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중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중국은 대한민국의 역사학자로,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는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백제사 전공으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한국고대사학회 창립 발기인으로 활동했다. 저서 『역주 삼국사기』는 고대사 연구의 기본 사료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서적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2013년에는 동아일보와 한국연구재단이 선정한 역사학 분야 영향력 있는 연구자 1위로 선정되었다. 또한 국사편찬위원회 위원과 한일 역사 공동 연구 한국 측 위원을 역임하며 활발한 학술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명대학교 교수 - 강대식
강대식은 대구 동구의회 의원과 동구청장을 거쳐 제21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국민의힘 대구광역시당 위원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계명대학교 교수 - 신성일
강신성일은 1960년 데뷔 후 청춘 멜로 영화로 큰 인기를 얻고 엄앵란과의 결혼과 별거, 국회의원 역임, 뇌물 수수 혐의, 그리고 폐암으로 사망하기까지 한국 영화계와 정치계에 족적을 남긴 배우이자 정치인이다. - 울진군 출신 - 주호영
주호영은 대한민국의 6선 국회의원이자 제22대 국회 전반기 부의장으로, 판사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야를 거치며 주요 당직을 수행했으나, 세금 탈루, 가족 편법 증여, 세월호 관련 발언 등 여러 논란이 있다. - 울진군 출신 - 안교덕
안교덕은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 후 대령으로 예편, 윤필용 사건에 연루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고, 기업인으로서 여러 공기업 사장을 거쳐 제11대 국회의원과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 기업인이다. - 계명대학교 동문 - 강은희
강은희는 칠곡 동명중학교 교사, 위니텍 대표이사 사장, 국회의원, 여성가족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현재 대구광역시교육청 교육감으로 재직 중인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이다. - 계명대학교 동문 - 권정호 (화가)
권정호는 한국 전쟁의 격동기를 겪으며 성장하여 계명대학교와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대구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고, 한국 사회의 현실과 개인의 내면을 탐구하는 독창적인 양식을 구축한 한국의 화가이자 미술 교육자, 미술 행정가이다.
노중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노중국 |
한글 | 노중국 |
한자 | 盧重國 |
로마자 표기 | No Jung-guk |
출생일 | 1949년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 |
국적 | 대한민국 |
활동 기간 | 1986년 ~ |
분야 | 역사학 |
직업 | 사학자, 대학 교수, 저술가 |
주요 관심사 | 백제사 |
학력 | |
학사 | 계명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졸업 |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문학석사 |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문학박사 |
경력 | |
소속 | 계명대학교 인문국제학대학 사학과 명예교수 |
2. 이력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태어났다. 계명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198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사학계 최초로 백제사를 전공하여 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3]
계명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2014년에 정년 퇴임하였다. 현재는 계명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한국고대사학회 창립 발기인 중 한 명이며[1],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3]
제1기 한일 역사 공동 연구 한국 측 위원으로 참여하여, "5세기의 한일 관계사 - 『송서』 왜국전의 검토 -"를 발표했다.[2]
3. 학력
4. 학문적 평가 및 영향
2013년, 『동아일보』와 한국연구재단이 경제학, 사회학, 역사학, 교육학 등 7개의 인문 사회계를 대상으로, 최근 10년간의 "KCI"에 등록된 학술 논문과 참고 문헌을 기초로, "Bonacich Power 지수"를 사용하여, 특정 학술 논문과 참고 문헌을 인용한 학술 논문이, 그 학술 논문 중에서 특정 학술 논문과 참고 문헌이 어느 정도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산출하여 영향력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역사학 분야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연구자 1위로 선정되었다.[3]
저서 『역주 삼국사기』는 조선 고대사 연구의 기본 사료인 『삼국사기』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의 서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3]
5. 저서
노중국은 백제사와 가야사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해왔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백제정치사연구》, 《가야사연구》, 《백제부흥운동사》, 《백제사회사상사》,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 《백제정치사》 등이 있다.
5. 1. 단독 저서
-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1988년)
- 《가야사연구》 (춘추관, 1995년)
- 《백제부흥운동사》 (일조각, 2003년)
- 《백제부흥운동 이야기》 (주류성, 2005년)
-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2010년)
-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 (지식산업사, 2012년)
- 《백제정치사》 (일조각, 2018년)
5. 2. 공저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
《한길역사강좌 12 : 한국고대사론》 | 한길사 | 1986년 |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 민음사 | 1990년 |
《백제의 역사와 문화》 | 학연문화사 | 1996년 |
《한국 고대사 속의 갸야》 | 혜안 | 2001년 |
《한성백제의 역사와 문화》 | 서경문화사 | 2007년 |
《한국 역사의 이해》 | 계명대학교출판부 | 2008년 |
《시민을 위한 서울역사 2000년》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2009년 |
《백제와 영산강》 | 학연문화사 | 2012년 |
《백제와 주변세계》 | 진인진 | 2012년 |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 | 학연문화사 | 2014년 |
《일본 가와치 : 한류 열풍의 진앙지》 | 주류성 | 2016년 |
참조
[1]
뉴스
한국고대사학회(韓國古代史學會)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뉴스
5世紀の韓日関係史-『宋書』倭国伝の検討-
https://www.jkcf.or.[...]
日韓歴史共同研究
2005
[3]
뉴스
울진출신 노중국교수 "역사학계 영향력 1위 선정"
http://www.anewsa.co[...]
아시아뉴스통신
2013-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