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갑 (192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종갑은 1922년 충청남도 서천군 출생으로, 일제강점기에는 연희전문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일본군 학도 지원병으로 복무했다. 광복 후에는 군사 영어 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제9사단장, 제2훈련소장, 제5사단장 등을 역임했다. 1956년 중장으로 예편 후 국방부 차관을 지냈으며,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국회 국방위원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방부 차관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 대한민국의 국방부 차관 - 서주석
서주석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안보 전문가로,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하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외교안보 정책 수립에 관여했고,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 국방부 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하며 남북 합의 도출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왜곡 활동에 참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나고야 대학 동문 - 마스카와 도시히데
마스카와 도시히데는 쿼크의 약한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로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일본의 물리학자이다. - 나고야 대학 동문 - 아카사키 이사무
아카사키 이사무는 고휘도 청색 질화갈륨(GaN) p-n 접합 발광 다이오드를 발명하고, 질화물 반도체 연구를 통해 광전자공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도영
장도영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 국방부 장관을 지냈으며, 반혁명 혐의로 기소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김종갑 (192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명 | 김종갑 |
한자 표기 | 金鍾甲 |
로마자 표기 | Gim Jong-gap |
출생 | 1922년 10월 1일 |
출생지 | 충청남도 서천 |
사망 | 1996년 11월 3일 (74세)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장군 제3묘역 57호 |
군 경력 | |
소속 | 대일본제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
최종 계급 | 소위 (일본 육군) 중장 (한국 육군)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한국 전쟁 |
2. 생애
1922년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태어나 연희전문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일제 강점기 말 학도 지원병으로 일본군에 복무했으며[1], 광복 후 귀국하여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참여했다. 1946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군번 10030번)한 이후 군에서 복무하며 한국 전쟁에 참전했고, 제18연대장[2], 육군본부 방위국장[3], 제5군단장[4] 등을 역임하며 육군 소장까지 진급했다. 군 복무 중에는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에서 유학하기도 했다. 1955년에는 육군대학 부총장[5]을 지냈다. 1956년 중장으로 예편한 뒤에는 국방부 차관을 지냈고,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6대 국회의원(보령군·서천군)에 당선되어 국회 국방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정치인으로도 활동했다. 1972년에는 선인재단 이사를 지냈다.
2. 1. 초기 생애와 학력
1922년 10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태어났다. 서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교토부 모모야마 중학교를 졸업했다. 1940년에는 연희전문학교 문과(영문과)를 졸업했다.일제 강점기 말기, 학도 지원병으로 징집될 상황에 처하자 여운형을 찾아가 조언을 구했다. 당시 여운형은 "이 전쟁은 언젠가 일본이 질 것이다. 그때야말로 독립을 쟁취할 때다. 가면 3분의 2는 전사하겠지만, 독립하면 군대가 필요하다. 가서 살아남아 건국의 초석이 되어주시오"라고 말하며 군사 훈련을 받을 것을 권유했다. 이에 김종갑은 일본 후쿠치야마 육군 예비 사관학교에 입교하여 군사 교육을 받았다. 졸업 후에는 기시와다의 독립 산포대[1]에 배속되었고, 다네가섬에서 광복을 맞이했다.
1945년 9월 귀국하였다. 이후 군인의 길을 걸으며 여러 군사 학교를 거쳤다.
학교명 | 구분 | 비고 |
---|---|---|
서천공립보통학교 | 졸업 | |
모모야마 중학교 | 졸업 | 일본 교토부 소재 |
연희전문학교 문과 | 졸업 (학사) | 1940년 졸업, 영문과 전공 |
후쿠치야마 육군예비사관학교 | 졸업 | 일본 |
군사영어학교 | 졸업 | 1946년 1월 28일 졸업 및 소위 임관 (군번 10030번)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2기 | |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 졸업 | |
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 | 졸업 | |
대한민국 육군공병학교 | 졸업 | |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 | 졸업 | 1953년 5월 ~ 1954년 6월 유학 |
2. 2. 군 경력
학도 지원병 시절, 여운형을 찾아가자 여운형은 "이 전쟁은 언젠가 일본이 질 것이다. 그때야말로 독립을 쟁취할 때다. 가면 3분의 2는 전사하겠지만, 독립하면 군대가 필요하다. 가서 살아남아 건국의 초석이 되어주시오"라고 격려했다. 이에 후쿠치야마 예비 사관학교에 입교하여 졸업 후, 기시와다의 독립 산포대[1]에 배속되었고 다네가섬에서 종전을 맞이했다.1945년 9월 귀국하여, 1946년 1월 28일 군사 영어 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다(군번 10030번). 같은 해 3월 중위로 진급했으며, 4월에는 춘천시에서 제8연대 창설에 참여하여 A중대장을 맡았다. 12월에는 연대 편성이 완료되자 부연대장(대위)이 되었다.
1947년 3월 10일 육군본부 작전교육처장(소령)으로 임명되었고, 7월 20일에는 헌병학교 헌병과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10월 30일 총사령부에 군기사령부가 설치되면서 초대 사령관에 취임했으며, 12월 1일에는 제6연대장으로 부임했다.
1949년 4월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을 거쳐, 8월 12일 제18연대장(대령)[2], 11월 13일 제7사단 참모장이 되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서울이 함락되자 시흥 전투 사령부 참모장을 맡았다. 같은 해 7월 5일 시흥 전투 사령부가 제1군단으로 개편되면서 군단 작전 참모가 되었고, 9월 16일에는 제1군단 참모장으로 임명되어 군단장을 보좌했다. 9월에 준장으로 승진했다.
1950년 12월, 제9사단장에 임명되어 후방 지역의 게릴라 토벌을 지휘했다. 1951년 3월에는 육군본부 방위국장[3]을 맡았고, 이후 제5군단장[4]을 역임했다. 1951년 11월에는 제2훈련소장으로 부임했다.
1952년 8월, 제5사단장으로 임명되어 동부 전선에서 조선인민군 제9사단과 351고지 쟁탈전을 벌였다. 1953년 1월 소장으로 승진했으며, 5월에는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으로 유학을 떠났다. 1954년 6월 귀국하여 다시 제5사단장으로 복귀했다.
1955년 8월 육군대학 부총장[5]을 지냈고, 이후 육군본부 관리국장 대리를 역임했다. 1956년 7월 중장으로 진급함과 동시에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2. 3. 정치 경력
1956년 7월, 중장으로 예편한 뒤 국방부 차관으로 임명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박정희 정부의 여당인 민주공화당 후보로 충청남도 보령군·서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민주공화당 충남 제6지구당 위원장과 국회 국방위원장을 역임했다. 1972년에는 선인재단 이사를 지냈다. 이후 1988년 신민주공화당 특임고문, 1995년 자유민주연합 특임행정위원을 맡았다.3.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 | 선거 종류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락 | 비고 |
---|---|---|---|---|---|---|---|---|
1958년 | 총선 | 4대 | 국회의원 | 충남 서천군 | 무소속 | 13,413표 (25.11%) | 낙선 | |
1960년 | 총선 | 5대 | 국회의원 | 충남 서천군 | 무소속 | 14,655표 (27.46%) | 낙선 | |
1963년 | 총선 | 6대 | 국회의원 | 충남 서천군·보령군 | 민주공화당 | 43,793표 (47.14%) | 당선 | 초선 |
참조
[1]
문서
信太山の独立山砲兵第17連隊か
[2]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3]
문서
国民防衛軍事件|国民防衛軍の育成に当たる局
[4]
문서
国民防衛軍50万人で10個の予備師団を造成したもの。
[5]
웹사이트
金鍾甲少將就任陸大副總長에(鎭海)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5-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