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드리히 실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실러는 독일의 시인이자 극작가, 철학자, 역사가로, 독일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그는 1759년 독일에서 태어나, 군의관으로 복무하며 문학에 몰두했다. 초기에는 자유에 대한 갈망을 담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이후 괴테와 교류하며 독일 고전주의 문학 양식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희곡 "군도", "간계와 사랑", "빌헬름 텔" 등이 있으며, "환희의 송가"는 베토벤의 교향곡 9번에 사용되었다. 실러는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편지와 같은 철학 논문을 통해 미학 사상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1805년 폐렴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작품은 시대를 초월하여 자유, 정의, 인간 존엄성을 강조하며 오늘날까지 널리 읽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드리히 실러 - 예나 대학교
    예나 대학교는 1558년 작센 선제후 요한 프리드리히에 의해 설립된 튀링겐주 예나의 공립 종합대학교로, 자유로운 학풍과 결투 문화, 진화론 교육의 중심지로 명성을 떨쳤으며, 현재는 대학 연합을 맺고 활발한 연구 활동과 다양한 박물관 및 컬렉션을 운영하고 있다.
  • 프리드리히 실러 - 유럽가
    유럽가는 프리드리히 실러의 시 《환희의 송가》를 바탕으로 베토벤이 작곡한 곡으로, 유럽 평의회에서 찬가로 채택되어 유럽 연합의 공식 찬가로 사용되며, 자유, 평화, 연대를 표현한다.
  • 프랑스어-독일어 번역가 - 슈테판 게오르게
    슈테판 게오르게는 독일의 시인이자 번역가로서, 독일 제국 말기 문학적 사실주의에 반기를 든 문학 운동의 중심인물이며, 독일 낭만주의와 프랑스 상징주의의 영향을 받아 난해한 시를 썼고, 단테, 셰익스피어, 보들레르 등의 작품을 독일어로 번역했으며, 그의 사상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사회에 영향을 미쳤으나, 나치즘과는 거리를 두고 스위스로 망명하여 생을 마감했다.
  • 그리스어 출발어 번역가 - 저우쭤런
    저우쭤런은 루쉰의 동생이자 중국의 수필가, 번역가, 사상가로, 신문화 운동에 참여하여 백화문 문학을 옹호하고 문학 혁명에 기여했으나, 중일 전쟁 시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았으며, 만년에는 번역에 매진했다.
프리드리히 실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루도비케 시마노비츠의 프리드리히 실러 초상화 (1794)
루도비케 시마노비츠의 초상화 (1794)
본명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폰 실러
출생1759년 11월 10일
출생지마르바흐암네카르, 뷔르템베르크 공국, 신성 로마 제국
사망1805년 5월 9일
사망지바이마르, 작센-바이마르 공국
직업극작가
시인
철학자
역사학자
활동 시기1781년 - 1805년
사조슈투름 운트 드랑
바이마르 고전주의
가족
배우자샬로테 폰 렝게펠트 (1790년 결혼)
자녀카를 루트비히 프리드리히 (1793–1857)
에른스트 프리드리히 빌헬름 (1796–1841)
카롤리네 루이제 프리데리케 (1799–1850)
에밀리에 헨리에테 루이제 (1804–1872)
친척요한 카스파르 실러 (아버지)
엘리자베타 도로테아 실러, 결혼 전 성은 코드바이스 (어머니)
크리스토피네 라인발트 (여동생)
작품
주요 작품빌헬름 텔
환희의 송가
마리아 슈투아르트
군도
돈 카를로스
발렌슈타인 3부작
종의 노래
데뷔작군도
영향
영향 받은 인물요한 볼프강 폰 괴테

2. 생애

프리드리히 실러는 1759년 11월 10일, 뷔르템베르크 공국의 마르바흐에서 군의관 요한 카스파 실러와 엘리자베타 도로테아 실러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적 개신교[1] 가정에서 자랐다.

신학을 전공하여 목사가 되려 했으나, 뷔르템베르크 공작 카를 오이겐의 명령으로 카를슈쿨레 슈투트가르트에 입학했다. 처음에는 법학을 공부했으나 의학으로 전공을 바꾸었고, 졸업 후에는 슈투트가르트에서 하급 군의관이 되었다.

학생 시절, 실러는 엄격한 교육을 받으며 자유에 대한 동경을 키웠고, 몰래 문학 작품을 탐독하며 습작했다. 특히 철학 교수 아벨의 권유로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읽은 것은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782년 1월 13일 만하임에서 초연된 <군도>는 독일 귀족 계급의 횡포에 대한 반항을 담은 작품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로써 실러는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러나 연대 의무관이었던 그는 집필 활동이 금지되었고, 1782년 9월 22일 밤에 만하임으로 도주했다. 도피 생활 중에도 (1783), 간계와 사랑>(1784)을 집필했다.

1787년 네덜란드 독립사를 연구하여 인정을 받았고, 1789년 예나 대학의 비정규직 교수가 되었다. 그 후 미학, 철학, 역사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며 생활의 안정을 찾았지만, 학생 수 감소와 건강 악화로 얼마 후 사직했다.

1794년부터 괴테와 교류하며 시집 《크쎄니엔》을 출간했다. 1802년 예나에서 바이마르로 이사하면서 이들의 공동 작업은 더욱 확대되었다.

1799년경부터 만년의 희곡 창작 시기에 들어섰다. 《발렌슈타인》 3부작 (1799),《마리아 슈투아르트》(1800),《오를레앙의 처녀》(1801), <메씨나의 신부>(1803), 《빌헬름 텔》(1804) 등을 집필하며 괴테와 견주는 대작가가 되었다.

1805년 5월 9일, 폐렴(폐결핵으로 추정)으로 바이마르에서 사망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759년 11월 10일, 독일 남서부 뷔르템베르크 공국의 마르바흐에서 군의관 요한 카스파 실러와 엘리자베타 도로테아 실러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매우 독실한 개신교[1] 가정에서 자랐으며, 어린 시절 성경 공부를 많이 했는데, 이는 훗날 그의 극작에 영향을 미쳤다.[2]

실러의 생가 스케치


청년 실러의 초상


실러의 아버지는 7년 전쟁에 참전 중이었고, 실러는 프리드리히 대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를 프리츠라고 불렀다. 1763년 전쟁이 끝나자 실러의 아버지는 슈바비슈 그뮌트에 주둔하게 되었고, 가족은 그를 따라 로르흐로 이사했다.

로르흐에서 실러는 초등 교육을 받았다. 그의 부모는 실러가 사제가 되기를 원했기 때문에 마을의 신부에게 라틴어그리스어를 가르치도록 했다. 모저 신부는 훌륭한 교사였고, 훗날 실러는 그의 첫 번째 희곡인 ''도적들''에서 그를 따서 성직자의 이름을 지었다.

1766년, 가족은 뷔르템베르크 공작의 주요 거주지인 루트비히스부르크로 이사했고, 실러는 1767년 루트비히스부르크 라틴어 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신학을 공부하여 목사가 되려 했으나, 뷔르템베르크 공작 카를 오이겐의 눈에 띄어 1773년 카를슈쿨레 슈투트가르트(공작이 설립한 엘리트 군사 학교)에 입학하여 법학을 전공했다. 1775년 전공을 의학으로 바꾸었다. 카를슈쿨레에서 장 자크 루소와 괴테를 읽고, 급우들과 고전적 이상에 대해 토론했다. 엄격한 교육 환경 속에서 자유에 대한 갈망을 키우고, 문학 작품을 탐독하며 습작했다.

1776년, 첫 시집 『저녁(Der Abend)』을 출판했다. 같은 해 셰익스피어의 『오셀로』,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등에서 영감을 받아 처녀작 『군도』 집필을 시작하였다. 1779년 의학 논문을 제출했지만, 내용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받아 수정했고, 1780년 개정판 논문이 수리되었다.

1781년 익명으로 발표한 처녀작 『군도』는 슈투름 운트 드랑 시대의 이상에 불타는 청년으로서 실러의 자유에 대한 갈망과 정의감이 드러난 작품이다. 이 작품은 1782년 만하임에서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실러는 카를 오이겐 공작의 명령을 어기고 무단으로 참석하여 14일간 독방 생활을 하고, 의학 서적 외의 저술 활동을 금지당했다.

1781년부터 1782년까지 슈투트가르트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했다.

2. 2. 초기 작품 활동과 망명

1781년, 실러는 익명으로 자신의 첫 희곡인 군도를 자비로 출판했다.[6] 이 작품은 독일 귀족 계급의 횡포에 대한 반항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1782년 1월 13일 만하임에서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6] 실러는 이 작품의 성공으로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실러는 슈투트가르트 연대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하고 있었는데,[6] 군도의 초연에 참석하기 위해 허가 없이 연대를 떠났다가 체포되어 14일간 징역형을 받았다. 카를 오이겐 공작은 실러에게 의학 서적 외의 저술 활동을 금지했다.

1782년 9월 22일 밤, 실러는 공작의 저술 금지령을 피해 만하임으로 도주했다.[6] 그는 도피 생활을 하면서 <피에스코의 반란>(1783)과 간계와 사랑 (1784)을 썼다.[6]

실러는 한때 만하임 극장의 전속 작가가 되었으나, 중병으로 인해 사퇴했다.[6] 이후 크리스티안 쾨르너의 도움으로 돈 카를로스 (1787)를 완성했다.[6]

쾨르너의 초상

2. 3. 예나 대학 교수 시절

1787년 네덜란드 독립사를 연구하여 인정을 받았고, 1789년 괴테의 추천으로 예나 대학의 역사학 비정규직 교수가 되었다. 역사와 미학을 강의했지만, 학생 수 감소와 건강 악화로 사직했다. 그 후 미학, 철학, 역사에 관한 논문을 잇달아 발표하여 생활 안정을 찾았다. 1790년 샤를로테 폰 렝게펠트와 결혼하여 가정을 꾸렸다. 1791년부터 이마누엘 칸트 철학을 집중 연구하여 독자적인 철학을 발전시켰다.

2. 4. 괴테와의 우정과 바이마르 시절

1794년부터 괴테와 교류하며 《크세니엔》이라는 시집을 함께 냈다.[5] 이들은 자주 만나 문학에 대해 이야기하고 많은 편지를 주고받으며 공동 작업을 했다.[5]

1794년 7월, 예나에서 열린 식물학회에서 괴테와 직접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생겼고, 원식물론(Urpflanzen)으로 의기투합하여, 이를 계기로 괴테와 본격적인 친분을 맺었다.[5] 1796년에는 강렬한 문단 풍자 시집 『크세니엔』(Xenien)을 공동 제작하여, 2행 연시 형식(에피그램)으로 당시 문단을 신랄하게 비판했다.[5]

1799년 12월, 예나에서 바이마르로 이주하여 괴테와의 공동 작업은 더욱 확대되었고, 괴테와의 친교가 더욱 깊어졌다.[5] 실러와 괴테의 교제가 깊어짐에 따라, 헤르더나 비란트와 같은 과거의 지인들과 괴테와의 사이는 소원해져 갔다.[5]

1799년경부터 실러는 만년의 희곡 창작 시기에 들어가,《발렌슈타인》 3부작 (1799),《마리아 슈투아르트》(1800),《오를레앙의 처녀》(1801), <메씨나의 신부>(1803), 《빌헬름 텔》(1804) 등의 대표작을 썼다.[5]

1802년에는 귀족에 서열되고, 이후에는 "폰(von)·실러"를 칭한다.[5]

2. 5. 사망

1805년 5월 9일 폐렴(폐결핵으로 추정)으로 바이마르에서 4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오랜 투병 생활 끝에 사망했으며, 마지막 순간까지 희곡 『데메트리우스』 집필을 시도했다고 한다.[37][38]

3. 사상과 작품 세계

프리드리히 실러는 대부분의 독일인에게 독일의 가장 중요한 고전 극작가로 여겨진다. F. J. 램포트와 에리히 아우어바흐 같은 비평가들은 실러가 극적 구조를 혁신적으로 사용하고, 멜로드라마와 부르주아 비극 같은 새로운 형태를 창조했다고 평가했다.

실러의 주요 희곡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내용
군도 (Die Räuber)슈투름 운트 드랑 운동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돈과 권력을 추구하는 형제와 보헤미안 숲에서 혁명적 무정부를 만들려는 형제의 이야기를 통해 계급, 종교의 위선, 독일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을 비판한다. 피터 브룩스는 이 작품을 최초의 유럽 멜로드라마로 평가한다.[22]
피에스코 (Die Verschwörung des Fiesco zu Genua)
간계와 사랑 (Kabale und Liebe)귀족과 평민의 비극적인 사랑을 통해 절대주의와 부르주아의 위선을 비판하는 부르주아 비극이다.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기를 거부한 젊은 독일인들이 총살당하는 장면을 통해 반(反)영국적 풍자를 보여준다.[23]
돈 카를로스 (Don Karlos)펠리페 2세의 아들 돈 카를로스의 이야기를 다룬 역사 드라마이다. 플랑드르를 해방시키려는 돈 카를로스의 모습을 통해 공화주의적 면모를 보여주며, 개인의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실러의 신념을 드러낸다.
발렌슈타인 3부작30년 전쟁 동안 반역적인 사령관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의 마지막 날과 암살을 다룬다.
마리아 스튜어트 (Maria Stuart)엘리자베스 1세의 라이벌이었던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를 비극적인 여주인공으로 묘사한다.
오를레앙의 처녀 (Die Jungfrau von Orleans)잔 다르크에 관한 내용이다.
메시나의 신부 (Die Braut von Messina)
빌헬름 텔 (Wilhelm Tell)
데메트리우스 (Demetrius)미완성 작품이다.


3. 1. 슈투름 운트 드랑과 고전주의

실러의 초기 작품은 슈투름 운트 드랑(질풍노도) 운동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이 시기 실러는 자유와 정의에 대한 뜨거운 열망, 그리고 사회 부조리에 대한 비판 의식을 작품에 담아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군도간계와 사랑이 있다.[22][23] 군도는 돈과 권력을 쫓는 형제와 혁명적 무정부 상태를 만들려는 형제의 이야기를 통해 계급과 종교의 위선, 독일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을 비판한다.[22] 간계와 사랑은 귀족 청년과 평민 처녀의 비극적인 사랑을 통해 절대주의와 부르주아의 위선을 고발한다.[23]

시간이 지나면서 실러는 점차 고전주의로 전환했다. 그는 고대 그리스 연극 정신의 재생을 지향하며, 운명에 맞서 싸우는 인간 의지의 힘을 묘사하는 데 집중했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발렌슈타인 3부작과 마리아 슈투아르트가 있다. 발렌슈타인 3부작은 30년 전쟁 당시 권력을 탐하다 몰락한 장군 발렌슈타인의 운명을 통해 숭고함을 그려낸다. 마리아 슈투아르트는 엘리자베스 1세에게 희생당하는 스코틀랜드 여왕 마리아를 비극적 주인공으로 묘사한다.

3. 2. 철학과 미학

실러는 칸트 철학을 연구하고, 크리스토프 마르틴 빌란트의 "아름다운 영혼" 개념을 발전시켜 이성과 감정의 조화를 추구했다. 1795년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편지" 등 미학 논문을 통해 예술을 통한 인간성 함양과 이상 사회 건설을 주장했다. "숭고함에 대하여" 등 숭고 미학에 대한 논의도 전개했다.[22]

3. 3. 역사 연구

실러는 17세기 전반 30년 전쟁을 다룬 역사서 《30년 전쟁사》(1792)를 집필했다.[22] 역사 연구를 통해 인간 자유의 문제를 탐구하고, 이를 희곡 창작에 반영했다.[22] 대표적인 역사극으로는 《발렌슈타인》 3부작과 《돈 카를로스》가 있다. 《발렌슈타인》은 30년 전쟁 당시 반역적인 사령관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의 마지막 날과 암살을 다루며,[22] 《돈 카를로스》는 펠리페 2세의 아들 돈 카를로스의 비극적인 삶을 통해 개인의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실러의 신념을 보여준다.[22]

4. 주요 작품

실러는 《간계와 사랑》, 《군도》, 《발렌슈타인》 3부작, 《마리아 슈투아르트》, 《오를레앙의 처녀》, 《빌헬름 텔》 등 대표적인 희곡을 남겼다. 대한민국에는 《빌헬름 텔》이 '윌리엄 텔'이라는 영어식 발음으로 많이 소개되었으며, 1989년 국립극단이 Frank Arnold의 연출로 올린 《간계와 사랑》이 대표적인 공연이다.[23]

또한, 1600년대 전반부의 30년 전쟁을 다룬 역사서인 《30년 전쟁사》(1792)를 저술했다.[1]

4. 1. 희곡


  • 군도(1781): 독일 귀족 사회의 부패와 억압에 저항하는 젊은이들의 이야기이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 민주화 운동 당시 대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2]
  • 피에스코(1783)
  • 간계와 사랑(1784): 귀족 페르디난트 폰 발터와 부르주아 딸 루이제 밀러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이다. 절대주의와 부르주아의 위선에 대한 비판을 보여준다. 궁정의 정치적 음모는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과 같은 비극적 결말을 초래한다. 2막 2장에서는 미국 독립 전쟁을 진압하기 위해 헤센군과 영국군에 합류하기를 거부한 젊은 독일인들이 총살당하는 장면이 나온다.[23] 한국에서는 1989년 국립극단에서 처음으로 공연되었다.
  • 돈 카를로스(1787): 펠리페 2세의 아들 돈 카를로스를 둘러싼 사건을 바탕으로 한다. 플랑드르를 억압에서 해방시키려는 돈 카를로스의 노력을 다룬다.
  • 발렌슈타인 3부작(1799): 30년 전쟁 시기, 권력욕에 눈이 멀어 파멸하는 장군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의 이야기이다. ''발렌슈타인의 진영'', ''피콜로미니'', ''발렌슈타인의 죽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 마리아 스튜어트(1800): 엘리자베스 1세의 라이벌이었던 스코틀랜드 여왕 마리아 스튜어트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 작품이다.
  • 오를레앙의 처녀(1801): 프랑스 영웅 잔 다르크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 메시나의 신부(1803)
  • 빌헬름 텔(1804): 스위스 독립 영웅 빌헬름 텔의 이야기이다. 한국에서는 '윌리엄 텔'이라는 영어식 발음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데메트리우스(미완)

4. 2. 시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훌륭한 시는 단순히 좋은 시보다 음악으로 만들기가 더 어렵다고 말했는데, 작곡가는 시인보다 더 높이 올라가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베토벤은 "실러의 경우 누가 그렇게 할 수 있겠는가? 이 점에서 괴테는 훨씬 더 쉽다."라고 썼다.[29]

실러의 시에 대한 유명한 악곡 설정은 비교적 적다. 주목할 만한 예외는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 설정( 교향곡 9번의 마지막 악장)[23], 요하네스 브람스의 합창곡 나니, 프란츠 슈베르트리트로 설정한 실러의 시 44편( 소녀의 탄식, 보증 포함, 대부분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곡)[30] 등이다.

막스 브루흐의 종의 노래[31][32], 엘리제 슈메처의 리트 "비밀"[33]도 실러의 시를 기반으로 한다.

실러의 주요 시는 다음과 같다.

  • 송가 《환희의 송가》(Ode an die Freude, 1786)
  • 《그리스의 신들》(Die Götter Griechenland, 1788)
  • 사상시 《산책》(Der Spaziergang, 1795)
  • 발라드 《장갑》(Der Handschuh, 1797)
  • 《잠수부》(Der Taucher, 1797)
  • 《이비쿠스의 학》(Die Kraniche des Ibykus, 1797)
  • 《폴리크라테스의 반지》(Der Ring des Polykrates, 1798)
  • 《인질》(Die Bürgschaft, 1798)
  • 《종의 노래》(Das Lied von der Glocke, 1799)
  • 《개선》(Das Siegesfest, 1803)
  • 《예술의 은총》(Die Huldigung der Künste, 1804)

4. 3. 기타

실러는 1600년대 전반부의 30년 전쟁을 다룬 역사서인 《30년 전쟁사》(1792)를 저술했다.[1]

5. 사후와 유산

2005년 실러 사망 200주년을 맞아 독일 전역에서 "실러의 해" 행사가 열렸다. 만하임에서는 국제 실러 축제가 열렸고, 국립극단이 《군도》로 폐막 공연을 했다.[35] 실러의 작품은 자유, 정의, 인간 존엄성 등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여 오늘날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실러의 작품은 독일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프랑스, 러시아 등에서도 "자유의 시인", "시민의 대표로서의 반항자"로 열렬히 환영받았다.[35] 그의 시는 수사학적으로나 운율적으로 뛰어나 "독일 시의 모범"으로 평가받으며, 지금도 독일 김나지움에서 교과서에 실려 학생들이 암송한다.[35] "센티멘탈"이라는 말은 실러의 저서 《소박 문예와 감정 문예》에서 사용된 "sentimentalisch"에서 유래했다.[35]

실러의 시 "자유 찬가"(1785)는 프랑스 혁명 직후 "라 마르세예즈" 멜로디로 독일 학생들에게 불렸고, 이후 가필 수정되어 "환희에 부쳐"(1803)라는 제목이 붙었다.[35] 1859년 실러 탄생 100주년에는 각국에서 기념 행사가 열렸으며, 코타 출판은 7년 동안 전 세계에서 2,400만 권의 실러 저서를 판매했다.[35]

EU의 주제가는 박애 정신, 평화, 사랑하는 기쁨을 노래한 교향곡 9번 '합창' 제4악장의 칸타타부로 선정되었다.[35] 2005년 실러 서거 200주년에는 독일에서 저서 복간, 관련 서적 출판, 다양한 이벤트가 열렸다.[35] 베토벤합창이 있는 교향곡 제9번 제4악장 가사에 "환희의 송가"를 추가했다.[35] 프란츠 슈베르트괴테 다음으로 실러의 시에 곡을 많이 붙였다.[35]

실러의 작품은 오페라로도 많이 만들어졌다. 로시니의 《빌헬름 텔》, 도니체티의 《마리아 스투아르다》, 차이콥스키의 《오를레앙의 처녀》 등이 대표적이다.[35] 특히 베르디셰익스피어와 함께 실러를 흠모하여 《군도》, 《돈 카를로스》, 《조반나 다르코》, 《루이자 밀러》를 오페라로 만들었다.[35]

참조

[1] 서적 Friedrich Schiller: Playwright, Poet, Philosopher, Historian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22-03-01
[2] 간행물 Frederich Schiller https://archive.org/[...] 1990
[3] 웹사이트 Friedrich Schiller biography http://studiocleo.co[...] Studiocleo.com 2013-11-06
[4] 뉴스 Friedrich Schiller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1-05-01
[5] 웹사이트 Schillers Familie https://www.schiller[...] Deutsches Literaturarchiv Marbach
[6] 간행물 Female Illness and Male Heroism: The Works of Caroline von Wolzogen 1999-04
[7] 뉴스 Schädel in Schillers Sarg wurde ausgetauscht http://www.spiegel.d[...] Der Spiegel 2008-05-03
[8] 웹사이트 Death Mask http://www.sammlunge[...] Sammlungen.hu-berlin.de 2013-11-06
[9] 웹사이트 New York City Department of Parks and Recreation Website https://www.nycgovpa[...] 2020-04-07
[10] 웹사이트 Schiller Park https://germanvillag[...] 2024-03-10
[11] 웹사이트 German Democratic Republic, 10 Mark der DDR 1964 http://www.banknote.[...]
[12] 웹사이트 20 Mark, German Democratic Republic https://en.numista.c[...] 2023-07-06
[13] 웹사이트 5 Reichsmark, Germany https://en.numista.c[...] 2023-07-06
[14] 웹사이트 King of Drama gekürt https://www.nachtkri[...] 2008-09-20
[15] 웹사이트 Friedrich von Schiller's 260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19-11-10
[16] 서적 Schiller: A Birmingham Symposium Rodopi 2006
[17] 서적 Liberalism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5
[18] 서적 Friedrich Schiller: Drama, Thought and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9] 서적 Ethics and World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0] 서적 Imperfect Cosmopolis: Studies i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legal theory and cosmopolitan ideas University of Wales Press 2011
[21] 서적 Schiller's Aesthetic Essays: Two Centuries of Criticism Camden House 1995
[22] 백과사전 Johann Anton Leisewitz https://www.britanni[...] 2023-05-05
[23] 문서 The Autobiography of Col. John Trumbull
[24] 웹사이트 Letters Up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5] 문서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Schiller
[26] 문서 Eros and Civilization Herbert Marcuse
[27] 웹사이트 Friedrich von Schiller http://freemasonry.b[...] Freemasonry.bcy.ca 2013-11-06
[28] 문서 Internationales Freimaurer Lexikon Eugen Lennhoff, Oskar Posner, Dieter A. Binder
[29] 웹사이트 Beethoven: the man and the artist, as revealed by his own words, Project Gutenberg. http://www.gutenberg[...] 2011-11-20
[30] 문서 Fifty Songs by Franz Schubert http://brittlebooks.[...] Henry T. Finck
[31] 웹사이트 Das Lied von der Glocke http://www.classical[...] Classical Net 2022-12-08
[32] 웹사이트 "Das Lied von der Glocke" op.45 https://repertoire-e[...] Musikproduktion Hoeflich 2022-12-08
[33] 웹사이트 Elise Schmezer Song Texts https://www.lieder.n[...] 2023-03-04
[34]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women composers Books & Music 1987
[35] 서적 A Harvest of German Verse https://archive.org/[...] D. Appleton and Company
[36]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1-19
[37] 뉴스 シラーの頭蓋骨、DNA鑑定へ=本物論争の決着目指す-独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07-07-27
[38] 뉴스 DNA鑑定で真贋判定へ シラーの頭蓋骨 http://www.sankei.co[...] 産経新聞社 2007-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