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가라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가라자는 힌두교와 불교 신화에 등장하는 뱀의 신 또는 용의 왕을 의미한다. 힌두교에서는 셰샤, 바수키, 타크샤카가 주요 나가라자로 숭배되며, 이들은 카샤파와 카드루의 자녀들이다. 셰샤는 비슈누의 침대 역할을 하며, 바수키는 시바의 신봉자이며, 타크샤카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한다. 나가라자를 모시는 사원은 인도 여러 지역에 존재한다. 불교에서는 나가라자가 부처와 불교를 보호하는 존재로 묘사되며, 비루파크샤, 무찰린다, 드리타라스트라, 아팔랄라 등이 대표적이다. 나가라자는 한국 불교와 민간 신앙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상징적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 - 파탈라
    파탈라는 힌두교와 불교 신화에 등장하는 지하 세계로, 힌두교에서는 스바르가보다 아름다운 곳으로, 불교에서는 나가와 아수라가 사는 지하 낙원으로 묘사된다.
  • 나가 - 용왕
    용왕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물을 다스리고 비를 내리는 존재로 숭배받는 신이며,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용왕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 용왕 - 선녀용왕
    선녀용왕은 일본 불교에 등장하는 선한 여성 용왕으로, 일본 미술에서는 작은 용이나 용의 꼬리를 가진 남녀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신센엔의 기우 전설과 관련되어 여러 사찰에서 조각상과 그림으로 숭배된다.
나가라자
기본 정보
8세기의 나가라자 조각, 알람푸르, 텔랑가나주
산스크리트어 음역Nāgarāja
소속나가
거주지파탈라
분류힌두교

2. 힌두교의 나가라자

나가라자의 동상


힌두교 경전에서는 셰샤, 타크샤카, 바수키를 나가라자라고 불리는 세 주요 존재로 가리킨다. 이들은 모두 리시 카샤파와 카드루의 자녀들이다.[3]

2. 1. 셰샤

셰샤는 초대 나가라자로, 아난타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비슈누의 신봉자이자 탈것인 그는 신의 침대 역할을 하며 모든 나가 중에서 가장 고귀한 존재로 불린다. 그는 창조신 브라흐마의 명령에 따라 지구를 지탱하는 존재로, 다르마의 개념 위에 굳건히 설 수 있는 축복을 받았다.[3]

2. 2. 바수키

바수키는 제2대 나가라자이다. 그는 항상 목에 나가를 두르는 시바의 신봉자이다.

2. 3. 타크샤카

마하바라타에서 타크샤카는 당시 판다바인 아르주나에 의해 불에 탄 칸다바 숲을 통치했다. 나중에 타크샤카는 아르주나의 손자인 파리크시트를 죽였다.[1]

타크샤카는 천 명의 형제들로 이루어진 무리에 속해 있으며, 마나사라는 이름의 자매도 있다.[1]

2. 4. 나가라자 신앙과 관련된 사원

구자라트주 탕가드구에는 나가라자 바수키 사원이 있다.

타밀나두주 칸야쿠마리구에 있는 나게르코일에는 나가라자 사원이 있다.

케랄라 알레피구에는 만나라살라라는 또 다른 유명한 사원이 있다. 이 사원의 신은 아난타와 바수키를 하나로 구현한 신이다. 케랄라주 에르나쿨람구의 카이파토르에는 나가라자 신을 모시는 사원이 있다. 이 사원은 테카나틸 나가라자 케트람으로 알려져 있다.

케랄라주 티루바난타푸람구 푸자푸라에는 나가라자 신에게 헌정된 사원이 있다. 이 사원은 푸자푸라 나가루카부 사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원의 독특한 점은 나가람마(나가 왕국의 여왕)와 나가칸야(나가 왕국의 공주)를 포함한 나가라자 왕가의 가족을 한 사원 안에 모셨다는 것이다.

티루바난타푸람에는 바자무탐에 위치한 투파나투 카부 사원도 있다. 이 고대 사원에는 나가라자 바수키, 나가 약시(뱀의 자연 정신), 나가 칸야카(뱀의 암컷)의 세 가지 뱀 신이 모셔져 있습다. 이들에게 강황 가루, 누룸 팔룸(라임과 우유), 나가루투를 바친다. 투파나투 카부에는 나가 신들과 함께 바나두르가 여신과 라자라제스와리 여신이 함께한다.

쿠케 수브라마니야는 카르나타카주의 수브라마냐 마을에 위치한 힌두교 사원이다. 이 사원에서 카르티케야는 모든 뱀의 군주인 수브라마니야로 숭배된다. 서사시에는 가루다의 위협을 받은 신성한 뱀 바수키와 다른 뱀들이 수브라마니야 아래에서 피난처를 찾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3. 불교의 나가라자

아내와 함께 있는 나가라자. 불교 아잔타 석굴.


다양한 불교 문헌에 나가라자 종족이 많이 언급되어 있다. 불교에는 비루팍카족, 에라파타족, 차비야풋타족, 칸하고타마카족 등 네 가지 주요 나가라자 왕족 종족이 있다.[4] 나가라자들은 석가모니의 설교를 듣는 많은 청중으로 등장하며, 부처를 포함한 깨달은 존재들을 보호하고 불교를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대표적인 나가라자들로는 비루파크샤, 무찰린다, 드리타라스트라, 탁샤카, 바수키, 난다, 우파난다, 사가라, 발라반, 아나바탑타, 바루나, 웃팔라 등이 있다.

3. 1. 비루파크샤 (광목천왕)

비루파크샤는 불교의 주요한 신으로, 사천왕 중 한 명이자 호법신이다. 수미산의 서쪽에 살고 있으며, 나가족의 지도자이다.[5]

광목천왕상. 일본 조루리지


석가모니를 보호하는 무찰린다의 조각상(나가 프록 태도). 태국 북동부 농카이의 조각상.

3. 2. 무찰린다

석가모니보리수 아래에서 명상을 시작한 지 4주 후에 하늘은 7일 동안 어두워졌고, 엄청난 비가 내려왔다고 한다. 그러나 강력한 농노왕 무찰린다는 땅 밑에서 내려와 두건으로 모든 보호의 근원이 되는 자를 보호했다. 나가 프록 태도라고도 알려진 무칼린다의 보호 아래 명상하는 부처의 주제는 동남아시아 불교 예술에서 매우 흔하다.[6]

3. 3. 드리타라스트라 (지국천왕)

불교 문헌에는 나가 왕 드리타라스트라가 등장한다. 그는 전생에 석가모니가 부리다타라는 이름의 보살이었을 때 그의 아버지였다. 그는 부리다타 자타카, 마하마유리 비디야라즈니수트라, 마하메가수트라와 같은 몇몇 불교 문헌에 언급되어 있다.[7]

3. 4. 아팔랄라

아팔랄라는 불교 신화에 등장하는 물에 사는 나가라자이다. 부처(팔리어: Apalāladamana)가 아팔랄라를 불교로 개종시킨 이야기는 사만타파사디카와 디비바다나와 같은 불교 문헌에서 찾을 수 있으며, 불교 전설과 예술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전설 중 하나이다.[8][9][10]

4. 한국의 나가라자 신앙

(이전 출력 결과는 빈 내용이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과 동일하게 빈 내용을 출력합니다.)

참조

[1] 웹인용 Nagaraja, Nāgarāja, Naga-raja, Nāgarājā: 16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14-08-03
[2] 저널 Nāgas http://dx.doi.org/10[...] 2020-12-09
[3] 웹인용 Story of Śeṣa https://www.wisdomli[...] 2019-01-28
[4] 웹인용 The Book of Protection: Paritta https://www.accessto[...] 2021-04-15
[5] 웹인용 Virūpakkha http://www.palikanon[...] 2019-02-17
[6] 웹인용 Muccalinda Sutta: About Muccalinda http://www.accesstoi[...]
[7] 웹인용 Bhuridatta Jātaka https://suttacentral[...] 2019-02-22
[8] 서적 Giants, Monsters, and Dragons: An Encyclopedia of Folklore, Legend, and Myth https://books.google[...] W.W. Norton & Company
[9] 서적 Encyclopædia of Religion and Ethics https://books.google[...] Charles Scribner's & Sons
[10] 서적 The Element Encyclopedia of Magical Creatures: The Ultimate A-Z of Fantastic Beings From Myth and Magic (The Element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terling
[11] 서적 Fragments of the Tocharian A Maitreyasamiti-Nataka of the Xinjiang Museum, China De Gruy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