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기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기림은 1908년 함경북도 학성에서 태어난 시인, 문학평론가이다.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일본 유학 후, 조선일보 기자로 등단하여 시 〈가거라 새로운 생활로〉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그는 이상, 이효석 등과 함께 구인회를 결성하여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이후 도호쿠 대학에서 I. A. Richards의 이론으로 졸업했다. 해방 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가담했으나 월남하여 서울대학교 조교수를 역임하였고,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2000년 사망했다. 그의 작품으로는 시집 《기상도》, 《바다와 나비》 등이 있으며, T. S. 엘리엇의 영향을 받아 주지주의 이미지즘 시를 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인회의 일원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구인회의 일원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 20세기 사망 - 현영운
    현영운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에 걸쳐 활동한 관료이자 군인으로, 일본 유학 후 개화파 관료로서 외교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이토 히로부미의 수양딸 배정자의 남편이었다.
  • 20세기 사망 - 유기환
    유기환은 대한제국 시기 관료로, 신사유람단 수행, 궁내부 대신 서리, 법부대신 등을 역임했으며, 고종의 황제 즉위 상소를 올렸으나 거절당하고 김홍륙 독살 모의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헌의 6조에 반대하여 유배형을 받기도 했다.
  • 모더니스트 작가 - 카렐 차페크
    체코의 소설가, 극작가, 언론인, 수필가, 미술 평론가, 번역가인 카렐 차페크는 희곡 《R.U.R.》에서 '로봇'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하고 과학기술 윤리 문제와 파시즘 위험을 다룬 작품으로 20세기 체코 문학과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체코어 사용에 기여했다.
  • 모더니스트 작가 - 프리모 레비
    이탈리아 유대계 화학자이자 작가인 프리모 레비는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경험을 기록한 《이것이 인간인가》, 《휴전》, 자전적 이야기 《주기율표》 등을 저술했으며, 아우슈비츠에서 해방된 후 귀환하여 1987년 사망했다.
김기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기림 1947년
본명김인손 (金仁孫)
아명김인손 (金寅孫)
아호편석촌 (片石村)
직업작가, 평론가, 교육인
출생일1908년 5월 11일
출생지대한제국 함경북도 학성군
사망일알 수 없음
사망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학력일본 도호쿠 제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활동 기간1930년 ~ ?
경력
소속서울대학교 교수
중앙대학교 전임교수
작품 활동
장르시, 평론
주요 작품"기상도" (1936), "태양의 풍속" (1939), "바다와 나비" (1939)

2. 생애

김기림은 1908년 함경북도 학성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이름은 김인손이었으며, 아호는 편석촌이었다.[4] 1914년 임명학교에 입학했고, 1921년 서울의 보성고등보통학교(현 보성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일본 도쿄의 릿쿄 중학교로 전학하여 학업을 이어갔다.[4] 1930년 일본 대학 문예과를 졸업했다.[4]

조선일보 학예부 기자를 지내면서 조선일보에 〈가거라 새로운 생활로〉를 발표하며 문단에 등단하였다. 또한 같은 신문에 평론 〈시의 기술 인식 현실 등 제문제〉를 발표하며 문학평론에도 뛰어들었다. 1933년 9월, 이상, 이효석, 박태원, 김유정 등과 함께 서울에 위치한 문학 단체인 구인회를 창립하는 데 참여했다.[7] 그는 이 단체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면서 당시 문학에 모더니즘을 접목하는 선구자 역할을 했으며, 이양하, 최재서 등 작가들과 함께 지성주의를 도입하는 데 참여했다.[8] 이후 조선일보를 사직하고 일본 유학을 갈 예정이었으나, 방응모 사장이 휴가를 허락하고 회사 장학금으로 학비를 지원했다.[9] 1936년 김기림은 센다이에 위치한 도호쿠 대학 영문과에 입학했다. 1939년 그는 영국의 문학 평론가 I. A. Richards의 이론에 대한 논문으로 졸업했다. 한국으로 돌아온 후 그는 조선일보 기자로 복귀했으며, 이후 학술부장을 역임했다.[10]

1940년 일제강점기 일본 총독부에 의해 조선일보가 강제 폐간되면서 직장을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1942년 그는 고향 근처의 경성중학교에서 영어 교사로 일했다. 당시 김규동 시인이 그의 제자 중 한 명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11] 1945년 해방 후 조선문학가동맹에 가담하였으나, 다음 해 소련이 점령한 북한 지역으로부터 월남하여 1948년 대한민국 건국 즈음에 탈퇴하였다. 중앙대학교연세대학교 강사로 일하다 서울대학교 조교수가 되었고, 신문화 연구소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한국 전쟁 때 납북되었고,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당뇨 합병증에 걸려 2000년 1월 12일 별세했다.[28]

1990년 6월 9일에 동료 시인 김광균, 구상 등이 주도하여 모교인 보성고등학교에 김기림을 기린 시비를 세웠다.[28]

2. 1. 유년 시절과 교육

김기림은 1908년 함경북도 학성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이름은 김인손이었으며, 아호는 편석촌이었다.[4] 1914년 임명학교에 입학했고, 1921년 서울의 보성고등보통학교(현 보성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일본 도쿄의 릿쿄 중학교로 전학하여 학업을 이어갔다.[4] 1933년 이상, 이효석, 조용만, 박태원 등과 함께 구인회를 결성하였다.[7]

이후 일본니혼 대학 영문학과 중퇴를 거쳐[4] 1936년 센다이에 위치한 도호쿠 대학 영문과에 입학했다.[9] 1939년 그는 영국의 문학 평론가 I. A. Richards의 이론에 대한 논문으로 졸업했다.[10]

2. 2. 문단 활동과 구인회 결성

함경북도 학성에서 출생하여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28] 이후 일본 니혼 대학 영문학과를 중퇴하고 도호쿠 제국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 조선일보 학예부 기자가 되었고, 1930년 조선일보에 〈가거라 새로운 생활로〉를 발표하며 문단에 등단하였다.[14] 또한 같은 신문에 평론 〈시의 기술 인식 현실 등 제문제〉를 발표하며 문학평론에도 뛰어들었다.[14] 1933년 이상, 이효석, 조용만, 박태원 등과 함께 구인회를 결성하였고,[28]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시를 쓰기 시작하여 1936년에는 첫 시집 《기상도》를 발표하였다.[28] 1942년 낙향하여 고향 근처 경성중학교(鏡成中學校)의 영어 교사로 부임했으며, 영어 과목이 폐지되자 수학을 가르쳤다. 당시 제자로 시인 김규동이 있다.[28]

2. 3. 일제강점기 후반의 활동

함경북도 학성에서 출생하여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니혼 대학 영문학과를 중퇴, 도호쿠 제국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28] 귀국 후 조선일보 학예부 기자로 재직하며 〈가거라 새로운 생활로〉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하였고, 평론 〈시의 기술 인식 현실 등 제문제〉를 발표하며 문학평론에도 참여했다.[14] 1933년 이상, 이효석, 조용만, 박태원 등과 구인회를 결성하고,[28] 1936년 첫 시집 《기상도》를 발표하였다.[15] 1942년 낙향하여 고향 근처 경성중학교(鏡成中學校)의 영어 교사로 부임했으며, 영어 과목이 폐지되자 수학을 가르쳤다. 당시 제자로 시인 김규동이 있다.[28]

김기림은 문학 활동 중반기에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과 지식인으로서의 자각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그는 시가 시대 정신을 담아야 하며, 확고한 사상이 없는 시각적 또는 회화적 시는 또 다른 형태의 순수주의라고 주장했다.[16]

한국의 일제강점기에서 해방 전후를 기점으로 한 문학 활동 후반기에 김기림은 문학과 현실의 상호 연관성을 강조하는 글을 발표하여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했다. 또한, 작가의 사회 참여를 촉구했는데, 이는 그의 "총체시학" 이론의 실현으로 여겨졌다.[17] 해방 이후 1946년에 『바다와 나비』, 1947년에 『새 노래』 두 편의 시집을 펴냈다.[19]

2. 4. 해방 이후의 활동과 납북

1945년 해방 후 조선문학가동맹에 가담하였으나, 1948년 대한민국 건국 즈음에 탈퇴하였다.[28] 이후 중앙대학교연세대학교 강사로 일하다 서울대학교 조교수가 되었고, 신문화 연구소를 설립하기도 하였다.[28] 한국 전쟁 때 납북되었고,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당뇨 합병증에 걸려 2000년 1월 12일 별세했다.[28]

1990년 6월 9일에 동료 시인 김광균, 구상 등이 주도하여 모교인 보성고등학교에 김기림을 기린 시비를 세웠다.[28][26]

2. 5. 사후

김기림은 한국 전쟁 때 납북되었으며,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당뇨 합병증에 걸려 2000년 1월 12일 별세했다.[26] 1990년 6월 9일에는 동료 시인 김광균, 구상 등이 주도하여 모교인 보성고등학교에 김기림을 기린 시비가 세워졌다.[26][28]

3. 문학 세계

T. S. 엘리엇에게서 영향받아 주지주의 이미지즘 시를 주로 썼다. 동시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기교주의를 비판하며 내용과 형식이 조화를 이룬 '전체시'의 창작을 주장하였다. 그의 초기 시들은 자신의 이론에 지나치게 충실하여 파편화된 이미지들이 흩어져 있을 뿐 시적 구체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그런 결점들은 극복되었다. 평론 면에서는 영미 이미지즘과 주지주의를 도입하여 한국 시문학계의 한 전환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 1. 주지주의와 모더니즘

김기림은 T. S. 엘리엇에게서 영향받아 주지주의 이미지즘 시를 주로 썼다. 동시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기교주의를 비판하며 내용과 형식이 조화를 이룬 '전체시'의 창작을 주장하였다. 그의 초기 시들은 자신의 이론에 지나치게 충실하여 파편화된 이미지들이 흩어져 있을 뿐 시적 구체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그런 결점들은 극복되었다. 평론 면에서는 영미 이미지즘과 주지주의를 도입하여 한국 시문학계의 한 전환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 2. 전체시론

김기림은 T. S. 엘리엇에게서 영향받아 주지주의 이미지즘 시를 주로 썼다. 동시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기교주의를 비판하며 내용과 형식이 조화를 이룬 '전체시'의 창작을 주장하였다. 그의 초기 시들은 자신의 이론에 지나치게 충실하여 파편화된 이미지들이 흩어져 있을 뿐 시적 구체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그런 결점들은 극복되었다. 평론 면에서는 영미 이미지즘과 주지주의를 도입하여 한국 시문학계의 한 전환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 3. 해방 이후의 문학 활동

김기림은 T. S. 엘리엇에게서 영향받아 주지주의 이미지즘 시를 주로 썼으며, 동시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기교주의를 비판하며 내용과 형식이 조화를 이룬 '전체시'의 창작을 주장하였다. 그의 초기 시들은 자신의 이론에 지나치게 충실하여 파편화된 이미지들이 흩어져 있을 뿐 시적 구체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그런 결점들은 극복되었다. 평론 면에서는 영미 이미지즘과 주지주의를 도입하여 한국 시문학계의 한 전환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 작품

4. 1. 시

바다와 나비, 길, 유리창, 기상도(1936), 태양의 풍속(1939), 바다와 나비(1939) 등의 시를 발표하였다.

4. 2. 시집

김기림은 여러 권의 시집을 출간하였다. 1936년에는 첫 시집 《기상도》를 창문사에서 출간하였다. 1939년에는 학예사에서 《태양의 풍속》을 출간하였다. 해방 이후 1946년에는 신문화연구소에서 《바다와 나비》를 출간하였고, 1948년에는 아문각에서 《새노래》를 출간하였다.

4. 3. 기타 저서

김기림은 이론서, 시론집, 수필집, 번역서 등 다양한 분야의 저서를 남겼다. 1946년에는 《문학개론》을 출간하였고, 1947년에는 시론집 《시론》을 발표했다. 1948년에는 수필집 《바다와 육체》와 번역서 《과학개론》을 출간했다. 1950년에는 유진호, 최호진, 이건호와 함께 《학원과 정치》를 저술했으며, 같은 해 《시의 이해》와 《문장론신강》을 발표했다.

5. 비평

T. S. 엘리엇, T. E. 흄, I. A. 리처즈와 같은 작가와 이론가들의 영향을 받은 김기림은 초기에 서구 모더니즘의 문학 이론을 비교적 정확하게 습득한 것으로 평가받는다.[24] 그러나 그는 모더니즘의 문화적 기반과 철학적 토대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그의 첫 시집인 ''기상도''(1936)는 명확하고 통일된 주제가 결여된 실험적인 작품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기상도''는 형식적인 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드러낸다고 한다. 비평가들은 언어의 리듬과 음악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김기림이 언어를 통해 시각적 인상을 전달하려다 이러한 요소들을 의도치 않게 간과한 것으로 추정된다.[24] 하지만 ''기상도''는 사상과 감각을 통합하고 근대 자본주의 문명을 비판하는 데 성공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더불어 김기림의 마지막 시집인 ''새 노래''(1948)는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점은 인정받았으나, 예술 작품으로서의 성숙도는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5]

6. "바다와 나비"

'''바다와 나비'''(1939)는 김기림의 주요 작품 중 하나로, 문예지 《여성》에 발표되었다.[21] 이 시는 지성주의의 대표작을 보여주기 위해 한국 중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는 파란색과 흰색의 대비를 통해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좌절을 동시에 보여준다. 또한, 바다와 나비라는 서로 어울리지 않는 두 가지 개념을 제시한다. 바다는 식민 시대의 혹독하고 기이한 현실 또는 당시의 새로운 문명을 나타내며, 나비는 외부 세계에 적응하지 못하는 연약한 지식인을 상징한다. 이 시는 당시 한국 문학계에서 새로운 시도였던 일종의 회화적 모더니즘을 보여준다.[22]

아무도 그에게 수심(水深)을 일러 준 일이 없기에

흰나비는 도무지 바다가 무섭지 않다.

청(靑)무우 밭인가 해서 내려갔다가는

어린 날개가 물결에 절어서

공주(公主)처럼 지쳐서 돌아온다.

삼월(三月)달 바다가 꽃이 피지 않아서 서글픈

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23]

참조

[1] 블로그 Literary figures in literary textbook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Kim Kirim the poet [문학 교과서에서 만날 수 있는 월북 문인-시인 김기림] m.blog.naver.com/Pos[...] The Official Blog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22-07-15
[2] 블로그 Literary figures in literary textbook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Kim Kirim the poet [문학 교과서에서 만날 수 있는 월북 문인-시인 김기림] m.blog.naver.com/Pos[...] The Official Blog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22-07-15
[3] 웹사이트 Kim Kirim library.ltikorea.or.[...]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2022-07-17
[4] 웹사이트 Kim Kirim library.ltikorea.or.[...]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2022-07-17
[5] 백과사전 Kim Kirim [김기림] encykorea.aks.ac.kr/[...]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2-07-21
[6] 서적 Unabridged Dictiona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사전]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7] 백과사전 Kim Kirim [김기림] encykorea.aks.ac.kr/[...]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2-07-21
[8] 서적 Unabridged Dictiona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사전]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9] 블로그 Literary figures in literary textbook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Kim Kirim the poet [문학 교과서에서 만날 수 있는 월북 문인-시인 김기림] m.blog.naver.com/Pos[...] The Official Blog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22-07-15
[10] 백과사전 Kim Kirim [김기림] encykorea.aks.ac.kr/[...]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2-07-21
[11] 웹사이트 Kim Kirim library.ltikorea.or.[...]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2022-07-17
[12] 블로그 Literary figures in literary textbook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Kim Kirim the poet [문학 교과서에서 만날 수 있는 월북 문인-시인 김기림] m.blog.naver.com/Pos[...] The Official Blog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22-07-15
[13] 백과사전 Kim Kirim [김기림] encykorea.aks.ac.kr/[...]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2-07-21
[14] 백과사전 Kim Kirim [김기림] encykorea.aks.ac.kr/[...]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2-07-21
[15] 백과사전 Kim Kirim [김기림] encykorea.aks.ac.kr/[...]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2-07-21
[16] 서적 Unabridged Dictiona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사전]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17] 서적 I am Literature [나는 문학이다] Namuiyagi 2009
[18] 서적 Unabridged Dictiona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사전]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19] 서적 Unabridged Dictiona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사전]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20] 백과사전 Kim Kirim [김기림] encykorea.aks.ac.kr/[...]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2-07-21
[21] 백과사전 The Sea and the Butterfly [바다와 나비] terms.naver.com/entr[...] The Doosan Encyclopedia 2022-07-09
[22] 블로그 Literary figures in literary textbook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Kim Kirim the poet [문학 교과서에서 만날 수 있는 월북 문인-시인 김기림] m.blog.naver.com/Pos[...] The Official Blog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22-07-15
[23] 기타 Translated in December 2015 by Suhyun J. Ahn, a Ph.D. student in East Asian studies at Princeton University ahntranslation.com/2[...]
[24] 백과사전 The Weather Chart [기상도] encykorea.aks.ac.kr/[...]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2-07-29
[25] 백과사전 Kim Kirim encykorea.aks.ac.kr/[...]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2-07-21
[26]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22-09-17
[2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isapress[...] 2018-12-11
[28] 뉴스 납북시인 김기림 시비 세워 동아일보 1990-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