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주의 (신고전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주의(신고전주의)는 18세기와 19세기 유럽, 특히 독일과 영국에서 르네상스 이후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화를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으로, 예술, 문학,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났다. 요한 요아힘 빈켈만의 연구,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등의 철학적 영향, 그리고 영국 건축에서의 뚜렷한 발현을 통해 신고전주의는 발전했다. 영국 낭만주의 시대에는 존 키츠, 퍼시 비시 셸리, 바이런 경 등 2세대 낭만주의 시인들이 헬레니즘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은 친헬레니즘 열풍을 일으켜 예술과 문학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미술과 건축에서는 고대 그리스 예술을 이상으로 삼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빅토리아 시대에는 매슈 아놀드에 의해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 대비되면서 개인의 자유와 미적 탐구가 강조되었다. 19세기 말에는 로즈워터 헬레니즘이라는 비판적 시각이 등장하여 고전주의의 낭만적인 미화와 현실과의 괴리를 지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고전주의 운동 - 바이마르 고전주의
    바이마르 고전주의는 1771년부터 괴테와 실러를 중심으로 바이마르에서 일어난 독일 문학, 철학, 예술 운동으로, 슈투름 운트 드랑의 감정주의와 계몽주의의 이성주의를 조화시키고 고대 그리스 예술의 이상을 추구하며 독일 문화의 중심지 바이마르에서 독일 문학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그리스주의 (신고전주의)
개요
회화의 기원
회화의 기원 (데이비드 앨런 작)
정의좁은 의미로는 미술과 건축에서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의 고전적 형태와 주제를 모방하거나 영감을 받은 예술 운동을 말함. 넓은 의미로는 서양 문화 전반에서 고전적 가치와 이상을 추구하는 경향을 의미함.
역사
기원18세기 중반
영향계몽주의 시대의 합리주의와 고전주의 부활에 영향 받음.
특징비례와 균형 중시
조화와 단순성 추구
장식 절제
이성과 지성 강조
미술
특징신화와 역사 주제 선호
인물의 이상적인 묘사 추구
명확한 윤곽선과 색채 사용
균형 잡힌 구도 선호
주요 화가자크 루이 다비드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안토니오 카노바 (조각)
건축
특징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건축 양식 모방
기둥, 아치, 돔 등의 요소 활용
대칭과 균형 강조
장식 절제
주요 건축물파리의 팡테옹
워싱턴 D.C.의 미국 국회의사당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문
문학
특징고전 문학의 형식과 주제 모방
이성과 도덕 강조
명확하고 간결한 문체 선호
주요 작가알렉산더 포프
볼테르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영향 및 의의
영향낭만주의에 대한 반작용
아카데미 미술의 기반 형성
서양 문화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영향
의의고전적 가치의 재발견
이성과 질서의 중요성 강조
서양 문화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

2. 배경

르네상스 이후 유럽에서 등장한 다른 로마 또는 그리스-로마 양식의 신고전주의와 구별되는 신고전주의 운동으로서, 18세기와 19세기에 독일과 영국에서 주로 나타났다. 독일에서 이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은 조각에서 그리스 이상에 대한 정통성을 처음으로 명확히 설명한 미술사학자이자 미학 이론가인 빈켈만이었다(그는 그리스 조각의 로마 복제품만 연구했으며, 그리스에 가보기도 전에 살해당했다). 빈켈만에게 그리스 미술의 본질은 고귀한 단순함과 침착한 위대함이었으며, 종종 격렬한 감정이나 고난의 순간을 나타내는 조각상에 담겨 있었다. 다른 주요 인물로는 헤겔, 슐레겔, 셸링, 실러가 있다.

3. 영국 낭만주의 시대의 헬레니즘

영국에서는, 소위 "2세대" 낭만주의 시인들, 특히 존 키츠, 퍼시 비시 셸리, 바이런 경이 헬레니즘의 전형으로 여겨진다. 빈켈만(직접적으로든 파생적으로든)의 영향을 받아, 이 시인들은 이상적인 아름다움, 초월적인 철학, 민주주의 정치, 그리고 동성 사회 또는 동성애(특히 셸리의 경우)의 모델로서 그리스에 자주 주목했다. 메리 로빈슨, 펠리시아 헤먼스, 레티시아 엘리자베스 랜던, 엘리자베스 배럿 브라우닝과 같은 여성 시인들 또한 그리스 신화를 재해석하는 데 깊이 관여했다.[1]

4. 19세기 친(親)헬레니즘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바이런 경을 포함한 많은 외국 세력이 그리스를 열렬히 지지했다. 고대 그리스가 아닌 현대 그리스와 관련된 이러한 유형의 헬레니즘은 친헬레니즘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바이런은 가장 잘 알려진 친헬레네였을 것이다. 그는 오스만 제국의 투르크인에 맞서 그리스를 위해 싸울 준비를 하다가 미솔롱기에서 사망했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과 같은 책들은 이러한 새로운 헬레니즘을 미적 감상의 측면에서 보여준다.

5. 19세기 미술과 건축에서의 헬레니즘

18세기 고고학적 발견으로 시작된 그리스 부흥 운동의 영향으로, 19세기 초 그리스의 영향력은 예술과 건축에서 정점에 달했다. 이 운동은 영국과 유럽 대륙의 건물, 정원, 묘지 등의 외관을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패션, 실내 디자인, 가구 제작, 심지어 헤어스타일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회화와 조각에서 엘긴 경이 파르테논 마블을 그리스에서 영국으로 옮겨온 사건은 헬레니즘 운동에 가장 큰 영감을 준 사건이었다. 영국 정부는 1816년 엘긴 경으로부터 마블을 구매하여 대영 박물관에 보관했고, 이는 여러 세대의 영국 예술가들이 관람했다. 엘긴 경의 활동은 오늘날까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1]

6. 빅토리아 시대의 헬레니즘

매슈 아놀드의 저서 ''문화와 무정부 상태''(1869년 출판)는 빅토리아 시대 헬레니즘을 대표하는 사회 이론을 제시한다. 아놀드는 헬레니즘을 헤브라이즘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헬레니즘은 "자발성"과 "사물의 실제 모습"을 추구하는 반면, 헤브라이즘은 "엄격한 양심"과 "행동과 순종"을 강조한다. 아놀드는 인류 역사가 이 두 가지 상반된 경향 사이에서 진동한다고 보았다.[3] 스윈번, 페이터, 와일드, 시먼즈 등도 빅토리아 시대 헬레니즘의 주요 인물로 꼽힌다.[4]

7. 로즈워터 헬레니즘

19세기 말, 과도하게 이상화된 형태의 신고전주의 문학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담아 '로즈워터 헬레니즘'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5] 이러한 작품들은 밋밋한 아르카디아를 제시했는데, 이는 피에르 퓌비 드 샤반의 예술 작품에 반영되었고, 다시 피카소의 초기 청색 시대에 영향을 미쳤다.[6]

20세기 로즈워터 헬레니즘의 예로는 콘스탄티노스 카바피스의 일부 덜 중요한 시,[7] 그리고 빌렘 데 쿠닝의 더 밋밋한 누드화가 있다.[8]

8. 참고 도서


  • 앤더슨, 워렌 D. (1965). 《매튜 아놀드와 고전 전통》(Matthew Arnold and the Classical Tradition). 앤아버: 미시간 대학교 출판부.
  • 아스크, 마틴 (1985). 《키츠와 헬레니즘: 에세이》(Keats and Hellenism: An Essay).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베이트, 월터 잭슨 (1970). 《과거의 부담과 영국 시인》(The Burden of the Past and the English Poet). 케임브리지: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 블룸, 해럴드 (1973). 《영향의 불안: 시 이론》(The Anxiety of Influence: A Theory of Poetry). 런던: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부시, 더글러스 (1937). 《영국 시의 신화와 낭만주의 전통》(Mythology and the Romantic Tradition in English Poetry). 보스턴: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 버틀러, E. M. (1935; rpt. 1958). 《독일에 대한 그리스의 폭정》(The Tyranny of Greece over Germany). 런던: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버틀러, 마릴린 (1983). 〈셸리 서클의 신화와 신화 만들기〉. 켈빈 에베레스트 편. 《셸리 재평가》(Shelley Revalued). 토토와, NJ: 반스 & 노블.
  • 벅스턴, 존 (1978). 《그리스적 취향: 신고전주의 시대의 문학, 1740–1820》(The Grecian Taste: Literature in the Age of Neo-Classicism, 1740–1820). 런던: 맥밀란 출판사.
  • 카나니, 마르코 (2014). 《영국의 헬레니즘. 시, 예술, 그리고 영국 문화에서의 헬레니즘, 아우구스투스 시대부터 낭만주의까지》(Ellenismi britannici. L'ellenismo nella poesia, nelle arti e nella cultura britannica, dagli augustei al Romanticismo). 로마: 아라크네.
  • 케이시, 크리스토퍼 (2008). 〈'그리스의 웅장함과 오래된 시간의 거친 낭비': 영국, 엘긴 마블, 그리고 혁명 이후의 헬레니즘〉. 《파운데이션》(Foundations), 3(1), 31–64.
  • 클라크, G.W., 편. (1989). 《헬레니즘 재발견: 헬레니즘 유산과 영국 상상력》(Rediscovering Hellenism: The Hellenic Inheritance and the English Imagination). 런던: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클라크, M.L. (1945). 《영국에서의 그리스 연구, 1730-1830》(Greek Studies in England, 1730-1830).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코멧, 노아 (2006). 〈레티티아 랜던과 낭만적 헬레니즘〉. 《워즈워스 서클》(The Wordsworth Circle), 37(2), 76–80.
  • 코멧, 노아 (2009). 〈펠리시아 헤먼스와 '현대 그리스'의 '정교한 유물'〉. 《키츠-셸리 저널》(The Keats-Shelley Journal), 59, 96–113.
  • 코멧, 노아 (2013). 《낭만적 헬레니즘과 여성 작가들》(Romantic Hellenism and Women Writers). 런던: 맥밀란.
  • 크룩, J. 모돈트 (1972). 《그리스 부흥: 영국 건축의 신고전주의적 태도, 1760–1870》(The Greek Revival: Neo-Classical Attitudes in British Architecture, 1760–1870). 런던: J. 머레이.
  • 크롬프턴, 루이스 (1985). 《바이런과 그리스 사랑: 19세기 잉글랜드의 동성애 혐오》(Byron and Greek Love: Homophobia in 19th-Century England). 잉글랜드: 게이 남성 출판사.
  • 델로라, 데이비드 (1969). 《빅토리아 시대 잉글랜드의 히브리인과 헬라인》(Hebrew and Hellene in Victorian England). 오스틴: 텍사스 대학교 출판부.
  • 다울링, 린다 (1994). 《빅토리아 시대 잉글랜드의 헬레니즘과 동성애》(Hellenism and Homosexuality in Victorian England). 이타카: 코넬 대학교 출판부.
  • 아이트너, 로렌츠, 편. (1970).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 1750–1850: 자료와 문서》(Neoclassicism and Romanticism, 1750–1850: Sources and Documents). 잉글우드 클리프스, N.J.: 프렌티스-홀.
  • 페리스, 데이비드 (2000). 《침묵의 항아리: 낭만주의, 헬레니즘, 현대성》(Silent Urns: Romanticism, Hellenism, Modernity). 스탠퍼드: 스탠퍼드 대학교 출판부.
  • 골드힐, 사이먼 (2002). 《누가 그리스어를 필요로 하는가? 헬레니즘 문화사의 경쟁》(Who Needs Greek? Contests in the Cultural History of Hellenism). 런던: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하딩, 앤소니 (1995). 《영국 낭만주의에서의 신화 수용》(The Reception of Myth in English Romanticism). 콜롬비아, 미주리: 미주리 대학교 출판부.
  • 헬믹, E.T. (1971). 〈바이런과 키츠의 헬레니즘〉. 《키츠-셸리 기념 게시판》(Keats-Shelley Memorial Bulletin), 22, 18–27.
  • 하이게트, 길버트 (1976). 《고전 전통: 서양 문학에 대한 그리스 및 로마의 영향》(The Classical Tradition: Greek and Roman Influences on Western Literature). 런던: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허스트, 이소벨 (2006). 《빅토리아 시대 여성 작가와 고전: 호머의 여성성》(Victorian Women Writers and the Classics: The Feminine of Homer). 런던: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젠킨스, 리처드 (1980). 《빅토리아 시대 사람들과 고대 그리스》(The Victorians and Ancient Greece). 옥스퍼드: 바질 블랙웰.
  • 레빈, 해리 (1931). 《부서진 기둥: 낭만적 헬레니즘 연구》(The Broken Column: A Study in Romantic Hellenism). 케임브리지: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 마샹, 수잔 (1996). 《올림푸스에서 내려오다: 독일의 고고학과 친헬레니즘, 1750–1970》(Down from Olympus: Archaeology and Philhellenism in Germany, 1750–1970). 프린스턴: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 밀러, 에드워드 (1973). 《저 고귀한 캐비닛: 대영 박물관의 역사》(That Noble Cabinet: A History of the British Museum). 런던: 앙드레 도이치.
  • 프린스, 요피 (1999). 《빅토리아 시대의 사포》(Victorian Sappho). 프린스턴: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 프로토살티스, E.G. (1981). 〈바이런과 그리스〉. 폴 그레이엄 트루블러드 편. 《19세기 유럽에서의 바이런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력》(Byron's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in Nineteenth-century Europe). 런던: 맥밀란.
  • 로셀, 데이비드 (2001). 《바이런의 그림자 속에서: 1770년부터 1967년까지의 영어 및 미국 문학에서의 현대 그리스》(In Byron's Shadow: Modern Greece in English and American Literature from 1770 to 1967). 뉴욕: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세인트 클레어, 윌리엄 (1998). 《엘긴 경과 대리석 조각상》(Lord Elgin and the Marbles). 3판.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세인트 클레어, 윌리엄 (1972). 《그리스가 여전히 자유로울 수 있도록: 독립 전쟁의 친헬레네스》(That Greece Might Still Be Free: The Philhellenes in the War of Independence). 런던: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스펜더, 해럴드 (1924). 《바이런과 그리스》(Byron and Greece). 런던: 존 머레이.
  • 스턴, 버나드 허버트 (1969). 《영국 문학에서의 낭만적 헬레니즘의 부상, 1732-1786》(The Rise of Romantic Hellenism in English Literature, 1732-1786). 뉴욕: 옥타곤 북스.
  • 터너, 프랭크 (1981).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그리스 유산》(The Greek Heritage in Victorian Britain). 뉴 헤이븐: 예일 대학교 출판부.
  • 브레토스, 시어도어 (1974). 《규모의 그림자: 엘긴 대리석 조각상 획득》(A Shadow of Magnitude: The Acquisition of the Elgin Marbles). 토론토: 롱맨.
  • 웹, 티모시 (1982). 《영국 낭만적 헬레니즘, 1700-1824》(English Romantic Hellenism, 1700-1824). 맨체스터: 맨체스터 대학교 출판부.
  • 윈터러, 캐롤라인 (2002). 《고전주의 문화: 미국 지적 생활에서의 고대 그리스와 로마, 1780–1910》(The Culture of Classicism: Ancient Greece and Rome in American Intellectual Life, 1780–1910). 볼티모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부.
  • 우드하우스, C.M. (1968). 《현대 그리스: 짧은 역사》(Modern Greece: A Short History). 런던: 페이버 앤 페이버.

참조

[1] 문서 Noah Comet, Isobel Hurst, and Yopie Prins
[2] 문서 William St. Clair
[3] 문서 Warren Anderson and David DeLaura
[4] 문서 Linda Dowling
[5] 서적 A Life of Picasso London 1991
[6] 서적 A Life of Picasso London 1991
[7] 서적 Shenandoah 1985
[8] 서적 De Kooning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