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왕운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왕운기》는 고려 후기의 문신 이승휴가 지은 역사서로, 상·하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권은 중국 역사를 칠언시로, 하권은 한국 역사를 칠언시와 오언시로 읊었다. 특히 하권 제1부에서 발해를 한국사로 인식하고 단군을 한민족의 시조로 기록하여 민족의식과 자주성을 강조했다. 이 책은 몽골의 지배에 대항하는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였으며, 단군신화를 한국사 체계에 편입시키고 발해를 고구려의 계승국으로 인식하는 등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현존하는 간행본으로는 1295년에서 1296년 사이에 진주에서 초간된 동국대학교본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한시 - 황조가
    《황조가》는 고구려 유리왕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시로, 꾀꼬리의 의지하는 모습과 대비되는 화자의 고독한 심정을 노래하며, 작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지만 고대 권력자의 고독과 고뇌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한국의 한시 - 위항 문학
    위항 문학은 조선 시대 위항인들이 주도한 문학으로, 《육가잡영》을 시작으로 시집을 펴내며 문학 활동을 했고 풍월향도, 낙사, 옥계시사 등의 시사 활동을 통해 발전했으며, 《해동유주》, 《소대풍요》, 《풍요속선》, 《풍요삼선》, 《대동시선》 등의 시집이 대표적이다.
  • 국민서사시 - 마하바라타
    마하바라타는 쿠루 왕국의 왕위 계승을 둘러싼 판다바 형제와 카우라바 형제의 전쟁을 다루며, 다르마와 카르마에 대한 철학적 내용을 담고 있는 고대 인도의 대서사시이다.
  • 국민서사시 - 칼레발라
    칼레발라는 핀란드의 국민 서사시로, 핀란드 민족의 기원과 영웅들의 활약, 자연과 삶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담고 핀란드 문화와 예술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제왕운기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제목제왕운기
한자 표기帝王韻紀
로마자 표기Jewang ungi
내용역사 시
창작 시기1287년 (고려 후기)
작가이승휴
문화재 정보
국가대한민국
유형보물
지정 번호418
895
1091-1
지정 날짜1965년 4월 1일 (418호)
1968년 11월 29일 (895호)
1991년 9월 30일, 2011년 11월 1일 지정번호 변경 (1091-1호)
소장 위치경기도 의왕시 (418호)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3가 26 동국대학교 도서관 (895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성출판박물관 (1091-1호)
특징
형식짧은 시 형식의 역사책
목적왕에게 충언
내용중국 역대 제왕의 사적
단군의 고조선 건국
고구려, 발해를 고구려 유민의 나라로 기록

2. 구성

《제왕운기》는 상, 하 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 형식으로 역사를 서술하였다. 상권은 중국 반고로부터 금나라까지의 역사를 264구(句)의 ‘칠언시(七言詩)’로 읊었고, 하권은 한국사를 1, 2부로 나누어 시로 읊고 주기(註記)를 붙였다.[10]

하권 제1부는 지리기(地理記)와 전조선, 후조선, 한사군, 삼한, 신라, 고구려, 백제, 발해, 후삼국을 264구 1,460자의 칠언시(七言詩)로 기술하였고, 제2부는 고려 초부터 충렬왕 때까지를 ‘5언시’(五言詩)로 기록하였다. 제1부의 단군조선 기록은 《삼국유사》와 더불어 가장 오래된 것이며, '''발해사를 한국사로 인식한 최초의 역사서'''이다.[10]

3. 편찬 목적 및 의의

《제왕운기》는 고려와 중국의 지리적, 문화적 차이를 강조하여 고려인이 한족과는 다른 독자성, 자주성, 주체성을 가진 우수한 문화 민족임을 일깨우려 했다. 이를 통해 몽골 (몽골족)의 정치적 간섭에 맞서는 정신적 지주로 삼고자 했다.

이 책은 한민족단군을 시조로 하는 단일 민족임을 나타내고, 단군신화를 한국사 체계에 포함시켰다. 또한 발해고구려의 계승국으로 인정하여 만주 지역도 고려의 영역이었음을 역사적으로 증명하려 했다.[10]

3. 1. 역사적 의의

단군조선에 관한 기록은 《삼국유사》와 더불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발해사를 한국사로 인식한 최초의 역사서이다.[10]

4. 간행본

권말의 발(跋)과 후제(後題)를 보면 초간본은 이승휴가 생존했던 원정 연간(1295년~1296년)에 진주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1. 동국대학교본

이 책은 고려 공민왕 9년(1360년)에 경주에서 중간된 것으로, 인쇄 상태로 보아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에 후쇄된 것으로 여겨진다. 권말의 발(跋)과 후제(後題)를 보면 초간은 이승휴가 생존해 있던 원정 연간(元貞年間, 1295년1296년)에 진주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권 상의 제18장, 권 하의 제6·7·8·16장이 결락되어 필사로 채워져 있으나, 곽영대 소장본(보물 제418호)과 인쇄 상태가 완전히 일치하는 동시에 발문과 후제가 모두 갖추어져 있어 서지학적으로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Naming God in Korea: The Case of Protestant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OCMS 2008-01-01
[2] 서적 사라져가는 오지 마을 을 찿아서 https://books.google[...] 실천문학사 1998-01-01
[3] 웹사이트 "[뉴스 속의 한국사] 짧은 시 형식의 역사책… 왕에게 충언하려 만들었죠" https://newsteacher.[...] 2023-02-09
[4] 웹사이트 "[명경대] '제왕운기' 이탈리아 출간" https://www.kado.net[...] 2023-02-09
[5] 웹사이트 "'남북국시대' 주창한 유득공의 『발해고』" https://www.earticle[...] 2023-02-09
[6] 웹사이트 "발해는 고구려유민들이 세운 나라" http://www.ryongnams[...] 2023-02-09
[7] 웹사이트 "[명경대] '제왕운기' 이탈리아 출간" https://www.kado.net[...] 2023-02-09
[8] 웹사이트 Treasure 418 http://jikimi.cha.go[...] 2013-12-17
[9] 웹사이트 Treasure 1091 http://jikimi.cha.go[...] 2013-12-17
[10] 서적 The New History of Korean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2-01-01
[11] 웹인용 문화재지식정보센터 https://web.archive.[...] 2008-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