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술은 갈릴래아 호수 동쪽에 위치했던 고대 왕국으로, 현재의 골란고원 지역에 해당한다. 구약성경에 등장하며, 므나쎄 지파의 땅과 인접해 있었다. 다윗 왕 시대에는 아람 왕국의 통치를 받았으며, 다윗은 그술 왕의 딸 마아가와 결혼하기도 했다.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종교 의례와 주변 국가와의 관계가 밝혀졌으며, 엣텔을 중심으로 한 유적지에서 그술의 종교적 관습과 건축 양식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싸이다 - 오병이어의 기적
오병이어의 기적은 예수께서 다섯 개의 빵과 두 마리의 물고기로 5천 명을 먹인 사건으로, 예수의 자비와 능력을 보여주며 다양한 신학적 교훈을 제시한다. - 베싸이다 - 요한복음 6장
요한복음 6장은 신약성경의 여섯 번째 장으로 갈릴리 호수에서 오병이어 기적, 예수의 물 위를 걸으심, 생명의 빵 담론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유대인들의 반발과 제자들의 이탈, 베드로의 신앙 고백을 담고 있다. - 골란고원 - 베싸이다
베싸이다는 갈릴리 호수 북쪽 해안에 위치하며 베드로, 안드레, 빌립의 고향이자 예수 그리스도가 기적을 행한 곳으로, 여러 고고학적 후보지가 있으며 헤롯 빌립에 의해 율리아스로 재건되기도 했다. - 골란고원 - 2024년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 레반트의 고대사 -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는 현재 이라크 지역의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위치한 고대 문명으로,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공존하며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등의 강력한 군주 아래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당하며 쇠퇴한 문명이다. - 레반트의 고대사 - 아시리아
아시리아는 기원전 26세기경 메소포타미아 북부에서 번성한 고대 문명으로, 아수르 도시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오리엔트 전역을 지배하는 대제국을 건설했으며, 복잡한 사회, 발달된 관료 제도, 강력한 군사력을 특징으로 건축, 예술, 문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고 현대 아시리아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그술 | |
|---|---|
| 개요 | |
| 위치 | 골란 고원 남부 |
| 중심지 | 벧새다 추정 |
| 관련 민족 | 아람인 |
| 역사 | |
| 건국 시기 | 기원전 10세기 이전 |
| 멸망 시기 | 기원전 8세기 |
| 주요 사건 | 다윗의 장인 달매가 통치 압살롬이 망명 르호보암의 아내 마아가의 출신지 |
| 성경 속 그술 | |
| 관련 인물 | 달매 (다윗의 장인) 압살롬 (다윗의 아들) 마아가 (르호보암의 아내) |
| 주요 내용 | 다윗 왕조와 혼인 관계 압살롬의 망명지 |
| 기타 | |
| 관련 유적 | 에-텔 (벧새다) |
2. 위치
그술은 갈릴래아호 동쪽에 위치했으며, 남쪽으로는 야르무크강에 접했다.[18] 이 지역은 현대에 골란고원이라 불린다.[20][21] 바산에서 페니키아 해변으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갈릴래아 호수 남동쪽에 위치한 텔 도버가 그술의 남쪽 경계로 여겨지기도 한다. 골란고원에서 그술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을 여러 발굴하기도 했다.
"게술"은 주로 성경에서 발견되며 "요새"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9] 성경은 게술이 바산 근처, 아르곱과 아람 또는 시리아에 인접해 있다고 묘사한다. 요단강 동쪽에 정착한 므낫세 지파의 절반에게 게술이 할당되었지만, 게술 사람들을 쫓아내지는 못했다.
3. 역사
사무엘상 27장 8절은 다윗이 가드 왕국 시글락에 주둔하면서 게술 사람들을 상대로 습격했다고 기록한다. 다윗이 이스라엘을 통치하던 시대에 게술은 독립적인 아람 왕국이었으며, 다윗은 게술 왕 달매의 딸 마아가와 결혼했다. 그녀의 아들 압살롬은 이복 형이자 다윗의 장남인 암논을 살해한 후 어머니의 고향으로 도망갔다. 압살롬은 다윗에게 복귀하기 전 3년 동안 그곳에 머물렀다. 기원전 9세기경에 게술 왕국은 역사에서 사라졌다.[10]
3. 1. 성경 기록
그술은 구약성경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는 이름으로, "요새"를 의미한다.[24] 성경은 이들을 바산 땅 근처, 아르곱과[25] 아람, 시리아에 접한다고 기록한다.[26] 여호수아가 므나쎄 지파의 땅 중 요르단강(요단강) 동편 부분을 점령하여 이스라엘 백성에게 나누어줄 때 그술 사람들과 마아갓 사람들은 쫓아내지 못했다.[27]
다윗은 가드에 의탁하여 시글락에서 생활하던 때에 그술인들을 정벌하였다. 다윗이 이스라엘을 통치할 때 그술은 아람 왕국의 통치를 받았으며, 다윗은 그술 왕 달매의 딸 마아가와 결혼했다.[28] 마아가의 아들 압살롬은 다윗의 장자 암논을 죽인 뒤 그술로 도망쳐 3년을 살았다.[29] 기원전 9세기경 그술은 역사에서 사라진다.[18]
3. 1. 1. 이스라엘과의 관계
다윗 왕 시대 이전,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 땅을 정복할 때 므나쎄 지파에게 할당되었으나 그술 족속을 쫓아내지 못하고 계속 같이 살았다는 기록이 있다.[27]
사무엘상 27장 8절에는 다윗이 가드에 의탁하여 시글락을 받아 생활하던 때에 그술인들을 정벌했다는 기사가 실려있다. 다윗이 이스라엘을 통치할 때 그술은 아람 왕국의 통치를 받았다. 다윗은 그술 왕 달매의 딸 마아가와 결혼했으며,[28] 마아가의 아들 압살롬은 다윗의 장자 암논을 죽인 뒤 그술로 도망쳐 3년을 살다가 다윗에게 돌아왔다.[29]
3. 2. 성경 외 사료
아마르나 문서 중 두 도편에서 '가루의 땅'이라는 글이 식별되는데, 하솔과 아스다롯 사이 골란 고원의 땅이 가루의 땅으로 묘사된다. 여기서 가루가 그술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는 학자들도 있으나,[30] 논란의 여지가 많은 가설이다.[19] 샬마네세르 3세의 부서진 조각에 쓰여있는 비문에 '그술인들이 나의 발 앞에 끌려왔고, 나는 그들 부족을 받아들였다'는 기록이 적혀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19]
늦은 청동기 시대의 아마르나 서한 두 통 (EA 256과 EA 364)은 '가루 땅'을 하솔과 아스다롯의 도시 국가 사이의 골란 고원의 분쟁 지역으로 식별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 '가루'가 성경에 나오는 그술과 동일하다고 믿지만,[11] 다른 학자들은 이를 "가설적이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 가정"에 근거한 것으로 간주하며 이 주장에 이의를 제기한다.[2]
일부 학자들은 살만에세르 3세의 부서진 조각상에 새겨진 비문에서 그가 점령한 도시들을 묘사하는 내용 중에 "게수르인이 내 발을 잡았다. 나는 그들의 조공을 받았다"라는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고 믿고 있지만, 이는 확실하지 않다.[2]
4. 종교
그술은 높은 곳에 비석을 세우고 동물과 그릇에 담긴 공물을 바치는 종교 의례를 행했으며, 이는 주변 국가들의 영향을 보여준다.[22] 그술인들은 소 모양 상징으로 달의 신을 묘사하고 가장 높은 위치에 두었는데, 이는 시리아 남부에서 흔히 발견되는 종교 형태이다. 그술인들의 공예품은 이집트의 것을 닮았다.[22]
성읍 문 주변에서 발견되는 황소 우상은 비의 신 하닷이나 달의 신, 혹은 그 둘 모두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여겨진다.[23] 음식 종류를 제한하는 규칙과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관습은 이스라엘 민족 종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22]
4. 1. 종교 유적
에트텔 발굴을 통해 높은 곳, 장식된 석비, 제물 용기, 희생 동물, 봉헌 비문 등 그술인들의 종교적 관습에 대한 증거가 드러났다.[8] 이러한 유물들은 주변 국가들의 영향을 보여준다.[8] 그술인들은 남부 시리아에서 흔했던 황소 형태의 달 신을 숭배했으며, 예술과 부적에서 이집트의 영향을 볼 수 있다.[8]성읍 문 주변에서 발견되는 황소 우상은 비의 신 하닷이나 달의 신, 혹은 그 둘 모두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여겨진다.[23] 높은 장소에서 비석을 세워두고 동물과 그릇에 담긴 공물을 바치는 종교 의례는 주변국들의 영향을 보여준다. 그술인들은 소 모양 상징으로 달의 신을 묘사하며 가장 높은 위치에 두는데, 이는 시리아 남부에서 흔히 발견되는 종교 형태이다. 한편 그술인들의 공예품은 이집트의 것을 닮았다.[22] 음식 종류를 제한하는 규칙과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관습은 이스라엘 민족 종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22]
4. 2. 주변국 종교와의 비교
et-Tell 발굴을 통해 높은 장소, 장식된 석비, 제물 용기, 희생 동물, 봉헌 비문 등 그술인들의 종교적 관습에 대한 증거가 드러났다.[8] 이러한 물질 문화는 주변 국가들의 강한 영향을 보여준다.[8]그술인들은 소 모양의 상징으로 달의 신을 묘사하며 가장 높은 위치에 두었는데, 이는 시리아 남부에서 흔히 발견되는 종교 형태이다.[22] 성읍 문 주변에서 황소 우상이 종종 발견되는데, 이는 비의 신 하닷이나 달의 신, 혹은 그 둘 모두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여겨진다.[23]
그술인들의 공예품은 이집트의 것을 닮았다.[22] 그들의 종교적 숭배는 남부 시리아에서 흔했던 황소 형태의 달 신 숭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그들의 예술과 부적에서 이집트의 영향을 볼 수 있다.[8]
음식 종류를 제한하는 규칙과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관습은 남쪽 이스라엘 민족 종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22]
5. 고고학 연구
그술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는 주로 골란 고원 일대에서 이루어졌다. 골란 고원은 갈릴리 호수 동쪽 해안에서 남쪽으로 야르무크 강까지 뻗어 있으며, 바산과 페니키아 해안을 연결하는 경로 중 하나이다.[10][4][5]
골란 고원 내 조사에서는 그술 영토 내에서 많은 정착지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에트텔, 텔 하다르, 텔 도버, 하스핀 등 주요 유적지 발굴을 통해 그술의 역사와 문화를 파악할 수 있다. Sugimoto (2015)는 갈릴리 호수 북동부 지역의 철기 시대 IB기(기원전 11세기 중반) 도시들이 그술 왕국의 활동을 반영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16]
이후 철기 시대 IIA기(기원전 10세기~9세기 중반) 및 철기 시대 IIB기 도시들은 아람 다마스쿠스의 남쪽 확산과 관련이 있다. Sugimoto는 텔 도버, 텔 ‘엔 게브, 텔 하달, 텔 베싸이다, 텔 킨네렛 등 이 지역의 다섯 주요 유적지에서 발굴한 고고학적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그는 "이 도시들의 물질 문화, 특히 건축 양식은 두 시대 모두 남부 레반트의 가나안 도시보다 시리아 북부의 아람과 신-히타이트 도시와 더 유사하다."라고 설명한다.[17]
5. 1. 주요 유적지
그술은 현재 골란 고원이라 불리는 지역으로, 갈릴리 호수 동쪽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는 야르무크 강까지 뻗어 있는 지역이다.[10][4][5] 이 지역은 바산과 페니키아 해안을 연결하는 경로 중 하나에 해당한다.골란 고원 내에서 실시된 조사에서는 그술 영토 내에서 많은 정착지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에트텔, 텔 하다르, 텔 도버, 하스핀 등 주요 유적지 발굴을 통해 그술의 역사와 문화를 엿볼 수 있다.
- '''에트텔''': 고고학자들은 그술 왕국의 수도가 에트-텔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 '''텔 하다르''': 갈릴리 호수 북동쪽 기슭에 있는 작은 유적으로, 고대 이스라엘과는 다른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일부 학자들은 이곳이 그술의 지배를 받았을 가능성을 제시한다.[13]
- '''텔 도버''': 갈릴리 호수 남동쪽, 야르무크 강 근처에 위치한 작은 정착지로, 그술 왕국의 남쪽 경계였을 가능성이 있다.[14]
- '''하스핀''': 2020년 발굴된 철기 시대 1기 요새 유적으로, 달의 신 숭배와 관련된 유물이 발견되어 에트텔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15]
5. 1. 1. 에트텔
고고학자들은 그술 왕국의 수도가 에트-텔에 위치해 있었다는 것에 동의하는 경향이 있다. 에트텔은 기원전 1세기와 서기 1세기에 소규모로 거주했으며 때로는 신약성경에 나오는 벳새다와 동일시되기도 한다.[12] 엣텔 유적은 처음에는 기원전 8세기로 식별되었으나 2016년에 기원전 10세기로 그 연대가 더 앞선 것으로 추정되었다.[31] 요단강 동쪽에 접한 철기시대의 유적 중 가장 규모가 크다.[19]주로 스트라텀 V 도시 성문과 같은 웅장한 고고학적 발견물들은 기원전 8세기 그술 이후 시대에 속하지만, 2016년 현재, 고고학자들이 기원전 10세기, 즉 그술 시대의 도시 성문을 찾는데 근접해 있다는 징후가 있다. 에트-텔 유적지는 철기 시대 II기 동안 요르단 계곡 동쪽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도시였을 것이다.[2]
5. 1. 2. 텔 하다르
텔 하다르는 갈릴리 호수 북동쪽 기슭에 있는 작은 유적지로,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고대 이스라엘과는 다른 건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부 고고학자들은 이 유적이 그술의 지배를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3]5. 1. 3. 텔 도버
갈릴리 호수 남동쪽, 야르무크 강 근처에 위치한 텔 도버는 철기 시대 I-IIa 시대의 작은 정착지로, 그술 왕국의 남쪽 경계였을 가능성이 있다.[14]5. 1. 4. 하스핀
2020년 이스라엘 고대 유물 관리국이 감독한 발굴을 통해 하스핀 인근에서 철기 시대 1기에 해당하는 거대한 요새가 발견되었다. 이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어떤 종류의 달의 신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에트텔 발굴 당시 발견된 유사한 물건들과 매우 흡사하여, 수석 고고학자들은 두 유적이 어떤 식으로든 연결되어 있다고 결론 내렸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당시 발굴 과정에서 두 유적 사이의 구체적인 연결 고리를 보여주는 다른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15]5. 2. 지역 개관
Sugimoto (2015)에 따르면, 갈릴리 호수 북동부 지역의 철기 시대 IB기(기원전 11세기 중반) 도시는 그술 왕국의 활동을 반영했을 가능성이 높다.[16]이후 철기 시대 IIA기(기원전 10세기~9세기 중반) 및 철기 시대 IIB기 도시들은 아람 다마스쿠스의 남쪽 확산과 관련이 있다. Sugimoto는 이 지역의 다섯 주요 유적지(텔 도버, 텔 ‘엔 게브, 텔 하달, 텔 베싸이다, 텔 킨네렛)에서 발굴한 고고학적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그는 "이 도시들의 물질 문화, 특히 건축 양식은 두 시대 모두 남부 레반트의 가나안 도시보다 시리아 북부의 아람과 신-히타이트 도시와 더 유사하다."라고 설명한다.[17]
참조
[1]
웹사이트
2 Samuel 3:3
https://www.academic[...]
[2]
간행물
The Kingdom of Geshur in History and Memory
2012
[3]
문서
Timeline of the Palestine region
[4]
서적
The Westminster Historical Atlas to the Bible
The Westminster Press
1946
[5]
간행물
Rediscovered! The Land of Geshur
https://www.baslibra[...]
1992-07
[6]
문서
Eine Mondgottstele aus et-Turra/Jordanien. Zeitschrift des Deutschen Palästina-Vereins ZDPV 127/2, 2011, 135-141 - academia.edu
https://www.academia[...]
Stefan Jakob Wimmer
2011
[7]
문서
Cultic stele, Bethsaida, Iron Age II, 9th-8th century BCE.
https://www.imj.org.[...]
The Israel Museum
2005
[8]
서적
Bethsaida: A City by the North Shore of the Sea of Galilee, Vol 3
Truman State University
[9]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the Arameans: From Their Origins to the End of Their Polities
SBL Press
[10]
서적
Archaeological Encyclopedia of the Holy Land
Continuum
[11]
간행물
Geshur and Maacah
1961
[12]
뉴스
Mighty Fortifications Found by Archaeologists Show Kingdom of Geshur More Powerful Than Thought
http://www.haaretz.c[...]
2016-07-20
[13]
간행물
Rediscovered! The Land of Geshur
http://cojs.org/redi[...]
1992-07
[14]
간행물
Tel Dover
2001
[15]
뉴스
Massive 3,000-year-old Fortified Complex Found in Israeli Golan Heights
https://www.haaretz.[...]
Haaretz
[16]
문서
History and Nature of Iron Age Cities in the Northeastern Sea of Galilee Region: A Preliminary Overview.
https://www.jstage.j[...]
David T. Sugimoto
2015
[17]
문서
History and Nature of Iron Age Cities in the Northeastern Sea of Galilee Region: A Preliminary Overview.
https://www.jstage.j[...]
David T. Sugimoto
2015
[18]
서적
Archaeological Encyclopedia of the Holy Land
Continuum
[19]
간행물
The Kingdom of Geshur in History and Memory
2012
[20]
서적
The Westminster Historical Atlas to the Bible
The Westminster Press
1946
[21]
간행물
Rediscovered! The Land of Geshur
https://www.baslibra[...]
1992-07
[22]
서적
Bethsaida: A City by the North Shore of the Sea of Galilee, Vol 3
Truman State University
[23]
문서
Cultic stele, Bethsaida, Iron Age II, 9th-8th century BCE.
https://www.imj.org.[...]
The Israel Museum
2005
[24]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the Arameans: From Their Origins to the End of Their Polities
SBL Press
[25]
문서
신명기 3:14
[26]
문서
삼하 15:8, 역대상 2:23
[27]
문서
여호수아기 13:13
[28]
문서
삼하 3:3, 역대상 3:2
[29]
문서
역대상 13:37, 15:8
[30]
간행물
Geshur and Maacah
1961
[31]
뉴스
Mighty Fortifications Found by Archaeologists Show Kingdom of Geshur More Powerful Than Thought
http://www.haaretz.c[...]
2016-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