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짐 앗딘 아이유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짐 앗딘 아이유브는 쿠르드족 족장 샤디 이븐 마르완의 아들이자 살라딘의 아버지로, 12세기 시리아와 이집트에서 활약한 인물이다. 그는 티크리트 통치자로 시작하여, 이마드 앗딘 장기를 도왔고, 누르 앗 딘과 협력하여 다마스쿠스를 점령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살라딘의 이집트 원정을 지원했으며, 1173년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그의 이름은 살라딘과 그의 후계자들이 세운 아이유브 왕조의 이름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십자군 - 에데사 백국
에데사 백국은 1098년부터 1149년까지 존속한 십자군 국가로, 보두앵 1세가 건국하였으며 메소포타미아 북부에 위치해 다른 국가들과 떨어져 잦은 공격과 내분으로 1144년 함락되어 제2차 십자군의 계기가 되었다. - 제2차 십자군 - 예루살렘 왕국
예루살렘 왕국은 1099년 십자군 전쟁 이후 예루살렘에 세워진 십자군 국가로,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가진 주민들로 구성되었으나 1187년 예루살렘을 빼앗기고 아크레 함락 후 멸망하였다. - 1173년 사망 - 의종 (고려)
인종의 맏아들인 의종은 고려 제18대 왕으로, 즉위 초 왕권 강화를 꾀했으나 잦은 유희와 문신 우대로 무신정변을 초래하여 폐위 후 살해되었으며, 그의 치세는 무신정권 시대로 이어지는 분수령이 되었다. - 1173년 사망 - 블라디미르 3세
므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인 블라디미르 3세는 도로고부시, 볼로디미르볼린스키와 볼히니아, 슬루츠크, 트리필랴 공작을 역임하고 짧은 기간 동안 키예프 대공으로 재임했으며, 헝가리, 세르비아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네 아들을 두었다. - 아이유브 왕조 - 시르쿠
시르쿠는 아르메니아 출신 쿠르드족으로, 아이유브 왕조의 시조 살라딘의 삼촌이며, 이집트 파티마 왕조의 내전에 개입하여 권력을 장악하고 와지르가 되었으나 두 달 만에 사망했다. - 아이유브 왕조 - 샤쟈르 알두르
샤자르 알두르는 13세기에 이집트와 시리아를 통치한 맘루크 왕조의 인물로, 노예 출신에서 술탄으로 즉위했으나 권력 다툼으로 인해 살해당했다.
나짐 앗딘 아이유브 | |
---|---|
기본 정보 | |
이름 | 나짐 앗딘 아이유브 이븐 샤디 이븐 마르완 |
로마자 표기 | Najm ad-Din Ayyub ibn Shadhi ibn Marwan |
쿠르드어 | نەجمەدین ئەییووبی شادی مەڕوان |
아랍어 | الملك ألأفضل نجم الدين أيوب بن شاﺬي بن مروان |
출생 | ? - 1173년 사망 |
별칭 | 알 말리크 알-아프달 |
정치 경력 | |
직위 | 티크리트의 총독, 바알베크의 총독, 다마스쿠스의 총독 |
가문 | |
배우자 | 이름 미상 |
자녀 | 살라딘 샤한샤 투란샤 시트 앗-샴 라비아 카툰 |
아버지 | 샤디 이븐 마르완 |
형제자매 | 시르쿠 |
기타 정보 | |
종교 | 이슬람교 |
2. 생애와 경력
아이유브는 쿠르드족 족장 샤디 이븐 마르완의 아들이자, 누르 앗 딘의 심복 시르쿠의 형이었다. 아이유브 가문은 아르메니아의 쿠르드 왕조인 샤다디드 왕조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4][5] 1130년 드빈에서 샤다디드 왕조가 폐위되자, 샤디 이븐 마르완은 가족을 이끌고 바그다드를 거쳐 티그리트로 이주했다. 샤디 이븐 마르완은 티그리트 지방의 통치자로 임명되었고, 아이유브는 아버지의 지위를 이어받았다.
1132년 아이유브는 이마드 앗 딘 장기가 티그리스 강을 건너 퇴각하도록 도와 그의 목숨을 구했다. 당시 장기는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무스타르시드 빌라와 대립 중이었다. 1136년/1138년, 시르쿠가 티그리트에서 어떤 여인의 명예를 위해 한 남자를 죽이는 사건이 발생하여, 아이유브 가문은 티그리트에서 추방당했다. 이 날 밤에 아이유브의 아들 유수프(훗날의 살라딘)가 태어났다. 장기는 아이유브를 바알베크의 통치자로 임명했다. 1146년 다마스쿠스의 아타베그(부리 왕조)인 무인 앗 딘 우나르가 바알베크를 포위하자, 아이유브는 도시를 넘겨주고 다마스쿠스로 이주했다.
1154년, 아이유브는 누르 앗 딘이 다마스쿠스를 무혈 점령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다마스쿠스 내부의 공모 조직을 엮어 도시 민병대로부터 호의적인 중립을 얻어냈고, 누르 앗 딘은 군사적 충돌 없이 다마스쿠스를 장악할 수 있었다. 아이유브는 누르 앗 딘의 통치 하에 다마스쿠스의 지사로 남았으며, 누르 앗 딘의 관리 중 유일하게 그의 앞에서 앉아 있을 수 있는 특권을 누릴 정도로 존경받았다.
아이유브의 아들 살라딘 역시 누르 앗 딘을 섬겼으며, 십자군-비잔티움 제국의 공동 침략 기간 동안 누르 앗 딘의 이름으로 이집트를 통제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1170년 아이유브는 이집트로 건너가 살라딘을 지원했다.
2. 1. 초기 생애
아이유브는 쿠르드족 족장인 샤디 이븐 마르완의 아들이자 시르쿠의 형제로, 아르메니아 지역의 드빈(Dvin) 근교 아주다나칸(Ajdanakan) 마을에서 태어났다.[13] 그의 가문은 쿠르드계 샤다디드 왕조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13] 1130년 샤다디드 왕조가 멸망하면서, 그의 가족은 바그다드를 거쳐 티크리트로 이주했다.[13] 아이유브의 아버지 샤디는 티그리트의 통치자로 임명되었고, 아이유브는 아버지 사후 그 지위를 계승했다.1132년, 아이유브는 이마드 앗딘 장기가 티그리스 강을 건너 퇴각하도록 도와 그의 목숨을 구했다.[14] 1137년/1138년, 동생 시르쿠가 티크리트에서 기독교인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아이유브 가문은 티크리트에서 추방당했다.[16] 이들이 떠난 밤에 아이유브의 아들 유수프(훗날의 살라딘)가 태어났다.[16] 이후 아이유브는 장기에 의해 바알베크의 통치자로 임명되었으나,[17] 1146년 무인 앗 딘 우나르에게 도시를 넘겨주고 다마스쿠스로 이주했다.[18]
2. 2. 누르 앗 딘과의 관계
아이유브는 누르 앗 딘의 부하인 시르쿠의 형이다. 1148년 제2차 십자군의 다마스쿠스 포위 당시, 누르 앗 딘은 무인 앗 딘과 일시적인 동맹을 맺었다. 아이유브는 누르 앗 딘과 협력하여 1154년 다마스쿠스를 무혈 점령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9] 누르 앗 딘은 아이유브의 공로를 높이 평가하여 그를 다마스쿠스의 총독으로 임명하고, 자신의 앞에서 앉을 수 있는 특권을 부여했다.[20]2. 3. 살라딘의 이집트 원정과 지원
살라딘은 누르 앗 딘을 섬겼으며, 십자군과 비잔티움 제국의 공동 침략을 받은 이집트의 파티마 왕조로 파견되었다.[21] 1170년 2월, 아이유브는 카이로로 건너가 살라딘의 이집트 통치를 지원했다.[21] 살라딘은 아이유브에게 재상직을 제안했으나, 아이유브는 이를 거절하고 알렉산드리아, 다미에타, 알-부하이라를 영지로 받았다. 살라딘의 다른 친척들도 많이 이집트에 합류했다.아이유브는 살라딘과 누르 앗 딘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자 중재자 역할을 했다.[22] 누르 앗 딘은 살라딘과 그의 가족을 신뢰하지 않았고, 그들이 자신에게 대항하여 권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의심했다. 아이유브는 공개적으로는 누르 앗 딘을 지지했지만, 사적으로는 아들 살라딘에게 누르 앗 딘이 결코 이집트를 빼앗도록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2. 4. 죽음
1173년 7월 31일, 나짐 앗 딘은 낙마 사고로 부상을 입고 혼수 상태에 빠졌고, 8월 9일에 사망했다.[23] 그의 죽음은 살라딘과 누르 앗딘 사이의 관계를 악화시켰다.[18] 예상과는 달리 누르 앗딘과 살라딘 사이의 대립은, 누르 앗딘이 이듬해인 1174년 5월 15일에 사망하면서 일어나지 않았다.[18] 결과적으로 살라딘은 시리아를 차지하게 되었다.[18]바하 앗딘 이븐 샤다드는 아이유브를 "고귀하고 관대하며 온화하고 훌륭한 인품"을 가진 사람이었고, "폴로를 열정적으로 좋아했다"라고 평가했다.[18] 이븐 알-칼라니시는 그를 "결단력, 지능, 그리고 일에 대한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고 평가하며, 발베크를 현명하게 넘겨주었다고 평했다.[18]
그의 이름 아이유브(욥)는 아이유브 왕조의 어원이 되었다.[18]
3. 평가
바하 앗 딘은 아이유브를 "고귀하고, 자비로우며, 온화한 사람"으로 묘사했으며, 그가 폴로를 열렬히 좋아했다고 기록했다.[4] 이븐 알칼라니시는 아이유브를 "결단력이 강하고, 지성과 정사에 관한 지식이 풍부한 인물"로 평가하며, 그가 발베크를 현명하게 넘겨준 것을 높이 평가했다.[5]
현대 역사학자들은 아이유브가 격동의 시기에 뛰어난 군사적, 정치적 능력을 발휘하여 가문을 이끌었으며, 살라딘이 아이유브 왕조를 건설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한다. 그의 이름 아이유브(욥)는 아이유브 왕조의 어원이 되었다.
4. 가계
나짐 앗딘 아이유브는 쿠르드 라와디야 부족 출신으로, 샤디 이븐 마르완의 아들이자 시르쿠의 형제였다.[4][5] 이 가문은 샤다디드 왕조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1130년 드빈에서 샤다디드가 몰락한 후, 샤디는 가족을 바그다드와 티크리트로 이주시켰고, 티크리트의 지사가 되었다. 아이유브는 아버지 샤디의 뒤를 이어 티크리트의 지사가 되었다.
1132년 아이유브는 이마드 앗딘 장기 휘하에서 셀주크 술탄과의 전투에 참여하여 장기의 목숨을 구했다. 1136년 시르쿠가 티크리트에서 기독교인을 살해하여 형제는 추방되었는데, 이때 아이유브의 아들 유수프(살라딘)가 태어났다. 이후 아이유브는 바알베크의 지사가 되었고, 1146년 다마스쿠스의 부리 에미르에게 도시를 항복하고 다마스쿠스로 물러났다. 제2차 십자군 이후, 아이유브와 시르쿠는 누르 알딘 장기와 협상하여 다마스쿠스를 넘겨주었고, 아이유브는 다마스쿠스의 지사가 되었다.
아이유브의 아들 살라딘은 이집트에서 파티마 칼리프를 폐위시키고 권력을 강화했다. 아이유브는 살라딘을 지원했지만, 누르 알딘에게는 충성을 유지했다. 아이유브에게는 여러 아들이 있었고, 딸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4. 1. 자녀
아이유브는 여러 명의 아들을 가졌다고 하며, 딸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누르 앗 딘 샤한 샤 (1148년 사망)
- 살라흐 앗 딘 유수프 (1137 ~ 1193)
- 알말릭 알아딜 사이프 앗 딘 아부 바크르 아흐마드 (1145 ~ 1218)
- 알말릭 알무아잠 샹즈 앗 다우라 투란샤 (1181년 사망)
- 타즈 알물룩 아부 사이드 부리 (1184년 사망)
- 알말릭 알아지즈 사이프 알이슬람 투그테긴 (1197년 사망)
5. 이름과 칭호
그의 이름 아이유브(욥)는 살라딘이 세운 아이유브 왕조의 어원이 되었다. 나짐 앗 딘은 "믿음의 별"을 의미하는 존칭이다.[4][5] 아이유브는 쿠르드인 하드하바니(Hadhabani)족의 지파인 레벤드(Revend, 혹은 Rawadiya)족 출신이며,[10][11][12] 후대의 역사가들은 전승에 따라 레벤드족을 쿠르드 명문가로 꼽고 있다.[13] 758년경 레벤드족은 아르빌에서 드빈으로 이주했다. 러시아의 동양학자인 블라디미르 미노르스키는 레벤드의 어원에 대해, 아랍어 "Rawadiya"가 와전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하며, 아이유브 일가가 아랍 문화의 영향을 받은 쿠르드인이라고 추측했다. 또한 미노르스키는 "Rawadiya"가 부족 지도자의 이름에서 유래한 단어라고 언급하며, 레벤드족 지도자가 아랍인을 조상으로 둘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11] 살라딘의 전체 이름은 "알-말리크 알-나시르 살라 알-딘 아부' 알-무자파르 유수프 이븐 아이유브 알-티크리티 알-쿠르디"인데, "알-쿠르디"는 그의 쿠르드 민족 기원을 나타낸다.
참조
[1]
서적
The Crusader States and their Neighbours: A Military History, 1099-1187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4-24
[2]
서적
Saladin: The Politics of the Holy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Islam at War: A History
Praeger
[4]
문서
Sherefname
[5]
웹사이트
Prehistory of Saladin
http://rbedrosian.co[...]
[6]
서적
The Life and Legend of the Sultan Saladin
Random House
[7]
문서
The Prehistory of Saladin, Studies in Caucasi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Women as Patrons of Religious Architecture in Ayyubid Damascus
Brill
[9]
서적
Saladin: The Politics of the Holy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문서
Sherefname
[11]
웹사이트
Prehistory of Saladin
http://rbedrosian.co[...]
[12]
문서
The Sharafnam̂a, or, The history of the Kurdish nation
[13]
서적
イスラームの「英雄」サラディン
[14]
서적
イスラームの「英雄」サラディン
[15]
서적
イスラームの「英雄」サラディン
[16]
서적
イスラームの「英雄」サラディン
[17]
서적
イスラームの「英雄」サラディン
[18]
서적
イスラームの「英雄」サラディン
[19]
서적
イスラームの「英雄」サラディン
[20]
서적
イスラームの「英雄」サラディン
[21]
서적
イスラームの「英雄」サラディン
[22]
서적
イスラームの「英雄」サラディン
[23]
서적
イスラームの「英雄」サラディ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