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우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정우는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로, CJ 엔투스 소속으로 활동했다. 2007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Season 1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매의 눈', '불사조' 등의 별명을 얻었다.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하여 프로리그 결승전 MVP를 수상하기도 했으나, 2014년 은퇴를 발표했다. 이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으며, VANT 36.5 대국민 스타리그와 아프리카TV 스타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타리그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스타리그 우승자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CJ 엔투스의 선수 - 이호준 (프로게이머)
이호준은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 전향하여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3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 CJ 엔투스의 선수 - 유대현
유대현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활동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최강 우주방어 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GO팀 소속으로 활동하며 다수의 대회에서 우승했고, 군 복무 후에는 다양한 방송에서 스타크래프트 및 리그 오브 레전드 해설가 및 캐스터로 활동했다. - 용인시 출신 - 이용구 (1964년)
이용구는 1964년 출생한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판사, 사법연수원 교수, 변호사를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법무부 법무실장, 차관, 장관 직무대리를 역임했다. - 용인시 출신 - 송영근 (1947년)
대한민국 육군 중장 출신인 송영근(1947년)은 국군기무사령관을 지냈으며,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후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 김정우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김정우 |
| 국적 | 대한민국 |
| 출생 | 1991년 1월 30일 |
| 출생지 | 경기도 용인시 |
| 십이지 | 양띠 |
| 종족 | 저그 |
| 아이디 | effort |
| 별명 | 매의 눈, 매, 매시아, 불사조, 우치하 매타치, 매신 |
| 키보드 | 삼성 DT-35 화이트 |
| 마우스 | 로지텍 미니옵 |
2. 선수 이력
2007년 상반기 준프로게이머 선발전에서 높은 성적을 기록하며 프로게이머로 한 걸음을 내디뎠다. 모든 드래프트 대회에서 최고의 성적을 차지한 김정우는 2007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CJ 엔투스의 추천선수로 입단하였다. 당시 최연소 프로게이머로써 이름을 날리고 있었던 위메이드 폭스의 전태양과 견줄 만큼 실력이 뛰어났다.
2008년 가을, 세 번째로 진출한 스타리그였던 인크루트 스타리그 36강에서 '프로토스 육룡'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김구현(STX SouL)을 2:0으로 꺾으며 주목받았다. 이후 프로리그에서도 경험과 실력을 쌓으며 팀내 저그 에이스로 성장, 'CJ 신예 트로이카(김정우, 조병세, 진영화)'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2010년 9월 연봉 협상에서 팀과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은퇴를 선언했으며, 은퇴 당시 KeSPA 랭킹 3위를 기록했다. 2011년 3월 21일 친정팀인 CJ 엔투스로 복귀하였으나, 2014년 9월 12일 CJ 엔투스와의 계약이 종료되었고, 9월 22일 은퇴를 발표했다.
2. 1. 스타크래프트 (2007-2010, 2011-2014)
2007년 상반기 준프로게이머 선발전에서 높은 성적을 기록한 김정우는 2007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CJ 엔투스에 입단했다. 2008년 가을 인크루트 스타리그 36강에서 김구현을 꺾으며 주목받았고, 이후 팀내 저그 에이스로 성장하여 'CJ 신예 트로이카'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2010년 9월 연봉 협상 문제로 은퇴를 선언했고, 당시 KeSPA 랭킹 3위를 기록했다.2011년 3월 21일 친정팀인 CJ 엔투스로 복귀했다. 2014년 9월 12일 CJ 엔투스는 김정우와의 계약 종료를 발표했고, 9월 22일 김정우는 은퇴를 발표했다.
2. 1. 1. CJ 엔투스 시절 (2007-2010)
2007년 상반기 준프로게이머 선발전에서 높은 성적을 기록하며 프로게이머로 한 걸음을 내디뎠다. 모든 드래프트 대회에서 최고의 성적을 차지한 김정우는 2007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CJ 엔투스의 추천선수로 입단하였다. 당시 최연소 프로게이머로써 이름을 날리고 있었던 위메이드 폭스의 전태양과 견줄 만큼 실력이 뛰어났다.2008년 가을, 세 번째로 진출한 스타리그였던 인크루트 스타리그 36강에서 '프로토스 육룡'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김구현(STX SouL)을 2:0으로 꺾으며 주목받았다. 이후 프로리그에서도 경험과 실력을 쌓으며 팀내 저그 에이스로 성장, 이른바 'CJ 신예 트로이카(김정우, 조병세, 진영화)'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2010년 9월 연봉 협상에서 팀과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은퇴를 선언했다.
2. 1. 2. 돌연 은퇴와 복귀 (2010-2011)
2010년 9월, 김정우는 연봉 협상 과정에서 팀과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기 위해 돌연 은퇴를 선언했다.[1] 은퇴 당시 KeSPA 랭킹 3위를 기록할 정도로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기에, 많은 팬들은 그의 은퇴를 안타까워했다. 이로 인해 CJ 엔투스의 전력은 크게 약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1]2011년 3월 21일, 김정우는 친정팀인 CJ 엔투스로 복귀하였다.
2. 1. 3. CJ 엔투스 복귀 이후 (2011-2014)
2011년 3월 21일, 김정우는 친정팀인 CJ 엔투스로 복귀했다. 그러나 은퇴 후 최소 6개월간 공식 활동이 불가능하다는 규정 때문에 연습생 신분으로 시작해야 했다. 당초 9월 복귀가 예상되었으나, 2010년 10월 6일 은퇴 공시 기준으로 1년이 지나야 한다는 규약에 따라 2011년 10월 7일에 정식 프로게이머로 복귀했다. 복귀 후 40일 만인 11월 27일, 신대근과의 프로리그 경기에서 승리하며 공식전 470일 만에 첫 승을 거두었다.1년 만의 복귀에도 불구하고 김정우는 CJ 저그 에이스로 활약했다. 정규 시즌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준플레이오프에서 3패를 기록하며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에 영향을 주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 2로 종목을 전환한 김정우는 자유의 날개 시절 프로리그 결승에서 허영무를 꺾고 팀 우승에 기여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군단의 심장에서는 약세를 보였고, 개인 리그에서도 부진을 겪었다. 결국 2014년 9월 재은퇴를 발표했다.
2. 2. 스타크래프트 II (2012-2014)
2011년 3월 21일, 김정우는 프로게이머 복귀를 선언했다. 그러나 은퇴 후 최소 6개월간 공식 활동이 불가능하다는 규정 때문에 CJ 엔투스 연습생 신분으로 돌아갔다. 당초 9월 복귀가 예상되었으나, 2010년 10월 6일 은퇴 공시가 된 관계로 은퇴 공시일로부터 1년이 경과해야 복귀할 수 있다는 한국e스포츠협회의 규약에 따라 2011년 10월 7일에 복귀가 가능하게 되었다. 10월 7일, 김정우는 정식 프로게이머로 복귀하여 CJ 엔투스로 돌아왔다. 복귀 후 40일 만인 11월 27일, 신대근과의 프로리그 복귀전에서 승리하며 공식전 470일 만에 첫 승을 기록했다. 1년 만의 복귀임에도 불구하고 김정우는 여전한 실력을 보여주며 CJ 저그 에이스로 활약했다. 정규시즌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준플레이오프 경기에서 3패를 기록하며 CJ는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2. 2. 1. 스타크래프트 II 부진과 재은퇴 (2014)
이후 자유의 날개에서 프로토스전에 약점이 있었지만 프로리그 결승에서 허영무를 잡으며 소속팀의 우승에 기여하였다. 12-13 시즌 자유의 날개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군단의 심장에서는 약세를 보였다. 개인 리그에서는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성주와 김유진에게 패배하여 탈락하고, 다음 시즌에서도 승격/강등전에서 탈락하는 등 심한 부진을 겪었다. 결국 2014년 9월 재은퇴를 발표했으며, 2015년부터 아프리카TV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1]3. 주요 기록 및 업적
김정우는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며 다양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 스타크래프트
| 연도 | 대회 | 비고 |
|---|---|---|
| 2007년 | 제2회 KeSPA컵 아마추어 입상 | |
| 2008년 |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36강 | |
|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 16강 | ||
| 2008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신인상 | ||
| 2009년 | 아발론 온라인 MSL 2009 8강 | |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16강 | ||
|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3 3위 | ||
| 블리즈컨 2009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 (2:1 김명운) | |
| EVER 스타리그 2009 16강 | ||
| NATE MSL 2009 32강 | ||
| 2010년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우승 | (3:2 이영호) |
| 2010년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16강 | |
| 빅파일 MSL 2010 8강 | ||
| WCG 2010 스타크래프트 부문 한국 대표 선발전 4위 |
; 은퇴 이후
| 연도 | 대회 | 비고 |
|---|---|---|
| 2015년 | 스베누 11차 소닉 스타리그 시즌2 16강 | |
| 2016년 | VANT 36.5 대국민 스타리그 우승 | |
| 2015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16강 | |
| 2016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 24강 | |
| 2017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 16강 | |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 16강 | ||
| 지스타 WEGL 브루드 워 부문 24강 | ||
| 2018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 16강 | |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6 우승 | ||
| 2019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7 3위 |
; 스타크래프트 II
| 연도 | 대회 | 비고 |
|---|---|---|
| 2012년 |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4 Code A 48강 | |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시즌2 결승전 MVP | ||
| 2013년 | 핫식스 201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A 32강 | |
| 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스타2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8강 | ||
| 2013 WCS Korea Season 1 챌린저리그 24강 | ||
|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32강 | ||
| WCG 2013 한국대표선발전 스타크래프트 ll 부문 16강 | ||
|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챌린저리그 24강 | ||
| 2013 WCS 코리아 시즌 3 챌린저리그 12강 | ||
| 2014년 | IEM Season VIII - Singapore 8강 | |
| 2014 WCS 코리아 시즌 1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코드 A 48강 | ||
| 2014 WCS 코리아 시즌 3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코드 S 16강 |
3. 1. 스타크래프트
김정우는 2009년에 공식전 15연승을 기록했다. 이는 박태민(현 온게임넷 해설)의 15연승(2004년 10월 24일 ~ 2004년 12월 21일)과 더불어 최다 연승 타이 기록이다.;2009년 최다 연승
| 날짜 | 경기 | 결과 | 상대 | 비고 |
|---|---|---|---|---|
| 2009년 5월 16일 | 김정우 승 vs 신희승 패 | 신희승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CJ vs eSTRO | |
| 2009년 5월 19일 | 김정우 승 vs 박세정 패 | 박세정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CJ vs 위메이드 | |
| 2009년 5월 22일 | 김정우 승 vs 민찬기 패 | 민찬기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F조 1차전 1세트 | |
| 2009년 5월 22일 | 김정우 승 vs 민찬기 패 | 민찬기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F조 1차전 2세트 | |
| 2009년 5월 22일 | 김정우 승 vs 박성준 패 | 박성준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F조 2차전 1세트 | |
| 2009년 5월 22일 | 김정우 승 vs 박성준 패 | 박성준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F조 2차전 2세트 | |
| 2009년 5월 23일 | 김정우 승 vs 이신형 패 | 이신형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CJ vs STX | |
| 2009년 5월 30일 | 김정우 승 vs 신상호 패 | 신상호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CJ vs eSTRO | |
| 2009년 5월 30일 | 김정우 승 vs 신대근 패 | 신대근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CJ vs eSTRO | |
| 2009년 6월 2일 | 김정우 승 vs 전태양 패 | 전태양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CJ vs 위메이드 | |
| 2009년 6월 7일 | 김정우 승 vs 송병구 패 | 송병구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CJ vs 삼성전자 | |
| 2009년 6월 10일 | 김정우 승 vs 이제동 패 | 이제동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CJ vs 화승 | |
| 2009년 6월 11일 | 김정우 승 vs 구성훈 패 | 구성훈 | 아발론 온라인 MSL 32강 B조 2경기 | |
| 2009년 6월 11일 | 김정우 승 vs 박찬수 패 | 박찬수 | 아발론 온라인 MSL 32강 B조 승자전 | |
| 2009년 6월 15일 | 김정우 승 vs 배병우 패 | 배병우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CJ vs KT | |
| 2009년 6월 20일 | 김정우 패 vs 장민철 승 | 장민철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CJ vs MBC게임 ← 공식전 15연승 종료 |
또한 이와 비슷한 기간에 테란전 12연승을 기록하기도 했는데 이는 홍진호와 함께 테란전 최다 연승 타이 기록이다.
2010년 들어 부진을 거듭하던 김정우는 대한항공 스타리그 Season 1 16강 D조에서 1승 2패를 기록, 동률을 기록한 김창희, 이영한과 2010년 4월 18일에 3자 재경기를 펼쳤다. 오후에 시작된 재경기는 세 선수가 1승 1패씩 나눠 갖는 상황이 반복, 재재재재경기와 12게임을 치르며 자정 가까운 시간까지 가는 대혈투를 벌인 끝에, 4번째 재경기에서 김정우가 두 선수를 연파하며 8강 진출에 가까스로 성공했다. 이는 스타리그 사상 최장 재경기로 기록되었다. 12경기나 되는 재경기 중 김정우의 마우스에 이상이 생겨 판정 끝에 '재경기의 재경기'를 치르기도 했고, 막판에는 선수들의 집중력이 조금씩 떨어지며 경기 중 예기치 못한 장면이 연출되는 등 수많은 화제를 낳았으며, 당일에 프로리그와 다른 조 재경기를 포함하여 무려 20경기나 되는 경기를 중계한 전용준 캐스터, 온게임넷의 프로그램 '돌아온 뒷담화' 촬영을 위해 왔다가 재경기가 길어지는 바람에 자정까지 기다려야 했던 박용욱, 강민 해설위원 등도 팬들의 화제가 됐다. 또한 이 날 이후로 김정우의 경기력과 성적이 부쩍 향상되어 위기를 극복하며 각성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정우는 이후 김명운과 김구현을 연파하며 2010년 초의 부진을 완전히 털어내며 결승까지 진출, '지옥에서 살아돌아왔다'는 평을 듣게 되었으며, '지옥에서 돌아온 매의 눈', '불사조'라는 별명 또한 이 시점에 생겨났다.
결국 김정우는 이영호를 결승에서 3:2로 꺾고 대한항공 스타리그 Season 1에서 우승했다. 그의 고단한 시즌을 반영하듯 2:0으로 뒤지다가 세 경기를 내리 따내는 리버스 스윕을 달성했는데 이는 스타리그 기준으로 김준영, 이제동에 이은 저그의 테란전 3번째 5전제 리버스 스윕이자 다음 스타리그 2007, BATOO 스타리그 08-09에 이어 역대 스타리그 결승전 3번째의 리버스 스윕이었다. 또한 사상 처음으로 저그 대 테란과의 결승전에서 3할 승률의 테란전을 가진 저그가 승리를 거둔 이변으로 기억되었는데 참고로 김정우의 우승 당시 2010년 테란전 공식전은 5승 11패였다.
; 스타크래프트 : '''메이저 개인리그 우승 1회'''[1]
| 연도 | 대회 |
|---|---|
| 2007년 | 제2회 KeSPA컵 아마추어 입상 |
| 2008년 |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36강 |
| 2008년 |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 16강 |
| 2008년 | 2008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신인상 |
| 2009년 | 아발론 온라인 MSL 2009 8강 |
| 2009년 | 박카스 스타리그 2009 16강 |
| 2009년 |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3 3위 |
| 2009년 | 블리즈컨 2009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2:1 김명운) |
| 2009년 | EVER 스타리그 2009 16강 |
| 2009년 | NATE MSL 2009 32강 |
| 2009년 | 2009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신인상 |
| 2010년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우승 (3:2 이영호) |
| 2010년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16강 |
| 2010년 | 빅파일 MSL 2010 8강 |
| 2010년 | WCG 2010 스타크래프트 부문 한국 대표 선발전 4위 |
; 은퇴 이후
| 연도 | 대회 |
|---|---|
| 2015년 | 스베누 11차 소닉 스타리그 시즌2 16강 |
| 2016년 | VANT 36.5 대국민 스타리그 우승 |
| 2015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16강 |
| 2016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 24강 |
| 2017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 16강 |
| 2017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 16강 |
| 2017년 | 지스타 WEGL 브루드 워 부문 24강 |
| 2018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 16강 |
| 2018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6 우승 |
| 2019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7 3위 |
3. 2. 스타크래프트 II
2011년 3월 21일, 김정우는 프로게이머 복귀를 선언했다. 그러나 한국e스포츠협회 규정상 은퇴 후 최소 6개월간 공식 활동이 불가능하여 CJ 엔투스 연습생 신분으로 돌아갔다. 당초 9월 복귀 예정이었으나, 2010년 10월 6일 은퇴 공시 기준으로 1년이 지나야 복귀할 수 있다는 규약에 따라 2011년 10월 7일에 복귀하게 되었다.[1]2011년 10월 7일, 김정우는 정식 프로게이머로 복귀하여 CJ 엔투스로 돌아왔다. 복귀 후 40일 만인 11월 27일, 신대근과의 프로리그 경기에서 승리하며 공식전 470일 만에 승리하였다. 김정우는 1년 만의 복귀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CJ 저그 에이스로 활약했다. 정규 시즌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준플레이오프에서 3패를 기록하며 팀은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1]
이후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한 김정우는 자유의 날개에서 프로토스전에 약점을 보였으나, 프로리그 결승에서 허영무를 꺾고 소속팀 우승에 기여했다. 12-13 시즌 자유의 날개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군단의 심장에서는 부진을 겪었다. 개인 리그에서는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성주와 김유진에게 패배하여 탈락했고, 다음 시즌 승격/강등전에서도 탈락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2014년 9월 재은퇴를 발표했고, 2015년부터 아프리카TV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1]
4. 별명
- '''매의 눈, 매''' - 대한항공 스타리그 Season 1 결승전에서 게임을 하는 눈의 모습이 매와 같다고 하여 불리었다. 매의 기세로 이영호 선수를 상대로 역전하여 우승하였다.
- '''매시아''' - CJ ENTUS의 에이스로서 팀을 항상 구해내고 별명이 '매'인 것을 빌려 메시아가 아닌 매시아가 되었다.
- '''불사조''' - 죽지 않는 새라는 뜻이다. 김정우가 대한항공 스타리그 Season 1 16강전에서 이영한(위메이드), 김창희(영구제명)를 상대로 스타리그 최다 재경기 (재재재재경기)를 거치고 올라와 우승까지 하며 유래된 별명이다. 은퇴하기 전까지 죽지 않는 실력을 보여주었다.
- '''매타치 -''' 아프리카TV리그에서 김택용과의 대결에서 윈도우10이 마음에 안 들어 XP로 바꿔달라 하였으나, 이를 거부했는데 김택용의 요청은 허용해주었다. 이를 안 김정우는 화가 나 기권을 했는데 그때부터 탈주가 붙었다.
- '''매친놈''' - 미친 플레이, 즉 각성했다는 뜻인데 말도 안 되는 게임을 보여줄 때 '미친 놈'이라고 부르지만 어느 순간부터 '미'가 '매'가 되면서 '매친놈'이라고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