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인학은 노화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이슬람 황금기 시대부터 노인 간호에 대한 지침이 있었으며, 산업 혁명 이후 사회적 돌봄 시스템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노년학이 발전했다. 1903년 일리 메치니코프가 "노년학"이라는 용어를 만들었고, 1940년대에는 제임스 버런 등이 노년학을 독립적인 분야로 정립했다. 21세기 초에는 노화 관련 질병을 연구하는 노화과학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노년학은 생물노년학, 사회노년학, 환경노년학, 법률적 노년학 등 여러 하위 분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인구 증가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인학 - 노화
노화는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전 과정으로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포함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분자 및 세포 수준의 특징을 보이는 복잡한 과정이다. - 노인학 - 사회적 고립
사회적 고립은 타인과의 의미있는 관계 부족으로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고령화, 경제적 불평등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여 뇌 구조와 기능 변화를 일으키므로 사회적 지원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 생물학의 분과 - 화학생물학
화학생물학은 화학과 생물학의 원리를 융합하여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유기화학과 생물학의 만남을 통해 발전해왔으며, 글리코생물학, 조합 화학, 펩타이드 합성 등의 연구 분야를 포함한다. - 생물학의 분과 - 형태학 (생물학)
형태학은 생물의 형태와 구조를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에서 비롯되어 괴테와 부르다흐 등에 의해 발전했으며, 비교 형태학, 기능 형태학, 실험 형태학 등으로 나뉘어 분류학 및 진화론 연구에 기여한다. - 1900년대 신조어 - 티라노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몸길이 15m에 달하는 거대한 육식 공룡으로, 강력한 턱힘과 짧은 앞다리, 긴 꼬리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으며, '수'와 '스카티' 등의 표본과 대중문화 속 인기 덕분에 그 생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 1900년대 신조어 - 신고전파 경제학
신고전파 경제학은 완전 경쟁, 효용 극대화 등의 가정을 기반으로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분석하여 가격 결정 원리를 설명하며, 자유방임주의적 성향을 띠지만 시장 실패와 거시 경제 안정화 정책을 위해 정부의 역할을 중시하는 주류 경제학이다.
노인학 | |
---|---|
개요 | |
정의 | 노화의 사회적, 심리적 및 생물학적 측면에 대한 연구 |
어원 | (geron, "노인") (-logia, "연구") |
영어 표기 | gerontology |
한국어 표기 | 노인학 |
문화어 표기 | 로인학 |
역사 | |
초기 연구자 | 엘리 메치니코프 |
연구 분야 | 노화/노쇠 연구 노화 방지, 회춘, 수명 연장 연구 |
연구의 진전 | 현대 치료법의 기원 |
주요 연구 분야 | |
사회 노년학 | 노화의 사회적 측면 연구 |
심리 노년학 | 노화의 심리적 측면 연구 |
생물 노년학 | 노화의 생물학적 측면 연구 |
다학제적 접근 | 사회학, 심리학, 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관점 통합 |
추가 정보 | |
관련 저널 | 노년학 저널 |
관련 학문 | 사회학 |
2. 역사
이슬람 황금기의 여러 의사들은 노년학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저술했다.[6][7][8][9][10][11] 14세기 이후 매 세기마다 노인 인구와 평균 수명이 증가했지만, 사회는 노년층 친척을 돌보는 것을 가족 문제로 여겼다. 산업혁명 이후 사회적 돌봄 시스템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미셸 외젠 슈브뢰 같은 초기 개척자들은 노화 자체가 연구되어야 할 과학이라고 믿었다. 일리 메치니코프는 1903년에 "노년학"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2]
제임스 버런 등 현대 개척자들은 1940년대에 노년학을 독립적인 분야로 정립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국립노화연구소[13] 설립에 참여하고,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노년학 프로그램을 운영했으며, 미국노년학회(1945년 설립)의 전 회장을 역임했다.[14]
2050년까지 60세 이상 인구가 세계 인구의 약 22%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1세기 초에는 노화 관련 질병 부담 평가 및 치료 방법을 의미하는 ''노화과학(geroscience)''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15][16][17]
1950년대부터 일본에서는 노년학 관련 연구회 및 학회가 활발하게 설립되었다.
연도 | 사건 |
---|---|
1953년 | 노인병 연구소, 노인병 연구회, 일본 수명과학협회 설립 |
1954년 | 수명학 연구회 설립(일본 제론톨로지 학회 주최) |
1956년 ~ 1958년 | 일본 제론톨로지 학회 개최(도쿄, 오사카, 나고야) |
1958년 | 일본 제론톨로지 학회가 일본 노년학회로 명칭 변경 |
1959년 | 일본노년의학회, 일본노년사회과학회 설립 |
1972년 | 도쿄도건강장수의료센터 연구소의 전신인 도쿄도 노인종합연구소 개소 |
1981년 | 일본기초노화학회 설립 |
1986년 | 일본노년정신의학회 설립 |
1990년 | 일본노년치과의학회 설립 |
1993년 | 다이아고령사회연구재단 설립 |
1995년 | 일본노년간호학회 설립, 국립장수의료연구센터의 전신인 국립요양소 중부병원 장수의료연구센터 개소 |
2001년 | 일본케어매니지먼트학회 설립 |
2002년 | 오우린린대학 대학원 국제학연구과 노년학 전공 설치 |
2006년 | 도쿄대학 총괄프로젝트기구 제론톨로지 기부연구부문 설립(2009년 고령사회종합연구기구로 개편), 일본응용노년학회 설립 |
2. 1. 고대 및 중세
이슬람 황금기의 여러 의사들은 노년학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저술했다. 아비케나의 『의학의 정전』(1025년)은 식사와 변비를 포함한 문제에 대한 치료법을 포함하여 노인의 간호에 대한 지침을 제공했다.[6] 아랍 의사 이븐 알자자르 알카이라와니(알기자르, 약 898~980년)는 노인의 통증과 질환에 대해 저술했다.[7] 그의 학술 연구는 수면 장애, 기억 상실, 기억력 강화 방법,[8][9] 그리고 사망 원인을 다룬다.[10] 이삭 이븐 훈야인(910년 사망) 또한 기억 상실 치료에 대한 저술을 남겼다.[11]2. 2. 현대 (한국)
제공된 자료에는 한국의 노인학(제론톨로지) 관련 연구나 학회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 따라서 일본의 노년학 발전 과정을 참고하여 현대 한국의 노인학 관련 내용을 직접적으로 추론하기는 어렵다.3. 노화의 인구 통계
노년기는 사회적 활동이 왕성했던 성인 시절에 비해 상실감이 상대적으로 부각되는 시기이다. 하지만, 청소년기와 전성기를 거쳐 노년기를 겪고 죽음을 바라보는 삶은 삶에 감사할 수 있는 자기평가를 겸허히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다음은 노화와 관련된 주요 연혁이다.
연도 | 사건 |
---|---|
1953년 2월 | 노인병 연구소, 노인병 연구회 설립 |
1953년 4월 | 일본 수명과학협회 발족 |
1954년 7월 | 수명학 연구회 설립(일본 제론톨로지 학회 주최) |
1956년 12월 | 제1회 일본 제론톨로지 학회 개최(도쿄) |
1957년 11월 | 제2회 일본 제론톨로지 학회 개최(오사카) |
1958년 11월 | 제3회 일본 제론톨로지 학회 개최(나고야). 총회에서 일본 제론톨로지 학회는 일본 노년학회로 명칭 변경 |
1959년 11월 | 일본노년의학회 설립 |
1959년 11월 | 일본노년사회과학회 설립 |
1972년 4월 | 도쿄도 노인종합연구소(현: 도쿄도건강장수의료센터 연구소) 개소 |
1981년 5월 | 일본기초노화학회 설립 |
1986년 6월 | 일본노년정신의학회 설립 |
1990년 9월 | 일본노년치과의학회 설립 |
1993년 6월 | 다이아고령사회연구재단 설립 |
1995년 1월 | 일본노년간호학회 설립 |
1995년 7월 | 국립요양소 중부병원 장수의료연구센터(현: 국립장수의료연구센터) 개소 |
2001년 7월 | 일본케어매니지먼트학회 설립 |
2002년 4월 | 오우린린대학 대학원 국제학연구과 노년학 전공 설치 |
2006년 4월 | 도쿄대학 총괄프로젝트기구 제론톨로지 기부연구부문 설립(2009년 고령사회종합연구기구로 개편) |
2006년 10월 | 일본응용노년학회 설립 |
3. 1. 세계적 추세
전 세계적으로 향후 수십 년 동안 급격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1900년에는 미국에 65세 이상 인구가 310만 명이었지만, 20세기 내내 인구가 증가하여 1990년에는 3,120만 명, 2000년에는 3,500만 명, 2010년에는 4,030만 명에 달했다. 특히 미국과 전 세계적으로 베이비붐 세대(Baby boomers)가 2011년부터 65세가 되기 시작했다.[18] 최근 미국에서는 65세 이상 인구 증가율이 전체 인구 증가율보다 높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전체 인구는 2억 8,140만 명에서 3억 870만 명으로 9.7%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65세 이상 인구는 15.1% 증가했다.[18] 2025년까지 미국과 캐나다 인구의 25%가 65세 이상이 될 것이라는 추정이 있다. 더욱이 2050년에는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60세 이상 인구가 0~14세 아동 인구보다 많아질 것으로 예측된다.[19] 85세 이상(최고령층) 인구는 2050년까지 530만 명에서 2,1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0] 1990년, 2000년, 2010년 모두 85~89세 인구가 최고령층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최고령층 중 가장 큰 비율 증가는 90~94세 연령대에서 나타났는데, 1990년 25.0%에서 2010년 26.4%로 증가했다.[18]고령 인구의 급증으로 인해 고령자 전문 사회복지 교육 및 훈련과 고령자와의 업무에 관심 있는 실무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21][22]
3. 2. 한국의 고령화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경우 1900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310만 명이었지만, 20세기 동안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에는 4,030만 명에 달했다. 특히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전체 인구는 9.7%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65세 이상 인구는 15.1% 증가했다.[18] 2025년까지 미국과 캐나다 인구의 25%가 65세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2050년에는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60세 이상 인구가 0~14세 아동 인구보다 많아질 것으로 예측된다.[19]이는 노년기의 심리 및 정서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 노년기에는 사회적 활동이 왕성했던 성인 시절에 비해 상실감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청소년기부터 노년기까지의 삶의 경험은 삶에 감사할 수 있는 자기평가를 받아들이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3. 3. 연령에 따른 성별 차이
미국 고령 인구에서 남성과 여성의 수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2000년과 2010년 모두 6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인구에서 남성과 여성의 비율을 나타내는 척도인 성비는 남성 수를 여성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성비는 100명의 여성당 남성의 수를 나타낸다. 2010년 65세 인구의 성비는 100명의 여성당 90.5명의 남성이었다. 그러나 이는 1990년 100명의 여성당 82.7명의 남성이었던 것에 비해 증가한 것이며, 2000년 성비가 88.1이었던 것에 비해서도 증가한 것이다. 남성과 여성 간의 성별 격차는 좁혀졌지만, 여성은 여전히 남성에 비해 고령에서 기대 수명이 더 길고 사망률이 더 낮다. 예를 들어,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미국에서 89세 인구 중 여성이 남성보다 약 두 배 많았다(각각 361,309명 대 176,689명).[18]4. 하위 분야
20세기와 21세기를 거치면서 노년학 분야는 노화 과정의 점점 더 좁은 측면에 초점을 맞춘 여러 특정 학문 분야로 세분화되었다.[23] 주요 하위 분야로는 생물노년학, 사회노년학, 환경노년학, 법률적 노년학 등이 있다.
생물노년학은 생물학적 노화 과정, 그 진화적 기원 등에 관심을 갖는 특수 분야이다. 사회노년학은 노년기의 성인을 연구하는 다학문적 분야이며, 환경 노년학은 고령자와 물리적, 사회적 환경 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법률적 노년학은 법률 및 법적 구조가 노화 경험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다룬다.
4. 1. 생물노년학 (Biogerontology)
'''생물노년학(Biogerontology)'''은 생물학적 노화 과정, 그 진화적 기원, 그리고 그 과정에 개입할 수 있는 잠재적 수단에 관심을 갖는 노년학의 특수한 하위 분야이다. 생물노년학의 목표는 노화 과정에 개입하여 노화 관련 질병을 예방하거나 노화 자체를 없애는 것이다. 노화가 질병의 기준에 부합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따라서 노화는 질병이고 질병으로 치료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4][25][26]오브리 드 그레이는 2008년 적절한 자금 지원과 전문가의 참여가 있다면 25~30년 안에 인간이 나이에 관계없이 노년으로 인한 사망으로부터 사람들을 구할 수 있는 기술을 갖게 될 가능성이 50%라고 말했다.[27] 그의 아이디어는 현대 기술을 이용하여 수리할 수 있는 모든 (세포 내부)과 (세포들 사이)을 복구하여 기술 발전이 더 심각한 손상을 치료할 수 있을 때까지 사람들이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개념은 "장수 탈출 속도"라는 이름을 얻었다.
36건의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인간의 나이와 DNA 손상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28] 이는 DNA 손상 노화 이론과 일치하는 발견이다.

4. 2. 사회노년학 (Social gerontology)
사회노년학은 노년기의 성인을 연구하거나 그들과 함께 일하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다학문적인 하위 분야이다. 사회노년학자는 사회복지, 간호학, 심리학, 사회학, 인구학, 공중보건 또는 기타 사회과학 분야에서 학위나 교육을 받았을 수 있다. 사회노년학자는 노년층의 광범위한 문제에 대해 교육하고,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책임을 맡고 있다.[29]수명과 수명 연장 문제는 이를 정량화하기 위한 숫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인구학과 중첩된다. 인간 수명의 인구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노화의 사회 인구 통계를 연구하는 사람들과 다르다.
연도 | 내용 |
---|---|
1953년 2월 | 노인병 연구소, 노인병 연구회 설립. |
1953년 4월 | 일본 수명과학협회 발족. |
1954년 7월 | 수명학 연구회 설립(일본 제론톨로지 학회 주최). |
1956년 12월 | 제1회 일본 제론톨로지 학회 개최(도쿄). |
1957년 11월 | 제2회 일본 제론톨로지 학회 개최(오사카). |
1958년 11월 | 제3회 일본 제론톨로지 학회 개최(나고야). 총회에서 일본 제론톨로지 학회는 일본 노년학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59년 11월 | 일본노년의학회 설립. |
1959년 11월 | 일본노년사회과학회 설립. |
1972년 4월 | 도쿄도 노인종합연구소(현: 도쿄도건강장수의료센터 연구소) 개소. |
1981년 5월 | 일본기초노화학회 설립. |
1986년 6월 | 일본노년정신의학회 설립. |
1990년 9월 | 일본노년치과의학회 설립. |
1993년 6월 | 다이아고령사회연구재단 설립. |
1995년 1월 | 일본노년간호학회 설립. |
1995년 7월 | 국립요양소 중부병원 장수의료연구센터(현: 국립장수의료연구센터) 개소. |
2001년 7월 | 일본케어매니지먼트학회 설립. |
2002년 4월 | 오우린린대학 대학원 국제학연구과 노년학 전공 설치. |
2006년 4월 | 도쿄대학 총괄프로젝트기구 제론톨로지 기부연구부문 설립(2009년 고령사회종합연구기구로 개편). |
2006년 10월 | 일본응용노년학회 설립. |
4. 2. 1. 노화의 사회적 이론
노년기에 접어든 성인의 사회적 노화 과정과 남녀가 노화 과정을 해석하는 방식을 관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노년학 이론이 개발되었다.[30]4. 3. 환경노년학 (Environmental gerontology)
환경 노년학은 노년학의 한 분야로, 고령자와 그들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 간의 관계를 최적화하기 위한 이해와 개입을 추구한다.[35][36][37]이 분야는 행동 및 사회 노년학에 대한 최초의 연구가 진행된 1930년대에 등장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고령화 인구를 이해하고 노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물리적 및 사회적 환경의 중요성이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38] 환경 노년학 연구에 따르면, 노인들은 자신의 익숙한 환경에서 노년을 보내는 것을 선호하며, 공간적 경험과 장소 애착은 이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39]
일부 연구는 물리적·사회적 환경이 수명과 삶의 질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자연환경(예: 자연 치유적 경관, 치유 정원)은 그곳에서 활기차고 건강한 노년 생활에 기여한다.[40][41]
4. 4. 법률적 노년학 (Jurisprudential gerontology)
법률적 노년학(때로는 "노년층 법률학"이라고도 함)은 노인학의 한 분야로, 법률 및 법적 구조가 노화 경험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한다. 이 분야는 노인법 분야의 법학자들로부터 시작되었는데, 광범위한 학제 간 관점 없이 노년층의 법적 문제를 살펴보면 이상적인 법적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치료적 법률학과 같은 이론을 사용하여, 법률적 학자들은 기존의 법적 제도(예: 성년 후견인, 임종 간호, 요양원 규정)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법이 실제 운영의 사회적, 심리적 측면을 더 자세히 살펴봐야 함을 보여주었다.[42] 법률적 노년학 내의 다른 흐름들 또한 의사와 변호사가 협력을 개선하고 법률 및 규제 기관이 노년층의 건강과 웰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잘 이해하도록 장려했다.[43]5. 한국 사회와 노년학
청소년기에는 성인에 비해 부족한 미성년자라는 스트레스가, 노년기에는 사회 활동이 왕성했던 성인 시절에 비해 상실감이 부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균형적이고 다각적으로 지지받을 수 있는 자신의 역량과 자산을 광범위하게 고려해야 하며, 안정된 정서가 우선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자산이 취약하여 온전한 자기 평가가 어려운 딜레마를 겪기 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기와 전성기, 그리고 노년기를 거쳐 죽음을 바라보는 삶은 삶이 주어지는 것이며 소유될 수 없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하는 주요 단서가 되기에, 이러한 전제에서 삶에 감사하는 자기 평가를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Gerontology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2]
서적
The Nature of Man: Studies in Optimistic Philosophy
https://www.worldcat[...]
G.P. Putnam's Sons
[3]
간행물
eLS
2012-06-15
[4]
학술지
The Unexpected Outcomes of Anti-Aging, Rejuvenation, and Life Extension Studies: An Origin of Modern Therapies
https://www.research[...]
2014-06-17
[5]
서적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Pearson Education
[6]
학술지
Avicenna and His Regimen of Old Age
[7]
학술지
Ibn Al Jazzar and the Kairouan médical school of the tenth century AD
http://www.bium.univ[...]
[8]
웹사이트
Ibn al-Jazzār, Abū Ja'far Ahmad ibn Ibrāhīm ibn Abī Khālid (d. 979/369)
https://www.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3-09-24
[9]
서적
Ibn al-Jazzar, Risala fi l-isyan (Treatise on forgetfulness)
London
[10]
웹아카이브
Al Jazzar
https://web.archive.[...]
2008-07-06
[11]
웹사이트
Specialized literature
https://www.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3-09-24
[12]
서적
The nature of man. Studies in optimistic philosophy
https://archive.org/[...]
Heinemann
[13]
웹사이트
About the National Institute on Aging
https://www.nia.nih.[...]
National Institute on Aging,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8-03-05
[14]
뉴스
In memoriam: James E. Birren, 97
https://news.usc.edu[...]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 News
2016-01-15
[15]
학술지
Advances in Geroscience: Impact on Healthspan and Chronic Disease
2014-05-08
[16]
학술지
Physiological geroscience: Targeting function to increase healthspan and achieve optimal longevity
[17]
학술지
Reverse geroscience: How does exposure to early diseases accelerate the age-related decline in health?
[18]
웹사이트
The Older Population: 2010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19]
서적
Physiology of Exercise and Healthy Aging
https://books.google[...]
Human Kinetics
[20]
웹아카이브
2008 Older Americans: Key indicators of Well-Being
http://www.agingstat[...]
2013-01-04
[21]
웹아카이브
Institute for Geriatric Social Work
http://www.bu.edu/ig[...]
Boston University
[22]
웹아카이브
Geriatric Social Work Initiative
http://www.gswi.org/
2010-05-20
[23]
서적
The Gerontological Prism: Developing Interdisciplinary Bridges: Developing Interdisciplinary Bridges
http://worldcat.org/[...]
Routledge
2018-10-26
[24]
학술지
Recognizing Degenerative Aging as a Treatable Medical Condition: Methodology and Policy
http://www.agingandd[...]
2017-10-01
[25]
학술지
Opening the door to treating ageing as a disease
https://www.thelance[...]
2018-08-01
[26]
학술지
Aging Fits the Disease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https://www.scienced[...]
2020-07-01
[27]
서적
Ending Aging
St. Martin's Griffin
2008-10-14
[28]
학술지
Aging and DNA damage in humans: a meta‐analysis study
2014-06-01
[29]
학술지
Social Gerontology as Public Sociology in Action
https://www.jstor.or[...]
Springer Publishing
[30]
서적
Aging in Society
https://books.google[...]
SAGE
[31]
웹사이트
Theories of Aging (Part 3) - Sociological Theories
http://allnurses-bre[...]
2009-08-02
[32]
서적
The Life Course Perspective Applied to Families over Time
http://link.springer[...]
Springer US
1993
[33]
서적
Successful aging
https://archive.org/[...]
Pantheon
[34]
학술지
Cumulative advantage/disadvantage and the life course: cross-fertilizing age and social science theory
2003-11-01
[35]
서적
Environmental Gerontology in Europe and Latin America. Policies and perspectives on environment and ag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6]
서적
Environmental Gerontology: Making Meaningful Places in Old Ag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7]
서적
Environmental Gerontology. What Now?
Routledge
[38]
서적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Focus on Aging context: Socio-Physical Environments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9]
서적
Aging and Place: Perspectives, Policy, Practice
Routledge
[40]
학술지
Physical-social environments and aging population from environmental gerontology and geography. Socio-spatial implications in Latin America
[41]
학술지
Natural landscape and healthy aging in place: The case of the Cumbres of Monterrey National Park in Mexico
[42]
학술지
Therapeutic Jurisprudence and End-of-Life Medical Care: Physician Perceptions of a Statute's Impact Medical Law 15 Medicine and Law 1996
http://heinonline.or[...]
1996-00-00
[43]
학술지
Time for Geriatric Jurisprudence
2012-00-00
[44]
서적
노인복지론
공동체
2013-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