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트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트인(Geats)은 고트족과 어원을 공유하는 게르만 민족으로, 2세기부터 기록에 등장한다. 기트인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2세기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작에 나타나며, 6세기에는 요르다네스와 프로코피우스가 언급했다. 기트인은 베오울프와 노르드 사가에 등장하며, 스웨덴과의 통합 과정을 거쳐 스웨덴 왕국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트인은 여러 소왕국으로 나뉘어 팅과 법률을 가졌으며, 오늘날 스웨덴에서는 스웨덴인과 구분되지 않지만, 베스트라예탈란드와 외스테르예탈란드 지방 주민들은 여전히 그들의 지역 방언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트인 - 시게이르
시게이르는 볼숭 대계에 등장하는 고트족의 왕으로, 볼숭 일족을 몰살하려다 시그뉘와 시그문드 사이에서 태어난 신표틀리에게 복수당하며 볼숭 사가의 비극적인 운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트인 - 스비아-기트 전쟁
스비아-기트 전쟁은 앵글로색슨 서사시 《베오울프》에 묘사된 스웨덴인과 게아트족 간의 갈등과 전쟁으로, 여러 왕들의 통치 시기를 거쳐 게아트족의 패배와 스웨덴 왕국으로의 통합을 보여주며, 1442년 예탈란드의 병합으로 기트족의 독립이 종식되었다. - 북게르만족 - 덴마크인
덴마크인은 고대 게르만족에서 시작하여 바이킹 시대, 북해 제국, 칼마르 동맹, 덴마크-노르웨이 연합 등을 거쳐 형성된 민족으로, 덴마크어와 문화적 가치관을 공유하며 세계 각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EU 가입 및 이민 문제로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북게르만족 - 루스인
루스인은 8세기부터 13세기까지 동유럽에서 활동한 다민족 집단으로, 스칸디나비아 출신 바이킹이 중심이 되어 키예프 루스를 건설하고 동슬라브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9세기 이후 슬라브화 과정을 거쳤다는 설이 유력하며, 이들의 기원과 역할은 현재까지 역사학계의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 예탈란드 - 스코네
스코네는 스웨덴 최남단에 위치한 지방으로, 1658년 로스킬레 조약으로 스웨덴에 편입되었으며, 그리핀 머리를 문장으로 사용하고, 평야 지형과 온화한 기후를 특징으로 하며, 말뫼를 포함한 여러 도시와 독특한 문화, 다양한 스포츠를 가진 지역이다. - 예탈란드 - 외스테르예틀란드
외스테르예틀란드는 스웨덴의 지방으로 외스트예탈란 평야를 중심으로 뻗어 있으며 철기 시대부터 중세 스웨덴의 중심지로 발전했고 링셰핑, 노르셰핑 등의 도시와 여러 역사적 건축물, 고대 유적이 존재하며 예타 운하와 킨다 운하가 지나간다.
기트인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기트인 |
로마자 표기 | Geat |
다른 이름 | 예아트족 (Gēatas) 가우타르 (Gautar) 예타르 (Götar) 고우타이 (Goutai) |
역사 | |
관련 부족 | 북게르만족 |
2. 어원
기트(Geat)라는 명칭은 게르만조어 *''Gautoz''에서 유래했다. 이는 고트족을 뜻하는 ''Goths''와 구트인을 뜻하는 ''Gutar''의 어원인 *''Gutaniz''와 같은 어원을 가지며, 게르만조어 *''geutaną''에서 파생되었다. *''geutaną''는 "붓다"라는 뜻으로, 현대 스웨덴어의 ''gjuta'', 현대 독일어의 ''giessen''의 어원이기도 하다.[39] 인도유럽어족 어원으로는 "붓다, 제물을 바치다"라는 의미를 갖는다.[39]
기트인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2세기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작에 등장하며, 그는 기트인을 "고타이"(Goutai)라고 언급했다.[10] 6세기에는 요르다네스가 "가우티고트"(Gautigoths)와 "오스트로고트"(Ostrogoths, 스칸디자의 오스트로고트)에 대해 기록했고, 프로코피우스는 "가우토이"(Gautoi)를 언급했다.[10] 노르드 사가들은 그들을 "가우타르"(Gautar)로, ''베오울프''와 ''위드시스''는 "게아타스"(Gēatas)로 기록했다.[10] 요르다네스는 기트인을 "용감하고 전쟁에 빠르게 참여하는" 민족으로 묘사했다.[11]
'게아트'(고대 영어: Geatasang, 원시 게르만어: *''Gautaz'', 복수형 *''Gautōz'')라는 이름은 "붓다"라는 의미의 원시 게르만어 단어 *''geutaną''에서 유래했으며,[5] 문자 그대로 "그들의 씨앗을 붓는 자들"을 의미한다.[6]
이 명칭은 그들이 살던 땅의 수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지만,[7]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4]
'가우티고트'라는 단어는 오늘날의 예타엘브( )강 근처에 사는 고트족을 의미한다는 설이 있다.[5] 17세기에 '예타엘브'는 이전 이름인 '괴트앨벤'과 '가우텔프르'를 대체했다.[5] '가우트'의 어원은 원시 게르만어 단어 *''geutan''에서 유래되었으며, "붓다"의 확장된 의미는 "흐름, 시내, 폭포"이며, 이는 트로르헤탄 폭포 또는 강 자체를 가리킬 수 있다.[5]
3. 역사
《베오울프》 필사본에는 게아타, 해양 게아타, 웨데라가 언급되어 있다.
''베오울프''와 노르드 사가에는 여러 기트족 왕들의 이름이 언급되지만, "렉스 게타룸"(Rex Getarum)이라고 언급된 ''리베르 몬스트로룸''(Liber Monstrorum)과 "레게 고토룸"(Rege Gotorum)이라고 불린 ''프랑크족의 역사''(Historiae Francorum) 사본에서 히겔라크만이 확인된다.[10] 이 자료들은 서기 516년경 프리지아에 대한 습격에 관한 것이며, 이는 ''베오울프''에도 묘사되어 있다.
앵글로색슨족의 브리튼 섬 정착 시기에, 스칸디나비아 부족 간 전쟁에서 패배한 기트인 일부가 잉글랜드로 이주하여 정착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지명 "-게이트"는 기트족 정착지를 나타내며, 종종 전략적으로 중요한 로마 도로와 인접한 서고트족 및/또는 유트족 정착지와 함께 나타난다.[12] 헹기스트와 그의 형제 호르사와 같이 패배한 유트족은 켄트로 도망갔고, 침략하는 스웨덴족에게 패배한 기트족은 요크셔로 이동하여 티스 강 근처에 길링셔를 설립했는데, 이는 원래 "게틀링"(Geatlings)의 정착지였다.[13] 또한 이 시기에 이스트앵글리아가 기트족에 의해 정착되었거나,[14] 베오울프의 전통을 가져온, 역시 예탈란드에서 온 울핑족에 의해 정착되었다는 주장도 있다.[15]
한편, 폰투스 파흘베크는 1884년에 기트인이 덴마크 유틀란드에 살다가 잉글랜드로 이동한 유트인과 같다는 설을 제기했다. 이 설에 따르면 기트인은 스웨덴 남부 예탈란드뿐만 아니라 유틀란드에도 살았다. 앵글로색슨어 Gēatas는 스웨덴어 götar, 노르드어 gautar와 같은 것으로 대개 받아들여지는데, 이는 현대 스웨덴어의 단모음 'ö'와 노르드어의 이중모음 'au'가 앵글로색슨어의 'ēa'에 대응한다는 관찰에 기인한다.노르드어 현대 스웨덴어 앵글로색슨어 의미 brauð bröd brēad (빵) laukr lök lēac 양파, 리크 lauf löv lēaf (잎) austr öst ēast (동쪽) draumr dröm drēam (꿈) dauðr död dēað (죽음) rauðr röd rēad 붉은색 naut nöt nēat 소머리 kaup köp cēap 구매하다 auga öga ēage 눈[目] haugr hög hēah 높은 saumr söm sēam (솔기) taum töm tēam (팀) auðr öd ēad 재산/부 hlaupa löpa hlēapan 달리다
그러나 1884년 파흘베크는 『베오울프』의 얘아타스인이 유트인을 가리키는 것이며, 덴마크의 유트인도 사실 스웨덴의 기트인과 같은 민족이었다는 설을 제기했다.[45] 이 가설은 베다 베네라빌리스의 『앵글인의 교회사』의 앵글로색슨어 번역본(앨프리드 대왕에게 헌정된)을 근거로 삼는다. 유트인은 라틴어로 ''iutarum'', ''iutis'' 인데, 이것이 앵글로색슨어 번역본에서 ''gēata''(생격)로 한 번, ''gēatum''(여격)로 두 번 번역된다.[44] 그러나 파흘베크는 어떻게 이 두 민족명이 관계될 수 있는지 그 어원은 제시하지 못했다.[45]
이후 헨리크 슈위크는 1907년에 또다른 앵글로색슨어 문헌 『앵글로색슨 연대기』에서 유트인을 ''īutna'', ''īotum'', ''īutum''라고 칭한 것을 근거로 제시하며 파흘베크의 이론에 대해 반박하였다.[45]
3. 1. 스웨덴과의 관계
예아테와 스웨덴인들이 하나의 왕국을 형성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과정은 스웨덴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자료 부족과, 때로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 자료의 진실성은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겼다. 가장 오래된 중세 스웨덴 자료는 스웨덴 왕국이 법률, 무게, 측정 기준에서 지방 간의 차이점을 유지했다고 제시한다.[20]
일부 학자들은 예아테가 스웨덴에 정복당했다고 주장하며, 그 시기를 6세기에서 9세기까지 다양하게 제시했다.[20] 다른 학자들은 더 점진적인 병합을 보았으며, 예아테가 더 강력한 스웨덴 왕국으로 천천히 흡수되었고, 중세 시대 동안 여러 면에서 그들만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했다고 주장했다.[21] 또 다른 학자들은 민족 집단이 아니라 개별 통치자들이 통일 왕국을 향한 과정을 추진했으며, 그 과정이 매우 복잡했다고 강조했다.[22]
1080년대 교황 서한은 수신자를 "스웨덴 왕" 또는 "서예아테 왕"으로 칭했다. 1160년대의 또 다른 교황 서한에서 처음으로 ''rex Sweorum et Gothorum''(스웨덴과 고트족의 왕)이라는 칭호가 확인되었다.[23] 스웨덴 왕들은 1270년대에 자신들을 예아테의 왕으로 칭하는 관습을 시작했다.[24][25][26]
4. 다른 부족과의 관계
고트족과의 관계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계속되었다. 노르드어 문헌과 앵글로색슨어 문헌은 기트인(Gautar|가우타르non, Geatas|얘아타스ang)과 고트인/구트인(Gotar|고타르non, Gotenas|고테나스ang)을 분명하게 구분한다. 그러나 6세기 동로마 사람 요르다네스는 고트족이 스칸드자에서 다키아로 이주했으며, 이 섬에 "가우티고트인"(기트인을 연상시킴), "오스트로고트인"(외스테르예틀란드를 연상시킴), "바고트인"(구트인?)의 세 부족이 살았다고 기록하여 기트인이 고트인일 가능성을 시사했다.
환상열석 매장 문화는 예탈란드와 고틀란드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데, 기원후 1세기부터 오늘날의 폴란드 북부에 환상열석과 선돌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빌바르크 문화가 스칸디나비아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보여준다.[40][41] 외스테르예틀란드 유적에서는 이 시기에 마을들이 갑자기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다.[42] 4세기 이후 기록들은 이 게르만족들을 다키아에 살았던 게타이와 연관짓기도 하는데, 이 부분은 고트=기트 설보다 더 논쟁거리다.
1884년 폰투스 파흘베크는 유트족이 기트인의 일부였다는 주장을 처음 제기하며 『베오울프』와 베다의 『앵글인의 교회사』 앵글로색슨어 번역본을 근거로 제시했다. 그러나 두 민족명이 어떻게 관계되는지에 대한 어원을 제시하지는 못했다.[45] 1907년 헨리크 슈위크는 파흘베크의 이론을 반박했고,[45] 1908년 비외르크만은 서색슨어에서 유트인을 ''Geotas'', 기트인을 ''Gēatas''라 했는데 이것이 혼동되었기 때문이라는 설을 제안했다.[46] "유트"(''jut'')라는 명칭은 인도유럽조어 *eud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는 "물"을 의미한다.[47]
19세기부터 《베오울프》에 언급되는 '날씨-기트인' 또는 '바다-기트인'이 고틀란드의 구트인을 가리킨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40][41] 이 가설은 지리적 위치, 고래의 존재, 명칭 유사성, 매장지 관련 지명 등의 근거를 바탕으로 한다. 가드 라우싱은 베오울프의 민족인 "날씨-기트인"이 실제로는 구트인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보 그레슬룬드가 이를 지지했다.[42]
이 가설이 고대 예탈란드 주민들이 기트인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앵글로색슨어로 기트인을 의미하는 "얘아타스"가 서기트인(베스테르예틀란드), 동기트인(외스테르예틀란드), 날씨기트인(고틀란드)을 모두 가리킬 수 있다는 주장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는 요르다네스가 스칸드자에 가우티고트인, 오스트로고트인, 바고트인이 살았다고 기록한 것과도 일치한다.
4. 1. 고트족과의 관계
고트족과 기트인이 같은 민족인지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계속되었다. 노르드어 문헌과 앵글로색슨어 문헌은 기트인(Gautar|가우타르non, Geatas|얘아타스ang)과 고트인/구트인(Gotar|고타르non, Gotenas|고테나스ang)을 분명하게 구분한다. 그러나 6세기 동로마 사람 요르다네스는 고트족이 원래 스칸드자라는 섬에서 다키아로 이주해 왔다고 기록했다. 그는 이 섬에 "가우티고트인"(기트인을 연상시킨다), "오스트로고트인"(외스테르예틀란드를 연상시킨다), "바고트인"(구트인?)의 세 부족이 살았다고 적었는데, 이는 기트인이 고트인일 가능성을 시사한다.환상열석 매장 문화는 예탈란드와 고틀란드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데, 환상열석과 선돌은 기원후 1세기부터 오늘날의 폴란드 북부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는 빌바르크 문화가 스칸디나비아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40][41] 외스테르예틀란드의 유적들을 보면 이 시기에 마을들이 갑자기 사라진다.[42] 4세기 이후 기록들은 이 게르만족들을 다키아에 살았던 게타이와 연관짓기도 하는데, 이 부분은 고트=기트 설보다 더 논쟁의 대상이다.
4. 2. 유트족과의 관계
폰투스 파흘베크는 1884년에 유트족이 기트인의 일부였다는 주장을 처음 제기했다. 그는 『베오울프』와 베다의 『앵글인의 교회사』 앵글로색슨어 번역본을 근거로 제시했다. 『베오울프』에서 기트인은 ''gēatas''로, 유트인은 ''ēotena''(생격) 또는 ''ēotenum''(여격)으로 불린다.[43] 『앵글인의 교회사』 앵글로색슨어 번역본에서는 유트족(''iutarum'', ''iutis'')이 ''gēata''(생격)로 한 번, ''gēatum''(여격)로 두 번 번역되었다.[44] 그러나 파흘베크는 두 민족명이 어떻게 관계되는지에 대한 어원을 제시하지는 못했다.[45]1907년 헨리크 슈위크는 파흘베크의 이론을 반박했다. 그는 『앵글로색슨 연대기』에서 유트인을 ''īutna'', ''īotum'', ''īutum''라고 칭한 것을 근거로 제시했다.[45] 또한 슈위크는 앨프리드 헌정 번역본에서 유트인이 두 번째로 언급될 때(제4책 14(16)장) ''ēota''라고 지칭되고 한 필사본에서는 ''ȳtena''라고 지칭됨을 보였다.[46]
1908년 비외르크만은 앨프리드 헌정 번역본에서 유트인을 기트인이라고 옮긴 것은 서색슨어에서 유트인을 ''Geotas''라 하고 기트인을 ''Gēatas''라 했는데 이것이 혼동되었기 때문이라는 설을 제안했다.[46]
"유트"(''jut'')라는 명칭은 인도유럽조어 *eud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는 "물"을 의미한다.[47]
4. 3. 구트인과의 관계
《베오울프》에서 언급되는 '날씨-기트인' 또는 '바다-기트인'이 고틀란드의 구트인을 가리킨다는 가설이 19세기부터 제기되었다.[40][41] 이 가설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한다.- 지리적 위치: 《베오울프》에 따르면 '날씨-기트인' 또는 '바다-기트인'은 데인인(다니인) 동쪽에 살며, 스비아인(스웨온인)과는 넓은 물로 분리되어 있다. 일부 학자들은 베네른호나 멜라렌호를 '넓은 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지적한다. 예탈란드의 기트인은 내륙 민족이므로 '날씨-' 또는 '바다-'라는 수식어가 어색하다는 의견도 있다. 반면 고틀란드섬은 덴마크 동쪽에 위치하고 스베알란드와 바다로 분리되어 조건에 부합한다.
- 고래의 존재: 베오울프는 죽은 후 "흐로네스나에세"(''Hrones-naesse'')라는 곳에 묻히는데, 이는 "고래곶"이라는 뜻이다. 베네른호나 멜라렌호에는 고래가 살 수 없지만, 과거 발트해에는 고래가 흔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명칭 유사성: 구트인의 스웨덴어 이름인 ''Gutar''는 베오울프에 나오는 기트인 명칭이 모음 변화를 겪은 형태와 같다.
- 매장지 관련 지명: 가드 라우싱은 고틀란드의 로네(''Rone'')가 "흐로네스나에세"의 "흐로네스"에 해당하며, 베오울프가 묻힌 곳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베오울프》에서 흐로네스나에세 근처에 언급된 "에아르나르나에세"(''Earnar-naesse'')와 유사한 "아른쿨"(''Arnkull'')이라는 곳이 로네 근처에 존재한다는 점도 근거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정황을 바탕으로 가드 라우싱은 베오울프의 민족인 "날씨-기트인"이 실제로는 구트인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이는 스웨덴 고고학자 보 그레슬룬드의 지지를 받았다.[42]
이 가설이 고대 예탈란드 주민들이 기트인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앵글로색슨어로 기트인을 의미하는 "얘아타스"가 서기트인(베스테르예틀란드), 동기트인(외스테르예틀란드), 날씨기트인(고틀란드)을 모두 가리킬 수 있다는 주장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는 요르다네스가 스칸드자에 가우티고트인, 오스트로고트인, 바고트인이 살았다고 기록한 것과도 일치한다.
5. 사회
기트인은 여러 소왕국 또는 구역으로 나뉘어 각자 팅(대중 집회)과 법률을 가졌다. 베스트예틀란드의 팅은 '모든 기트인의 팅'으로 불렸으며, 외스테르예틀란드의 팅은 리옹가 팅이었다. 기트인은 스웨덴인의 훈다레 대신 노르웨이인, 덴마크인과 유사한 ''hærrad''(현대 스웨덴어 ''härad'')를 행정 구역 단위로 사용했다.
6. 현대의 유산
오늘날, 두 민족의 합병은 완료되었으며, 지방인 베스트라 예탈란드와 외스테르 예탈란드 거주자들이 스스로를 '베스트예타르'(서 고트족)와 '외스트예타르'(동 고트족)라고 부르는 일반적인 경향을 제외하고는, 예탈란드에서 기트인 정체성을 나타내는 유형적인 식별 요소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다른 지방의 거주자들이 자신을 지칭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이들 지방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또한 통칭하여 예타몰이라고 불린다. 예테보리는 이전에는 예타 엘브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1621년에 설립되었을 때 기트인의 이름을 따서 ('기트인의 요새') 명명되었을 수도 있다.[30]
1973년까지 스웨덴 국왕의 공식 칭호는 "스웨덴, 고트족, 그리고 벤드족의 왕"이었다(라틴어로는 ''N.N. Dei Gratia, Suecorum, Gothorum et Vandalorum Rex'', 공식은 ''Sveriges, Götes och Vendes konung''으로 표시). "벤드족의 왕"이라는 칭호는 덴마크 칭호를 모방한 것이며, 덴마크 왕들은 스스로를 "고틀란드의 왕"이라고 불렀다(이는 "게이트족"과 마찬가지로 라틴어로 "고트족"으로 번역되었다). "벤드족"은 일반적으로 현대 독일 동부와 포메라니아의 넓은 지역에 거주했던 슬라브 민족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고트족의 왕과 벤드족의 왕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그러나 1973년, 새로운 국왕인 칼 16세 구스타프가 자신의 왕실 칭호를 "스웨덴 국왕"으로 단순화하기로 결정하면서 칭호가 변경되었다. 옛 칭호가 사라진 것은 그의 단독 결정이었다.
참조
[1]
Merriam-Webster
Geat
[2]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Geat
[3]
웹사이트
translations from Old Norse
http://sunsite.berke[...]
2005-12-11
[4]
서적
Svensk etymologisk ordbok
https://runeberg.org[...]
2014-03-01
[5]
웹사이트
887–888 (Nordisk familjebok / Uggleupplagan. 10. Gossler – Harris)
https://runeberg.org[...]
1909-09-22
[6]
문서
Svenskt ortnamnslexikon
Språk- och folkminnesinstitutet
2003
[7]
문서
An interpretation of both names of Götaland and Gotland according to the etymology sentences in their respective articles in Nationalencyklopedin.
[8]
웹사이트
Nationalencyklopedin
http://www.ne.se/kla[...]
2014-05-02
[9]
웹사이트
Götar
http://g3.spraakdata[...]
2011-09-26
[10]
문서
Michael Alexander's 1995 (Penguin Classics) edition of Beowulf mentions a variant: Gēotas
[11]
서적
Götarnas riken
Atlantis
[12]
문서
Roman Roads in Britain
Baker
[13]
서적
Laughing Shall I Die
Reaction Books Limited
[14]
서적
Beowulf, Swedes and Geats
http://vsnrweb-publi[...]
Viking Society for Northern Research,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1-08-18
[15]
서적
The Origins of Beowulf, and the Pre-Viking Kingdom of East Anglia
D. S. Brewer, Cambridge
[16]
서적
Rulership in 1st to 14th century Scandinavia
De Gruyter
[17]
서적
Rulership in 1st to 14th century Scandinavia
De Gruyter
[18]
서적
Rulership in 1st to 14th century Scandinavia
De Gruyter
[19]
서적
När Sverige blev Sverige
Viktoria Bokförlag, Alingsås
[20]
서적
Ortnamn och ortnamnsforskning
Almquist & Wiksell
[21]
서적
Beowulf, Swedes and Geats
http://vsnrweb-publi[...]
Viking Society for Northern Research,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1-08-18
[22]
서적
När Sverige blev Sverige
Viktoria Bokförlag, Alingsås
[23]
서적
När Sverige blev Sverige
Viktoria Bokförlag, Alingsås
[24]
서적
Sveriges historia: Medeltiden
Liber, Stockholm
[25]
서적
Svensk historia I
Bonniers, Stockholm
[26]
서적
Swedish History in Outline
The Swedish Institute, Stockholm
[27]
문서
The article Svear in Nationalencyklopedin
[28]
문서
The earliest attestation of this meaning is from the mid-15th century Swedish Chronicle
[29]
웹사이트
1129–1130 (Nordisk familjebok / Uggleupplagan. 27. Stockholm-Nynäs järnväg – Syrsor)
https://runeberg.org[...]
1918-09-22
[30]
서적
Svenskt ortnamndslexikon
Språk och folkminnesinstitutet
[31]
문서
"god" in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2006
[32]
문서
cf. Serbs and Sorbs, Polans (western)|Polans and Polish people|Poles, Slovenes and Slovaks in Slavic language s
[33]
웹사이트
The Goths in Greater Poland
http://www.muzarp.po[...]
Muzarp.poznan.pl
2010-06-14
[34]
웹사이트
Gothic Connections {{!}} Abstract
http://www.arkeologi[...]
2004-08-21
[35]
문서
Die Urheimat der Goten
Mannus-Buecherei 73
[36]
서적
Götarnas riken
Atlantis
[37]
서적
Det Svenska Rikets Uppkomst
https://books.google[...]
Ivar Haeggström
1925
[38]
웹사이트
Jut-, Jute
https://runeberg.org[...]
Project Runeberg
2007-11-21
[39]
문서
god in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2006
[40]
웹인용
The Goths in Greater Poland
http://www.muzarp.po[...]
Muzarp.poznan.pl
2010-06-14
[41]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arkeologi[...]
2004-08-21
[42]
서적
Die Urheimat der Goten
Leipzig, Mannus-Buecherei 73
1945
[43]
서적
Det svenska rikets uppkomst
1925
[44]
서적
Det svenska rikets uppkomst
1925
[45]
서적
Det svenska rikets uppkomst
1925
[46]
서적
Det svenska rikets uppkomst
1925
[47]
웹인용
Jut-, Jute
http://runeberg.org/[...]
Project Runeberg
2007-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