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수 (197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영수(1978년)는 대한민국의 화학생물학자로, 알츠하이머병의 병리, 치료법 및 진단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뉴욕 대학교에서 생화학 학사 학위를, 스크립스 연구소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 융합과학공학부 바이오융합전공 및 약학대학 약학과 부교수로, 아밀로이드솔루션(주)의 공동설립자이자 최고 과학 책임자(CSO)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체를 단량체로 되돌리는 합성신약 개발과 알츠하이머병 혈액진단기술 개발 등이 있으며, 관련 연구로 여러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매 -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은 뇌의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신경원섬유 엉킴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인지 기능 저하, 일상생활 기능 장애, 기억 상실, 언어 장애 등을 동반하며 완치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 치매 - 혈관성 치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 질환으로 뇌 조직 손상으로 인해 인지 기능이 저하되는 치매 유형으로, 기억력 감퇴, 운동 장애, 행동 변화, 언어 문제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심혈관계 질환 및 생활 습관, 유전자형 등이 위험 요인이고, 기저 질환 관리로 진행을 늦추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알츠하이머병 -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는 독일의 정신과 의사이자 신경병리학자로,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신경 원섬유 엉킴을 발견하여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특징을 밝혀냈으며, 브로츠와프 대학교에서 정신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 알츠하이머병 - 알츠하이머병 뇌영상 선도연구
알츠하이머병 뇌영상 선도연구(ADNI)는 알츠하이머병 연구를 가속화하고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뇌 영상, 유전자 검사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연구자들에게 제공하는 공공 및 민간 협력 프로젝트이다. - 대한민국의 생화학자 - 이기령 (과학자)
이기령은 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나가사키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생화학자로서, 서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대한민국학술원 종신회원을 지냈다. - 대한민국의 생화학자 - 심창구
심창구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졸업 후 동경대학교에서 약학 박사 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와 한국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제5대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약학자이자 교육자, 공무원이다.
김영수 (197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78년 4월 7일 |
출생지 | 서울,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모교 | New York University, Scripps Research |
박사 지도교수 | Kim D. Janda |
경력 | |
분야 | 화학생물학 |
웹사이트 | http://chembio.yonsei.ac.kr |
2. 학력
대원외국어고등학교 불어과를 졸업하였다.[27] 미국 뉴욕 대학교에서 2001년 생화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당시 지도교수는 장영태 교수였다. 이후 미국 캘리포니아주 라호이아에 위치한 스크립스 연구소에서 생유기화학을 연구하여 2006년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과정 지도교수는 Kim D. Jandaeng였다.[27][1]
200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군 복무 후 2010년부터 KIST 선임연구원 및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부교수를 지냈다. 2017년에는 연세대학교로 옮겨 약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고, 2020년 부교수로 승진했다.[2] 현재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겸임교수도 맡고 있다.[2]
3. 경력
3.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2006년 12월 KIST에 연구원으로 입사하여 2010년까지 근무했다. 군 복무를 마친 후인 2010년부터는 KIST 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2010년 ~ 2016년), 동시에 UST 생명화학과 부교수로도 임용되어 2017년까지 재직했다. KIST에서는 2016년부터 책임연구원을 맡았으며(2016년 ~ 2017년 2월), UST 부교수직과 KIST 책임연구원직을 겸임하다가 2017년 2월 퇴사하였다.
3. 2. 연세대학교
2017년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 융합과학공학부(ISED) 바이오융합전공과 약학대학 약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2], 2020년 3월 약학대학 약학과 부교수로 승진하였다.[2]
현재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 융합과학공학부(ISED) 바이오융합전공(Bio-Convergence, BC), 제약산업학 협동과정, 바이오융합 협동과정[28] 및 포항공과대학교(연세대-POSTECH 개방∙공유 캠퍼스)[28][2]의 겸임 교수이다. 약학과 외에도 융합생명공학과 번역의학 대학원 프로그램(IBTM)에도 소속되어 있다.[2]
3. 3. 기업 활동
아밀로이드솔루션(주)의 공동 설립자이며 CSO이다.
3. 4. 학술 활동
그는 현재 사이언티픽 리포트의 편집 위원(신경학 분야, 2015년~)[29][3], PLOS ONE의 학술 편집자(2018년~)[30][4], [https://www.en-journal.org/ Experimental Neurobiology]의 편집 이사(2020년~)[31][5],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DND)의 편집 위원(2018년~)[32]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대한퇴행성신경질환학회의 임원으로 활동했으며, 역임한 직책은 다음과 같다.[33]
연도 | 직책 |
---|---|
2019년 ~ 2020년 | 총무이사 |
2021년 | 재무이사 |
2022년 | 학술이사 |
주요 활동 학회는 Alzheimer Association, American Chemical Society, 대한화학회, 대한약학회, 대한퇴행성신경질환학회, 대한치매학회, 생화학분자생물학회,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한국유기합성학회 등이다.
4. 주요 수상
wikitext
연도 | 상 이름 | 비고 |
---|---|---|
2016 | 이달의 KIST인 상 | 2회 수상 |
2016 | 과총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 [40] |
2016 | BRIC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Top 5 | [38][39] |
2017 | KIST인 대상 | |
2018 | 연세대학교 우수강의교수상 | |
2019 | 포스코청암재단 포스코사이언스펠로 (11기) | 출처 [37] |
2019 | 보건의료기술진흥유공자 복지부장관상 | [36] |
2019 | BRIC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Top 5 | [34][35] |
2022 | 대한약학회 차세대선도약학자상 |
5. 연구
김영수는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내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한 연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http://chembio.yonsei.ac.kr/ 화학생물학연구실]을 운영한다.[6][7] 그의 연구는 화학생물학을 연구 도구로 사용하여 알츠하이머병의 병리학, 치료법 및 진단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둔다. 특히 단백질의 잘못된 접힘과 알츠하이머병의 인지 장애를 조절하는 저분자 물질을 식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체 분해 약물 개발[41][42][8][14][19][20][21], 알츠하이머병 혈액 진단 기술 개발[43][44][45][46][47][10][11][12][13][14] 등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김영수가 당시 소속되어 있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2016년[48][15]과 2017년[49]에 로이터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연구 기관' 중 6위에 오르는 데 기여했다.[16] 특히, 그가 개발한 혈액진단기술은 기술이전 당시(2016년 2월 기준)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사례 중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으며, 이 소식은 2016년 2월 2일자 조선일보 1면에 게재되기도 했다.[50][51]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체액 바이오마커에 대한 그의 리뷰 논문[52][17]은 국제 학술지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에 게재되었고, Springer Nature의 '2019년 주목할 만한 연구'(2019 Research Highlights)에 선정됐다.[53][18]
대표적인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 '''EPPS''': 아밀로이드 베타 올리고머와 플라크를 분해하는 소분자 화합물[41][47][54][55][56][8][14][19][20][21]
- '''타우린''':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의 학습 및 기억 능력을 회복시키는 건강 보조 식품[42][9]
- '''네크로스타틴-1'''(Necrostatin-1eng):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접힘 오류와 타우 단백질의 과인산화를 모두 조절하는 항-괴사 분자[57][22]
- '''CLASS'''(Comparison of Aβ Levels by Self-Standard|CLASSeng): 혈중 아밀로이드 베타 올리고머를 검출하여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하는 혈액 검사 방법[47][14]
- '''약물 재창출''':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화학적 제거[23]
- '''화학적 유출''': 뇌에서 혈액으로 아밀로이드 부하를 분리[24]
참조
[1]
뉴스
TSRI Kellogg School's Entering Class in 2002
https://www.scripps.[...]
[2]
웹사이트
POSTECH and Yonsei University to Create Blockchain Campus Together
http://www.businessk[...]
2020-03-11
[3]
웹사이트
Editorial Advisory Panel and Editorial Board
https://www.nature.c[...]
[4]
웹사이트
PLOS ONE Editorial Board – Academic Editors
https://journals.plo[...]
[5]
웹사이트
Experimental Neurobiology
https://www.en-journ[...]
2022-10-28
[6]
웹사이트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 Faculty Page
https://uic.yonsei.a[...]
2017-05-13
[7]
웹사이트
College of Pharmacy
http://pharmacy.yons[...]
2017-05-13
[8]
논문
EPPS rescues hippocampus-dependent cognitive deficits in APP/PS1 mice by disaggregation of amyloid-β oligomers and plaques
2015
[9]
논문
Taurine in drinking water recovers learning and memory in the adult APP/PS1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2014
[10]
논문
Correlations of amyloid-β concentrations between CSF and plasma in acute Alzheimer mouse model
2014
[11]
논문
Age-dependent inverse correlations in CSF and plasma amyloid-β(1–42) concentrations prior to amyloid plaque deposition in the brain of 3xTg-AD mice
2015
[12]
논문
Abnormalities of plasma cytokines and spleen in senile APP/PS1/Tau transgenic mouse model
2015
[13]
뉴스
Early Dementia Diagnosis Based on Blood Test to Become Possible in 2019
http://www.businessk[...]
Business Korea
2016
[14]
논문
Comparative analyses of plasma amyloid-β levels in heterogeneous and monomerized states by interdigitated microelectrode sensor system
[15]
웹사이트
Top 25 Global Innovators – #6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n 2016
https://www.reuters.[...]
[16]
웹사이트
Top 25 Global Innovators – #6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n 2017
https://www.reuters.[...]
[17]
논문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tilizing amyloid and tau as fluid biomarkers
2019
[18]
웹사이트
Springer Nature 2019 Research Highlights
https://www.springer[...]
2020-03-11
[19]
뉴스
Molecule clears Alzheimer's plaques in mice
https://www.bbc.com/[...]
BBC
2015
[20]
뉴스
Taurine-like chemical restores cognitive function in mice with Alzheimer'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
[21]
논문
Rapid and sustained cognitive recovery in APP/PS1 transgenic mice by co-administration of EPPS and donepezil
2016
[22]
논문
Nec‐1 alleviates cognitive impairment with reduction of Aβ and tau abnormalities in APP/PS1 mic
http://embomolmed.em[...]
2017
[23]
논문
Discovery of Chemicals to Either Clear or Indicate Amyloid Aggregates by Targeting Memory‐Impairing Anti‐Parallel Aβ Dimers
https://onlinelibrar[...]
2020-07-06
[24]
논문
Chemical‐Driven Outflow of Dissociated Amyloid Burden from Brain to Blood
2022
[25]
웹인용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http://pharmacy.yons[...]
2020-03-11
[26]
웹인용
연세대학교 교원정보 시스템: 약학과
https://fis.yonsei.a[...]
2020-03-11
[27]
뉴스
TSRI Kellogg School's Entering Class in 2002
https://www.scripps.[...]
[28]
웹인용
POSTECH-연세대 개방∙공유 캠퍼스
http://www.postech.a[...]
2020-03-11
[29]
웹인용
Editorial Advisory Panel and Editorial Board
https://www.nature.c[...]
[30]
웹인용
PLOS ONE Editorial Board - Academic Editors
https://journals.plo[...]
[31]
웹인용
Experimental Neurobiology
https://www.en-journ[...]
2022-10-28
[32]
웹인용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Editorial Board
https://dnd.or.kr/in[...]
2020-03-11
[33]
웹인용
대한퇴행성신경질환학회
http://ksnd.org/
2020-03-11
[34]
웹인용
BRIC
https://www.ibric.or[...]
2020-03-11
[35]
웹인용
BRIC이 만난 사람들
https://www.ibric.or[...]
2020-03-11
[36]
웹인용
데일리메디, 2019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http://www.dailymedi[...]
2020-03-11
[37]
웹인용
제 11기 포스코사이언스펠로
https://www.postf.or[...]
2020-03-11
[38]
웹인용
BRIC
https://www.ibric.or[...]
2020-03-11
[39]
웹인용
BRIC이 만난 사람들
https://www.ibric.or[...]
2020-03-11
[40]
웹인용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http://10news.kofst.[...]
2020-03-11
[41]
저널
EPPS rescues hippocampus-dependent cognitive deficits in APP/PS1 mice by disaggregation of amyloid-β oligomers and plaques
https://www.nature.c[...]
2015
[42]
저널
Taurine in drinking water recovers learning and memory in the adult APP/PS1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https://www.nature.c[...]
2014
[43]
저널
Correlations of amyloid-β concentrations between CSF and plasma in acute Alzheimer mouse model
https://www.nature.c[...]
2014
[44]
저널
Age-dependent inverse correlations in CSF and plasma amyloid-β(1–42) concentrations prior to amyloid plaque deposition in the brain of 3xTg-AD mice
https://www.nature.c[...]
2015
[45]
저널
Abnormalities of plasma cytokines and spleen in senile APP/PS1/Tau transgenic mouse model
https://www.nature.c[...]
2015
[46]
뉴스
Early Dementia Diagnosis Based on Blood Test to Become Possible in 2019
http://www.businessk[...]
2016
[47]
저널
Comparative analyses of plasma amyloid-β levels in heterogeneous and monomerized states by interdigitated microelectrode sensor system
https://advances.sci[...]
2019
[48]
웹인용
Top 25 Global Innovators - #6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n 2016
https://www.reuters.[...]
[49]
웹인용
Top 25 Global Innovators - #6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n 2017
https://www.reuters.[...]
[50]
웹인용
"그간 600조 가치 창출… 다음 50년도 MIRACLE"
https://news.chosun.[...]
조선일보
2020-03-11
[51]
웹인용
치매 조기진단, 3년내 상용화
https://news.chosun.[...]
조선일보
2020-03-11
[52]
저널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tilizing amyloid and tau as fluid biomarkers
https://www.nature.c[...]
2019-05
[53]
웹인용
Springer Nature
https://www.springer[...]
2020-03-11
[54]
뉴스
Molecule clears Alzheimer's plaques in mice
https://www.bbc.com/[...]
2015
[55]
뉴스
Taurine-like chemical restores cognitive function in mice with Alzheimer's
https://www.theguard[...]
2015
[56]
저널
Rapid and sustained cognitive recovery in APP/PS1 transgenic mice by co-administration of EPPS and donepezil
https://www.nature.c[...]
2016
[57]
저널
Nec‐1 alleviates cognitive impairment with reduction of Aβ and tau abnormalities in APP/PS1 mic
http://embomolmed.em[...]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