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리치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트리치오는 4세기 로마계 영국인으로, 아일랜드의 수호성인이다. 그는 해적에게 납치되어 아일랜드에서 노예 생활을 하였으며, 이후 탈출하여 유럽에서 유학 후 사제 서품을 받았다. 432년 아일랜드로 돌아와 켈트 다신교를 믿는 사람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했으며, 삼위일체를 설명하기 위해 토끼풀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아일랜드에 365개의 교회를 세우고, 12만 명을 개종시켰으며, 2000명의 사제와 200명의 주교를 서품했다. 3월 17일은 그의 사망일로, 성 파트리치오의 날로 기념되며, 아일랜드와 아일랜드계 미국인들에게 중요한 날이다.
파트리치오가 자신의 저술에서 자신을 지칭하는 유일한 이름은 Pātricius이며, 이는 Pátraic|파트라크sga와 Pádraig|파드라그ga로 이어진다. 영어로는 'Patrick', Pàdraig|파드라그gd, Padrig|파드리그cy, Petroc|페트록kw가 있다.
파트리치오는 4세기에 부유한 로마계 영국인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칼푸르니우스는 데쿠리온이자 부제였고, 할아버지 포티투스는 사제였다.[29] 16세에 아일랜드 해적에게 납치되어 노예가 되었으나,[31] 6년 후 탈출하여 영국으로 돌아왔다.[32] 이후 오세르 등에서 기독교 신학을 공부하고 사제로 서품되었다.[40]
파트리치오는 자신의 저술에서 자신을 라는 이름으로만 지칭했다. 이 이름은 Pátraic|Pátraicsga와 Pádraig|Pádraigga (또는)로 이어지며, 영어로는 ''Patrick'', Pàdraig|Pàdraiggd, Padrig|Padrigcy, Petroc|Petrockw이다.[12]
파트리치오는 432년 주교로서 켈트 다신교를 믿었던 아일랜드 사람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아일랜드로 향했다.[157][158] 아일랜드 민담에 따르면 삼위일체를 설명하기 위해 잎이 세 개인 토끼풀을 이용하였다고 한다. 기독교를 전파한 지 30년이 지난 461년 3월 17일 파트리치오는 숨을 거두었고, 시신은 다운패트릭에서 화장했다는 설이 있다. 파트리치오는 이후 아일랜드 가톨릭에서 존경받는 주요 인물이 되었다.
2. 이름
성인전에는 그가 지녔다고 전해지는 다른 이름들이 기록되어 있다. 티레찬의 7세기 저서 ''Collectanea''는 "Magonus, 즉 유명한 자; Succetus, 즉 전쟁의 신; Patricius, 즉 시민의 아버지; Cothirthiacus, 즉 네 개의 드루이드 가문을 섬겼기 때문이다."라고 전한다.[12] "Magonus"는 9세기 저서 ''Historia Brittonum''에 ''Maun''으로 등장하며, 이는 브리튼어 '*Magunos'에서 유래되었으며 "하인 소년"을 의미한다.[12] Muirchú moccu Machtheni의 7세기 저서 ''Life''에 ''Sochet''으로 등장하는 "Succetus"[12]는 Mac Neill에 의해 "브리튼 기원의 단어로 돼지치기를 의미한다"고 밝혀졌다.[13] Cothirthiacus는 ''Fiacc's Hymn''으로 알려진 8세기 전기 시에서 ''Cothraige''로 등장하며, 다른 곳에서도 다양한 철자로 나타나며 *Qatrikias|콰트리키아스pgl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에 대한 이견도 있다. 하비는 ''Cothraige''가 "고대 아일랜드 부족 (따라서 지명) 이름의 형태를 띠고 있다"고 주장하며, ''Ail Coithrigi''가 캐셜의 바위의 이름이며, 지명 ''Cothrugu''와 ''Catrige''가 앤트림과 칼로에서 증명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14]
3. 생애
432년, 파트리치오는 주교로서 아일랜드에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돌아왔다.[12] 그는 토끼풀을 이용하여 삼위일체를 설명하는 등 켈트 다신교 문화에 맞춰 선교 활동을 펼쳤다.[12] 타라로 가는 파트리치오를 묘사한 1904년 책의 삽화와 칼로 대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 그 모습이 남아있다.
그는 수천 명에게 세례를 주고, 사제를 서품하고, 여성들을 수녀로 개종시키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44],[45] 하지만, 왕에게 선물을 거부하여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구타와 투옥을 당하기도 했다.[47]
444년 아마에 포교 거점을 마련하고,[154] 365개의 교회를 세우고 12만 명을 개종시켰다고 전해진다.[156] 461년 3월 17일 사망했으며, 다운패트릭에 묻혔다는 설이 있다.[12] 그의 사망 연도에 대해서는 460년경, 493년경 등 여러 주장이 있다.
3. 1. 출생과 납치
파트리치오는 4세기에 부유한 로마계 영국인 가문에서 태어났다. 파트리키우스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교회에서 부제를 맡고 있었다. 16세 때 해적에 납치되어 아일랜드로 끌려가 노예로 지냈다. 파트리키우스가 끌려간 장소는 아일랜드 서부 해안의 어딘가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위치는 알려진 바 없다. 파트리키우스의 고백론에 따르면, 하느님의 부름을 받아 해안에서 배를 타고 달아나 영국으로 돌아왔으며, 갈리아 오세르에 있는 교회에서 사제가 되고자 공부를 하였다고 한다.
파트리치오는 로마의 브리튼 지배의 종말 시기에 태어났다. 그의 출생지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몇몇 전승에 따르면 현재 잉글랜드에 속하는 지역에서 태어났으며, 그 중 하나는 글라노벤타(현재의 레이븐글래스 in 컴브리아)라고 한다. 현재 스코틀랜드에 위치한 장소에 대한 주장도 제기되었으며, 가톨릭 백과사전은 파트리치오가 스코틀랜드 킬패트릭에서 태어났다고 밝히고 있다.[26]
파트리치오의 아버지 칼푸르니우스는 로마 브리튼 도시의 데쿠리온(상원 의원 및 세금 징수관)이자 부제였다. 그의 할아버지 포티투스는 보나벤 타베르니아 출신의 사제였다.[29] 그러나 파트리치오의 고백은 그가 젊은 시절에 적극적인 신자가 아니었으며, 그 시기에 자신을 "게으르고 미숙한" 존재로 여겼다고 말한다.[30]
''성 파트리치오의 고백''에 따르면, 그는 16세의 나이에 "바나베메 타부르니아"에 있는 가족의 별장에서 아일랜드 해적들에게 납치되었다.[31] 그들은 그를 아일랜드로 데려가 노예로 삼아 6년 동안 억류했다. 파트리치오는 ''고백''에서[31] 감금 기간이 그의 영적 성장에 결정적이었다고 썼다. 그는 주님께서 그의 젊음과 무지를 불쌍히 여기시고 그에게 죄를 용서받고 기도를 통해 믿음 안에서 성장할 기회를 주셨다고 설명한다.
그를 납치한 달 리아타 약탈자들은 그의 삶과 명성을 결정할 아일랜드 문화를 그에게 소개했다.[30] 감금된 동안 그는 목동으로 일하면서 기도와 신앙심을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그의 믿음을 심화시켰다.[31]
6년의 감금 생활 후, 그는 곧 집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목소리를 들었고, 곧 그의 배가 준비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는 주인을 피해 200마일 떨어진 항구로 갔고,[32] 그곳에서 배를 찾아 선장에게 그를 데려가 달라고 간신히 설득했다.
3. 2. 탈출과 사제 서품
파트리치오는 16세에 해적에게 납치되어 아일랜드로 끌려가 노예 생활을 했다.[31] 아일랜드 서부 해안의 어딘가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고백''에서[31] 감금 기간이 자신의 영적 성장에 결정적이었다고 썼다. 그는 주님께서 자신의 젊음과 무지를 불쌍히 여기시고 죄를 용서받고 기도를 통해 믿음 안에서 성장할 기회를 주셨다고 설명한다.
6년 후, 파트리치오는 곧 집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목소리를 들었고, 곧 배가 준비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는 주인을 피해 200마일 떨어진 항구로 갔고,[32] 그곳에서 배를 찾아 선장에게 간신히 자신을 데려가 달라고 설득했다. 3일간 항해 후, 그들은 브리튼으로 추정되는 곳에 상륙했고, 28일 동안 "황야"를 걸으며 배에서 내린뒤 기아로 기절했다. 파트리치오가 생계를 위해 기도한 후, 그들은 멧돼지 무리를 만났고,[34] 그가 그들에게 하나님을 믿으라고 촉구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 사건은 그 그룹 내에서 그의 위신을 크게 높였다. 여러 모험을 거친 후, 그는 20대 초반에 가족에게 돌아왔다.[35] 노예 생활에서 탈출하여 브리튼으로 돌아온 파트리치오의 이야기는 그의 ''선언''에 실려 있다.[33]
브리튼으로 돌아온 후 파트리치오는 기독교를 계속 연구했다. 그는 주로 오세르에서 유럽 대륙의 기독교 신학을 공부했다.[39] J. B. 버리는 아마토르가 파트리치오를 오세르에서 부제로 임명했다고 제안한다. 파트리치오는 투르의 마르무티에 수도원을 방문했고 레랭 수도원에서 삭발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서방 기독교의 주교인 오세르의 성 게르마누스가 그를 사제로 임명했다.[40] 토리노의 막시무스는 그를 주교로 성성한 것으로 여겨진다.[41]
3. 3. 아일랜드 선교
432년 파트리치오는 주교로서 켈트 다신교를 믿었던 아일랜드 사람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다시 아일랜드로 향하였다.[12] 아일랜드 민담에 따르면 파트리치오는 아일랜드 사람들에게 삼위일체를 설명하기 위해 잎이 세 개인 토끼풀을 이용하였다고 한다.[12] 기독교를 전파한 지 30년이 지난 461년 3월 17일 파트리키우스는 숨을 거두었고, 시신은 다운패트릭에서 화장했다는 설이 있다.[12] 파트리치오는 이후 아일랜드 가톨릭에서 존경을 받는 주요 인물이 되었다.[12]
환상에 따라 파트리치오는 기독교 선교사로 아일랜드로 돌아갔다.[31] J. B. 버리에 따르면, 그의 상륙 지점은 위클로, 위클로 주의 바트리 강 어귀였으며, 현재는 바트리라고 불린다. 버리는 위클로가 파트리치오가 6년 동안의 감금에서 탈출한 후 탈출한 항구이기도 하다고 제안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정황 증거만 제시한다. 전통에 따르면 파트리치오는 지역 주민들에게 환영받지 못해 떠나 북쪽으로 더 환영받는 상륙 지점을 찾아야 했다. 그는 스케리스 해안에서 떨어진 섬에서 며칠을 쉬었는데, 그 중 하나는 여전히 이니스-파트리치오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파트리치오가 헌정한 첫 번째 성소는 소울에 있었다. 그 직후 세스넨 족장의 아들 베닌(또는 베니그누스)이 파트리치오의 그룹에 합류했다.[41]
파트리치오의 ''선언''에는 그에 대한 재판에서 그의 동료 기독교인들이 제기한 혐의가 언급되어 있다. 그가 어떤 혐의를 받았는지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지만, 그는 부유한 여성들이 그에게 준 선물을 돌려주고 세례나 사제 서품에 대한 보수를 받지 않았으며, 실제로 왕과 재판관들에게 많은 선물을 지불했고, 족장의 아들들이 그를 따라다니도록 지불했다고 썼다. 따라서 그는 일종의 재정적 부적절함, 아마도 개인적인 이익을 염두에 두고 아일랜드에서 주교직을 얻었다는 혐의를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42]
파트리치오의 선교 활동에 대한 증거를 통해 일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수천 명의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었다"고 썼으며,[44] 심지어 그의 노예 상인들을 개종시키려고 계획했다.[33] 그는 새로운 기독교 공동체를 이끌 사제들을 서품했다. 그는 부유한 여성들을 개종시켰고, 그들 중 일부는 가족의 반대에 직면하여 수녀가 되었다. 그는 또한 왕의 아들들을 다루며 그들도 개종시켰다.[45]
아일랜드에서 파트리치오가 외국인이라는 입장은 쉽지 않았다. 왕으로부터 선물을 받는 것을 거부한 그는 친족, 양육 및 친족 관계의 정상적인 유대 관계를 벗어났다. 법적으로 그는 보호받지 못했고, 그는 한 번 구타를 당하고, 가진 것을 모두 빼앗기고, 족쇄에 묶여 아마 처형을 기다렸다고 말했다.[47]
3. 4. 만년과 사망
444년, 얼스터 지방의 아마 (현재는 영국령 북아일랜드 남부, 아마주)에 포교 활동 거점이 되는 교회를 세웠다고 전해진다.[154] 그는 전 아일랜드의 수좌 주교"인 아마 대주교의 초대 주교였다.
파트리치오는 기독교 전도를 위해 아일랜드에 간 최초의 인물도, 유일한 인물도 아니었지만, 본격적인 기독교 역사의 시작을 상징하고 있다. 그는 365개의 교회를 세웠고, 12만 명이 개종했으며, 2000명의 사제, 200명의 주교를 서품했다고 전해진다. 많은 경우, 주교를 수도원장, 사제를 수도사로 하여, 교회와 수도원이 밀접하게 결합된 조직 체계를 구축했는데, 이것은 이후 아일랜드의 특징이 되었다.[156]
그의 저서로는 『성 파트리치오의 고백』과 『콜로티쿠스의 병사에게 보내는 편지』가 있다고 전해진다. 또한, "성 파트리치오의 가슴판 기도" (Saint Patrick's Breastplate) 등의 라틴어 찬가 작사가라고도 전해진다.
기독교를 전파한 지 30년이 지난 461년 3월 17일 파트리키우스는 숨을 거두었고, 시신은 다운패트릭에서 화장했다는 설이 있다. 파트리키우스는 이후 아일랜드 가톨릭에서 존경을 받는 주요 인물이 되었다.
패트릭의 생몰 연대는 불확실하며, 그의 사망 연도에 대한 상반된 전통이 존재한다. 그의 저작물에서는 5세기를 넘어서는 정확한 연대에 대한 증거를 찾을 수 없다. 그의 성경 인용구는 고대 라틴어 버전과 5세기 초에 완성된 불가타 성경의 혼합으로, 이는 그가 "고대 라틴어에서 불가타 성경으로의 전환점에" 저술했음을 시사한다.[15] ''코로티쿠스에게 보내는 편지''는 저술 당시 프랑크족이 여전히 이교도였음을 암시한다.[17] 프랑크족의 기독교 개종은 496-508년 사이로 추정된다.[18]
아일랜드 연대기는 패트릭이 아일랜드에 도착한 해를 432년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이는 6세기 중반에 편찬된 것이다.[17] 432년이라는 연대는 431년에 아일랜드로 파견된 것으로 알려진 팔라디우스의 공헌을 최소화하고 패트릭의 공헌을 최대화하기 위해 선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의 죽음에 대한 다양한 연대가 제시된다. 457년에는 "원로 패트릭"()이 사망했다고 전해지는데, 이는 ''아르마의 서''에 따르면 패트릭이라고도 불린 팔라디우스의 죽음을 의미할 수 있다. 461/2년 연대기에는 "여기서 몇몇은 패트릭의 휴식을 기록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19] 492/3년에는 "스코티의 대사도(또는 대주교이자 사도) 패트릭"이 3월 17일 12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고 기록한다.[19]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20] 패트릭의 사망 연도를 460년경으로 받아들이지만, 초기 아일랜드 역사학자들은 493년경이라는 늦은 연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늦은 연대를 지지하는 근거로, 연대기에는 553년에 "패트릭의 유해가 그의 사망 60년 후 콜룸 킬레에 의해 신사에 안치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21] 패트릭의 제자 모크타의 사망 연대는 연대기에 535년 또는 537년으로 기록되어 있으며,[21][22] 초기 성인전은 "모두 패트릭을 5세기 말 또는 6세기 초에 사망한 사람들과 연결한다". 그러나 E. A. 톰슨은 연대기에 기록된 패트릭의 사망 연대 중 어느 것도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23] 최근의 전기에서는 성인의 5세기 말 연대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24]
초기 근대 연대기인 ''네 명의 대가 연대기''에 따르면, 그의 시신은 곧 성 파트리치오의 몸을 차지하기 위한 전투(Cath Coirp Naomh Padraic|italics=yesga)의 대상이 되었다.
성 파트리치오의 날로 널리 알려진 3월 17일은 그의 사망일로 추정되며, 그의 축일로 기념되는 날짜이다.[98] 이 날은 17세기 초 미사 경본 개혁 위원회의 일원이었던 워터포드 출신의 프란체스코회 학자 루크 와딩의 영향으로 가톨릭 교회에서 축일이 되었다.[99]
기독교가 시작된 지 천 년 동안 대부분의 시대에는 시성식이 교구나 지역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매우 거룩하다고 여겨지는 인물이 사망한 후 비교적 빨리 지역 교회는 그들을 성인으로 전례상 기념할 수 있다고 확언했다. 그 결과, 파트리치오는 교황에 의해 공식적으로 시성된 적이 없다 (이는 10세기 기독교 이전에는 흔한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독교 교회는 그가 천국에 있는 성인이라고 선언한다 (성인 목록 참조). 그는 오늘날에도 아일랜드와 다른 곳에서 널리 존경받고 있다.[100]
파트리치오는 미국 성공회의 전례력에서 축일로, 복음주의 루터교 예배의 달력에서 기념일로 각각 3월 17일에 기념된다. 파트리치오는 또한 동방 정교회에서도 분열 이전의 서방 성인으로 존경받으며, 특히 아일랜드와 영어권에 거주하는 정교회 신자들 사이에서 존경받는다;[101] 성인과 마찬가지로, 그를 위한 정교회 성상이 있다.[102]
성 파트리치오는 민간 기독교와 아일랜드 민담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로 남아 있다.[103]
파트리치오는 다운패트릭의 다운 대성당에 성 브리지드와 성 콜룸바와 함께 묻혔다고 전해지지만, 이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성 파트리치오 방문자 센터는 다운패트릭에 위치한 현대적인 전시 복합 시설로, 파트리치오의 삶과 이야기를 다룬 인터랙티브 전시를 갖춘 영구적인 해석 전시 센터이다. 이곳은 파트리치오에게 헌정된 세계 유일의 영구 전시 센터를 제공한다.[104]
파트리치오는 잉글랜드 교회에서 3월 17일에 소축일로 기념된다.[105]
2017년 3월 9일, 그의 이름은 러시아 정교회 성월록에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에 의해 추가되었다.[106][107]
4. 저술
성인전에는 그가 가졌다고 전해지는 다른 이름들이 기록되어 있다. 티레찬의 7세기 저서 ''Collectanea''에는 "Magonus, 즉 유명한 자; Succetus, 즉 전쟁의 신; Patricius, 즉 시민의 아버지; Cothirthiacus, 즉 네 개의 드루이드 가문을 섬겼기 때문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2] "Magonus"는 9세기 저서 ''Historia Brittonum''에 ''Maun''으로 등장하며, 브리튼어 '*Magunos'에서 유래되었으며 "하인 소년"을 의미한다.[12] Muirchú moccu Machtheni의 7세기 저서 ''Life''에 ''Sochet''으로 등장하는 "Succetus"[12]는 "브리튼 기원의 단어로 돼지치기를 의미한다"고 밝혀졌다.[13] Cothirthiacus는 ''Fiacc's Hymn''으로 알려진 8세기 전기 시에서 ''Cothraige''로 등장하며, 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견도 있다.[14]
7세기 후반 파트리치오의 전기 작가가 쓴 두 작품이 남아 있다. 티레찬의 저작과 무이르추 목쿠 마흐테니의 『성 파트리치오의 생애』이다.[58] 두 작가 모두 현재는 유실된 초기 작품인 『울탄의 책』에 의존했다.[59] 울탄은 아르브라칸의 울탄과 동일인물로 추정되며, 티레찬의 양아버지였다. 그의 부고는 657년 울스터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다.[60] 따라서 이 작품들은 파트리치오 사후 150년 후에 쓰여졌다.
티레찬은 "저는 콘코바르 부족의 주교인 울탄의 책에서 파트리치오의 이름 네 개를 찾았습니다. 거룩한 ''마고누스''(즉, "유명한"), ''수케투스''(즉, 전쟁의 신), ''파트리키우스''(즉, 시민들의 아버지), ''코티르티아쿠스''(그가 드루이드의 네 집을 섬겼기 때문에)."라고 썼다.[61]
무이르추는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콘세사였다"고 덧붙였다.[62] ''코티르티아쿠스''는 고대 아일랜드어 ''코트라이게''를 라틴화한 것으로, 라틴어 ''파트리키우스''의 Q-켈트어 형태이다.[63]
성 파트리치오의 흉갑은 5세기에 아일랜드에서 사역하던 파트리치오에게 귀속된 ''로리카'', 즉 찬송가이다.
5. 전설
파트리치오가 자신의 저술에서 자신을 지칭하는 유일한 이름은 파트리키우스(Pātriciusla)이며, 이는 고대 아일랜드어 Pátraicsga와 아일랜드어 Pádraigga로 이어진다. 영어로는 ''Patrick'', 스코틀랜드 게일어로는 , 웨일스어로는 , 콘월어로는 가 있다.
성인전에는 그가 지녔다고 전해지는 다른 이름들이 기록되어 있다. 티레찬의 7세기 저서인 ''Collectanea''는 "Magonus, 즉 유명한 자; Succetus, 즉 전쟁의 신; Patricius, 즉 시민의 아버지; Cothirthiacus, 즉 네 개의 드루이드 가문을 섬겼기 때문이다."라고 전한다.[12]
후대의 전설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들이 전해진다.5. 1. 샴록 (토끼풀)
전설에 따르면, 파트리치오는 사람들에게 삼위일체 교리를 가르치기 위해 세 잎 식물인 클로버를 보여주면서, 한 분의 하느님 안에 세 위격이 있다는 기독교의 가르침을 설명했다고 한다.[70] 이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726년 Caleb Threlkeld의 저서에 있지만, 파트리치오와 식물을 연관시키는 가장 초기의 현존하는 기록은 1680년대에 주조된, 파트리치오가 클로버를 쥔 모습을 묘사한 동전이다.[71]
고대 아일랜드에서 3은 중요한 숫자였으며, 아일랜드인들은 많은 삼중 신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파트리치오가 "클로버를 들고 기독교 삼위일체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의 복음화 노력에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72][73] 패트리샤 모나한은 클로버가 이교도 아일랜드인들에게 신성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말한다.[72] 그러나 잭 산티노는 이것이 자연의 재생력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기독교적 맥락에서 재해석되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성 파트리치오의 상징은 종종 성자를 "한 손에는 십자가, 다른 손에는 클로버 가지"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74] 로저 호먼은 "우리는 성 파트리치오가 삼위일체를 설명하기 위해 클로버를 사용할 때 ''트리스켈레''의 시각적 개념을 활용했다고 볼 수 있다"고 쓴다.[75]
파트리치오에 관한 여러 전승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은, 세 잎의 클로버와 닮은 샴록 잎을 들고 "삼위일체" 교리를 설명했다는 것이다. 샴록은 파트리치오의 상징이자, 아일랜드의 상징이 되었다. 이는 재래 신앙에서 "3"이라는 숫자가 신성시되었던 점이나, 켈트 신화의 "삼조신" 신앙이 기반이 있었기 때문에 아일랜드인들에게 받아들이기 쉬운 모티브였다고도 생각된다.[160]
5. 2. 아일랜드에서 뱀을 몰아낸 전설
아일랜드는 뱀이 없는 땅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3세기 초 가이우스 율리우스 솔리누스에 의해 언급되었다. 그러나 이후 전설에서는 파트리치오가 섬에서 뱀을 몰아냈다고 전해진다. 아일랜드의 성인이 아일랜드에서 뱀을 몰아냈다는 최초의 기록은 7세기 말 또는 8세기 초에 쓰여진 성 콜룸바의 생애(3.23장)이다.[76] 파트리치오가 뱀을 몰아낸 것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12세기 말 조슬린 오브 퍼니스에 의해 쓰여졌는데,[77] 그는 파트리치오가 산에서 금식하는 동안 뱀들이 그를 공격한 후 바다로 쫓아냈다고 말한다.[78] 웨일스의 제럴드 또한 13세기 초에 이 이야기를 언급했지만, 그 진실성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79]
뱀을 몰아내는 성인전의 주제는 예언자 모세의 지팡이에 대한 성경적 기록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출애굽기 7장 8절에서 13절을 보면 모세와 아론은 파라오의 마법사들과의 싸움에서 지팡이를 사용했고, 양쪽의 지팡이는 뱀으로 변했다. 아론의 뱀 지팡이가 다른 뱀들을 삼키며 승리했다.[80]
후빙하기 아일랜드에는 뱀이 없었다.[78] 더블린에 있는 아일랜드 국립 박물관의 자연사 관리인인 박물학자 나이젤 모나한은 "아일랜드에는 뱀이 있었다는 어떠한 암시도 없었으므로, 성 파트리치오가 몰아낼 뱀도 없었다"고 말하며, 그는 아일랜드 화석 수집품과 기록을 광범위하게 조사했다.[78]
옛날 아일랜드 남부의 킬라니 근처 호수에 현명한 뱀이 있었는데, 파트리치오는 그 뱀과 협상하여 상자 안에 가두어 호수에 던져버렸다는 이야기가 있다.[162] 이때 "내일이 되면 꺼내줄게"라고 약속했기 때문에, 어부들은 "이제 내일이 왔을까?"라는 불쌍한 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또한, 파트리치오는 북을 쳐서 뱀과 유해한 동물들을 아일랜드에서 바다로 몰아내 이후 이들 유독한 동물은 아일랜드 대지에 닿기만 해도 죽음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 때문에 아일랜드의 나무들조차 독에 대한 효능을 가지고 있어,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책에도 "아일랜드의 목재로 지어진 건축물에는 거미가 접근하는 일은 결코 없다"라고 적혀 있을 정도이다.
5. 3. 크로아흐 파트리치오 산에서의 금식
티레칸은 7세기에 패트릭이 크루아한 아일레 산 정상에서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보낸 것처럼 40일을 보냈다고 기록했다. 9세기의 "베투 파트릭(Bethu Phátraic)"은 패트릭이 산 정상에서 검은 악마 새 떼의 괴롭힘을 받았고, 종을 울려 그들을 루그나데몬("악마의 구덩이")으로 추방했다고 전한다. 패트릭은 신이 그에게 최후의 심판에서 모든 아일랜드인을 심판할 권리를 주었을 때 단식을 끝냈고, 아일랜드 땅이 최후의 황폐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데 동의했다.[81][26] 나중에 전해지는 전설에 따르면 패트릭은 코라 또는 카오르탄나흐라는 악마의 여성 뱀에 의해 산에서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패트릭은 뱀을 산 아래에 있는 로흐 나 코라 호수 또는 호수가 터져 나온 구덩이로 추방했다고 한다.[82] 이 산은 이제 성인의 이름을 따서 크로아흐 패트릭(Cruach Phádraig)으로 알려져 있다.
5. 4. 다이레와의 만남
무이르추의 기록에 따르면, 이교도 추장 다이레는 파트리치오가 아르마 언덕에 교회를 짓는 것을 처음에는 허락하지 않았다. 대신 그는 파트리치오에게 동쪽에 있는 낮은 땅을 주었다. 어느 날, 다이레의 말들이 교회 부지에서 풀을 뜯다가 죽는 사건이 발생했다. 분노한 다이레는 부하들에게 파트리치오를 죽이라고 명령했지만, 자신은 병에 걸려 쓰러지고 말았다. 다이레의 부하들은 파트리치오에게 간청하여 그를 치료해 달라고 부탁했다. 파트리치오의 성수는 다이레와 그의 말들을 모두 소생시키는 기적을 일으켰다.[83]
이에 대한 보답으로 다이레는 파트리치오에게 큰 청동 가마솥을 선물하고, 아르마 언덕에 교회를 지을 수 있도록 허락했다. 이 교회는 훗날 아일랜드의 수석 교회가 되었다. 무이르추는 다이레가 풍요의 가마솥을 소유한 아일랜드 신 다그다와 유사하다고 언급한다.[83]
5. 5. 고대 아일랜드 영웅들과의 대화
12세기 저서인 《아칼람 나 세노라크》는 파트리치오가 복음 전파 여행 중에 두 명의 고대 전사, 카일테 막 로난과 오신을 만나는 이야기를 전한다. 이 두 사람은 한때 핀 막 쿨의 전사 집단인 피아나의 일원이었으며, 파트리치오 시대까지 살아남았다.[85] 이 작품에서 성 파트리치오는 전사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하고, 그들은 자신들의 이교도적 과거를 옹호한다. 전사들의 영웅적인 이교도적 삶의 방식(싸움, 잔치, 자연과의 가까운 삶)은 더 평화롭지만 영웅적이지 않고 관능적이지 않은 기독교의 삶과 대조된다.[86]
6. 성 파트리치오의 날
성 파트리치오(패트릭)는 아일랜드 구전 전통에 나오는 많은 이야기에 등장하며, 그의 축일과 관련된 많은 관습이 있다.[129] 민속학자 제니 버틀러는 이러한 전통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 동시에 아일랜드 내외의 아일랜드 정체성과 어떻게 연결되었는지 논한다. 성 패트릭의 상징적 공명은 복잡하고 다면적이며, 아일랜드에 기독교가 도래한 순간부터 모든 아일랜드인을 포괄하는 정체성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넓다. 어떤 묘사에서 성인은 기독교 자체와 상징적으로 동일시된다. 또한 토착 종교 전통과 기독교가 결합된 증거도 있는데, 이는 성 패트릭을 더 넓은 문화 혼종성의 틀 안에 위치시킨다. 대중적인 종교 표현은 문화적 요소들을 융합하는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 성인은 특히 가톨릭 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국가 정체성과 동의어로 연관되었다. 결과적으로 성 파트리치오는 녹색과 토끼풀과 함께 애국적인 상징이다.[129]
파트리키우스의 사망일로 알려진 3월 17일은 서방 교회에서 기념일로 지정되었다. 현재의 가톨릭 교회에서는 임의 기념일이지만,[161] 아일랜드와 아일랜드계 이민자가 많은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는 "세인트 패트릭 데이(St. Patrick's Day)"로 성대하게 기념하고 있다.
오랜 후대의 전설에 따르면, 패트릭은 한 여관에 들러 여관 주인이 손님들에게 인색한 점을 꾸짖었다고 한다. 패트릭은 그녀에게 악마가 지하실에 숨어 있으며 그녀의 부정직함으로 살찌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악마를 쫓아내는 유일한 방법은 그녀의 행동을 고치는 것이라고 말한다. 얼마 후 패트릭이 여관을 다시 방문했을 때, 여관 주인은 이제 손님들에게 술잔에 가득 채운 위스키를 제공하고 있었다. 그는 그녀의 관대함을 칭찬하며 그녀를 지하실로 데려갔고, 그곳에서 그들은 쇠약해져 가는 악마를 발견했다. 그 악마는 불꽃을 내며 도망갔고, 패트릭은 사람들에게 이 일을 기념하여 자신의 축일(성 패트릭의 날)에 위스키를 마시라고 명령했다. 이것이 성 패트릭의 날에 "녹색 잎을 적시는(drowning the shamrock)" 풍습의 기원이라고 한다.[87]
특히 미국에서는 세속화, 일반화되어 널리 보급되었고, 가톨릭 신자나 아일랜드계 이민자가 아니더라도 샤무록의 색이자 아일랜드의 상징색인 "녹색" 옷을 입는 등, 거리 퍼레이드나 펍에서의 라이브를 동반하는 이 행사에 참여하는 사람도 많다.
7. 평가와 영향
파트리치오는 아일랜드 가톨릭에서 존경받는 주요 인물이며, 성 파트리치오의 날로 널리 알려진 3월 17일은 그의 사망일로 추정되어 축일로 기념된다.[98] 그는 교황에 의해 공식적으로 시성된 적이 없지만,[100] 여러 기독교 교회에서 성인으로 선언되었으며, 아일랜드와 다른 곳에서 널리 존경받고 있다.[100] 미국 성공회의 전례력에서는 축일로, 복음주의 루터교 예배의 달력에서는 기념일로 3월 17일에 기념되며, 동방 정교회에서도 존경받는다.[101]
파트리치오는 민간 기독교와 아일랜드 민담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이며,[103] 다운패트릭의 다운 대성당에 성 브리지드, 성 콜룸바와 함께 묻혔다고 전해지지만, 증명되지는 않았다.[104] 성 파트리치오 방문자 센터는 파트리치오의 삶과 이야기를 다룬 전시 센터이다.[104]
파트리치오와 관련된 십자가에는 십자 꽃과 솔트 두 가지 유형이 있다.[111][112][113][114][115] 십자 꽃은 교회 문장학에서 주교의 미터가 종종 십자 꽃으로 장식되기 때문에 파트리치오와 더 전통적인 연관성을 가진다.[108][109] 성 파트리치오의 솔트는 흰색 바탕에 빨간색 솔트로, 성 파트리치오 기사단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1800년 연합법 이후 연합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과거 성 파트리치오의 날에는 종이나 리본으로 만든 십자가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118]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되었다.[119] 17세기에는 모자에 십자가를 착용하는 관습이 있었고,[120] 18세기에는 다색의 얽힌 천으로 만들어졌으며,[122] 19세기에는 단순한 녹색 그리스 십자가 형태로 변화했다.[124]
성 파트리치오는 아일랜드 구전 전통에 나오는 많은 이야기에 등장하며, 그의 축일과 관련된 많은 관습이 있다. 성 패트릭의 상징은 복잡하고 다면적이며, 아일랜드에 기독교가 도래한 순간부터 모든 아일랜드인을 포괄하는 정체성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넓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 성인은 특히 가톨릭 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국가 정체성과 동의어로 연관되었다. 성 패트릭은 녹색과 토끼풀과 함께 애국적인 상징이다.[129]
8. 성 파트리치오와 관련된 장소
: 파트리치오가 노예로 생활했던 장소에 대한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그가 슬레미시 주변 시골에서 양을 쳤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킬라라만 근처 포킬에서 양을 쳤다는 것이다.
- 글래스톤베리 수도원, 서머싯, 영국
: 파트리치오는 고제단 옆 수도원 부지에 묻혔다고 전해지며,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글래스톤베리가 아일랜드 순례자들에게 인기가 많았던 이유라고 믿는다. 또한 그는 '글래스톤베리 수도원의 창립자이자 초대 원장'이었다고 여겨진다.[130] 윌리엄 오브 말름즈베리가 1129년에서 1135년 사이에 편찬한 문서 "De antiquitate Glastoniensis ecclesiae (글래스톤베리 교회의 고대성에 관하여)"에는 "아일랜드인을 개종시키고 가톨릭 신앙에 굳건히 세운 후 그는 고국으로 돌아와 높은 곳의 인도를 받아 글래스톤베리로 갔다. 그곳에서 그는 은둔자의 삶을 사는 몇몇 성직자들을 만났다. 파트리치오와 한마음임을 발견한 그들은 공동체를 형성하기로 결정하고 그를 그들의 우두머리로 선출했다. 나중에 그들 중 두 명이 토르에 거주하며 예배당을 섬겼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31] 수도원 부지 내에는 오늘날까지 순례지로 남아있는 글래스톤베리의 성 파트리치오 예배당이 있다. 아일랜드 학자 제임스 카니는 "파트리치오가 힘들고 어려운 임무를 마치고 피로와 병으로 지쳐 아일랜드를 떠나지 않겠다는 서약을 풀고 자신이 왔던 수도원으로 돌아갔을 가능성이 있는데, 그곳이 글래스톤베리였을 수 있다"고 썼다.[132]
- 사울 수도원
: 파트리치오가 현지 족장 디큐가 기증한 사울의 헛간에 첫 번째 교회를 세웠다고 한다. 또한 파트리치오가 사울에서 죽었거나 죽음과 매장 사이에 그곳으로 옮겨졌다고 한다. 근처 슬리브 패트릭 정상에는 그의 생애의 장면을 보여주는 청동 패널이 있는 거대한 파트리치오 동상이 있다.
- 슬레인 언덕, 미스주
:무이르쿠 맥쿠 막테니는 7세기에 쓰여진 "파트리치오의 생애"에서 파트리치오가 433년에 이 언덕 꼭대기에 부활절 불을 지펴 아일랜드의 최고왕 로에르에게 반항했다고 말한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파트리치오 외에는 그 불을 끌 수 있는 사람이 없었으며, 그가 삼잎을 사용하여 삼위일체를 설명한 곳이 바로 여기였다.
- 크로흐 패트릭, 메이요주
: 파트리치오가 이 산을 오르고 사순절의 40일 동안 정상에서 금식했다고 한다. 크로흐 패트릭은 7월 마지막 일요일에 정상까지 순례하는 수천 명의 순례자를 끌어들인다.
- 로흐 데르그, 도니골주
: 파트리치오가 이 호수에서 큰 뱀을 죽였고, 그 피가 물을 붉게 만들었다고 한다. 매년 8월, 순례자들은 스테이션 섬에서 3일 동안 금식하고 기도한다.
: 파트리치오가 이곳에 교회를 세우고 아일랜드에서 가장 성스러운 교회라고 선포했다고 한다. 아마는 오늘날 아일랜드의 가톨릭 교회와 아일랜드 교회의 주요 본산이며, 이 마을의 두 대성당 모두 파트리치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파트리치오가 죽은 후 이곳으로 옮겨져 다운 대성당 부지에 묻혔다고 한다.

성 파트리치오의 이름을 딴 다른 장소는 다음과 같다.
- 드로헤다 타운의 파트릭스웰 레인, 성 파트리치오가 수도원을 열고 마을 사람들에게 세례를 준 우물.
- 아드파트릭, 리머릭주
- 파트릭 워터 (올드 파트릭 워터), 엘더슬리, 렌프루셔. 스코틀랜드 게일어 "AlltPadraig"에서 유래, 파트리치오의 시내라는 의미[138][139][140][141]
- 파트릭스웰 또는 토버파트릭, 리머릭주
- 성 파트리치오의 우물,[143] 패터데일
- 칼라일 교구의 세 개의 교회는 성 파트리치오에게 헌정되었으며, 모두 역사적인 웨스트모어랜드주에 있다. 성 파트리치오의 패터데일, 울즈워터의 머리에 위치, 성 파트리치오의 뱀프턴, 섑 근처, 성 파트리치오의 프레스턴 패트릭 커비 론즈데일 근처.
- 헤이섬의 성 파트리치오 예배당, 랭커셔의 헤이섬의 성 피터 교회 근처의 폐허 예배당.
- 성 파트리치오 섬, 더블린주
- 올드 킬파트릭, 덤바턴 근처, 스코틀랜드, "Cill Phàdraig," 파트리치오 교회에서 유래.
- 성 파트리치오 섬, 맨 섬 인근
- 성 패트릭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뉴펀들랜드의 바이에 베르트 지역 사회
- 란바드리그 (교회), 린스 바드리그 (섬), 포스 바드리그 (만), 린 바드리그 (호수) 및 로스바드리그 (황무지) 웨일스의 앵글시 섬
- 템플패트릭, 앤트림주
- 리버풀의 성 파트리치오 언덕, "성 파트리치오 십자가"의 이전 위치 근처의 옛 지도
- Parroquia San Patricio y Espiritu Santo. 로이차, 푸에르토리코.
참조
[1]
웹사이트
Saints by Cause
http://www.americanc[...]
2006-08-25
[2]
문서
[3]
웹사이트
Who Was St. Patrick?
https://www.history.[...]
2023-10-16
[4]
웹사이트
What is the meaning behind St Patrick's Day?
https://www.independ[...]
2022-03-17
[5]
서적
Saint Patrick Retold: The Legend and History of Ireland's Patron Sain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6]
문서
[7]
웹사이트
Who was Saint Patrick and why does he have a day?
https://web.archive.[...]
2019-02-01
[8]
서적
Irish History
Parragon Books Ltd.
2013
[9]
웹사이트
Saint Patrick's Confessio HyperStack website
http://www.confessio[...]
Royal Irish Academy Dictionary of Medieval Latin from Celtic Sources
2011-09-14
[10]
서적
St. Patrick, his writings and life
https://books.google[...]
The Macmillan Company
[11]
웹사이트
Saints' Lives
http://sourcebooks.f[...]
Fordham University
2017-07-04
[12]
문서
[13]
문서
St. Patrick
Clonmore and Reynolds
1964
[14]
간행물
The Significance of Cothraige
1985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Annals of Ulster; otherwise, Annals of Senat
https://archive.org/[...]
Alexander Thom & Co. (Dublin)
1887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서적
Who Was Saint Patrick?
The Boydell Press
[24]
서적
Saint Patrick Retold: The Legend and History of Ireland's Patron Sain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25]
문서
[26]
백과사전
St. Patrick
[27]
학술지
The Native Place of St. Patrick
https://archive.org/[...]
Hodges, Figgis
1926
[28]
웹사이트
Roman Marching Camp South East of Coelbren Fort
2023-03-28
[29]
학술지
An Inquiry as to the Birthplace of St. Patrick. By J.H. Turner, M.A. p. 268. Read before the Society, 8 January 1872. Archaeologia Scotica pp. 261–84. Society of Antiquaries of Scotland, Volume 5, 1890.
http://journals.soca[...]
2019-03-17
[30]
서적
A History of Britain 1: 3000 BC-AD 1603 At the Edge of the World?
BBC Worldwide
[31]
웹사이트
Confession of St Patrick
http://www.ccel.org/[...]
2013-04-07
[32]
웹사이트
Confession of St. Patrick, Part 17
http://www.ccel.org/[...]
[33]
서적
The Private Lives of the Saints: Power, Passion and Politics in Anglo-Saxon England
https://books.google[...]
Ebury Publishing
2016-07-21
[34]
웹사이트
Confession #19
http://www.confessio[...]
Royal Irish Academy
2016-03-25
[35]
문서
[36]
간행물
[37]
간행물
[38]
간행물
[39]
서적
Sources of the Early Patrician Documents
https://books.google[...]
Longman.
1904-07
[40]
서적
The Columbia Encyclopedia
Columbia University Press
[41]
간행물
St. Patrick
[42]
간행물
[43]
간행물
[44]
웹사이트
Confession of St. Patrick, Part 50
http://www.ccel.org/[...]
2010-03-11
[45]
간행물
[46]
웹사이트
Confession | St. Patrick's Confessio
https://www.confessi[...]
2021-03-31
[47]
간행물
[48]
문서
Confessio
[49]
문서
[50]
간행물
[51]
웹사이트
Letter To Coroticus, by Saint St. Patrick
http://www.yale.edu/[...]
Gilder Lehrman Center at Yale University
2010-03-11
[52]
서적
St. Patrick: Apostle of Ireland: a Memoir of His Life and Mission, with an Introductory Dissertation on Some Early Usages of the Church in Ireland, and Its Historical Position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English Colony to the Present Day
Hodges, Smith, & Co.
2015-10-17
[53]
간행물
[54]
간행물
[55]
간행물
[56]
간행물
[57]
간행물
[58]
웹사이트
Saint Patrick's Confessio HyperStack website
http://www.confessio[...]
2011-09-14
[59]
논문
An Irish Apocryphal Apostle: Muirchú's Portrayal of Saint Patrick
1996-07
[60]
간행물
Annals of Ulster
[61]
간행물
[62]
간행물
[63]
간행물
[64]
간행물
[65]
간행물
[66]
간행물
[67]
간행물
[68]
간행물
[69]
간행물
[70]
뉴스
St. Patrick's Day Facts: Snakes, a Slave, and a Saint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1-02-10
[71]
서적
Synopsis stirpium Hibernicarum alphabetice dispositarum, sive, Commentatio de plantis indigenis præsertim Dublinensibus instituta. With An appendix of observations made upon plants, by Dr. Molyneux
1726
[72]
서적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Infobase Publishing
[73]
서적
Story of Ireland
Ebury Publishing
[74]
서적
All Around the Year: Holidays and Celebrations in American Lif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75]
서적
The Art of the Sublime: Principles of Christian Art and Architecture
Ashgate Publishing
[76]
서적
Saint Patrick Retold: The Legend and History of Ireland's Patron Sain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03-11
[77]
간행물
St. Patrick and the Irish: an oration, before the Hibernian Provident Society, of New Haven, 17 March 1842
https://books.google[...]
New Haven Hibernian Provident Society
[78]
웹사이트
Snakeless in Ireland: Blame Ice Age, Not St. Patrick
https://web.archive.[...]
2011-03-17
[79]
서적
Saint Patrick Retold: The Legend and History of Ireland's Patron Sain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03-11
[80]
서적
The mark of the beast: the medieval bestiary in art, Life, and literature
Taylor & Francis
[81]
서적
Myth, Legend &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82]
논문
The Prehistoric Ritual Landscape of Croagh Patrick, Co Mayo
Wordwell
[83]
서적
Myth, Legend &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84]
서적
Lammas: Celebrating Fruits of the First Harvest
Llewellyn Publications
2001
[85]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86]
백과사전
Acallam na Senórach
[87]
서적
Myth, Legend &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88]
AFM
[89]
harvnb
[90]
harvnb
[91]
harvnb
[92]
harvnb
[93]
harvnb
[94]
harvnb
[95]
뉴스
Was St Patrick a slave-trading Roman official who fled to Ireland?
http://www.cam.ac.uk[...]
Cambridge Research News
2012-03-17
[96]
harvnb
[97]
harvnb
[98]
서적
ΜΕΓΑΣ ΣΥΝΑΞΑΡΙΣΤΗΣ
2011-08-18
[99]
백과사전
Luke Wadding
[100]
웹사이트
Ask a Franciscan: Saints Come From All Nations – March 2001 Issue of St. Anthony Messenger Magazine Online
http://www.americanc[...]
2006-08-25
[101]
웹사이트
St Patrick the Bishop of Armagh and Enlightener of Ireland
http://oca.org/saint[...]
2007-11-11
[102]
웹사이트
Icon of St. Patrick
http://www.orthodoxe[...]
2008-03-17
[103]
서적
Miraculous Plenty: Irish Religious Folktales and Legends
University College Dublin
[104]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saintpatr[...]
The Saint Patrick Centre
2011-02-20
[105]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06]
웹사이트
В месяцеслов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включены имена древних святых, подвизавшихся в западных странах / Новости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2023-06-27
[107]
웹사이트
ЖУРНАЛЫ заседания Священного Синода от 9 марта 2017 года / Официальные документы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2023-06-27
[108]
웹사이트
"Heraldic Dictionary'' – Crowns, Helmets, Chaplets & Chapeaux"
http://www.rarebooks[...]
Rarebooks.nd.edu
2003-02-24
[109]
웹사이트
An Archbishop's Mitre | ClipArt ETC
http://etc.usf.edu/c[...]
Etc.usf.edu
2018-07-16
[110]
웹사이트
Patrician Brothers Crest
http://www.brotherso[...]
2006-05-02
[111]
웹사이트
Happy Saint Patrick's Day!
http://catholicism.a[...]
Catholicism.about.com
2018-07-16
[112]
웹사이트
St. Patrick
http://catholicharbo[...]
Catholicharboroffaithandmorals.com
2018-07-16
[113]
웹사이트
Happy Saint Patrick's Day, 2011
http://www.maynoothc[...]
[114]
웹사이트
Our Stained Glass Windows – St. Patrick
http://www.stthomasa[...]
[115]
웹사이트
Optional Memorial of St. Patrick, bishop and confessor (Solemnity Aus, Ire, Feast New Zeal, Scot, Wales) – March 17, 2012 – Liturgical Calendar – Catholic Culture
http://www.catholicc[...]
Catholicculture.org
2018-07-16
[116]
웹사이트
Archdiocese of Armagh
http://www.armagharc[...]
Armagharchdiocese.org
2018-05-31
[117]
웹사이트
The Church of Ireland Diocese of Armagh | For information about the Church of Ireland Diocese of Armagh
http://armagh.anglic[...]
Armagh.anglican.org
2018-07-16
[118]
문서
Hayes-McCoy
[119]
웹사이트
St. Patrick's Cross
http://home.connect.[...]
2007-09-27
[120]
간행물
The Shamrock in Literature: a critical chronology
Royal Society of Antiquaries of Ireland
[121]
서적
Journal to Stella
University of Adelaide
2013-03-17
[122]
서적
The Popular Songs of Ireland. Collected and Edited, with Introductions and Notes
https://books.google[...]
Henry Colburn
2019-03-10
[123]
문서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Antiquaries of Ireland"
https://archive.org/[...]
[124]
문서
Colgan
[125]
뉴스
Irishman's Diary: The Patrick's Cross
1935-03-13
[126]
웹사이트
Clog Phádraig agus a Chumhdach [The Bell of St. Patrick and its Shrine]
http://www.museum.ie[...]
NMI
2015
[127]
문서 # {{cite EB9 }} 템플릿을 어떻게 처리할지 명확하지 않아 '문서'로 임의 지정
Bell
[128]
웹사이트
Treasures of early Irish art, 1500 B.C. to 1500 A.D.: from the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of Ireland, Royal Irish Academy, Trinity College, Dublin
http://libmma.conten[...]
[129]
문서
St. Patrick, Folklore and Irish National Identity
University of Turku: Finland
[130]
웹사이트
'St Patrick's life shows the ties between Ireland and Somerset'
https://mattbell.org[...]
2016-03-16
[131]
문서
Ademi de Domerham Historia de Rebus Gestis Glastoniensibus
[132]
문서
The Problem of St. Patrick
[133]
웹사이트
Placenames NI – The Northern Ireland Place-Name Project
http://www.placename[...]
Placenamesni.org
2012-10-19
[134]
웹사이트
Cruach Phádraig, Bunachar Logainmneacha na hÉireann – Placenames Database of Ireland
https://www.logainm.[...]
Government of Ireland
2010-12-13
[135]
웹사이트
Loch Dearg, Bunachar Logainmneacha na hÉireann – Placenames Database of Ireland
https://www.logainm.[...]
Government of Ireland
2010-12-13
[136]
웹사이트
Dún Padraig, Bunachar Logainmneacha na hÉireann – Placenames Database of Ireland
https://www.logainm.[...]
Government of Ireland
2010-12-13
[137]
웹사이트
Ard Padraig, Bunachar Logainmneacha na hÉireann – Placenames Database of Ireland
https://www.logainm.[...]
Government of Ireland
2010-12-13
[138]
웹사이트
Old Patrick Water, linear feature
http://saintsplaces.[...]
Commemorations of Saints in Scottish Place-names
2015-06-15
[139]
문서
Theatrum Orbis Terrarum Sive Atlas Novus
[140]
문서
Registrum Monasterii de Passelet, Paisley Abbey Register
[141]
서적
A History of Elderslie
1983
[142]
웹사이트
Tobar Phádraig, Bunachar Logainmneacha na hÉireann – Placenames Database of Ireland
https://www.logainm.[...]
Government of Ireland
2010-12-13
[143]
웹사이트
St Patrick's Well
https://www.lakesgui[...]
[144]
웹사이트
Diocese of Carlisle
https://www.carlisle[...]
[145]
웹사이트
PatterdalePAST: St Patrick's Church
https://www.patterda[...]
[146]
웹사이트
Teampall Phádraig, Bunachar Logainmneacha na hÉireann – Placenames Database of Ireland
https://www.logainm.[...]
Government of Ireland
2010-12-13
[147]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saintpatricks[...]
[148]
서적
Pilgrimage and Literary Tradition
2005
[149]
웹사이트
Patrick: Son of Ireland | Books
http://www.stephenla[...]
StephenLawhead.com
2007-08-23
[150]
서적
Let Me Die in Ireland: The True Story of Patrick
Scroll Pub
1999
[151]
문서
Laudate 女子パウロ会
[152]
서적
日本聖公会祈祷書
日本聖公会管区事務所
[153]
웹사이트
聖公会の聖人たち
http://hollycross.bu[...]
日本聖公会 桃山基督教会
2021-09-14
[154]
문서
聖人の島アイルランド
[155]
문서
ウェールズとアイルランドの絆
[156]
문서
桃山基督教会
[157]
문서
コトバンク
[158]
문서
アイルランドの守護聖人、聖パトリックの生涯について学ぶ
[159]
서적
聖公会が大切にしてきたもの
教文館
[160]
웹사이트
アイルランドのシンボル 「シャムロック」
http://inj.or.jp/sea[...]
アイリッシュ・ネットワーク・ジャパン
2010-04-03
[161]
웹사이트
カトリックの聖人暦(一般ローマ暦)
http://1st.geocities[...]
2019-03-26
[162]
서적
Universal History,on the basis of Geography
18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