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방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방한은 1925년 목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은 언어학자이다.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하버드 대학교 객원교수로 활동했고, 한국언어학회 회장, 한국학술협의회 이사장 등을 지냈다. 알타이 제어 및 한국어 계통론을 주로 연구했으며, 특히 고대 한반도에 알타이적 영향을 받은 한국어계 언어와는 다른 기층 언어인 '원시한반도어'가 존재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어의 계통』, 『언어학논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 정인승
정인승은 일제강점기 국어학자로서 국어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해방 후에는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으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후 건국훈장과 국민훈장을 수훈받았다. -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 이희승
이희승은 국어학자, 교육자, 언론인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투옥되었고, 서울대학교 교수로 국어 연구와 사전 편찬에 기여했으며, 『국어대사전』 발간, 동아일보 사장, 대구대학교 총장, 성균관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고 학술원 부회장 등을 지내며 국어 교육 발전에 힘썼으며, 시집 《박꽃》, 수필집 《딸깍발이》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 - 임동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임동원은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군과 정부의 요직을 거쳐 나이지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대사, 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등을 역임하며 김대중 정부 시절 햇볕정책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제2연평해전 발언과 불법 감청 혐의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서울대학교 교수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서울대학교 교수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김방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25년 1월 21일 |
사망 | 2001년 7월 23일 (향년 76세) |
직업 | 언어학자 |
분야 | 국어학, 역사언어학 |
모교 | 서울대학교 |
2. 생애
1925년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김우진의 아들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을 졸업한 후 동 대학에서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3년에 서울대학교 강사가 되었고, 1956년부터 1990년까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를 역임했다.[2][3] 그 사이에 하버드 대학교 객원교수로 미국에 체류하기도 했다.[3] 한국언어학회 회장, 한국학술협의회 이사장 등을 지냈으며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다.[7] 1979년에는 제1회 일본 인도유럽어학 연구자 전문회의에 참가했다.[5]
김방한은 알타이 제어 및 한국어 계통론을 주로 연구하였으며,[8] 한국어와 알타이 제어 간의 음운, 형태상 공통점에 주목하여 비교 가능성을 확립하였다. 몽골어 연구의 권위자이기도 했다.
또한, 한국언어학회와 한국알타이어학회에서 회장을 역임했다.[2][3]
3. 연구 업적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을 졸업한 후, 1953년에 서울대학교 강사가 되었고, 1956년부터 1990년까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를 역임했다.[2][3] 그 사이에 하버드 대학교 객원교수로 미국에 체류하기도 했다.[3] 1979년에는 제1회 일본 인도유럽어학 연구자 전문회의에 참가했다.[5]
또한, 한국언어학회와 한국알타이어학회에서 회장을 역임했다.[2][3] 밀카 이비치의 『언어학사』를 한국어로 번역(1982년)하기도 했다.[2]
3. 1. 원시한반도어 가설
김방한은 알타이 제어 및 한국어 계통론을 주로 연구하였다.[8] 그는 한국어와 알타이 제어 간의 음운, 형태상 공통점에 주목하여 비교 가능성을 확립하였다. 이외에 몽골어 연구의 권위자이기도 했다.
특히 김방한은 고대 한반도에 두 언어층이 공존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하는 가설로 유명하다. 그는 삼국사기 지리지 등에 나타나는 고지명을 근거로, 고대 한반도에는 알타이(퉁구스)적 영향을 받은 한국어계 언어와 함께 모종의 다른 기층(substratum)적 언어가 한반도 중·남부에 걸쳐 분포되어 있었다고 보았다. 김방한은 이를 ‘원시한반도어’라고 지칭하였으며,[6] 그 기층언어를 니브흐어라고 주장했다.[9]
김방한은 『한국어의 계통』에서 고대 지명을 단서로, 조선어가 알타이 제어의 영향을 받기 이전의 한반도에 계통 불상의 "원시 한반도어"가 존재했다는 설을 제시했다. 이는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술에 퉁구스어족의 영향을 받은 지명과 계통 불상의 지명이 병존하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3. 2. 기타 연구
알타이 제어 및 한국어 계통론을 주로 연구하였다.[8] 그는 한국어와 알타이 제어 간의 음운,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점에 주목하여 비교 가능성을 확립하였다. 이외에 몽골어 연구의 권위자이기도 했다.
특히 고대의 한반도에는 두 언어층이 공존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한 가설이 유명한데, 그에 의하면 삼국사기 지리지 등에서 나타나는 고지명에서 미루어 보아 고대 한반도에는 알타이(퉁구스)적 영향을 받은 한국어계 언어와 함께 모종의 다른 기층(substratum)적 언어가 한반도 중·남부에 걸쳐 분포되어 있었다. 김방한은 이를 ‘원시한반도어’라고 지칭하였다.[6] 또한 그는 그 기층언어를 니브흐어라고 주장했다.[9]
4. 저서
- (전정판) 언어학논고 (1999), 서울대학교 출판부, ISBN 89-521-0096-4[2]
- * 언어학논고 I (1970)[2]
- * 언어학논고 II (1985)[2]
- 한국어의 계통, 대우학술총서 인문사회과학-001 (1983), ISBN XX-000-3570-0[2]
- 일반언어학 (1985), 김방한, 문양수, etc., 형설출판사, ISBN XX-000-2925-9[2]
- 역사-비교언어학 (1988), 민음사, ISBN 89-374-3031-2[2]
- 언어학의 이해 (1992), 민음사, ISBN 89-374-5429-7[2]
- 언어와 역사 (1994), 서울대학교 출판부, ISBN 89-7096-197-6
- 한 언어학자의 회상 (1996), 민음사, ISBN 89-374-2319-7[2]
- 소쉬르: 현대 언어학의 원류 (1998), 민음사, ISBN 89-374-5437-8[2]
- (논문집) 몽골어 연구 (1999), 서울대학교 출판부, ISBN 89-521-0097-2[2]
권재일의 추도 논문에 따르면, 괄호 안의 일본어 제목은 번역자인 스가노 히로오미에 의한 것이다.[2]
이 외에도, Milka Ivić|밀카 이비치sh의 『언어학사』를 한국어로 번역(1982년)한 것이 있다.[2]
참조
[1]
간행물
"[그분을 그리며] 잔잔한 미소와 온화한 마음의 김방한 선생님"
국립국어원
2017
[2]
논문
穏やかなほほえみと温和なお心の金芳漢Gim Banghanキム(金)・バンハン先生
神田外語大学韓国語学会
[3]
웹사이트
歴史-比較言語学
http://izumiya.shop-[...]
泉屋書店
2017-11-22
[4]
웹사이트
(144)안동 김씨(安東金氏)(신파)-47,702명
http://www.seoulecon[...]
2015-02-19
[5]
웹사이트
大阪言語研究会 第 163 回例会
http://www.let.osaka[...]
大阪言語研究会/大阪大学神山孝夫研究室
2017-11-24
[6]
웹인용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http://hosting01.snu[...]
2019-06-20
[7]
뉴스
김방한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https://www.joongang[...]
2001-10-20
[8]
간행물
"[그분을 그리며] 잔잔한 미소와 온화한 마음의 김방한 선생님"
국립국어원
2017
[9]
뉴스
"우리 말엔 「길랴크어」의 일부가 삽입돼 있다
https://www.joongang[...]
1976-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