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케리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케리우스는 473년 부르군트족 군도바드에 의해 서로마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오 1세의 인정을 받지 못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서고트족과 동고트족의 침략을 외교와 군사적 수단을 통해 막아냈지만, 군도바드의 지원 부족으로 474년 율리우스 네포스에게 황위를 넘겨주고 살로나의 주교가 되었다. 글리케리우스는 폐위 후 네포스의 암살에 관여했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으며, 480년경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세기 사망 - 프루덴티우스
프루덴티우스는 4-5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한 기독교 시인으로, 법률가와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말년에 수도원에서 금욕 생활을 하며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는 시를 썼으며, 그의 작품은 중세 시대에 널리 읽혔다. - 5세기 사망 - 세이네이 천황
세이네이 천황은 머리카락이 희었던 특징을 가진 유랴쿠 천황의 아들로, 호시카와 황자의 난을 진압하고 왕위를 계승했으며, 후사 없이 리추 천황의 손자들을 양자로 삼아 후계자로 정한 일본의 22대 천황이다. - 5세기 서로마 황제 - 율리우스 네포스
율리우스 네포스는 474년부터 475년까지 서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오레스테스의 반란으로 달마티아로 망명한 후 480년 암살당할 때까지 황제 지위를 유지했다. - 5세기 서로마 황제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서로마 제국의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을 받았으나 그의 치세는 서로마 제국의 쇠퇴기로 여러 위기를 겪고 암살당하며 혼란을 가중시켰다.
| 글리케리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칭호 | 로마 황제 (서방) |
| 통치 시기 | 473년 3월 3/5일 – 474년 6월 24일 |
| 이전 황제 | 올리브리우스 |
| 다음 황제 | 율리우스 네포스 |
| 섭정 | 레오 1세 (473–474) 레오 2세 (474) |
| 섭정 유형 | 동로마 제국 황제 |
| 출생지 | 달마티아 |
| 사망일 | 474년 이후 (아마도 480년) |
| 사망지 | 달마티아 |
| 종교 | 칼케돈 기독교 |
| 즉위 전 | |
| 직책 | 코메스 도메스티코룸 |
| 임관 | 472년 |
| 직책 | 마기스테르 밀리툼 |
| 생애 | |
| 출생 | 420년경 |
| 주교 임명 | 사로나 (현재의 크로아티아 솔린) |
| 기타 정보 | |
| 솔리두스 | 솔리두스 |
| 레오 1세 통치 | 457년–474년 |
| 사후 | 474년–475/480년 |
2. 생애
글리케리우스는 달마티아에서 태어났지만, 가문이나 귀족 출신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올리브리우스 황제 치하에서 궁정 근위대 사령관(comes domesticorum) 직책을 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0]
472년 서로마 제국의 실권은 게르만족 출신 군사령관(magister militum) 리키머가 쥐고 있었다. 리키머는 마요리아누스 황제를 폐위시키고 리비우스 세베루스, 안테미우스 등 여러 황제를 옹립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472년 7월, 리키머는 안테미우스를 몰아내고 올리브리우스를 황제로 옹립했으나, 한 달 뒤인 8월 18일에 사망했다. 리키머의 지위는 조카인 부르군디 출신 군도바드가 계승했고, 올리브리우스 황제는 472년 11월 2일에 사망하여 서로마 제국은 약 4개월간 황제 자리가 비는 공위 시대를 맞았다.
473년 3월, 군도바드는 글리케리우스를 서로마 황제로 옹립했다. 글리케리우스는 라벤나에서 황제로 선포되었고, 군도바드에게서 황제를 상징하는 자색 예복을 받았다.[9] 그러나 당시 서로마 제국은 야만족의 침략과 궁정 혼란으로 황제의 권위가 실추되어 그를 지지한 것은 군도바드뿐이었다.
글리케리우스는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서고트족과 동고트족의 침략을 외교와 군사적 활동으로 막아냈다.[23] 서고트족 왕 에우리크의 이탈리아 침공 명령은 지휘관 빈센티우스가 로마 지역 사령관에게 살해당하면서 저지되었다. 에우리크는 골을 침공하여 아를과 마르세유를 점령하려 했다. 동고트족 왕 비데미르의 이탈리아 침공 계획은 글리케리우스가 2000solidi를 선물하여 골로 이동시키면서 무산되었다.[23]
글리케리우스는 주로 북부 이탈리아에서 통치한 것으로 보이며, 성직 매매를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했다. 이 법은 서로마 제국뿐만 아니라 동로마 제국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성직자와 원로원 계급 모두에게 호응을 얻었다.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한 글리케리우스는 474년에 로마 집정관을 임명하지 않고 동방의 유아 황제 레오 2세를 집정관으로 인정했다. 그러나 동로마 황제 레오 1세는 글리케리우스를 군도바드의 꼭두각시로 여겨 황제로 인정하지 않았다. 레오 1세는 율리우스 네포스를 서방 황제로 임명하고 함대를 보내 글리케리우스를 제거하려 했다.
474년 6월, 율리우스 네포스가 오스티아 안티카에 상륙하자 글리케리우스는 교전 없이 항복했다.[8] 6월 24일 라벤나에서 퇴위했으며,[18] 로마시를 점령한 율리우스 네포스가 새로운 황제로 즉위했다.[19][16][17] 그 후 글리케리우스는 달마티아의 살로나 주교가 되어 그곳에서 생애를 마쳤다.[19][20]
폐위된 후 글리케리우스는 즉시 살로나 주교로 서임되었다.[19] 5세기 비잔틴 제국 역사가 말쿠스에 따르면, 글리케리우스는 480년 율리우스 네포스가 이탈리아에서 쫓겨나 달마티아에서 망명 정부를 운영하게 되자, 네포스 암살에 어느 정도 관여했다고 한다. 하지만 암살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불분명하다.[8][9] 글리케리우스는 474년 이후, 아마도 480년에 사망했다.[19] 그는 오도아케르 왕에 의해 밀라노 대주교가 되었다고 하는 글리케리우스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이는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8][9]
2. 1. 군인 시절
페니 맥조지는 "글리케리우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고 요약한다.[1] 글리케리우스는 달마티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귀족 가문이 아니었을 수도 있다. 그는 comes domesticorumla(궁정 근위대 사령관) 직위에 올랐으며, 서로마 황제 올리브리우스의 통치 기간 동안 그 직책을 수행했을 가능성이 높다.[10]472년 당시 서로마 제국의 실권은 게르만족 출신의 magister militum(군대 지휘관) 리키머가 쥐고 있었다. 리키머는 마요리아누스 황제를 폐위시킨 후, 리비우스 세베루스, 안테미우스 등 여러 황제를 옹립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리키머는 안테미우스를 몰아낸 후 472년 7월에 올리브리우스를 황제로 옹립했다.
그러나 리키머는 472년 8월 18일에 사망했고, 그의 지위는 그의 조카인 부르군디 출신 군도바드가 계승했다. 올리브리우스 황제는 그 직후인 472년 11월 2일에 사망했고, 서로마 제국은 거의 4개월 동안 황제가 없는 공위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2. 2. 즉위
페니 맥조지는 "글리케리우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고 요약한다. 글리케리우스는 달마티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귀족 가문이 아니었을 수도 있다. 그는 comes domesticorumla(궁정 근위대 사령관) 직위에 올랐으며, 서로마 황제 올리브리우스의 통치 기간 동안 그 직책을 수행했을 가능성이 높다.473년 3월, 서로마 제국의 황제 자리가 공석이 되자, 부르군트족 공작이자 마기스테르 밀리툼이었던 군도바드는 당시 무명의 군인이었던 글리케리우스를 서로마 황제로 옹립하였다. 글리케리우스는 서로마 제국의 수도 라벤나에서 황제로 선포되었고, 군도바드의 손에 의해 자색 예복을 수여받았다고 한다.[9] 당시 서로마 제국은 야만족의 침략으로 황폐해졌고, 궁정의 혼란으로 인해 로마 황제의 권위는 실추되어 반역 행위가 당연시되었으며, 서로마 황제에 대한 충성심은 거의 사라졌기 때문에 그를 지지한 것은 부르군트족의 군도바드뿐이었다. 즉위 날짜에 관해서는 파스티 빈도보넨세스 연대기에서는 5일이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파스찰레 캄파눔은 3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기번은 글리케리우스의 옹립에 이르는 경위에 대해 "비잔틴 궁정의 처리가 지극히 우유부단하고 무능했기 때문에, 안테미우스 황제 사후, 아니 올리브리우스 황제의 죽음에서 몇 달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예정된 후계 황제가 보기에 흉하지 않은 정도의 군세를 이끌고 이탈리아 신하들 앞에 모습을 드러내지 못했고, 그 사이에 무명의 군인 글리케리우스가 그의 후원자 군도바드의 손으로 자색 예복을 수여받았다"라고 표현하고 있다.[1]
2. 3. 통치와 외교
글리케리우스의 재위 기간은 짧았지만, 서고트족과 동고트족의 침략을 외교와 군사적 활동을 통해 막아낸 중요한 시기였다.[23] 서고트족 왕 에우리크는 이탈리아 침공을 명령했지만, 그의 지휘관 빈센티우스는 로마 지역 사령관에게 살해당했다. 이후 에우리크는 골을 침공하여 아를과 마르세유를 점령하려 했다. 동고트족 왕 비데미르는 이탈리아 침공을 계획했지만, 글리케리우스는 2000solidi를 선물하여 비데미르를 설득해 골로 이동시켰다.[23] 이러한 외교적 노력은 글리케리우스가 로마와 비잔틴 사료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글리케리우스는 주로 북부 이탈리아에서 통치한 것으로 보이며, 그가 제정한 유일한 법률은 성직 매매 (교회 직책 판매)를 금지하는 내용이었다. 이 법은 서로마 제국뿐만 아니라 동로마 제국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성직자와 원로원 계급 모두에게 호응을 얻었다.
글리케리우스는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며, 474년에 로마 집정관을 임명하지 않고 동방의 유아 황제 레오 2세를 집정관으로 인정했다. 그러나 동로마 황제 레오 1세는 글리케리우스를 군도바드의 꼭두각시로 여겨 황제로 인정하지 않았다. 레오 1세는 율리우스 네포스를 서방 황제로 임명하고 함대를 보내 글리케리우스를 제거하려 했다.
글리케리우스는 군도바드의 지지를 잃고 동맹이 없는 상황에서 474년 6월 라벤나에서 퇴위했고, 네포스가 황제 자리를 차지했다. 글리케리우스는 군사적 저지와 외교를 통해 야만족의 침략을 막고, 성직 매매를 금지하는 등 정치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2. 4. 퇴위
글리케리우스는 폐위된 후 즉시 살로나 주교로 서임되었다.[19] 5세기 비잔틴 제국의 역사가 말쿠스에 따르면, 글리케리우스는 480년 율리우스 네포스가 이탈리아에서 쫓겨나 달마티아에서 망명 정부를 운영하게 되자, 네포스의 암살에 어느 정도 관여했다고 한다. 하지만 암살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불분명하다.[15][16][17] 글리케리우스는 474년 이후, 아마도 480년에 사망했다.[19][16] 그는 때때로 글리케리우스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그는 오도아케르 왕에 의해 밀라노 대주교가 되었지만, 이는 아마도 잘못된 것이다.[15][17] 글리케리우스가 대주교로 승진했다는 출처는 엔노디우스가 쓴 모호한 구절인데, 여기에는 글리케리우스라는 이름을 가진 대주교를 다른 밀라노 대주교들과 함께 칭찬하는 내용이 있다. 하지만 이 부분은 대주교 글리케리우스를 황제 글리케리우스와 동일시하기 위해 훼손되었거나 나중에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17]474년 6월, 율리우스 네포스가 오스티아 안티카에 상륙한 후, 글리케리우스는 교전 없이 항복했다.[8] 그 결과 6월 24일 라벤나에서 퇴위했으며,[18] 로마 시를 점령한 율리우스 네포스가 새로운 황제로 즉위했다.[19][16][17] 그 후 곧 그는 달마티아에 위치한 도시 살로나 (현재의 크로아티아 솔린)의 주교가 되었고,[19] 그곳에서 생애를 마쳤다.[20]
네포스가 글리케리우스를 관대하게 대했던 것은 글리케리우스가 이전부터 황위에 적극적으로 오르려고 하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그의 지역에서 처형이나 기타 글리케리우스를 처단할 수 있는 대의명분이 될 수 있는 '범죄' 행위의 증거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네포스는 만약 글리케리우스가 죽는다면 그는 순교자로 취급받을 것이며, 또한 자신의 이탈리아 지배에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의지처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글리케리우스를 이탈리아의 황위에서 제거하고 자신의 근거지인 달마티아의 살로나로 보내 감독하여 더 이상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18]
글리케리우스의 짧은 치세는 종말을 맞이했고, 그 결과 잘 알려지지 않은 황제들 중 한 명이 되었지만, 그 치세의 짧음은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고대 문헌도 존재한다. 그의 그 후의 삶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이 있으며, 주교로서 새로운 직무를 맡기 전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요르다네스는 글리케리우스가 그 통치 방식이 독재적이었기 때문에 그 지배가 단명에 그쳤다고 주장하고 있다.[18]
2. 5. 퇴위 이후
글리케리우스는 폐위된 후 즉시 살로나 주교로 서임되었다.[19] 5세기 비잔틴 제국의 역사가 말쿠스에 따르면, 글리케리우스는 480년 율리우스 네포스가 이탈리아에서 쫓겨나 달마티아에서 망명 정부를 운영하게 되자, 네포스의 암살을 조직하는 데 어느 정도 관여했다고 한다. 하지만 암살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불분명하다.[8][9] 글리케리우스는 474년 이후, 아마도 480년에 사망했다.[19] 그는 때때로 글리케리우스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오도아케르 왕에 의해 밀라노 대주교가 되었다고 하나, 이는 아마도 잘못된 것이다.[8][9] 글리케리우스가 대주교로 승진했다는 출처는 엔노디우스가 쓴 모호한 구절인데, 여기에는 글리케리우스라는 이름을 가진 대주교를 다른 밀라노 대주교들과 함께 칭찬하는 내용이 있다. 하지만 이 부분은 대주교 글리케리우스를 황제 글리케리우스와 동일시하기 위해 훼손되었거나 나중에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9]3. 평가 및 의의
글리케리우스의 치세는 짧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공적을 남겼다. 그는 기독교를 깊이 신앙하여 시모니아(성직 매매)를 규제하고 교회의 의무를 강화하는 법을 제정했다[23]. 또한, 야만족을 아군으로 삼아 제국의 침략 위협을 줄이는 데에도 어느 정도 성공했다. 예를 들어 서고트족의 이탈리아 침공을 군사적으로 저지하고, 동고트족과는 외교와 공납을 통해 평화로운 관계를 맺었다[23].
글리케리우스는 짧은 재위 기간 때문에 정치적 수완을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입법상의 공적과 기독교 보호 정책을 볼 때, 그는 마지막으로 정치에 의욕적인 서로마 제국 황제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ローマ帝国衰亡史 5 アッティラと西ローマ帝国滅亡
ちくま学芸文庫
[2]
서적
L'abdication de l'empereur romain. Comptes-rendu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inscriptions et belles-lettres. Vol. 123. No. 2
[3]
문서
西洋古典学事典
[4]
문서
佐藤2008、pp.54-55
[5]
문서
MacGeorge、2002、p272
[6]
웹사이트
ホノリウス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7]
웹사이트
マギステル・ミリツム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8]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 Glycerius
https://www.britanni[...]
[9]
웹사이트
Emperor Glycerius | The Roman Empire
https://roman-empire[...]
[10]
논문
Shadow Emperors: Coins of the Fall of Rome.
https://www.academia[...]
2023
[11]
서적
Emperors Don't Die in Bed
https://archive.org/[...]
Routledge
[12]
웹사이트
Ancient Roman Emperors - Glycerius
https://www.ancientr[...]
[13]
웹사이트
フォエデラティ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4]
서적
Late-Antique Studies in Memory of Alan Cameron
Brill
[15]
문서
西洋古典学事典、[ユーリウス・ネポース]。
[16]
문서
西洋古典学事典、[レオー(ン)1世]。
[17]
문서
西洋古典学事典、[グリュケリウス]。
[18]
서적
Patricians and Emperors: The Last Rulers of the Western Roman Empire
Pen & Sword Books
2015
[19]
간행물
Anonymus Valesianus
Loeb Classical Library, Harvard
1972
[20]
웹사이트
Glycerius – De Imperatoribus Romanis
https://www.roman-em[...]
2018-02-23
[21]
간행물
Romana
[22]
웹사이트
Ennodius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3]
문서
MacGeorge、2002、p2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