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길다스 사피엔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길다스 사피엔스는 5세기에서 6세기 사이 브리튼의 역사에 대한 중요한 자료인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De Excidio et Conquestu Britanniae)를 저술한 인물이다. 그는 스코틀랜드 클라이드 강 유역 왕족 출신으로 추정되나, 출생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길다스는 수도원 교육을 받고 아일랜드에서 사제 서품을 받은 후 브르타뉴로 이주하여 은둔 생활을 하다가 제자들을 위해 수도원을 세우고 저서를 집필했다. 그의 저서는 앵글로색슨족 침입과 브리튼족의 쇠퇴에 대한 역사적 기록으로 평가받으며, 아서 왕 전설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길다스는 브르타뉴에서 성인으로 추앙받았으며, 그의 유물은 생-길다스-드-뤼스에 보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브리튼인 성인 - 파트리치오
    파트리치오는 4세기 로마계 영국인으로 아일랜드에 기독교를 전파하여 아일랜드 가톨릭에서 존경받는 주요 인물이며, 해적에게 납치되어 노예 생활 후 사제가 되어 아일랜드로 돌아와 선교 활동을 펼쳤고, 아일랜드의 수호성인으로 매년 3월 17일 성 패트릭의 날에 기념된다.
  • 북브리튼인 성인 - 켄티게르누스
    켄티게르누스는 스코틀랜드에서 숭배받는 인물로, 6세기경 테네우 공주의 아들로 태어나 클라이드 강에서 선교 활동을 시작하여 글래스고에 기독교를 전파했으며, 글래스고의 수호성인으로 칭송받는다.
  • 570년 사망 - 진백종
    진백종은 중국 남북조 시대 진나라의 제3대 황제로, 문제 진천의 장남으로 13세에 즉위했으나 숙부 진욱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폐위되어 임해왕으로 강등된 후 의문스러운 죽음을 맞이했다.
  • 570년 사망 - 소가노 이나메
    6세기 일본 호족이자 정치가인 소가노 이나메는 대신으로 임명되어 천황 옹립에 기여하고 재정 수완을 발휘하여 소가 씨의 권력 기반을 강화했으며, 불교 수용 과정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고, 딸들은 천황의 비가 되어 다음 천황들을 낳았다.
길다스 사피엔스

2. 생애

길다스의 생애에 대해서는 여러 전기 자료들이 전해지지만, 그 내용의 진위 여부와 해석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길다스의 전기(傳記)는 두 가지가 남아 있다. 하나는 9세기의, 아마도 브르타뉴의 뤼이스(Rhuys)에 있던 수도승이 쓴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몬머스의 제프리의 친구이기도 했던 스란카반의 카라독이 12세기 중반에 자신의 저서에 기록한 인물이다. 카라독은 이 인물과 관련하여 전혀 브르타뉴와 관련시키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이 두 명의 길다스는 전혀 관련 없는 다른 인물이라고 생각하는 학자도 있지만, 동시에 이 두 전기의 기술(記述)의 상세한 부분을 비교해 보면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관계라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그는 유명한 교사가 되어 많은 사람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고 영국과 아일랜드 전역에 수많은 교회와 수도원을 세웠다. 아인무르 마크 세트나이는 기독교 신앙을 완전히 잃어버린 아일랜드 교회의 질서를 회복해 달라고 요청했다. 길다스는 왕의 소환에 응하여 섬 전체를 여행하며 주민들을 개종시키고 교회를 짓고 수도원을 설립했다.[8] 그는 그 후 로마라벤나로 가서 로마에 있는 동안 용을 죽이는 것을 포함하여 많은 기적을 행했다. 브리튼으로 돌아갈 의향으로 그는 대신 브르타뉴 연안의 우아 섬에 정착하여 고독하고 검소한 삶을 살았다. 이 무렵 그는 또한 논니타(논) (성 다비드의 어머니)에게 설교했다.[8]

몬머스의 제프리의 영향을 받았거나, 그를 통해 후원자인 노르만 귀족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이는 스란커판의 카라독은 길다스에 관해 묘사가 달랐는데, 그가 갈리아에서 교육을 받았고, 만년에는 글래스턴베리 근처에 살았으며, 이 지역의 글래스턴베리 대성당에서 장례를 치렀다고 기록했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이 땅에 묻혔다는 기록이 대성당 측의 선전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여러 《성 길다스 전기》가 그가 스코틀랜드 클라이드 강 유역 왕족의 아들로 태어났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남부 출신이라는 설도 있다.[6] 그는 바돈 산 전투와 같은 해에 태어났다고 주장한다. 수도원 중심지인 성 일투드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왕족의 유산을 포기하고 수도 생활을 하기로 결정했다.

9세기에 길다스가 브르타뉴의 뤼스에 설립한 수도원의 익명의 수도사가 쓴 첫 번째 '전기'에 따르면,[7] 길다스는 북부 브리튼의 브리튼어 사용 지역인 '헨 오글레드'의 알트 클루드 왕 카우누스의 아들이다. 그는 네 명의 형제가 있었고, 형제 큐일룸은 아버지의 죽음으로 왕위에 올랐으며, 나머지는 수도사가 되었다. 길다스는 어린 시절 성 일투드의 보살핌을 받으며 글래모건의 성 일투드 대학에 보내졌으며, 성 돌의 삼손과 성 폴 오렐리안의 동료였다. 스승 일투드는 그를 매우 사랑했고 특별한 열정으로 가르쳤다. 그는 자유 예술과 신성한 경전을 공부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성스러운 교리만을 공부하기로 선택하고 종교적인 삶을 위해 고귀한 출생을 포기했다.

일투드 밑에서 학업을 마친 길다스는 아일랜드로 가서 사제로 서품되었다.[8] 그는 북부 브리튼의 고향으로 돌아와 선교사로 활동하며 이교도들에게 설교하고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을 기독교로 개종시켰다.

2. 2. 브리타뉴에서의 활동

로마 순례 후 브르타뉴로 이주하여 은둔자의 삶을 살았다. 그러나 곧 제자들이 그를 찾아와 가르침을 청했고, 그는 생길다 드 뤼에 수도원을 세웠다. 그는 이곳에서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De Excidio Britanniae)》를 저술하여 브리튼 왕들과 성직자들을 비판하고 그들에게 죄를 버리고 진정한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일 것을 촉구했다.[6]

thumb 생길다 드 뤼에 있는 성 길다스의 샘]]

브르타뉴로 향한 그는 뤼이스라고 불리는 섬에 거처를 정하고 은둔 생활을 했으며, 이 땅에 작은 예배당을 지었다. 브리튼 섬을 떠난 지 10년 후에 그는 서간집을 썼는데, 그곳에는 브리톤인 5명의 왕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1월 29일, 그는 뤼이스 섬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유언에 따라 유해는 작은 배에 실려 바다에 흘려보내졌다. 3개월 후 뤼이스 섬 주민들이 그의 배를 만에서 발견했는데, 그의 유해는 생전 그대로였다고 한다. 그리고 그들에 의해 그의 유해는 뤼이스로 옮겨져 매장되었다.[17]

2. 3. 아서 왕과의 관계 (논란)

카라독의 전기에 따르면, 길다스는 아서 왕의 형제 후일의 죽음으로 아서 왕과 갈등을 겪었다.[9] 후일과 아서의 적대감은 1100년경에 쓰여진 웨일스 산문 이야기 ''쿨후치와 올웬''에도 언급되어 있다. 북 웨일스의 전설에 따르면 후일의 처형은 루틴에서 이루어졌으며, 처형석으로 추정되는 마엔 후일은 마을 광장에 보존되어 있다.[10] 길다스는 아일랜드 아르마에서 전도 중이었으며, 형제의 사망 소식을 듣고 깊이 슬퍼했다고 한다.

카라독의 전기에는 후기 아서왕 문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네비어 납치 사건이 가장 먼저 등장한다. 길다스는 "여름의 나라"[18]의 왕 멜바스에게 납치된 기네비어를 석방하여 아서 왕과의 전쟁을 막았다.[11] 그는 적대하는 양측 사이의 조정을 위해 분주했고, 조정은 성공하여 기네비어는 풀려나고 아서 왕과 평화를 맺었다.

이러한 기록은 후대의 윤색일 가능성이 높으며,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3.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De Excidio et Conquestu Britanniae)

길다스의 대표작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De Excidio et Conquestu Britanniae)는 5세기에서 6세기 브리튼의 역사를 다룬 중요한 사료이다. 이 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 설교 형식으로, 동시대 사건들을 성속 구분 없이 기록하고 있다.

『브리튼인의 멸망』은 역사적 사실을 직접 기록한 것은 아니지만, 5세기6세기를 기록한 현존하는 유일한 브리튼인의 저술이라는 점에서 역사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이 책은 일반적으로 540년대에 쓰인 것으로 여겨졌지만, 6세기 초 이전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 책에서 묘사된 국토 유린, 부패하고 타락한 지도자의 무법함 등은 수 세기 동안 학자들 사이에서 실제로 있었던 일로 받아들여졌다. 후세 사람들은 야만족이 로마인의 문명을 침략하고 파괴하여 잉글랜드에 로망스어가 뿌리내리지 못하고, 라틴어와 언어학적으로 가깝지 않은 영어를 사용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는 데 이 책의 내용을 참고했다. 그러나 길다스는 구약성경예언에 따라 동시대 사건을 기록한 것이며, 후대 자료를 위한 것은 아니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길다스는 하드리아누스 장벽을 매우 부정확하게 묘사하는 등 내용과 관련 없는 세부 사항은 기록하지 않았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브리튼인의 멸망』은 중세 시대 자료이자 6세기 브리튼 섬에서 쓰인 몇 안 되는 자료로서 잉글랜드 역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길다스는 저술에서 자신의 출생 연도에 바돈 산 전투가 일어났다고 기록했다. 캄브리아 연대기에는 그의 사망 시기가 570년으로, 『티게르나흐 연대기(Annales of Tigernach)』에는 569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3. 1. 개요

길다스는 "영국 멸망과 정복에 관하여"(De Excidio et Conquestu Britanniaela)라는 저서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은 로마 제국 말기 브리튼의 역사를 서술하며, 이 시기에 거의 동시대인이 쓴 유일한 실질적인 역사적 자료이지만, 객관적인 연대기는 아니다.[12]

이 작품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설교 형식의 글로, 세속 권력과 종교 권력 모두를 비판한다.[13] 1부는 길다스가 자신의 저술 의도를 설명하고, 로마 제국 치하의 정복부터 길다스 시대까지의 로마 브리튼의 간략한 역사를 다룬다. 그는 로마인의 행적과 브리튼인의 탄식을 묘사하며, 여기서 브리튼인들은 떠난 로마 군대에게 마지막으로 군사적 지원을 요청한다. 그는 동시대 브리튼인들의 죄를 맹렬히 비난하는 동시에, 암브로시우스 아우렐리아누스와 같은 영웅을 칭찬하는데, 그는 아우렐리아누스를 색슨족에 대한 저항의 지도자로 처음 묘사했다. 그는 이후 텍스트에서 아서 왕의 업적으로 여겨지는 몬스 바도니쿠스 전투의 승리를 언급하지만, 길다스는 누가 전투를 이끌었는지 언급하지 않는다.

2부는 브리튼 왕인 콘스탄티누스, 아우렐리우스 코나누스, 보르티포리우스, 쿠네글라스, 마일군을 비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에 대한 유일한 동시대 정보이므로, 브리튼 역사학자들에게 특히 중요하다. 3부는 당시의 성직자들에 대한 유사한 공격이다.

길다스의 저작은 ''라틴어 총서'' 제69권에서 찾아볼 수 있다.

''De Excidio''는 일반적으로 540년대에 집필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역사가 가이 할살은 490년경의 "초기 길다스"를 지지한다.[14] 케임브리지 역사학자 캐런 조지는 기원후 510년에서 530년 사이의 시기를 제시했다.[15]

3. 2. 주요 내용

길다스는 De Excidio et Conquestu Britanniaela (브리타니아 멸망과 정복에 관하여)라는 저서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은 로마 제국 말기 브리튼의 역사를 서술하며, 이 시기에 거의 동시대인이 쓴 유일한 실질적인 역사적 자료이지만, 객관적인 연대기는 아니다.[12]

이 작품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설교로, 세속적인 행위와 종교적인 행위를 모두 비난한다.[13]

  • 1부: 길다스가 자신의 저술 의도를 설명하고, 로마 제국 치하의 정복부터 길다스 시대까지의 로마 브리튼의 간략한 역사를 담고 있다. 브리튼인의 탄식을 묘사하며, 브리튼인들이 떠난 로마 군대에게 마지막으로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동시대 브리튼인들의 죄를 비난하고, 암브로시우스 아우렐리아누스를 색슨족에 대한 저항의 지도자로 묘사하며 칭찬한다. 몬스 바도니쿠스 전투의 승리를 언급하지만, 누가 전투를 이끌었는지는 언급하지 않는다.

  • 2부: 브리튼 왕인 콘스탄티누스, 아우렐리우스 코나누스, 보르티포리우스, 쿠네글라스, 마일군을 비난하는 내용으로, 그들에 대한 유일한 동시대 정보이므로 브리튼 역사학자들에게 특히 중요하다.

  • 3부: 당시의 성직자들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길다스의 저작은 ''라틴어 총서'' 제69권에서 찾아볼 수 있다. ''De Excidio''는 일반적으로 540년대에 집필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490년경, 510년에서 530년 사이 등 다양한 시기 추정이 존재한다.[14][15]

길다스는 다섯 명의 브리튼 섬 통치자를 잔혹하고 탐욕스러우며 죄 많은 생애를 보냈다고 비난했다. 그가 언급한 폭군 다섯 명은 다음과 같다.

  • 덤노니아의 콘스탄틴(Constantine of Dumnonia)
  • 아우렐리우스 카니누스(Aurelius Caninus)
  • 데메테의 볼티포리우스(듀페즈라고도 함)(Vortiporius of Demetae)
  • "곰의 집[20]의" 쿠네글라스(Cuneglasus)
  • 마니오크누스(Maglocunus) 혹은 마엘군(Maelgwn)이라고 불린 인물


길다스의 『브리튼인의 멸망』은 역사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는데, 이는 이 시대의 동시대인인 브리튼인이 쓴, 5세기6세기를 기록한 현존하는 유일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3. 3. 역사적 가치와 한계

길다스의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De Excidio et Conquestu Britanniae)는 5-6세기 브리튼 역사를 전하는 거의 유일한 동시대 기록으로 사료적 가치가 높다.[12] 이 책은 로마 제국 말기부터 길다스 시대까지의 브리튼 역사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앵글로색슨족의 침입과 브리튼족의 저항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는 객관적인 역사 서술보다는 종교적, 교훈적 목적이 강한 저작이다.[12] 길다스는 동시대 브리튼인들의 죄를 비난하고, 암브로시우스 아우렐리아누스와 같은 영웅을 칭송하며 종교적 각성을 촉구했다. 또한, 아서 왕의 업적으로 여겨지는 몬스 바도니쿠스 전투의 승리를 언급하지만, 전투를 이끈 지도자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러한 종교적, 교훈적 목적 때문에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는 연대기적 부정확성, 과장, 생략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길다스는 하드리아누스 장벽에 대해 언급하지만, 매우 부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다.[14]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는 앵글로색슨족 침입과 브리튼족 저항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아서 왕 전설 연구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특히, 브리튼 왕 콘스탄티누스, 아우렐리우스 코나누스, 보르티포리우스, 쿠네글라스, 마일군에 대한 비난은 브리튼 역사학자들에게 중요한 동시대 정보로 활용된다.

4. 유산과 영향

길다스는 중세 시대부터 브리튼과 브르타뉴에서 성인으로 추앙받았다. 그의 저작은 후대 역사 기록과 문학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는 앵글로색슨족 침입과 브리튼족 쇠퇴에 대한 중요한 역사적 기록으로 평가받는다.[12]

길다스의 저작 "멸망"은 ''라틴어 총서'' 제69권에서 찾아볼 수 있다. ''De Excidio''는 일반적으로 540년대에 집필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역사가 가이 할살은 490년경의 "초기 길다스"를 지지한다.[14] 케임브리지 역사학자 캐런 조지는 기원후 510년에서 530년 사이의 시기를 제시했다.[15]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는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설교로, 세속적인 행위와 종교적인 행위를 모두 비난한다.[13] 첫 번째 부분은 로마 제국 치하의 정복부터 길다스 시대까지의 로마 브리튼의 간략한 역사를 담고 있으며, 암브로시우스 아우렐리아누스와 같은 영웅을 칭찬한다. 두 번째 부분은 브리튼 왕인 콘스탄티누스, 아우렐리우스 코나누스, 보르티포리우스, 쿠네글라스, 마일군을 비난하는 내용으로, 이들에 대한 유일한 동시대 정보이므로 브리튼 역사학자들에게 특히 중요하다. 세 번째 부분은 당시 성직자들을 비판한다.

5. 기타

프랑스 생길다 드 뤼에는 프랑스 혁명 이후 살아남은 길다스의 유물이 보관되어 있으며, 특정 시기에 마을의 "보물 창고"에서 볼 수 있다. 길다스의 시신은 (성유물함에 포함된 조각들을 제외하고) 생길다 드 뤼 교회 제단 뒤에 묻혀있다.[16]

길다스는 악에서 벗어나기 위한 기도문인 ''로리카''(찬가)를 썼다고 전해지며, 여기에는 히베르노-라틴어의 예가 담겨 있다.[19]

분류:브리튼의 역사학자

분류:6세기 작가

분류:6세기 기독교 성인

분류:웨일스의 기독교 성인

분류:브르타뉴의 기독교 성인

분류:켈트 기독교

분류:기독교 성인

분류:웨일스계 잉글랜드인

분류:6세기 잉글랜드 사람

분류:6세기 웨일스 사람

분류:아발로니아

분류:아서왕 전설

분류:중세 웨일스 작가

분류:수도원장

분류:켈트 성인

5. 1. 성유물

프랑스 생길다 드 뤼에는 길다스의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 10세기까지 뤼스 수도원에서 숭배받던 유물은 베리를 거쳐 반느 대성당으로 옮겨졌으나, 프랑스 혁명 동안 숨겨졌다. 혁명 이후 살아남은 유물들은 모두 생길다 드 뤼로 반환되어 특정 시기에 마을의 "보물 창고"에서 볼 수 있다. 길다스의 시신은 (성유물함에 포함된 조각들을 제외하고) 생길다 드 뤼 교회 제단 뒤에 묻혀있다.[16]

금과 은으로 덮인 성유물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6]

종류
성인의 두개골 일부
축복하는 손으로 장식된 팔뼈
대퇴골과 무릎뼈



길다스가 사용했다고 전해지는 자수 주교관도 함께 보관되어 있다.[16]

5. 2. 전승

길다스는 악에서 벗어나기 위한 기도문인 ''로리카''(찬가)를 썼다고 전해지며, 여기에는 히베르노-라틴어의 예가 담겨 있다.[19] 란스테판 원고 27에 실린 ''Englynion y Clyweid''에는 ''길다스 맙 어 가우''에게 귀속되는 속담이 하나 있다.

본데드 어 세인트에 따르면, 길다스는 세 아들과 딸 한 명을 두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가장 초기의 문헌에는 그의 아들인 귀노그와 노에톤, 그리고 그들의 여동생 돌가르가 언급되어 있다. 후기 문서에는 또 다른 아들인 티데흐가 언급된다. 이올로 모건워크는 성 케니드를 이 목록에 추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Orthodox Calendar https://www.holytrin[...] 2024-02-11 # Assumed date based on the provided format, needs clarification.
[2] 서적 English Conquest: Gildas and Britain in the fifth century
[3] 서적 De excidio of Gildas: its authenticity and date
[4] 문서 Gildas
[5] 서적 The chronology of De Excidio Britanniae
[6] 문서 Gildas
[7] 웹사이트 The Life of Gildas by the Monk of Ruys http://www.maryjones[...] 2014-02-18
[8] 웹사이트 "Gildas the Wise", Catholic News Agency https://web.archive.[...] 2013-01-27
[9] 웹사이트 The Life of Gildas by Caradoc of Llancarfan ca. 1130–1150 http://www.maryjones[...] 2014-02-18
[10] 웹사이트 Maen Huail, St Peter's Square, Ruthin https://coflein.gov.[...]
[11] 서적 Arthurian Writers: A Biograph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12] 서적 Arthurian Writers: A Biograph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13] 서적 The Lives or the Fathers, Martyrs and Other Principal Saints http://www.ewtn.com/[...] D. & J. Sadlier, & Company
[14] 서적 Worlds of Arthur: Facts & Fictions of the Dark Ages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Gildas's De excidio Britonum and the early British church Boydell Press
[16] 웹사이트 Pourmenadenn-e-ruiz - Promenade a Rhuys - Saint-Gildas-de-Rhuys - l'Eglise - le Trésor http://pourmenadenn-[...]
[17] 문서 Arecluta、現在のアルト・クルート(Alt Clut)またはストラスクライド
[18] 문서 Summer Country、恐らくはサマーセットの事かと思われる
[19] 문서 ギルダスはカウヌス(Caw)の出自である。ラテン語では、例えばポンペイウスの名「グナエウス」を「Cnaeus」と書き、イニシャルを「C.」とするようにCとGの区別は曖昧でもあった。
[20] 문서 現在のウェールズ、ランドゥドノ近郊のLlandrilloyn-Rhos、Dinarthと思わ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