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율리우스 네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리우스 네포스는 474년부터 475년까지 서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480년 암살될 때까지 달마티아에서 황제 지위를 유지했다. 그는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오 1세의 지원을 받아 글리케리우스를 폐위시키고 황위에 올랐으나, 오레스테스의 반란으로 인해 이탈리아에서 달마티아로 망명해야 했다. 달마티아에서 망명 정부를 수립하고 동로마 제국의 승인을 받았지만, 480년 측근들에게 암살당했다. 많은 역사가들은 그를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로 간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80년 사망 - 네크탄 1세 모르베트
  • 480년 사망 - 킬페리쿠스 1세 (부르군트인의 왕)
  • 430년 출생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491년부터 518년까지 동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서, 검소한 통치와 대외 위협 대응, 화폐 및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종교적 갈등과 반란으로 불안정한 통치를 겪다가 후계자를 정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 430년 출생 - 시아그리우스
    시아그리우스는 서로마 제국 말기 갈리아 지역의 지배자로 아버지 아에기디우스의 뒤를 이어 수아송 왕국을 건설했으나 프랑크 왕 클로비스 1세에게 패배하여 암살당했다.
  • 서로마 제국의 장군 - 리키메르
    리키메르는 5세기 서로마 제국의 실질적인 지배자로서 게르만계 군사령관이었으며, 여러 황제를 꼭두각시로 내세워 권력을 행사하고 반달족과의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안테미우스와의 갈등 끝에 사망하여 서로마 제국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 서로마 제국의 장군 - 보니파티우스
    보니파티우스는 5세기 초 서로마 제국의 장군으로, 북아프리카에서 서고트족 격퇴, 북아프리카 총독, 마우리족과의 전투, 갈라 플라키디아와의 내전, 반달족 침입 저항, 아에티우스와의 권력 다툼 끝에 사망했다.
율리우스 네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금화 초상화
율리우스 네포스의 솔리두스, 표기: nepos }}
이름율리우스 네포스
로마자 표기Julius Nepos
전체 이름플라비우스 율리우스 네포스 (Flavius Julius Nepos)
출생지나르니 (이탈리아 본토)
사망지살로나 근처
사망일480년 5월 9일
통치
직위로마 황제
재위서방 로마 제국
즉위474년 6월 24일
퇴위475년 8월 28일
재위 지역이탈리아
선대 황제글리케리우스
후대 황제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달마티아 재위475년 8월 28일 – 480년 5월 9일
달마티아 후임'직위 폐지' (제논 (쪽))
가문
왕조레온
아버지네포티아누스
어머니마르켈리누스의 누이
배우자레오 1세의 조카
기타
군사 계급군사령관 (magister militum)

2. 배경

율리우스 네포스는 달마티아 출신의 로마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2] 그의 아버지 네포티아누스는 서로마 제국 황제 마요리아누스(457–461년) 휘하에서 복무한 장군이었으며, 465년에 임지에서 사망했다.[3] 그의 삼촌 마르켈리누스는 달마티아의 군사 통치자(magister militumla)였다.[4] 네포스는 동로마 황후 베리나와 관련된 로마 귀족 여성과 결혼하여 동로마 제국 황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4]

2. 1. 지정학적 배경

476년 동로마 제국(주황색)과 서로마 제국(녹색)


로마 제국이 너무 커져서 한 명의 황제가 효율적으로 다스리기 어렵다는 인식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재위 284–305) 시기인 3세기 후반에 나타났다. 4세기 동안 여러 차례 제국 분할이 이루어졌고,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 (재위 379–395) 사후 395년에 서쪽과 동쪽으로 완전히 분리되었다.[1]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이를 서로마 제국동로마 제국으로 구분하지만, 당시 로마인들은 제국이 공식적으로 분할된 것이 아니라 여전히 하나의 단위로 간주했다.[2]

서로마 제국은 동로마 제국보다 인구가 적고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농촌 지역이었다. 5세기에는 게르만족의 침입과 정착, 그리고 쇠퇴기가 이어졌다.[1] 410년에는 알라리크 1세가 이끄는 서고트족이 로마를 약탈했다. 455년에는 발렌티니아누스 3세 (재위 425–455)가 폐위되고 살해당한 후, 가이세리크가 이끄는 반달족에게 다시 로마가 약탈당했다.[3]

서로마 군대는 점차 게르만족 용병에 의존하게 되었다. 발렌티니아누스 3세 사후, 리카메르와 같은 강력한 게르만족 장군들이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고 꼭두각시 황제를 내세워 통치했다.[4] 발렌티니아누스 3세 사망부터 율리우스 네포스 즉위 사이의 20년 동안 서로마에서는 7명의 황제가 통치했으며, 제국의 실질적인 통제는 이탈리아, 레티아, 갈리아 일부 지역에만 미쳤다.[5]

2. 2. 가문

율리우스 네포스는 달마티아 출신의 로마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2] 그의 아버지는 서로마 제국 황제 마요리아누스 (457–461년) 휘하에서 복무한 장군이었으며, 465년에 임지에서 사망했다.[3] 그의 삼촌 마르켈리누스는 달마티아의 군사 통치자(magister militumla)였으며,[4] 반달족과의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7][8][9] 네포스는 동로마 황후 베리나와 관련된 로마 귀족 여성과 결혼하여 동로마 제국 황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4]

3. 생애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오 1세는 서로마 제국 황제였던 글리케리우스를 찬탈자로 여겨, 율리우스 네포스를 서로마 황제로 임명했다. 네포스는 레오 1세의 임명 전에는 달마티아의 장군이자 군사 통치자였다. 475년, 네포스는 갈리아의 툴루즈(지금의 프랑스 툴루즈) 근처에 침입한 서고트 왕국의 독립을 승인했다.

같은 해 8월, 플라비우스 오레스테스가 반란을 일으키자 네포스는 달마티아로 도망쳤고, 오레스테스는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황제로 내세웠다. 하지만 네포스는 계속 서로마 황제를 자칭했으며, 동로마 제국과 갈리아, 서부 게르만의 군사통치자들은 그를 정통 황제로 인정했다.

476년 8월,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가 오도아케르에게 폐위된 후, 동로마 황제 제논은 통일 로마 황제를 자처했으나, 네포스는 이에 반발했다. 480년 네포스는 달마티아의 자택에서 글리케리우스에게 암살되었다.

3. 1. 황제 임명 (474년)

473년,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오 1세는 서로마 제국 황제 글리케리우스를 찬탈자로 간주하고, 자신의 친척인 네포스를 새로운 서로마 황제로 임명했다.[11][12][13] 레오 1세는 네포스에게 군대를 지원하여 이탈리아를 공격, 글리케리우스를 폐위시키도록 했다.

474년 6월, 네포스는 이탈리아에 상륙하여 글리케리우스를 몰아내고 서로마 황제로 즉위했다.[11][12][13] 글리케리우스는 저항하지 않고 항복했으며, 살로나의 주교로 임명되었다.[11][12][13] 네포스는 로마 상원과 이탈리아 사람들에게서 황제로 인정받았다.

로마에서 주조된 네포스의 트레미시스.


율리우스 네포스의 솔리두스 (갈리아 남부 아를에서 주조됨)

3. 2. 이탈리아 통치 (474년 ~ 475년)

474년 6월 네포스는 글리케리우스서로마 제국의 황제직에서 몰아냈다. 글리케리우스 지지자들은 이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다.[14] 네포스는 황제로서 서로마 제국의 남은 영토(이탈리아 본토, 달마티아를 포함한 일리리아, 갈리아 지역의 일부 영토)를 통합하려고 시도했다.

네포스는 남갈리아에서 이베리아를 점령하고 있던 서고트 왕국과 협상하여 서고트 왕 에우릭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다. 이 협정에서 제국이 유지하기 어려웠던 몇몇 도시를 평화적으로 양도하는 대신, 갈리아 남동부 프로방스 지역에 대한 확고한 지배권을 회복했다.

사르데냐코르시카,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지중해의 제해권을 위협하던 반달 왕국의 게이세릭과도 협상을 벌였지만, 이는 실패로 끝났다. 네포스 즉위 전에 레오 1세와 불가침 조약을 맺었던 게이세릭은 양보하지 않았다.

국내적으로는 원로원과의 대립이 있었다. 가장 큰 원인은 네포스의 후원자였던 레오 1세의 존재로, 서로마 제국의 자주성을 위협받았다고 느낀 원로원은 네포스의 즉위에 반감을 품고 있었다. 또한, 네포스를 파견한 레오 1세도 474년 초에 사망했고, 새롭게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된 제논은 레오 1세의 일족인 웨리나 등과의 불화로 네포스를 지지하려 하지 않았다.[14]

3. 3. 달마티아 망명 (475년 ~ 480년)

475년 8월, 귀족 출신 군사령관 플라비우스 오레스테스가 반란을 일으키자, 네포스달마티아로 도망쳤다.[15] 오레스테스는 자신의 아들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새로운 황제로 선포했지만, 동로마 황제 제논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15] 네포스는 달마티아에서 망명 정부를 수립하고 서로마 황제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다.

476년, 오레스테스와 갈등을 빚은 용병대장 오도아케르가 오레스테스를 살해하고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폐위시켰다.[17] 오도아케르는 로마 원로원을 통해 제논에게 서로마 제국의 황위를 반환하고 자신의 지위를 보장해 줄 것을 요청했다. 제논은 오도아케르에게 파트리키 지위와 이탈리아 본토 통치권을 부여했지만,[16][17] 네포스의 권위를 완전히 무시하지는 않았다.[18]

제논은 네포스에게 서방 영토를 포기하라고 통고했지만,[19] 오도아케르는 충성의 표시로 네포스의 이름과 초상이 새겨진 금화를 발행했다. -- 그러나 네포스의 지위는 형식적이었고, 그는 달마티아 통치에 전념했다.

3. 4. 암살 (480년)

480년, 네포스는 자신을 호위하던 경호병들에게 암살되었다.[11] 암살이 벌어진 정확한 날짜는 4월 25일, 5월 9일, 6월 22일 등으로 여러 설이 있다.[20] 그는 달마티아의 살로나(Salona)에 있는 자신의 궁전에서 병사들에게 살해당했는데, 이 궁전은 디오클레티아누스가 건설한 별궁과 같은 건물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암살의 배후로는 네포스 군의 장군이었던 오비다가 지목되기도 하고,[21] 네포스에게 폐위당했던 전 황제 글리케리우스가 지목되기도 한다. 글리케리우스는 암살 당시 궁전 인근에 머무르고 있었으며,[21] 이후 밀라노 대주교로 승진했는데,[13] 이러한 정황은 글리케리우스의 연루 의혹을 더욱 짙게 만든다.

오도아케르는 네포스 암살을 구실로 달마티아를 침공하여 자신의 영토로 병합했다.[22] 오비다는 오도아케르에게 살해되었고, 480년 12월 9일 달마티아는 오도아케르의 영토가 되었다.[22]

4. 유산

율리우스 네포스는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로 여겨진다. 그의 사후, 동로마 황제 제논은 새로운 서로마 황제를 임명하지 않고 로마 제국의 유일한 황제가 되었다. 그러나 제논은 동방 지역만을 실질적으로 통제했다. 서로마 제국의 멸망은 서유럽 역사에서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후 서유럽은 중세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네포스의 통치와 죽음은 로마 제국의 쇠퇴와 멸망 과정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1]

5. 가계도

wikitext

style="font-size:85%" |
마르켈리누스마르켈리누스의 여동생-네포티아누스Verina|베리나영어베리나의 형제자매
!!
율리우스 네포스~~~베리나의 조카

[2][3][4][1][6][5][7][8][9][10]

6. 갤러리

참조

[1] 서적 s.v. Iulius Nepos (3)
[2] 서적
[3] 서적 s.v. Nepotianus (2)
[4] 웹사이트 Julius Nepos (19/24 June 474 – [28 August 475 – 25 April/9 May/22 June 480) http://www.roman-emp[...]
[5] 서적
[6] 웹사이트 The Origins and Deeds of the Goths. Chapter XLV (45) http://people.ucalga[...]
[7] 서적 s.v. Marcellinus (6)
[8] 서적 s.v. Julius Nepos
[9] 서적
[10] 서적
[11] 백과사전 西洋古典学事典
[12] 백과사전 西洋古典学事典
[13] 백과사전 西洋古典学事典
[14]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284-60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https://penelope.uch[...]
[16] 서적 ビザンツ帝国史 恒文社
[17] 서적 末期ローマ帝国 白水社
[18] 서적 尚樹1999
[19]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 new history of Rome and the barbarians New Oxford Press
[20] 서적 Julius Nepos
[21] 서적
[2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