국가 발음"을 채택했지만, 실생활에서 사용되지 않아 실패했다. 1920년대에는 베이징에서 사용되는 만다린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 언어를 만드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함께, 자오위안런 등은 한자를 대신할 로마자 표기 도입을 주장했다. 1928년, 자오위안런, 린위탕, 리진시 등이 개발한 국어 로마자가 중화민국의 국민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국어 로마자는 주음 부호와 함께 사용되었으며, "국음 자모 제2식"으로 지정되었다.
2. 2. 제정 및 보급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건국된 후, 중국 지식인들은 국가 제도를 현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언어 개혁을 추진하였다. 여기에는 주요 문어였던 문언문을 구어체인 구어체 중국어로 대체하고, 전국적으로 통일된 구어 방언을 채택하는 것이 포함되었다.[2] 1913년 발음 통일 위원회에서는 여러 방언의 특징을 결합한 인공적인 "국가 발음"을 채택했지만, 이는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2]1916년, 언어학자 자오위안런은 한자를 알파벳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2] 1920년대에 베이징 방언을 기반으로 한 국가 언어를 만드는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자오는 베이징 방언에 맞춰진 새로운 로마자 표기 시스템을 연구했다.[2] 성조 표기는 국어라마자의 가장 독특한 특징으로, 린위탕이 처음 제안했다.[3] 1925년부터 1926년까지 자오위안런, 린위탕, 리진시, 첸쉬안통 등 5명의 언어학자들이 국어라마자의 세부 사항을 개발했다.[2]
1928년 9월 26일, 국민정부는 국어라마자를 "국음자모 제2식"으로 공식 채택했다.[2] 이는 기존의 주음 부호와 함께 사용되었으며, 1932년에 발표된 ''국어 표준 발음 사전''에 두 체계가 모두 사용되었다.[2] 국어라마자 설계자들은 이를 중국어의 주요 표기법으로 채택하고자 했다.[2] 1930년대에는 허난성과 산둥성의 철도 노동자와 농민들에게 국어라마자를 가르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복잡한 표기 규칙과 국민당 정부의 권위주의적 정책으로 인해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2]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한어 병음을 공식 로마자 표기로 채택하면서 국어라마자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 대만에서는 형식적으로 주음 부호 제2식으로 남아 있었지만,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2] 1986년, 성조 표기 구분을 없앤 수정된 방식이 "주음 부호 제2식"으로 제정되면서 국어라마자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2]
2. 3. 쇠퇴와 폐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한어 병음이 제정되어 본토에서 국어라마자는 사실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3]대만에서는 1986년 주음부호 제2식으로 대체되면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2] 다만, 실제로는 주음 부호 제2식도 널리 보급되지 않았고, 2002년에는 통용 병음으로, 2008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과 같은 한어 병음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는 산시성(Shaanxi)과 같이 일부 고유 명사 표기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3. 표기법

국어 로마자(國語ローマ字)는 라틴 문자만 사용하고(v, x 두 글자 제외), 악센트 부호는 사용하지 않는 표기법이다.
차오(Chao, 1948) pp.19-32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3. 1. 성모 (음절 첫 자음)
국어라마자의 성모(음절 첫 자음)는 한어 병음과 대체로 유사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가장 큰 특징은 유기음과 무기음의 구별을 위해 라틴어의 유성음/무성음 글자쌍(b/p, d/t, g/k 등)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는 병음에서도 채택된 방식으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p/p'와 같은 방식보다 직관적이다.
또 다른 특징은 'j', 'ch', 'sh'가 두 가지 다른 음성 계열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뒤에 'i'가 오면 치경구개음으로, 병음의 'j', 'q', 'x'에 해당한다. 'i'가 뒤따르지 않으면 권설음으로, 병음의 'zh', 'ch', 'sh'에 해당한다.
다음 표는 국어라마자의 성모와 병음, 국제 음성 기호(IPA)를 비교한 것이다.
| 국어 로마자 | b | p | m | f | d | t | n | l | g | k | h | j | ch | sh | j | ch | sh | r | tz | ts | s |
|---|---|---|---|---|---|---|---|---|---|---|---|---|---|---|---|---|---|---|---|---|---|
| 병음 | b | p | m | f | d | t | n | l | g | k | h | j | q | x | zh | ch | sh | r | z | c | s |
| IPA | b̥ | pʰ | m | f | d̥ | tʰ | n | l | ɡ̊ | kʰ | x | d̥ʑ̥ | tɕʰ | ɕ | d̥ʐ̥ | tʂʰ | ʂ | ʐ | ʣ̥ | tsʰ | s |
3. 2. 운모
- 종성 는 ɨ|cmn 변이음을 나타낸다.
- 예시: 국어라마자 와 는 각각 병음의 와 에 해당한다.
- 은 병음의 에 해당하며, 은 제2성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또는 의 가장 중요한 용도는 r-화(rhotacization) 접미사로 사용되는 것이다.
- 예시: ← + 은 一點兒중국어 (; '조금')에 해당한다.
- y는 병음의 zhi, chi, shi, ri, zi, ci, si의 i에 해당한다.
차오(Chao, 1948) pp.19-32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어 로마자 | y | a | o | e | ai | ei | au | ou | an | en | ang | eng | ong | el |
|---|---|---|---|---|---|---|---|---|---|---|---|---|---|---|
| 병음 | (i) | a | o | e | ai | ei | ao | ou | an | en | ang | eng | ong | er |
| IPA | ʐ̩cmn, z̩cmn | acmn | ocmn | ɤcmn | aɪcmn | eɪcmn | ɑʊcmn | oʊcmn | ancmn | əncmn | ɑŋcmn | ɤŋcmn | ʊŋcmn | ɚcmn |
| 국어 로마자 | i | ia | ie | iai | iau | iou | ian | in | iang | ing | iong |
|---|---|---|---|---|---|---|---|---|---|---|---|
| 병음 | i | ia | ie | - | iao | iu | ian | in | iang | ing | iong |
| IPA | icmn | iacmn | iɛcmn | iaɪcmn | iɑʊcmn | ioʊcmn | iɛncmn | incmn | iɑŋcmn | iŋcmn | iʊŋcmn |
| 국어 로마자 | u | ua | uo | uai | uei | uan | uen | uang | ueng |
|---|---|---|---|---|---|---|---|---|---|
| 병음 | u | ua | uo | uai | ui | uan | un | uang | ueng |
| IPA | ucmn | uacmn | uocmn | uaɪcmn | ueɪcmn | uancmn | uəncmn | uɑŋcmn | uɤŋcmn |
| 국어 로마자 | iu | iue | iuan | iun |
|---|---|---|---|---|
| 병음 | ü | üe | üan | ün |
| IPA | ycmn | yɛcmn | yɛncmn | yncmn |
r화는 -l을 붙여 나타낸다.
예: (歌兒중국어 '노래'의 얼), (根兒중국어 '뿌리'의 얼), (天兒중국어 '하늘'의 얼), (明兒중국어 '밝음'의 얼)
3. 3. 성조
국어라마자의 가장 큰 특징은 성조를 철자에 포함시켜 표기한다는 점이다.[1] 제1성은 기본형을 사용하고, 제2, 3, 4성은 모음 변화, 자음 추가 등 규칙을 통해 구별한다. 경성은 앞에 점(.)을 찍어 표시한다.구체적인 성조 표기 규칙은 다음과 같다.
| 성조 | 규칙 | 예시 |
|---|---|---|
| 제1성 | 변경 없음 | 貪|탄중국어 (탐욕), 优|여우중국어 (우수하다), 輕|칭중국어 (가볍다), 咪|미중국어 (야옹) |
| 제2성 | 彈|탄중국어 (뜯다), 油|여우중국어 (기름), 情|칭중국어 (감정), 彌|미중국어 (가득하다) | |
| 제3성 | 毯|탄중국어 (담요), 有|여우중국어 (가지다), 請|칭중국어 (초대하다), 米|미중국어 (쌀) | |
| 제4성 | 炭|탄중국어 (숯), 右|여우중국어 (오른쪽), 慶|칭중국어 (축하하다), 宓|미중국어 (조용하다) | |
| 경성 | 앞에 .을 붙인다. | kann.chu.lai (看出来|칸추라이중국어) |
단, 예외적으로 성모가 l, m, n, r로 시작할 때는 표기를 변경하지 않으면 제2성이 된다. 제1성은 성모 뒤에 h를 추가하여 나타낸다.
4. 현대적 의의 및 평가
국어라마자는 린위탕이 자오위안런에게 제안한 성조 표기법이 독특하다는 평가를 받는다.[3] 이 표기법은 별도의 부호 없이 성조를 나타내 중국어 학습자가 성조를 쉽게 파악하도록 돕는다. 그러나 베른하르트 칼그렌은 국어라마자의 음성적 엄격성이 부족하여 학습과 사용이 어렵다고 비판했다.[3]
국어라마자는 주로 지식인과 엘리트 계층을 중심으로 개발, 보급되어 일반 대중에게 널리 확산되지 못했다.[3] 1930년대 허난성과 산둥성의 철도 노동자와 농민들에게 국어라마자를 교육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3]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 초기, 서구 열강의 영향을 받아 로마자 표기법 도입을 시도한 것은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논의와 유사하게, 국어라마자는 민족 정체성 확립과 근대화 과정에서 언어 및 문자 정책이 갖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4. 1. 긍정적 측면
국어라마자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린위탕이 자오위안런에게 제안한 성조 표기법이다.[3] 이 표기법은 별도의 부호 없이 성조를 나타내므로, 중국어 학습자가 성조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중국어 발음의 미세한 차이를 로마자로 표현하려는 시도는 음운론적 연구에 기여했다.4. 2. 부정적 측면
린위탕이 제안하고 자오위안런 등이 개발에 참여한 국어라마자는 성조 표기 방식이 복잡하여 비판을 받았다.[3] 베른하르트 칼그렌은 국어라마자의 음성적 엄격성이 부족하여 학습과 사용이 어렵다고 지적했다.[3]또한, 국어라마자는 주로 지식인과 엘리트 계층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보급되어 일반 대중에게 널리 확산되지 못했다.[3] 1930년대 허난성과 산둥성의 철도 노동자와 농민들에게 국어라마자를 교육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3]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 초기, 서구 열강의 영향을 받아 로마자 표기법 도입을 시도한 것은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4. 3. 한국의 관점
일제강점기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논의와 유사하게, 국어라마자는 민족 정체성 확립과 근대화 과정에서 언어 및 문자 정책이 갖는 중요성을 보여준다.5. 영향
자오위안런의 저서 등을 통해 국어라마자를 접한 중국어 학습자들이 있다. 산시성(陝西, Shaanxi) 지명 표기 등 일부 고유명사에 흔적이 남아있다. 일부 학술 연구에서 여전히 사용되기도 한다.
자오위안런은 다음의 저작에 Gwoyeu Romatzyh를 사용했다.
| 제목 | 출판 연도 | 공동 저자 | 비고 |
|---|---|---|---|
| 구어 중국어 간결 사전 | 1947 | 양 롄셩 | |
| Mandarin Primer (만다린 입문) | 1948 | 원래 1943년부터 1944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해외 행정 학교의 육군 전문 훈련 프로그램에서 사용되었으며, 이후 민간 강좌에서도 사용되었다. "구어 중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읽기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쓰여졌다. GR 로마자 표기가 병기된 3권의 중국어 텍스트, 대화 오디오 녹음, 자서전 조각, 두 편의 연극, 그리고 루이스 캐럴의 거울 나라의 앨리스 번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구어 중국어 문법 | 1968 | ||
| 말할 수 있는 중국어 읽기 | 1968 | 학생들이 자주 읽는 문어체 중국어와 달리 구어체를 의미한다. |
월터 시몬은 1942년 ''새로운 공식 중국어 라틴 문자''라는 팸플릿을 통해 영어권 중국학자들에게 Gwoyeu Romatzyh를 소개했다. 1940년대에 그는 GR을 사용한 교과서, 읽기 자료, 중영 사전을 출판했다. 그의 아들 해리 시몬은 중국어 언어학 논문에 GR을 사용했다.
1960년, SOAS에서 월터 시몬의 동료였던 Y. C. 리우는 중국 고전에서 발췌한 ''중국 이야기 50편''을 출판했다. 이 책은 GR과 시몬이 준비한 로마자 표기 일본어 음역과 더불어 원본 고문뿐만 아니라 구어 번역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텍스트였다.
''린 위탕의 현대 사용 중국어-영어 사전''(1972)에는 GR에서 파생된 간소화된 로마자 표기 체계가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漢字の運命
岩波新書
[3]
서적
[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