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렌티니아누스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서로마 제국의 황제였다. 그는 425년 서로마 황제로 즉위했으며,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어머니 갈라 플라키디아의 섭정을 받았다. 그의 치세 동안 서로마 제국은 쇠퇴하여 영토를 상실했고, 특히 반달족에게 아프리카 속주를 빼앗기고, 브리타니아를 포기했으며, 히스파니아와 갈리아 대부분을 야만족에게 상실했다. 그는 장군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를 살해한 후, 455년 암살당했으며, 그의 죽음 이후 서로마 제국은 멸망의 길을 걷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55년 사망 - 비유왕
비유왕은 백제의 제19대 국왕으로, 그의 가계는 여러 사서에 다르게 기록되어 아버지에 대한 설이 공존하며, 활발한 외교 활동을 통해 고구려에 대항하며 전쟁 없이 치세를 이어갔으나, 사망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 455년 사망 -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는 서로마 제국의 고위 관료로 경력을 쌓아 로마의 도시 장관과 이탈리아의 프라이토리아 총독을 역임했고, 발렌티니아누스 3세를 암살하고 황위에 올랐으나 75일 만에 살해당했다. - 라벤나 출신 - 체사레 카사데이
체사레 카사데이는 이탈리아 국적의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 포지션에서 뛰며, 첼시 FC 소속으로 레딩 FC와 레스터 시티 FC에서 임대 선수로 활약했고, 2023년 FIFA U-20 월드컵에서 골든 볼과 골든 부트를 수상했다. - 라벤나 출신 - 피터 다미안
페터 다미안은 11세기 이탈리아의 은수자이자 신학자, 교회 개혁가, 추기경으로서, 폰테 아벨라나 수도원 원장으로서 엄격한 수도 생활을 장려하고 성직자 개혁을 주장했으며, 교황 특사로 활동하며 교회 분열 해결에 힘썼고, 신학적 저작을 남겨 사후 성인으로 추존되어 교회 학자로 지정되었다.
발렌티니아누스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플라키두스 발렌티니아누스 |
전체 이름 | 플라비우스 플라키두스 발렌티니아누스 |
로마자 표기 | Peullakideuseu Ballentinianuseu |
군주 칭호 | 서로마 황제 |
재위 기간 | 425년 10월 23일 - 455년 3월 16일 |
유형 | 아우구스투스 |
선임자 | 요한네스 |
계승자 |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섭정 | 테오도시우스 2세 (425–450) |
섭정 유형 | 동로마 황제 |
출생일 | 419년 7월 2일 |
출생 장소 | 라벤나 |
사망일 | 455년 3월 16일 (35세) |
사망 장소 | 로마 |
매장 장소 | 호노리우스 영묘 |
배우자 | 리키니아 에우독시아 |
자녀 | 에우도키아 플라키디아 |
왕조 | 발렌티니아누스 및 테오도시우스 |
아버지 | 콘스탄티우스 3세 |
어머니 | 갈라 플라키디아 |
종교 | 기독교 |
통치 정보 | |
로마 황제 (서방) | 425년 - 455년 |
이미지 | |
![]() | |
![]() |
2. 생애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콘스탄티우스 3세와 갈라 플라키디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계는 테오도시우스 왕조와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모두에 연결되어 있었다. 아버지가 421년에 죽은 후 어머니와 함께 동로마 제국의 테오도시우스 2세에게 의탁하였다.
423년 호노리우스가 죽자 요안네스가 서로마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테오도시우스 2세는 424년 10월 23일 발렌티니아누스를 부제로 지명하고 군대를 파병하여 425년 10월 23일 그를 황제로 즉위시켰다. 즉위 당시 6세에 불과했던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초기에는 어머니 플라키디아, 433년 이후에는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가 실권을 쥐었다. 437년에는 테오도시우스 2세의 황녀 리키니아 에우독시아와 결혼하였다.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서로마 제국은 쇠퇴를 거듭하여 439년 반달족에게 북아프리카를 빼앗기고, 446년 브리타니아를 완전히 포기했으며, 히스파니아와 갈리아 속주 대부분을 잃었다. 시칠리아섬과 지중해 서부 지역은 가이세리크의 함선에 의해 약탈당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는 451년 카탈라우니아 평원의 전투에서 훈족의 왕 아틸라를 격퇴하고, 갈리아 남부에서 서고트족을 상대로 승리하는 등 군사적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제국의 쇠퇴는 가속화되었고, 452년 아틸라가 이탈리아 북부를 휩쓸자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로마로 피신하기도 했다.
454년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를 직접 살해했고, 이듬해 3월 16일 아에티우스 암살에 가담했던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에게 암살당했다.
2. 1. 어린 시절과 즉위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콘스탄티우스 3세와 테오도시우스 1세의 딸 갈라 플라키디아 사이에서 태어난 외아들로, 서로마 제국의 수도인 라벤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콘스탄티우스 3세가 421년에 죽은 후, 어머니 갈라 플라키디아는 호노리우스와 사이가 나빠져 누나 호노리아와 함께 동로마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황궁으로 가서 테오도시우스 2세의 비호를 받았다.[4]
423년 서로마 황제 호노리우스가 죽자, 요안네스가 서로마 황제로 옹립되었다. 동로마 제국의 테오도시우스 2세는 424년 10월 23일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사촌 동생이었던 발렌티니아누스를 부제로 지명하였다. 동로마에서 군대를 파병하여 반대파를 몰살시키고 나서 발렌티니아누스는 425년 10월 23일 황제로 즉위할 수 있었다.[4] 이때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나이는 불과 6세에 불과했다.
발렌티니아누스가 정제의 칭호를 얻었을 때 그는 겨우 6세였기 때문에, 어린 시절에는 어머니 플라키디아가 섭정을 했고 433년 이후로는 야만족 출신 장군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가 황제를 대신해 실권을 쥐었다. 437년 발렌티니아누스는 테오도시우스 2세의 황녀 리키니아 에우독시아와 결혼했다.
2. 2. 통치 기간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서로마 제국은 쇠퇴를 거듭했다. 439년 반달족에게 북아프리카 속주를 빼앗겼고, 446년 브리타니아를 완전히 포기했으며, 히스파니아와 갈리아 속주 대부분을 이민족에게 잃었다. 시칠리아섬과 지중해 서부 지역은 반달족 왕 가이세리크의 함선에 의해 약탈당했다.[11]이런 상황에서도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는 451년 카탈라우니아 평원의 전투에서 훈족의 왕 아틸라를 격퇴하고,[36] 426년, 429년, 436년 갈리아 남부에서 서고트족을 상대로 승리했으며, 428년~431년 라인강과 도나우강에 침입한 이민족을 상대로 군사적 성과를 거두었다.[9][10][11]
그러나 서로마 제국의 국력 약화로 세금 부담이 늘고 속주들의 충성심이 약화되면서 제국의 쇠퇴는 가속화되었다.[11]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라벤나에 머물렀지만, 452년 아틸라가 이탈리아 북부를 휩쓸자 로마로 피신했다.
454년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아에티우스를 직접 살해했고,[46] 이듬해 3월 16일 아에티우스 암살에 가담했던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에게 암살당했다.[46]
2. 3. 암살
454년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가 발렌티니아누스 3세에게 살해당한 후, 455년 3월 16일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아에티우스의 부하들에게 암살당했다.[39]고대 역사가 프리스쿠스는 발렌티니아누스 황제가 아에티우스를 살해한 것에 대해, "왼손으로 오른손을 잘라버렸다"라고 비유했다고 전한다.
프리스쿠스에 따르면, 암살은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의 사주를 받은 옵틸라와 트라우스틸라가 실행했다. 황제가 활쏘기를 연습하기 위해 말에서 내리자, 옵틸라스가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머리를 쳤고, 그가 자신을 때린 사람을 보기 위해 돌아서자 치명적인 일격을 가했다. 한편, 트라우스틸라는 헤라클리우스를 죽였다.
3. 평가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자제심이 없으며 시기심이 많은 성격으로 서로마 제국의 위기를 더욱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46] 그의 치세에는 서로마 제국의 해체가 가속화되었다. 439년 아프리카 주가 반달족에게 정복되었고, 446년 브리타니아를 포기했으며, 히스파니아와 갈리아 대부분을 야만족에게 잃었다. 시칠리아 섬과 지중해 서안은 반달 왕 가이세릭에게 약탈당했다.[44]
451년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가 훈족의 왕 아틸라를 상대로 승리하고, 갈리아 남부에서 서고트족을 상대로 426년, 429년, 436년에 무훈을 세웠으며, 428년부터 431년까지 라인강과 도나우강 침입자들을 상대로 군공을 세웠지만, 제국의 쇠퇴를 막지는 못했다.
454년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아에티우스의 아들과 자신의 딸을 강제로 약혼시키려는 것에 불신을 느껴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를 살해했다.[46] 한 원로원 의원은 이에 대해 "폐하께서 왼손으로 오른손을 자르셨다"라고 말했다.[46] 이듬해 3월 16일, 발렌티니아누스는 아에티우스의 후임자 2명에게 암살당했다.
3. 1. 현대의 평가
에드워드 기번과 존 배그널 버리를 포함한 일부 역사가들은 발렌티니아누스 3세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44]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삼촌 호노리우스보다 제국의 운명에 더 적은 영향을 미쳤으며, 자신의 주인을 죽였다고 생각했지만, 자신의 보호자를 죽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6] 그는 30년 동안 통치했지만, 아에티우스가 황실과 연결되려는 주제넘은 행동에 화가 나서 그를 쳐 죽였을 때 딱 한 번 행동했다.[46]그의 통치 기간 동안 서로마 제국의 쇠퇴가 가속화되었다.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치세는 서로마 제국의 분열로 특징지어진다. 그가 죽을 즈음에는 사실상 북아프리카 전체, 서(西) 히스파니아 전체, 그리고 갈리아 대부분이 로마의 손에서 벗어났다. 그는 응석받이에 쾌락을 즐기고, 마법사나 점성가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묘사되지만, 종교에 헌신하여 로마와 라벤나 모두에 있는 성 라우렌시오 교회를 지원했다.[44]
4. 유산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죽음으로 서로마 제국은 급격히 쇠퇴하여 멸망의 길을 걸었다. 그의 통치 기간은 서로마 제국 멸망의 전조로 여겨진다. 에드워드 기번과 존 배그널 버리를 포함한 일부 역사가들은 발렌티니아누스 3세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44]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치세는 서로마 제국의 분열로 특징지어진다. 그가 죽을 즈음에는 사실상 북아프리카 전체, 서(西) 스페인 전체, 그리고 갈리아 대부분이 로마의 손에서 벗어났다. 그는 응석받이였고 쾌락을 즐겼으며, 마법사나 점성가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묘사되지만, 종교에 헌신하여 로마와 라벤나 모두에 있는 성 라우렌시오 교회를 지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tatue
https://collections.[...]
[2]
웹사이트
LSA-591. Discussion: Portrait head of Emperor with diadem (Valentinian III?). From Rome or its environs. Mid-fifth century.
http://laststatues.c[...]
2022-05-04
[3]
웹사이트
Galla Placidia
https://web.archive.[...]
1996
[4]
서적
undefined
[5]
서적
Honorius: The Fight for the Roman West AD 395–42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
[6]
서적
From Rome to Byzantium AD 363 to 565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3
[7]
서적
undefined
[8]
서적
undefined
[9]
서적
undefined
[10]
서적
undefined
[11]
서적
undefined
[12]
서적
undefined
[13]
서적
undefined
[14]
서적
undefined
[15]
서적
undefined
[16]
서적
undefined
[17]
서적
undefined
[18]
서적
undefined
[19]
서적
undefined
[20]
서적
undefined
[21]
서적
undefined
[22]
서적
undefined
[23]
서적
undefined
[24]
서적
undefined
[25]
서적
undefined
[26]
서적
undefined
[27]
서적
undefined
[28]
서적
undefined
[29]
서적
undefined
[30]
서적
undefined
[31]
서적
undefined
[32]
서적
undefined
[33]
서적
undefined
[34]
서적
undefined
[35]
서적
undefined
[36]
서적
unspecified
[37]
서적
unspecified
[38]
서적
unspecified
[39]
서적
unspecified
[40]
서적
unspecified
[41]
서적
unspecified
[42]
서적
unspecified
[43]
서적
unspecified
[44]
웹사이트
Valentinian III (425–455 A.D)
http://www.roman-emp[...]
[45]
웹사이트
Valentinian III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46]
서적
로마제국 쇠망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