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지평설연구학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지평설연구학회는 1956년 새뮤얼 셴턴에 의해 설립되어, 지구가 평평하다는 주장을 펼치는 단체이다. 셴턴은 기존 과학에 대한 비판과 종교적 해석을 결합하여 지구가 평평하다는 주장을 폈다. 셴턴 사후 찰스 존슨이 학회를 이끌며 회원 수가 증가했지만, 1990년대 이후 쇠퇴했다. 2004년에는 다니엘 셴턴에 의해 인터넷 기반의 학회가 부활하여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 학회는 통일된 모델을 제시하기보다는 다양한 개별 모델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인주의 - 지적 설계
    지적 설계는 생명체와 우주의 복잡성이 자연적 과정만으로 설명될 수 없어 지적 존재의 개입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견해로, 창조과학의 법적 제재 이후 종교적 색채를 제거하고 과학적으로 보이게 만들어진 유사과학이다.
  • 부인주의 - 창조론
    창조론은 우주와 생명의 기원을 신의 창조 행위로 설명하는 종교적, 철학적 관점으로, 진화론의 등장 이후 다양한 해석과 입장을 보이며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논쟁의 중심에 있다.
  • 1956년 설립 - 일본 기상청
    일본 기상청은 일본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기상 관측, 예보, 지진 및 쓰나미 경보, 화산 감시 등을 담당하며, 1872년 설립 이후 1956년 현재 명칭으로 개칭, 2001년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소속 변경, 2020년 본부 이전 후 전국 관측망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관련 정보 제공 및 국민 안전과 사회 경제 활동에 기여한다.
  • 1956년 설립 - 아리마 기념
    아리마 기념은 팬 투표로 출전마를 선정하는 일본 중앙경마의 최고 권위 경주 중 하나로, 나카야마 경마장에서 개최되며 국제 경주로 지정되어 있고 일본 경마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국제지평설연구학회
개요
지구 평면 협회 로고
지구 평면 협회 로고
유형비영리 단체
설립1956년
창립자새뮤얼 셸턴
찰스 K. 존슨
핵심 인물대니얼 셸턴 (회장)
본부미국
활동 지역전 세계
신념지구가 평평하다고 믿음
웹사이트지구 평면 협회 공식 웹사이트
역사
초기1800년대 중반: 새뮤얼 롤리 보텀이 이끄는 '지구는 평평하다' 운동
1956년: 새뮤얼 셸턴이 국제 지구 평면 연구 협회(IFERS) 설립
찰스 K. 존슨 시대1972년: 찰스 K. 존슨이 협회 회장직 승계
협회 규모 확장 및 회원 수 증가
과학적 증거 거부 및 정부 음모론 주장
대니얼 셸턴 시대2001년: 대니얼 셸턴이 협회 회장직 승계 및 웹사이트 개설
과학적 탐구보다는 철학적 논쟁에 집중
신념
지구 모양지구가 원반 모양이며, 북극이 중심이고 남극은 얼음 장벽이라고 주장
중력중력의 존재를 부정하고, 지구가 끊임없이 위로 가속된다고 주장
과학적 증거주류 과학의 증거를 거부하고, NASA와 정부가 지구 모양에 대한 음모를 꾸민다고 주장
자체적인 '증거' 제시 및 과학적 방법론 무시
주요 주장지구는 팽이가 아니고 움직이지 않는다.
NASA는 가짜 우주 이미지를 생성한다.
전통적인 과학적 사실은 거짓이다.
조직 및 활동
회원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
활동웹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 공유
컨퍼런스 및 모임 개최
평평한 지구 이론을 옹호하는 자료 제작 및 배포
비판 및 논란
과학적 비판지구 평면 이론은 과학적 증거와 모순되며, 과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함
음모론정부와 과학계가 지구 모양에 대한 음모를 꾸민다는 주장은 근거 없음
사회적 영향과학적 사고와 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제기

2. 기원

지구가 평평하다는 생각은 고대부터 존재했던 우주론의 전형적인 모습 중 하나였다. 지구가 구체, 혹은 적어도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는 생각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에 의해 기원전 4세기에야 나타났다.[14] 중세 초기까지만 하더라도 지구가 구형이라는 지식이 유럽에 퍼져있었다.[15]

2. 1. 근대 평평한 지구설의 등장

현대의 평평한 지구설은 영국의 발명가 새뮤얼 로버텀(Samuel Rowbotham, 1816-1884)의 주장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성경 구절을 문자적으로 해석하고, 베드포드 운하 실험(Bedford Level experiment) 결과를 바탕으로 '제테틱 천문학(Zetetic Astronomy)'이라는 독자적인 우주론을 제시했다.[16] 그는 지구가 북극을 중심으로 하는 평평한 원반 형태이며, 남쪽 가장자리는 얼음 벽(남극 대륙)으로 둘러싸여 있다고 주장했다.[16] 또한 태양은 지구에서 4800km 높이에 있고, 우주는 5000km 위에 있다고 주장했다.[16] 로버텀은 "성경은 우리의 감각과 함께 지구가 평평하고 고정되었다는 생각을 지지하며, 전적으로 인간의 추측을 기반으로 하는 체계의 옆에 둘 수 없다"고 주장하는 전단지를 출판하기도 했다.[17]

로버텀은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 등 당대 과학자들과 논쟁을 벌이며 자신의 주장을 옹호했고,[18][19][20] 영국과 미국에 제테틱 협회를 설립하여 지지자를 확보했다. 그는 1천부의 〈Zetetic Astronomy〉 책자를 배포하였다.

로버텀 사후, 엘리자베스 블런트(Elizabeth Blount)라는 여성이 Universal Zetetic Society를 설립하고, 《The Earth Not a Globe Review》라는 잡지를 간행하였다. 엘리자베스 블런트 자신이 편집자를 맡은 《Earth: a Monthly Magazine of Sense and Science》라는 신문도 1901년부터 1904년까지 발행되었다. 1901년, 그녀는 로버텀에 의한 베드포드 높이 실험을 재현하고 그 결과를 사진으로 남겼는데, 당시의 과학잡지에는 여러 각도에서 그 실험 결과를 부정하는 기사가 실렸다.[23][21][22] Universal Zetetic Society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천천히 하락세에 접어들었다.[23][21][22]

2. 2. 엘리자베스 블런트와 초기 확산

로버텀 사후, 엘리자베스 블런트(Elizabeth Blount)는 Universal Zetetic Society를 설립하고, 잡지 《The Earth Not a Globe Review》를 간행하였다. 그녀는 1901년부터 1904년까지 《Earth: a Monthly Magazine of Sense and Science》라는 신문의 편집자를 맡았다. 1901년, 블런트는 로버텀의 베드포드 운하 실험을 재현하고 그 결과를 사진으로 기록했으나, 당시 과학계는 이를 다양한 각도에서 비판했다.[23][21][22] Universal Zetetic Society는 20세기 초반까지 활동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점차 쇠퇴했다.

3. 평평한 지구 학회의 설립과 발전

1956년, 새뮤얼 셴턴은 Universal Zetetic Society를 계승, 국제지평설연구학회(International Flat Earth Society)를 설립하고 영국에서 조직 총무로 활동했다.[23] 셴턴은 기존 과학과 새로운 과학에 관심을 가져 종교적 주장을 줄이고, 평평한 지구설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주력했다.[24]

인공위성 발사와 유인 우주 비행으로 지구 구형설이 입증되었음에도 불구, 셴턴은 사진 조작 가능성을 제기하며 평평한 지구설을 옹호했다.[25] 1964년 1월과 6월, 뉴욕 타임즈는 셴턴을 특집으로 다루었다.

1969년, 셴턴은 엘리스 힐만을 설득해 학회 회장으로 임명했으나, 힐만은 회장으로서 거의 활동하지 않았다. 1971년 셴턴 사후, 찰스 존슨이 학회를 이끌게 되었다.

3. 1. 찰스 존슨과 학회의 전성기

1971년 셴턴이 사망한 후, 찰스 존슨(Charles K. Johnson)이 셴턴의 아내로부터 학회 자료를 인수받아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부를 둔 국제지평설연구학회 미국지부를 설립하고 회장으로 취임했다.[28] 존슨의 지도 아래 학회는 30년간 회원 수가 3,000명 가까이 증가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 존슨은 《Flat Earth News》라는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전단지, 지도 등 다양한 홍보 자료를 배포하며 학회를 널리 알렸다.[28]

《Flat Earth News》의 대표적인 헤드라인은 다음과 같다.[28]

  • 호주는 아래에 있지 않다. (1978년 5월)
  • 태양은 51.5km 떨어진 곳에서 빛난다. (1978년 12월)
  • 지구는 움직이지 않는다. (1979년 6월)
  • NASA의 아버지 니키타 흐루쇼프 (1980년 3월)
  • 갈릴레오는 거짓말쟁이다. (1980년 12월)
  • 과학은 당신의 지성을 모욕한다. (1980년 9월)
  • 세계는 평평하고, 그것으로 끝이다. (1980년 9월)
  • 지구는 구형이 아니다. 중력은 존재하지 않는다. (1981년 3월)


존슨은 국제 연합 깃발(
국제 연합기
)이 평평한 지구 모델과 유사하다는 점을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했다.[29] 그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한 미국 정부 기관들을 비판하며 회원을 모집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학회는 회원 수가 감소하고, 존슨의 집에 화재가 발생하여 자료가 소실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설상가상으로 존슨의 아내가 사망하고, 2001년에는 존슨마저 사망하면서 학회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3. 2. 캐나다 지부

캐나다 평평한 지구 학회(Flat Earth Society of Canada)는 1970년 세인트 토머스 대학교의 철학과 교수였던 레오 페라리를 중심으로 설립되어 1984년까지 활동했다.[30] 이들의 목적은 다른 평평한 지구 학회와는 완전히 달랐다. 이들은 해학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기술 시대에 사람들이 '맹목적인 믿음과 자신의 감각을 부정하는 이론'에 동의하는 것은 그 사람 자신의 의지라고 주장했다.[30]

이들은 실제로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지 않았고, 자신의 지지자를 괴짜라고 여겼으며, 실제로는 캐나다의 문학과 정치에서 꽤 눈에 띄는 사람들로 구성된 자신의 학회에 그들이 가입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또한 이들은 뉴스레터 "오피셜 크로니클"을 발행하여 텔레비전과 출판물을 통해 자신들의 사상을 더욱 널리 알리려 했다. 그 목적은 "천구라는 사람을 미혹하는 우상과 싸우는" 것이며, "지각한 것의 정당성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시키는" 것, "사람들의 형이상학과 기하학의 감옥으로부터의 탈출의 선봉이 되는" 것이라고 한다.[6]

4. 현대의 활동

1956년, 영국인 사무엘 셴턴은 Universal Zetetic Society를 부활시키는 형태로 국제지평설연구학회를 시작했다.[11] 이후 찰스 존슨이 캘리포니아 랭커스터에 본부를 두고 학회를 이끌었다. 2001년 존슨이 사망한 후 학회 활동은 중단되었으나, 최근 다니엘 셴턴이 새로운 회장이 되어 조직을 부활시켰다.

4. 1. 인터넷 기반 부활

2004년, 다니엘 셴턴(사무엘 셴턴과는 무관)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임을 만들어 평평한 지구 학회를 부활시켰다.[32] 이들은 토론 포럼을 운영하고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에서도 활동한다.[33][34] 평평한 지구에 대한 믿음 정도를 평가하거나 FAQ를 운영하기도 한다. 2009년 평평한 지구 학회는 재건되어 2012년 3월 기준으로 420여 명의 회원을 보유했다.[35] 하지만 현재 학회의 회원들은 예전의 이론을 대신하는 핵심적인 모델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개별 구성원마다 고유의 모델을 믿고 있다.[36]

4. 2. 다양한 모델 공존

현대 국제지평설연구학회 회원들은 과거의 이론을 대체할 만한 통일된 모델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각자 독자적인 지구 모델을 믿는 경향이 있다.[36] 어떤 이들은 지구가 완전히 평평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원반 형태라고 주장하는 등 다양한 견해가 공존한다.[36]

참조

[1] 웹사이트 How can one prove that the world is round? https://www.physlink[...] 2023-04-15
[2] 웹사이트 Why is the Earth round? http://whyzz.com/why[...] 2023-04-15
[3] 웹사이트 HowStuffWorks "Flat Earth Society" http://science.howst[...] Science.howstuffworks.com 2009-06-15
[4] 웹사이트 Flat Earth Society Library http://library.tfes.[...] 2014-04-23
[5] 웹사이트 News of the World's Children http://library.tfes.[...] International Flat Earth Research Society 2010-05-21
[6] 웹사이트 UNB Archives http://www.lib.unb.c[...] 2010-08-01
[7] 뉴스 The Earth is flat? What planet is he on?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10-02-23
[8] URL http://www.physlink.[...]
[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whyzz.com[...] 2012-09-21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idsgeo.c[...] 2012-09-21
[11] 웹인용 HowStuffWorks "Flat Earth Society" http://science.howst[...] Science.howstuffworks.com 2009-06-15
[12] 웹인용 Is the Earth a Whirling Globe? http://library.tfes.[...] International Flat Earth Research Society 2014-04-23
[13] 웹인용 Sun is a Light 32 Miles Across http://library.tfes.[...] International Flat Earth Research Society 2014-04-23
[14] 웹인용 Timaeus http://classics.mit.[...] 2011-01-29
[15] 뉴스 UK | Magazine | Do they really think the earth is flat?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8-04
[16] 서적 How to think about weird things: critical thinking for a new age Houghton Mifflin (Mayfield) 1995-10-31
[17] 기타
[18] 간행물 네이처 1870-04-07
[19] 저널 The Form of the Earth—A Shock of Opinions http://query.nytimes[...] 1871-08-10
[20] 서적 The Bedford Canal swindle detected & exposed A. Bull, London 1870
[21] 기타
[22] 기타
[23] 서적 Can You Speak Venusian?
[24] 기타
[25] 웹인용 Six "Flood" Arguments Creationists can't answer http://ncse.com/cej/[...] National Center for Science Education 2010-04-24
[26] 뉴스 Arthur C Clarke Looks To The Future http://www.bbc.co.uk[...] BBC World Service 2001-01-08
[27] 기타
[28] 웹인용 Flat Earth Society Library http://library.tfes.[...] 2014-04-23
[29] 웹인용 News of the World's Children http://library.tfes.[...] International Flat Earth Research Society 2010-05-21
[30] 웹인용 UNB Archives http://www.lib.unb.c[...] 2010
[31] 뉴스 Miedo a un planeta esférico http://elpais.com/di[...] 2010-03-19
[32] 웹인용 The Flat Earth Society forum http://forum.tfes.or[...]
[33] URL https://twitter.com/[...]
[34] 웹인용 Flat Earth Society https://www.facebook[...]
[35] 웹인용 Flat Earth Society Membership Register http://theflatearths[...] 2012-09-21
[36] 웹인용 Flat Earth Society Forum Thread http://www.theflatea[...] 2014-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