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궁중석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중석차는 일본에서 궁중 행사의 석차를 정하기 위해 사용된 제도이다. 메이지 시대 이전에 존재하던 전통적인 궁중석차를 1926년 황실의제령으로 제도화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개정을 거쳐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과 함께 폐지되었다. 이후 궁내부 내부 규정인 궁중석차잠정규정이 제정되어 운영되었다. 궁중석차는 단순한 의전 서열을 넘어 정치적 의미를 지니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황실 - 기리몬
    기리몬은 오동나무를 문양화한 일본의 가문 문장으로, 세 개의 꽃차례와 잎으로 구성되며 꽃의 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고, 일본 정부 및 역사적 인물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나 국제적 인지도 부족으로 현재는 다른 상징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 일본 황실 - 황실전범
    황실전범은 일본 헌법에 따라 황위 계승을 남계 남성 후손으로 제한하고 황실 운영을 규정하는 법률로, 제정 당시 여성 천황 승계 논의가 있었으나 현재는 황위 계승, 섭정, 황실 구성원 등을 규정하며 2017년 천황 퇴위 특례법이 제정되었다.
궁중석차

2. 역사

메이지 시대 이전에는 공경(公卿)들이 정리한 전통적인 궁중석차가 존재했다. 메이지 시대부터 이와 유사한 석차표가 존재했으며, 1926년(다이쇼 15년) 〈황실의제령〉으로 제도화된 것이 궁중석차이다.

원래 궁중석차는 단순한 궁중 행사의 석차표였지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를 설치할 때 궁중석차 최고위 각료가 맡는 등 정치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스즈키 간타로가 군령부장에서 시종장으로 전임했을 때 "궁중석차에서는 군령부장이 시종장보다 훨씬 위지만, 석차가 낮아지기 때문에 받지 않는다고 생각되면 치욕이다"라고 말한 일화도 있다.[1]

귀족원중의원 양원 의장의 석차가 낮은 것은 전전부터 문제시되어 궁내성에 개정 신청이 이루어진 적도 있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쇼와 20년) 12월, 귀족원과 중의원 의장이 제6위로 상향 조정되었다. 1947년(쇼와 22년) 5월 3일 일본국 헌법 시행과 함께 〈황실의제령〉은 폐지되고, 궁내부 내부 규정인 〈궁중석차잠정규정〉이 제정되었다.[1]

2. 1. 메이지 시대 이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금중 및 공가 제법도를 제정하기 이전, 공가 사회에는 궁중 좌차라 불리는 전통적인 궁중석차가 있었다. 그러나 이 궁중 좌차는 선례와 실정이 자주 충돌하여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야스가 금중 및 공가 제법도를 제정한 배경 중 하나는 이러한 궁중 좌차 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것이었다.[1] 막말의 궁중 좌차 서열은 다음과 같았다.

2. 2. 메이지 시대 이후 (황실의제령)

1926년(다이쇼 15년) 황실 의제령에 의해 제도화된 것이 궁중석차이다. 원래는 단순한 궁중 행사의 석차표였지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를 설치할 때 궁중 석차 최고위의 각료가 맡는 등 정치적 의미도 갖게 되었다. 궁중 석차에 의한 순위가 직위의 격과 같이 보이는 풍조도 있어, 스즈키 간타로는 군령부장에서 시종장으로 전임했을 때 수락 이유 중 하나로 "궁중 석차에서는 군령부장이 시종장보다 훨씬 위지만, 석차가 낮아지기 때문에 받지 않는다고 생각되면 치욕이다"라고 말했다.[1]

귀족원, 중의원 양원 의장의 석차가 낮은 것은 전전부터 문제시되었으나, 궁내성에 개정 신청이 이루어진 적도 있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1] 이는 일본 정치 시스템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황실의제령에 따른 궁중석차는 다음과 같다.[1]

석차 및 대상
제1계
제2계
제3계
제4계
제5계
제6계
제7계
제8계
제9계
제10계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궁중석차잠정규정)

1945년(쇼와 20년) 12월, 귀족원중의원 의장을 제6위로 상향 조정하는 등 궁중석차 개정이 이루어졌다. 1947년(쇼와 22년) 5월 3일, 일본국 헌법 시행과 함께 황실의제령이 폐지되면서 궁내부 내부 규정인 〈궁중석차잠정규정〉(宮中席次暫定規程)이 제정되었다.[1]

1947년(쇼와 22년) 5월 3일 시행 시 궁중석차잠정규정[1]
순위내용
1대훈위
2내각총리대신
3중의원 의장, 참의원 의장
4최고재판소 장관
5국무대신
6중의원 부의장, 참의원 부의장, 최고재판소 판사, 회계검사원장, 궁내부 장관
7특명전권대사, 검찰총장
8시종장
9인증관, 국가공안위원
10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11종1위
12훈1등
13중의원 의원, 참의원 의원
14도도부현 지사
151급 관료, 1급에 상당하는 재판관, 국회의 직원, 지방공공단체의 장, 관리 및 의회의 의원 및 직원
16정2위
171급 관료 대우
18종2위
19훈2등
20정3위
21종3위
22훈3등
23정4위
24종4위
25훈4등
26정5위
27종5위
28훈5등
292급 관료, 2급에 상당하는 재판관, 국회의 직원, 지방공공단체의 장, 관리 및 의회의 의원 및 직원
30정6위
31종6위
32훈6등
332급 관료 대우
34정7위
35종7위
36훈7등
37정8위
38종8위
39훈8등
403급 관료, 3급에 상당하는 재판소의 직원, 국회의 직원, 지방공공단체의 장, 관리 및 의회의 의원 및 직원
413급 관료 대우



1965년(쇼와 40년) 6월 16일 시점 궁중석차잠정규정 (1950년(쇼와 25년) 7월 1일 궁내청 장관 통지)[2]
순위내용
1대훈위
2내각총리대신
3중의원 의장, 참의원 의장
4최고재판소 장관
5국무대신
6중의원 부의장, 참의원 부의장, 최고재판소 판사, 회계검사원장, 궁내청 장관
7특명전권대사, 검찰총장
8시종장
9인증관, 국가공안위원
10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11종1위
12훈1등
13중의원 의원, 참의원 의원
14도도부현 지사
15공무원


3. 석차표

1926년 황실의제령과 1947년 궁중석차잠정규정에 따른 석차는 다음과 같이 비교할 수 있다.

궁중석차 비교
황실의제령 (1926년)궁중석차잠정규정 (1947년)



1965년 시점의 궁중석차잠정규정[2]은 다음과 같다.

1965년 시점의 궁중석차잠정규정
순위내용
1대훈위
* 국화장 경식
2내각총리대신
3중의원 의장, 참의원 의장
4최고재판소 장관
5국무대신
6중의원 부의장, 참의원 부의장, 최고재판소 판사, 회계검사원장, 궁내청 장관
7특명전권대사, 검찰총장
8시종장
9인증관, 국가공안위원
10훈일등 욱일동화대수장
11종1위
12훈1등
13중의원 의원, 참의원 의원
14도도부현 지사
15공무원
비고


3. 1. 황실의제령 (1926년)

1926년에 제정되었다.

직위
제1계제1대훈위 (1. 국화장경식, 2. 국화대수장)
제2내각총리대신
제3추밀원 의장
제4원훈 대우로 대신의 예우를 받는 자
제5원수, 국무대신, 궁내대신, 내대신
제6조선총독
제7내각총리대신 또는 추밀원 의장의 전관 예우를 받는 자
제8국무대신, 궁내대신, 내대신의 전관 예우를 받는 자
제9추밀원 부의장
제10육군대장, 해군대장, 추밀고문관
제11친임관
제12귀족원 의장, 중의원 의장
제13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제14공1급 금치훈장
제15친임관 대우를 받는 자(친보직)
제16공작
제17종1위
제18훈1등 (1. 욱일대수장, 2. 보관장, 3. 서보장)
제2계제19고등관 1등
제20귀족원 부의장, 중의원 부의장
제21사향간지후
제22후작
제23정2위
제3계제24고등관 2등(칙임관)
제25공2급 금치훈장
제26금계간지후
제27칙임 대우
제28백작
제29종2위
제30훈2등 (1. 욱일중광장, 2. 보관장, 3. 서보장)
제31자작
제32정3위
제33종3위
제34공3급 금치훈장
제35훈3등 (1. 욱일중수장, 2. 보관장, 3. 서보장)
제36남작
제37정4위
제38종4위
제4계제39귀족원 의원, 중의원 의원
제40고등관 3등
제41고등관 3등의 대우를 받는 자
제42공4급 금치훈장
제43훈4등 (1. 욱일소수장, 2. 보관장, 3. 서보장)
제44정5위
제45종5위
제5계제46고등관 4등
제47고등관 4등의 대우를 받는 자
제48공5급 금치훈장
제49훈5등 (1. 쌍광욱일장, 2. 보관장, 3. 서보장)
제50정6위
제6계제51고등관 5등
제52고등관 5등의 대우를 받는 자
제53종6위
제54훈6등 (1. 단광욱일장, 2. 보관장, 3. 서보장)
제7계제55고등관 6등
제56고등관 6등의 대우를 받는 자
제57정7위
제8계제58고등관 7등
제59고등관 7등의 대우를 받는 자
제60종7위
제61공6급 금치훈장
제9계제62고등관 8등
제63고등관 8등의 대우를 받는 자
제10계제64고등관 9등
제65주임 대우
제66정8위
제67공7급 금치훈장
제68훈7등 (1. 청색동엽장, 2. 보관장, 3. 서보장)
제69종8위
제70훈8등 (1. 백색동엽장, 2. 보관장, 3. 서보장)


3. 2. 궁중석차잠정규정 (1947년)

1947년 제정된 궁중석차잠정규정에 따른 석차는 다음과 같다.[1]

직위
1대훈위 (1. 국화장경식, 2. 국화대수장)
2내각총리대신
3중의원의장, 참의원의장
4최고재판소장관
5국무대신
6중의원부의장, 참의원부의장, 최고재판소판사, 회계검사원장, 궁내부장관
7특명전권대사, 검사총장
8시종장, 전재복흥원총재
9인증관, 국가공안위원
10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11종1위
12훈1등 (1. 욱일대수장, 2. 보관장, 3. 서보장)
13중의원의원, 참의원의원
14도도부현지사
151급관, 1급 상당의 재판관, 국회 직원, 지방공공단체의 장리원 및 의회 의원과 직원
16정2위
171급관 대우
18종2위
19훈2등 (1. 욱일중광장, 2. 보관장, 3. 서보장)
20정3위
21종3위
22훈3등 (1. 욱일중수장, 2. 보관장, 3. 서보장)
23정4위
24종4위
25훈4등 (1. 욱일소수장, 2. 보관장, 3. 서보장)
26정5위
27종5위
28훈5등 (1. 쌍광욱일장, 2. 보관장, 3. 서보장)
292급관, 2급 상당의 재판관, 국회 직원, 지방공공단체의 장리원 및 의회 의원과 직원
30정6위
31종6위
32훈6등 (1. 단광욱일장, 2. 보관장, 3. 서보장)
332급관 대우
34정7위
35종7위
36훈7등 (1. 청색동엽장, 2. 보관장, 3. 서보장)
37정8위
38종8위
39훈8등 (1. 백색동엽장, 2. 보관장, 3. 서보장)
403급관, 3급 상당의 재판관, 국회 직원, 지방공공단체의 장리원 및 의회 의원과 직원
413급관 대우


3. 3. 궁중석차잠정규정 (1965년)

1965년 시점의 궁중석차잠정규정[2]
순위내용
1대훈위
* 국화장 경식
2내각총리대신
3중의원 의장, 참의원 의장
4최고재판소 장관
5국무대신
6중의원 부의장, 참의원 부의장, 최고재판소 판사, 회계검사원장, 궁내청 장관
7특명전권대사, 검찰총장
8시종장
9인증관, 국가공안위원
10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11종1위
12훈1등
13중의원 의원, 참의원 의원
14도도부현 지사
15공무원
비고


참조

[1] 간행물 国務大臣林謙治の宮中席次の件 https://www.digital.[...] 内閣官房、国立公文書館
[2] 간행물 佐藤改造内閣における閣僚の宮中席次について https://www.digital.[...] 内閣官房、国立公文書館
[3] 웹사이트 級別定数の改訂について(昭和25年・雑・地方課、調査課) https://www.digital.[...]
[4] 문서 平安時代
[5] 문서 権大納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